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의 Sharing Semantics 구현

        김경애(Kyungae Kim),윤귀석(Gwisuk Yoon),김성규(Seonggyu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B

        분산 파일 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들이 물리적으로 여러 사이트에 산재해 있는 파일의 공유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파일 시스템에서의 다수의 사용자들이 파일과 기억 장치 자원들을 공유하도록 허용하는 여러 sharing semantics를 비교 분석하고, 지연이 적게 일어나는 Session semantics를 기반으로 여러 사용자들의 한 파일에 대한 접근에 있어서 가장 최근의 쓰기 연산으로 갱신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제공하는 일관성(consistency)에 중점을 둔 Sharing Semantics를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패션 관련 학과 의복구성분야 교육과정 현황분석-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김경애 ( Kyungae Kim ),조경숙 ( Kyeongsook Cho ) 한국의류학회 2017 한국의류학회지 Vol.41 No.2

        We selected 81 universities (39.1%) for research and close analysis to analyze the current availability of courses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at four-year domestic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s that curriculum is currently composed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courses that continue to be developed in diverse areas of study. Despite having classes with underly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research shows that the course curriculum is constructed systematically with both theory and practice at each stage. Distribution of curriculum in the field of clothing construction were organized and analyzed by similar courses in 4 larger groupings and 9 sub-groups. Analysis of the large groupings showed that sewing courses (19.8%), pattern development courses (41.0%), advanced sewing courses (14.1%), and miscellaneous courses (26.1%) were established. Analysis of the sub-groups showed that basic theory and sewing courses (3.6%), sewing courses (16.1%), flat pattern courses (17.9%), draping pattern courses (14.6%), pattern CAD courses (7.3%), tailoring and advanced sewing courses (8.5%), scientific sewing and apparel production processing courses (1.4%), special sewing courses (3.9%), and miscellaneous and new subject courses (26.1%) were established. Overall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distribution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pattern development (39.9%), miscellaneous & new subject (26.1%), basic theory and sewing (19.8%), and advanced sewing (14.0%). Field analysis from various angles indicates that pattern development, new subject courses, and miscellaneous courses had a relatively higher proportion than other major courses. From this it can be inferred that this trend is an effort to develop individuals to adapt to a rapidly changing fashion industry and environment. The composition of courses also shows great advancement towards diversification and course development. However, there is still insufficient exchange between industrial and education sites. As active exchange continue to be demanded, classification standards for new subject courses and titles of such studies have become unclear and have reached limitations.

      • KCI등재

        한국 웹툰 스토리의 특성과 문제점: 제재를 중심으로

        김경애 ( Kyungae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1

        이 논문에서는 웹툰 스토리텔링 관련 기존 논의가 스토리의 성분들을 밝히는 데는 소홀했음을 비판하고 스토리의 성분 중 하나인 제재의 특성을 구명하는 논의를 수행하였다. 웹툰이 하나의 서사라는 점을 전제할 때 웹툰 IP의 본질은 스토리이기도 하지만, 구체적으로는 스토리의 요소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 논의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여중생A』와 『문유』 등을 중심으로 이를 구명하였다. 논의 결과 한국 웹툰 제재의 특성이 소외자, 소수자들의 서사이며, 현재적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고 이를 관계 맺기로 극복하려는 서사라는 점이 밝혀졌다. 따라서 한국 웹툰은 마이너리티의 서사라고 요약할 수 있다. 한국 웹툰은 소수자들, 소외자들, 소위 ‘찌질이’, 잉여들의 이야기를 많이 다루어 왔다. 이러한 특수성은 한국 웹툰의 제재적 특성을 밝히는 연구를 통해 잘 드러난다. 제재는 작품 창작과 기획, 교육자료 개발, 홍보 전략 수립 등 문화산업의 기조를 정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므로, 이와 같은 연구는 미래 문화산업을 선도하고 문화산업의 기조를 정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In this paper, I criticized that the existing discussions on webtoon storytelling was negligent in revealing the elements of story, and carried out the discussion of research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matter. Assuming that webtoons is one of the narrative, the essence of webtoon IP is story, but I thought it would be appropriate to view them as an element of story. For this purpose, I choosed and studied these works, “Female middle school student, A” and “Moonyu” that were not discussed in the previous discussion.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ebtoon subject matter is the narrative of the underprivileged and minority, and that it is the narrative that tries to overcome the current problems with a renewed awareness of them. Thus, the Korean webtoon can be summarized as the narrative of minority. Since subject matter is an essential factor in setting the keynote of the cultural industry, such as creating and planning works, developing educational materials, and establishing promotional strategies, such research will contribute to leading the future cultural industry and setting the keynote of the cultural industry.

      • KCI등재

        취약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교육 사례: A지역의 생활밀착형 관계 중심의 단계 모형

        김경애(Kim, Kyung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6

        이 연구의 목적은 취약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교육 모형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도시 A지역의 실천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취약 집단 청소년을 위한 진로교육에 참조할 수 있는 ‘생활밀착형 관계 중심의 단계 모형’을 도출하였다. 이 모형에서 핵심 가치는 1) 삶: 잘 사는 삶에 대한 비전이라는 큰 틀에서 진로 모색, 2) 생활: 생산 뿐 아니라 소비와 여가 활동까지 함께 고려, 3) 관계:역할모델, 긍정적 자극, 지속적 거울이 되어 줄 수 있는 탄탄한 관계 구축으로 도출된다. 기르고자 하는 역량으로는 1) 자기존중 역량, 2) 자기성찰 역량, 3) 합리적 의사소통 역량, 4) 기본학습 역량, 5) 직업특수역량이 도출된다. 학생들마다 진로교육을 위한 준비도가 다르기에 프로그램의 단계별 조직화가 필요한데 가장 기초가 되는 단계로 1) 통합 지원, 이후 단계로 2) 자기 긍정, 3) 공동체 참여를 통해서 4) 학습으로 인도하고 5) 직업을 탐색하도록 하는 모형이 도출되었다. 이 모형은 1) 생활밀착형 관계 속에서의 진로지도이고, 2) 마을에서 돌봄과 결합된 진로 멘토링이라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to explore the model of career education for disadvantaged youths. It has found a ‘step-by-step career education model based on everyday life relationship’ through the analysis of a local practice case in ‘A’ community. The key values in this model are 1) Life : searching for a career in the larger framework of vision for a good life, 2) Living : considering not only for production but also for consumption and leisure activities, 3) Relationship : building the relationship which can be a role model, positive stimulus, and a lasting mirror. The competences to be developed are 1) self-respecting competence, 2) self-reflection competence, 3) rational communication skills, 4) basic learning capability, 5) vocational-specific skills. As students are different stages of preparation for care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organize the programs in stages such as 1) integrated support 2) self-positive attitude 3) learning 4) job searching. This model has implications in that 1) it is a career guide in close relationships and 2) it is a career mentoring combined with care in the village

      • KCI등재

        애니메이션캐릭터의 오토마타적 표현특성

        김경애 (Kim Kyungae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9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9 No.2

        This study has been considering the property of animation Automatas in animation charater that are the expressive forms of creativity and imagination the original desire of human beings and has a purpose to be as a case of study in Automata expressed in Animation. As looking through the origin and process of development of Automata the basic human desire to create a character originates from the human passion to creativity. Automata which originates in the era of ancient Greek becomes academic origin of Cybernetics developed with the modern France as its center. Animation automatas were started from the copy and imitation of reality to enhance the logical or learned persuasive power and applied of transformation and modification as methods to improve the emphasis of identity visual transmission and industrial ripple effect. Moreover the automatas have been possible to be multiplicated almost to the infinity by digital clone and the virtual animation automatas have been created nearer to the reality than the reality itself as a new species like Chimera. As if the images have been always excelled the actual states Images have expressed the human innovative and creative imagination toward the future far more advanced than science. 본 논문은 인간의 원천적인 욕구인 창조성과 상상력의 표현체인 애니메이션 캐릭터에 표현된 오토마타적 특성을 고찰하였으며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오토마타에 관한 연구의 한 사례로 제시하고자 한다. 오토마타의 기원과 변천과정을 보면 오토마타를 만들고자 하는 인간의 근원적인 욕구가 인간의 창조적 열망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고대의 그리스시대부터 기원하여 근대의 프랑스를 중심으로 발달한 오토마타는 사이버네틱스 (Cybernetics)의 학문적 기원이 된다. 애니메이션에 표현된 오토마타는 논리적이고 학습화된 설득력을 위한 실재의 복사와 모방에서 시작하여 정체성의 강조와 시각적 전달력과 산업적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변형과 변신이 적용되었다. 그리고 디지털 클론(clone) 방식에 의한 오토마타의 무한대에 가까운 수학적 증식이 가능해졌으며 실재보다 더 실재에 가까운 가상의 오토마타가 창조되었다. 이미지가 항상 현상을 앞서 갔듯이 이미지는 과학을 앞서 미래에 대한 인간의 혁신적 창조적 상상력을 표현 하고 있다.

      • KCI등재

        중학생의 수업 참여 양상 : A중학교 학생들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애 ( Kim Kyungae ),류방란 ( Ryu Bangran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8 중등교육연구 Vol.66 No.3

        본 연구에서는 학교교육에 대한 고민이 학생에게서 출발해야 한다는 문제 의식 하에 학생들의 수업 참여 유형을 분석하고 유형별 수업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한 중산층 밀집 중학교의 2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수업시간 관찰 및 촬영, 학생 21명 및 교사 11명과의 면담을 통해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 수준 및 수업 참여 형태를 중심으로 고성취 학생들 중에서는 모범형과 선행학습형, 중성취 학생들 중에서는 적응형과 갈등형, 저성취 학생들 중에서는 관계지향형과 무기력형이 도출되었다. 각 유형별 학생들의 입장에서 수업의 의미는 인지적으로 배움의 재미를 느끼면서 즐기는 시간(모범형), 이미 학원에서 배워서 아는 내용을 확인하며 여유롭게 보내는 시간(선행학습형), 즐기지는 않지만 조용하고 성실하게 공부하는 시간(적응형), 마음에 들 때 집중하지만 그렇지 않을 때는 자유롭게 보내는 시간(갈등형), 친구들과 즐겁게 보내고자 하는 시간(관계형), 자신과 전혀 무관한 내용에서 심리적으로 이탈하여 보내는 시간(무기력형)이 라는 데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일반적 유형이 발견됨에도 불구하고 실제 매 시간의 수업 참여 양상은 교사 또는 친구들과의 상호작용 및 학급 역동에 의해서 변화하는 유동적 특성을 갖는다. This study, under the awareness of a problem that the agonizing on school education shall start from the students, analyzed the students' class participation types and derived meaning of class for each type. For this, centered on 2nd grade students of a middle class concentrated middle school in Seoul, class time was observed and video-taped, 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21 students and 11 teachers. As a result of the study, centered on the learning achievement level and class participation form, 1) high achievement students were derived as model student type and prior learning type, 2) medium achievement students were derived as adaptation type and conflicting type, and 3) low achievement students were derived as relationship oriented type and lethargy type. In the standpoint of the students of each type, the class has the meaning as time to cognitively feeling fun of learning and enjoying(model student type), already learned at private institute, so time to check the contents already known and being relaxed(prior learning type), time for not enjoying, but calmly and sincerely studying(adaptation type), time to focus when it is favored, but having free time otherwise(conflicting type), time to spend the time as happy time with friends if possible(relationship oriented type) and time to be apart psychologically from the contents not related to themselves at all(lethargy type). Despite these types, class participation aspect shows the mobility changing by the class dynamics and interaction with friends.

      • 센서 네트워크의 MAC 프로토콜 구현

        김하양(Hayang Kim),김민정(Minjung Kim),김경애(Kyungae Kim),김진태(Jintae Kim),이승준(Seungjun Lee)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4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4 No.-

        Wireless sensor network을 위한 MAC(Medium Access Control) layer를 low-rate WPAN을 목적으로 한 IEEE 802.15.4 사양에 따라 구현하고 검증하였다. 센서 네트워크의 노드는 배터리로 동작하므로 에너지 소모가 가장 큰 걸림돌이 된다. power saving을 위한 몇 가지 방법을 포함한 IEEE 802.15.4 MAC protocol을 구현함으로써 wireless sensor network에 적용 가능함을 보였다.

      • KCI등재

        자유선택활동 놀이시간에 나타나는 몰입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임부연(Lim, BooYeun),서유리(Seo, YuRi),김경애(Kim, Kyung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7

        본 연구는 유아 교실의 자유선택활동 놀이시간에 나타나는 유아들의 몰입경험 특성을 알아보고 유아들의 몰입 경험 촉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해 탐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B시 P어린이집 초롱반의 유아들과 교사 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약 3개월 간 총 18회기에 걸쳐 초롱반의 자유선택활동 놀이시간을 비참여 관찰하였고, 초롱반 교사 2인과 유아들의 면담, 비디오 녹화, 사진자료, 연구자 일지를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전사하고 주제별로 코딩한 후 주제 또는 의미화 생성 과정을 거쳐 주제어를 도출해 내었다. 그 결과 자유선택활동 놀이시간에 나타나는 유아 몰입경험의 특성은 혼자만의 고유한 놀이 세계 만들기, 놀이에 빠져드는 몸, 몰입 휴식기 가지기, 더 많은 역량 발휘하기로 나타났다. 더불어 몰입경험의 촉진을 위한 교사의 역할은 유아몰입에 관심을 가지고 흥미중심의 놀이 존중하기, 몰입경험을 민감하게 관찰하기, 놀이 약속 제한하기의 교육적 배려로 드러났다. 이를 통해 유아의 몰입이 가지는 가치와 중요성을 깊게 이해하고 진정한 놀이를 강조하는 자유 놀이 시간의 활성화에 교육적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s flow experience during a free play in the class for young children and explore teacher roles to facilitate their flow experience. To address the goal, this researcher selected young children from Class Chorong in P Daycare Center of B City and the teachers as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for about three months, in total 18 sessions. Non-participant observation was done during a free play in Class Chorong. Data were collected from interviews to two teachers and young children of Class Chorong, video-recording, photos, and this researcher’s journal. For data analysis, this author transcribed the material collected and performed coding for each individual topic and then went through the process of producing topics or meanings to draw keywords. According to the results, young children’s flow experience during a free play is characterized by their alone time to have a unique play world of their own, their body becoming immersed into play, taking a rest from flow, and exhibiting higher competency. Moreover, as teacher roles to facilitate their flow experience, this author has found the followings: paying attention to young children’s flow experience and respecting their interest-oriented play, observing their flow experience sensitively, and practicing educational consideration by limiting the time promised for play. Through the process, this researcher has come to understand the value and importance of young children’s flow profoundly. This study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as it contributes to vitalizing free play emphasizing the value of real play.

      • KCI등재

        노인의 기능체력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장수체력나이의 개발

        정은지 ( Eunji Jung ),김보희 ( Bohee Kim ),김경애 ( Kyungae Kim ),최현민 ( Hyunmin Choi ),박준성 ( Joonsung Park ),정송이 ( Songee Jung ),다나카기요지 ( Kiyoji Tanaka ),노호성 ( Hosung Nho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7 체육과학연구 Vol.28 No.1

        [목적]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기능체력수준을 평가하기 위한 장수체력나이(연령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458명 (남성: 166명, 여성 292명)이 참여하였으며 설문 조사를 통하여 6대 질환(뇌혈관 질환, 고혈압, 당뇨병, 심장질환, 호흡기질환, 비만)으로 판정되지 않은 경우는 건강집단으로 이중 한 가지라도 해당이 되는 경우는 만성질환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연령 척도는 건강집단을 대상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를 만성질환집단에 적용하여 그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기능체력평가를 위하여 총 13가지 항목(악력, 연속상완굴 신력, 눈뜨고 외발서기, 기거능력, 팔 앞으로 뻗기, 의자에 앉았다 일어나기, 일어나 걸어가기, 8자 보행, 5 m 보통 보행 및 최대보행, 일자로 걷기, 콩 옮기기, 봉 옮기기)을 시행하였다. [결과] 연령 척도개발을 위해 주성분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악력과 콩 옮기기를 제외한 모든 항목이 연령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건강집단과 만성질환집단 간 악력과 하지 기능 관련 변인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장수체력나이 추정을 위해 총 4개의 변인이 선택되었다. 추정식은 다음과 같다. 장수체력나이=0.942*X<sub>1</sub>+2, 185*X<sub>2</sub>+0.673*X3+0.051*X<sub>4</sub>+0.588*실제나이+58.401 (X<sub>1</sub>=기거능력, sec (s), X<sub>2</sub>=5m최대보행(s), X =s의자에앉았다 일어나기, (s), X<sub>4</sub>=눈뜨고 외발서기(s).) 건강집단의 경우 장수체력나이와 실제나이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성질환집단은 차이가 나타났다. 만성질환집단 중 좌식 생활 집단은 운동 집단에 비해 그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장수체력나이는 건강관리가 요구되는 노인을 조기에 선별하기에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Evaluating the aging of senior and providing optimal sevices are important things for successful aging. This study identified functional fitness related with heath of aged 65 years or older and developed an age scale (longevity fitness age) for assessing their aging. [Methods] Participants were 458 older people (166 male, 292 female). They were divided into healthy group and disease group. Healthy group wa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longevity age equation and disease group was for investigating the validity of the equation. Participants completed 13 function fitness variables.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obtained from 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as used to compute the equation. All variables except for grip strength and carrying beans were correlated with chronological aged. Grip strength and variables related lower functional fitness had differences between healthy group and disease group. Finally, 4 variables were selected for the equation. [Results] It was the following: longevity fitness age=0.942*X1+2, 185*X2+0.673*X3+0.051*X4+0.588*chronological age+58.401, where X1=standing up from a supine position, sec (s), X2=maximum walking (s), X3=standing up and sitting down a chair (s), X4=one leg balance with eyes open (s). The longevity fitness age of healthy group do not have a difference compared to their chronological age but disease group had a difference significantly. Age difference (chronological age-longevity fitness age) of sedentary group in disease group was significantly bigger than its active group. Longevity fitness age could assess an aging of senior. [Conclusion] We suggest that it can use as the tool for early detecting senior who need the health care serv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