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궁내 성장 발육지연의 초음파진단

        우복희(BH W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9 No.8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서는 입원환자중 월경이 규칙적이고 최종월경일이 정확한 임신 29주부터 42주간의 총71예의 위험임신군을 대상으로 분만 48시간전에 초음파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자궁내 성장발육지연의 빈도는 위험임신군 총 71예중 23예 (32%)로 ⅓를 차지 하였다 2 자궁내 성장발육지연 총 23예중 20예 즉 86 95%가 임신성 고혈압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3 임신연령별 자궁내 성장 발육지연의 빈도는 임신 35주 이후에 18예(78%)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조산군에서보다 높은 임신연령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4 자궁내 성장 발육지연의 초음파 진단은 62 5%였고 위음성율(false negative rate)이 34 8%였다 5 자궁내 성장 발육지연 23예중 6예는 비대칭성이였고 1예는 대칭성 성장 발육지연으로 이들은 모두 임신성 고혈압을 합병한 예들이였다 A total of 71 cases risk pregnancies had ultrasonic measurements of biparietal diameter, transverse trunk diameter, head and abdominal circumference ratio between 29 and 42 weeks` gestation within 48 hours of delivery Antenatal detection of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were made by application of Hansmann nomogram by measuring biparietal diameter, transverse trunk diameter, and head and abdominal circumference with use of realtime B-mode scanner (linear array)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in 62 5% and showed false negative result in 34 8% Six of seven cases with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showed asymmetric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It is believed that the ability to detect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accurately must be improved with use of the head and abdominal circumference

      • KCI등재

        임신중 난소종양

        우복희(BH W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1 No.12

        1973년 10월 1일부터 1978년 9월 30일까지 만 5년간 본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임신중 난소종양 진단하에 분만 및 수술을 받은 27예에 대하여 임상적 관찰을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중 난소종양의 발생빈도는 1:314였으며 난소종양 종류별 분포는 피양낭종이 7예 즉 41.7%로서 가장 많았다. 2. 임신중 난소종양을 합병한 환자의 연령분포는 20~29세가 13예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연령은 29.2세였고 평균 경산회수는 1.4이였다. 3. 난소종양의 합병증중 응급수술을 요한 종양의 염전이 5예(18.5%)로 가장 많았으며 정상 질식분만을 방해할만큼 크게 자란 종양은 없었다. 4. 수술시기별로 본 임신의 예후는 임신 11주 및 임신 15주에 수술한 2예 모두 수술후 자연유산을 초래하지 않고 양호하였으며 전지는 황체홀몬을 간헐적으로 후자는 1일 100mg씩 8일간 계속 투여하였으나 양자간 진통은 모두 오지 않았고, 비교 수자는 적지만 아마도 큰 차이가 없었다고 본다. 5. 임신중 난소종양을 합병한 27예중 비 수술환자 3예(11.1%)는 분만후 난소종양이 자연소실되었다. 이것은 아마도 단순 난포낭종의 자연 파열로 귀결되었다고 추정된다. At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f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24 cases were operated upon for ovarian tumors complicating pregnancy among 27 cases of ovarian tumors in pregnancy from October, 1973 to September, 1978. There were 8430 deliveries during the above mentioned period. The incidence of ovarian tumors in pregnancy was one in 314. The most common ovarian tumors in pregnancy was demoid cyst(41.7%) among 27 cases of ovarian tumor complicating pregnancy and the average of age was 29.2 years old. The incidence of torsion of ovarian tumors in pregnancy was 18.5%, and rupture was only one case. There was no mechanical interference during labor by large tumor. 3 cases of ovarian tumors complicating pregnancy were treated surgically between 11 and 16 weeks of pregnancy, but there were no abortion and premature delivery followed operation. 12 cases were terminated electively during the first trimester because of unwanted pregnancy with cystectomy.

      • KCI등재

        산부인과 수술영역에 있어서 Vistamycin투여에 관한 임상적 연구

        우복희(BH W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12

        본 이화대학 병원 산부인과에 입원, 수술환자 제왕절개술,자궁척출술, 자궁외 임신, 회음 절개술등의 수술을 받은 환자 40예에 대하여 1일 Vistamycin을 1,000㎎씩 근육 주사로서 평균 총사용량 2gm∼14gm투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제왕절개술후 Vistamycin을 사용한 결과 25예에 있어서는 거의 대부분(92%) 수술 제6일에 열이 소실 되었으며 창상 감염이나 자궁 내막염 등의 합병증을 볼 수 없엇으며 효과적 이었다. 2. 그리고 자궁 적출술 환자 7예, 자궁외 임신 4예 기타 4예등 부인과 수술 영역에 있어 서도 창상 감염(wound infection)을 거의 볼 수 없었다. 다만 이들은 술후 평열이 될때 까지 Vistamycin치료를 계속 받게 되었는데 그중 환자의 과반수(66.6%)가 약 1주간 투 여로서 만족 되었으며 나머지 환자들도 9∼14일간 치료로서 완쾌 되었다. 3. Vistamycin 치료후 간 기능 검사, 신장 기능 검사 및 청력 검사등을 실시한 결과 임 상적으로 특별한 변화나 부작용을 볼 수 없었다. Vistamycin 500mg was acministered intramusculary every 12 hours to the 40 cases of postoperative patients admitted into the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and clinical effects were observed as follows. 1) 92% of patients treated with Vistamycin following Cesarean section has found no any wound infections or endometritis. And all thefever was subsided to the normal level in 6 th postoperative day. 2) In the gynenologic Surgery, (7 cases of hysterectomy, 4 cases of tubal pregnancy, and 4 cases of other operations) approximately 66.6% of them showed no any postoperative wound infections after 7 to 8 days Vistamycin treatment. 3) Laboratory tests of the Serum cueatinine, B.U.N. total protein, A/G ratio S,G.O.T. and audio test showed no any clinical significant changes or side reactions noticed in this study.

      • KCI등재

        산후자간에 관하여 ( 1964.1 - 1966.12 )

        우복희(BH Woo),조행원(HW cho),김수자(SJ Kim),이일준(IJ Rh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68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1 No.7

        Postpartum eclampsia is one of the serious complication during the puerperium although it is not common. We have encountered 13 cases of postpartum eclampsia which occured smong a total of 6040 deliveries in Ewha Womans University Hosptial,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1964 to 1966, the incidence being one case per 500 deliveries, Postpartum eclampsia constitues approximately 2.8% of all cases of Toxemia or 31% of all cases of eclampsia. Over all the incidencies were considered very high. 1. The majority cases (92%) of Postpartum eclampsia were occurred in the multiparas, and that never had prenatal cares (91%). Approximately 2/3 cases of Postpartum eclampsia have occurred after home delivery without modern obstetrical care (poor socio-economic group). 2. It is emphasized that careful Pstpartum care during first 5-10 days of puerperium shoud not be neglected to prevent or minimize these or other postpartum complications. 3. October is the peak month for Postpartum eclampsia in Seoul. This was similar to that of occurred in Miami area, although it is uncertain that whether or not it could be corelated with the mean temperature or the mean relative humidity. 4. The severity of Postpartum eclampsia depended on the degree of elevation of uric acid, and also the delayed occurrence appeared to be more severe with increased convulsion. 5. A careful study of family history seemed very important even in the puerperium since perfectely normotensive mother having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particularly on the parents side appeared to be a good candidates for the sudden onset of post partum eclampsia. 6. The mean weight of newborn baby from the mother of postpartum eclampsia was decreased approximately 650-850 Gm as compared with normaly expectant newborn weight, however there was no fetal death.

      • KCI등재

        전치태반 ( 1969~1973 )

        우복희(BH W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12

        1. 1969년 1월부터 1973년 12월까지 총분만수 9488예에 대하여 전치태반의 빈도는 1:128로 0.78%였다. 2. 전전치태반이 18예(24.3%)였고 부분전치태반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33.8%를 보여주었다. 3. 전치태반의 발생은 경산회수 1~4회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54예(73%)로서 다산부에 그 발생빈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진통을 동반한 전치태반 환자는 70.3%로서 많았으며 이것은 무통성 질출혈을 계속 참고 있다가 온 경우일 것으로 보아 산전관리시 사전교육이 필요하다고 본다. 5. 제왕절개술은 하절횡절개가 77.6%로 많았고 전형적절개술은 1.5%에 불과하였으며 수술방식이 태아사망을 증가시키지는 않았다고 본다. 6. 전치태반에 있어서 조산자는 12.2%로서 보통 사산률에 비하여 큰 차이가 없었으나 만삭사 4.1%에 비하여 월등히 높았다. 7. 산모사망은 1예도 없었다. From January 1, 1969 to December 31, 1973, 74 cases diagnosed and treated for placenta previa among total deliveries of 9488 in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1. Incidence of placenta previa was one per 128 deliveries or 0.78%. 2. There were 24.3% total placenta previa and high rate of partial placenta previa(33.8%). 3. Placenta previa has occured more often in multipara(73%) than primigravida. 4. Placenta previa with labor was high(70.3%) because of late admission. Therefore prenatal care is required. 5. Lowere segment transverse cesarean section rate was 77.6% and classical cesarean section rate was 1.5%. A uterine incision through the placental site did not seem to give any effect of fetal loss. 6. Premature death was 12.2% and term death was 4.1% in our study. The problem of prevention of prematurity and intrauterine anoxia still remains. 7. There was no maternal mortality in our study.

      • KCI등재

        임신중절 직후 자궁내 피임장치가 자궁내막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우복희(BH Woo) 대한산부인과학회 197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8 No.4

        비임신부인 235명과 임신중절직후 부인 91명을 대상으로 포리에틸렌으로 된 Lippes씨의 자 궁내피임장치를 삽입한후 이에 따르는 제합병증을 중심으로 모든 임상적 관찰을 하였다. 그 리고 루프도말표본 검사와 자궁내막의 병리조직학적 점색을 대조군에서 73예, 실험군에서 52예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관찰된 임상적 부작용은 실험군에서 출혈이 6.9% 요통 및 하복통이 각각 1.9%, 월경량증 가가 0.2%여쏙 대조군과 비교시 출혈은 대동소이 하였으나 동통은 오히려 실험군에서 적었 다. 실험군에서의 부작용은 2개월 후 급격히 자연 쇠퇴되었다. 2. 자궁내막의 병리조직학적 소견은 혈관의 증식, 울혈 과 출혈, 기질세포의 형태변화 등이 있었으나 경미한 것이었다. 3. 염증반응은 대조군과 실험군에 있어서 별차이가 없었고, 비교적 경미한 변화였다. 4. 자궁내막에 특별한 이상증식이나 악성변화는 볼 수 없었다. 이상의 소견으로 보아 임신중절직후 자궁내피임장치의 삽입은 비임신시 자궁내피임장치의 삽입과 별차이가 없으며 따라서 임신중절직후 피임은 권장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사료 된다. Polyethylene Lippes loops were inserted in 235 cases of non-pregnant state woman and 91 cases of postabortal state women. Clinical observation were performed mainly in the aspect of side effects. Loopal smears and endometrial biopsies were done in 73 cases of control and 52 cases of experimental group. The results may be summerized as follows; 1. Clinical side effects observed were hemorrhage (6.9%) lumbago and lower abdominal pain (each 1.9%) hypermenorrhea (0.2%) in experimental group. The incidence of hemorrhage was similar to control group, but the incidence of pain in experimental group was rather low than the one control. The side effects of the experimental group disappeared spontaneously 2 months after the insertion. 2. The histopathologic findings were minimal in the experimental group; endometrium with proliferation of small blood vessels, congestion and hemorrhages, and stromal change. 3. Inflammatory reactions were also mild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4. There were no atypicalities, dysplasias or malignant changes of endometrium, itself . On the basis of the above insertion in nonpregnant state . Therefore immediate loop insertion in the postabortal state should be a recommended method of contraption.

      • KCI등재

        임신 후기 초음파검사에 의한 태반등급(Placental Grading)과 양수내 Lecithin/Sphingo- myelin Rotio 및 임상예후와의 관계

        홍경희(KH Hong),우복희(BH Woo),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9 No.8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는 1985년 1월 1일부터 4월 15일까지 총 58예에 대하여 초음파검사에 의한 태반등급 및 lecithin/sphingomyelin 비율(29예)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태반등급과 임수주수와의 관계를 보면, 만삭 임신 (37주이상)에서, 태반등급 III은 30예로 51 8%이었고, 등급II는 12예로 20 7%, 등급 I은 9예로 15 5%이었다 임신 27주∼36주인 군에서는 등급 III이 2예로 13 4%, 등급 I이 4예로 6 9%이었고, 27주이하에서는 등급 0이 1예 1 7%인바, 성숙된 태반은 임신주수가 만삭에 이를수록 많이 발견되었다 2 태반등급과 L/S 비율사이의 상관관계는 태반등급 III인 19예중 17예 즉 89 5% (S E : ±7 03)에서 성숙한 L/S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것으로 초음파검사에 의하여 결정된 태반성숙은 태아폐성숙과의 좋은 상호연관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태반등급과 L/S 비율, 임신주수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L/S 비율이 2이상인 27예중 25예 (92 6%)가 만삭임신이었고, 이들의 62 9%가 태반등급 III이었다 또한 태반등급 III으로써 L/S 비율이 2이하였던 2예 모두에서 신생아 호흡곤란증은 발생되지 않았고, 이들은 모두 만삭 임신이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 태반성숙과 동시에 L/S 비율의 증가가 없을 시는 역시 임신 주수에 의존해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4 성숙한 L/S 비율을 갖는 27예중 출생시 체중 및 Apgar점수와의 관계를 보면 체중이 2 8kg이상인 23예중 2예만이(8 7%), 1분 Apgar점수가 7미만이었고, 체중 2 8kg미만은 4예중 2예(50%)에서 1분 또는 5분 Apgar 점수가 7미만으로 체중과 Apgar 점수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 0033, Fisher의 정확성 검정법) 5 태반등급과 태아체중과의 관계를 보면 2 8kg미만인 13예중 태반등급 I이하가 8명(61 5%), 2 8kg이상인 45예중에는 태반등급 I이하가 6예(13 3%)이었다 따라서, 태아체중을 태아성숙의 인자로 간주할 때 태반등급과 태아체중사이에는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 05) During a three and one-half month period between January 1 and April 15, 1985, placental grading with real time ultrasound was performed on 58 patients,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29 of whom had undergone amniocentesis for determination of their lecithin/sphingomyelin rati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f the 58 term pregnancies (gestational age > 37 weeks), a Grade I placenta was found in 9 (15 5%), a Grade II in 12 (20 7%) and a Grade III in 30 (51 8%) 2 89 5% (17 patients among 19) of Grade III placentas has a mature L/S ratio, and the remaining 2 patients who had an immature L/S ratio had not experience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Standard Error±7 03) 3 In the 27 cases with a mature L/S ratio, of the 23 cases with a birth weight of ≥ 2 8 Kg, 2 cases (8 7%) had a low Apgar score (6 or less), of the 4 cases with a birth weight of < 2 8 Kg, 2 cases (50%) had a low Apgar score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herefore established between birth weight and Apgar (P = 0 0033) 4 Of the 45 cases with a birth weight 0f ≥ 2 8 Kg, only 6 cases (13 3%) had placenta Grade I, and of the 13 cases with birth weight of < 2 8 Kg, 8 cases (61 5%) had placenta Grade of I or 0 Therefore a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established between placenta grade and birth weight (P < 0 05) Finally Grade III placenta in normal term gestation showed a good correlation with fetal pulmonary maturity as predicted amniotic fluid L/S ratio

      • KCI등재

        고혈압성 임신 ( 임신중독증 ) 598예

        오영옥(YO Oh),우복희(BH Woo),우경숙(KS Woo),안정자(JJ Ahn),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7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9 No.12

        1. 1972년 1월부터 1974년12월까지 본산부인과의 임신중독증의 발생율은 13%로 높앗고 이 중 자간전증이 65%로 과반수를 차지했고, 자간은 6%, 잠존성 임신중독증은 16%, 만성 고혈 압은 2.5%였다. 2. 임신 중독증의 발생은 연령과 경산 횟수가 증가할수록 더 잘 발생되었다. 3. 다태임신 때 발생빈도는 37%로 3배나 높앗다. 4. 태아의 출생시 체중은 정상임신 때보다 감소되어 태아 성장에 장애를 가져왔다. 5. 임신 중독증 환자중에서 산전진료때에 초진혈압이 130mmHg인 환자가 13%였으며 이런 사실로 초진 혈압이 130일 경우에는 임신 중독증 발생경향이 있다는 사실을 미리 예측하여 산전진료의 질을 높여야 한다. 6. 임신중독증 환자의 분만 방법은 질식분만이 82.96%였고, 제왕절개술이 17%였다. 7. 제왕절개술 때에 수술전 약물 즉 MgSO4 및 serpacil 등의 전처치를 한후에 전신마취 또 는 요수마취를 할 때는 혈압저하가 초래되므로 특히 주의하여 마취약을 감량시켜야 했다. 8. 임신 중독증에서 산후 출혈은 정상 산후 출혈때보다 2배나 높았다. 9. 주산기 사망률 은 4.8%였다. 10. 임신 중독증때 산모 사망은 0.84%로 사망의 원인은 임상적으로 뇌출혈 급성 심부전증으 로 의심되는 예엿다. 1. The incidence of toxemia was 13% among these patients 65% of them had preeclampsia 6% eclampsia, 16% transient hypertension and 2.5% chronic hypertension respectively. 2. It seemed there was a close relation with the patients age and parity in the incidence of toxemia. we found higher incidence of toxemia in older women with high parity. 3. When we studied the conditions of women with multiple pregnancy, they had much higher incidence of toxemia than women with single pregnancy. in fact 37% of all the mothers of the multiple pregnancy had toxemia which is three times higher than that of mother of the single pregnancy 4. Average fetal weight born in toxemia patients was lower than those born in normal mothers. 5. About 13% of the toxemic patients had rather normal systolic blood pressure around 130 mmHg at prenatal care. with this fact in mind one should be more careful in prenatal care. 6. After 82.96% normal delivery and 17% cesarean section, we concluded that there was little evidence that toxemia had more cesarean section than normal delivery. 7. One should be especially careful or oncoming hypotension due to preoperative MgSO4 or serpacil treatment given before cesarean section. 8. After studying the patients with immediate postpartum atonic uterine bleeding we found the incidence occured twice as much among toxemic patients than the women with normal pregnancy 9. Perinatal mortality rate was 4.8% 10. We had 0.84% maternal death among toxemic patients. it was clinically suspected the deaths due to cerebral hemorrhage and acute renal failure.

      • KCI등재

        이상태아예측을 위한 비수축검사, 수축검사 및 혈청 Total Estriol치에 관한 연구

        궁미경(MK Koong),우복희(BH Woo),강신명(SM Kang)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0

        고위험임부 30예를 대상으로 비수축검사(nonstress test), 수축검사(contraction stress test) 및 모체의 혈청 total estriol검사에 의해 이상태아의 예후에 대한 판정의 신빙도는 다음과 같았다. 1. 비수축검사시에 나타나는 비반응형(nonreactive)이나, 수축검사시에 나타나는 심박변이(variavbility)가 결여된 음성형(negative) 또는 양성형(positive)으로 나타날 때는 이상태아에 대한 예측율이 각각 82%, 86% 및 100%로 모두 신빙성이 높았다. 2. 모체의 진통전 혈청 total estriol치가 160ng/ml미만으로 나타난 예에서는 이상태아 예측율이 비교적 높았으나(88%), 그 반면 160ng/ml 또는 그 이상으로 나타난 예에서는 위음성율이 42%로 높았다. 따라서, 이때는 비수축검사의 병용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상태아의 예측에 대한 신빙도를 보완할 수 있었다(83%). 3. 임신성 고혈압을 동반한 임부에 있어서는 진통전 혈청 total estriol평균치가 정상임부의 평균치에 비하여 현저하게 낮았다(p<0.05). 특히 자궁내 성장지연을 동반한 임신성 고혈압임부에 있어서 그 평균치(152.5ng/ml)는 동반치 않은 단순 임신성 고혈압임부의 평균치(236.4ng/ml)에 비해 더 낮은 경향이 있었다. Level for the Prediction of Abnormal Fetal Outcome The precise evaluation of abnormal fetal outcome is still unresolved problem. In this paper, 30 cases of high risk term pregnancies including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with or without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12 cases), diabetes mellitus(2 cases) and others were studied. The abnormal fetal outcome was evaluated by means of nonstress test, contraction stress test and simultaneous measurement of maternal serum total estrio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In the prediction of the abnormal fetal outcome among high risk term pregnancies, the nonreactive pattern of nonstress test, the negative pattern associated with no variability or positive pattern of contraction stress test all appeared to be highly reliable indicators. 2. The high risk pregnancies revealing serum total estriol concentration less than 160ng/ml before labor showed fairly high predictability of abnormal fetal outcome(88%). However, when the value of serum total estriol concentration was 160ng/ml or above, the false negative rate was very high(42%) and therefore, in such cases, we believe the additional nonstress test to be needed for the better prediction of the abnormal fetal outcome(83%). 3. The mean serum to total estriol concentration before labor in pregnancies complicated by hypertensive disorders was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pregnancies(P<0.05). Especially, the mean value in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ssociated with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152.5ng/ml±) tended to be lower in comparison with that of without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236.4ng/ml±36.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