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도 남원읍지역 대용량 빗물이용시설의 적정규모 및 농업용수 공급 가능량 산정 연구

        김민철,박원배,강봉래,Kim, Minchul,Park, Wonbae,Kang, Bongrae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0 지하수토양환경 Vol.25 No.1

        Jeju Island is seeking reliable ways to secure alternative water resources using rainwater in order to conserve and manage its groundwater as sustainable water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ainwater storage capability of small-size storage facilities installed at farmhouses in Uigwi and Wimi of Namwon-eup region. The rainwater outflows from the storage facilities in rain events were analyzed. The appropriate size of rainwater utilizing facilities are suggested to be about 5,800 ㎥ in Uigwi area and 4,900 ㎥ in Wimi area based on the calculation from the rainfall frequency and runoff amounts. If those facilities are put into operation in Uigwi and Wimi area, it is estimated approximately 32.3 and 11.5% of total agricultural water can be supplied by the facilities. Wimi area showed low rainwater usage because of less number of facilities relative to the size of farm areas and less intensive underground water usage. It is analyzed that more than 55% of agricultural water can be supplied by rainwater if 70 facilities without the rainwater facilities are connected to the rainwater utilizing facilities.

      • KCI등재

        가시광 통신에서 성능 저하 없는 보안 인코딩 연구

        김민철 ( Minchul Kim ),서태원 ( Taeweon Suh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11 No.1

        가시광 통신은 LED의 빠른 점멸을 통해 데이터를 보내는 통신 방법이며, 조명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가 넓어 도청에 취약하다. IEEE 표준 802.15.7에서는 가시광 통신을 위해 OOK(On-Off Keying), VPPM(Variable Pulse Position Modulation), CSK(Color Shift Keying)를 모듈레이션을 정의한 다. 이 논문에서는 VPPM을 사용한 통신에서 보안을 위한 물리계층 암호화를 제안한다. VPPM은 4B6B를 사용하여 메시지를 인코딩하는데 16개의 출력을 6-bit를 사용해 표현한다. 제안하는 인코딩은 4B6B의 생성조건을 위배하지 않으며 복잡도를 높이기 위해 20개의 출력으로 확장한다. 그리고 확장된 4B6B 테이블의 각 출력을 vigenere cipher를 이용하여 암호화한다. 도청자가 암호화된 각 6-bit 데이터를 복호화할 확률은 1/20이다. 따라서 키의 개수가 n일 때 도청자는 메시지를 복호화하기 위해 최대 ∑<sup>n</sup><sub>k=1</sub>20<sup>k</sup> 만큼 전수조사해야 한다. PHY II의 OOK와 PHYIII의 CSK에서도 입력과 출력을 관리하는 테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안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OOK와 CSK방식에서도 성능 저하 없이 사용할 수 있는 보안 인코딩에 대해 논의한다. 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is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through LED blinking and is vulnerable to eavesdropping because the illumination affects the wide range of area. IEEE standard 802.15.7 defines On-Off Keying (OOK), Variable Pulse Position Modulation (VPPM), and Color Shift Keying (CSK) as modul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ncryption method in VPPM for secure communication. The VPPM uses an encoding method called 4B6B where 16 different outputs are represented with 6-bit. This paper extends the number of outputs to 20, to add complexity while not violating the 4B6B generation conditions. Then each entry in the extended 4B6B table is scrambled using vigenere cipher. The probability of decrypting each 6-bit data is 1/20. Eavesdropper should perform ∑<sup>n</sup><sub>k=1</sub>20<sup>k</sup> number of different trials to decrypt the message if the number of keys is n. The proposed method can be applied to OOK of PHY II and CSK of PHY III. We further discuss the secure encoding that can be used in OOK and CSK without performance degradation.

      • KCI우수등재

        비혼 여성의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

        김민철 ( Kim Minchul ),박수진 ( Park Sujin ) 한국체육학회 2021 한국체육학회지 Vol.60 No.1

        이 연구는 신체적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비혼 여성의 여가 경험을 통해 그들이 충족하고자 하는 욕구나 기대를 보다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밝혀 신체적 여가활동 프로그램 개발과 전략 수립에 일조하는 데 있다. 특히, 비혼 여성들과의 인터뷰와 문헌 연구를 통한 Q방법론적 유형화를 통해 신체적 여가활동을 경험한 연구대상자들이 기대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참여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탐구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첫째, 비혼 여성의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 경험의 유형은 무엇인가? 둘째, 각 유형 간에 나타나는 동질적, 이질적 특성은 무엇인가? 이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Q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3년 이상 지속적으로 신체적 여가활동에 참여한 비혼 여성 20명을 P-sample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P표본(20명)에게 16문항의 진술문을 제시하여 강제 분류하도록 한 후, QUANL PC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비혼 여성의 신체적 여가활동 참여 경험에 대한 유형을 구조화하고, 각각의 유형들이 나타내는 특성을 분석한 결과, 총 3가지 유형으로 나타났으며, 전체변량의 50.89%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제1유형은 정서적 만족 기대형, 제2유형은 건강증진 기대형, 제3유형은 사회적 관계 기대형으로 분류되었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contribute development of physical leisure activity programs and strategies through detailed investigation of needs and expectations of single females participating in physical leisure activities. Particularly, we examined expectations of participants with physical leisure activity experience and explored factors affecting the experience by using Q methodologica classfication via interview with single females and literature review.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is (1) to explore the types of physical leisure activities that single female participate and (2) to investigate heterogeneous or homogeneous attributes between each type of the activities. We use Q method and selected 20 single females who have been continuously participated in physical leisure activities for at least three years as P-sample. There were 16 items within the statement provided for P-sample (n=20) which were coercively categorized and analyzed by QUANL PC program. By structuring the types of single females’ physical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analyzing each type’s attribute,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ere total of three types of physical leisure activities that single females participate with explanatory power of 51%. Specifically, Type 1 was categorized as emotional satisfaction expectation, Type 2 as physical improvement expectation, and Type 3 as social network expectation.

      • KCI등재

        호주군의 재판자료로 본 조선인 BC급 전범

        김민철(Kim Minchul)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9

        조선인 BC급 전범문제에 대한 연구는 잊혀진 역사를 복원한다는 의미 외에도 일본의 전쟁책임과 식민지 지배책임, 상관의 명령과 복종범죄 등 역사와 법, 윤리 차원에서 다양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이 연구는 호주군의 BC급 전범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다루었는지를 분석하는 한편, 호주군사법정에서 재판받은 조선인 포로감시원들의 기록을 통해 연합군 포로학대의 실체와 원인을 해명하고, 재판 과정에서 제기되었던 쟁점을 정리하고자 한다. 일본군의 전쟁범죄에 대해 호주정부는 다른 연합군보다 강경한 처벌정책을 취했다. 연합군은 전범재판을 준비하면서 ‘상관의 명령에 따른 면책사유’를 정의에 기초한 자연법 도입과 일본군의 비정상적인 잔학성을 강조함으로써 해결했다. 재판 기록과 증언 등은 조선인 BC급 전범재판이 피고의 착각으로 인해 유죄가 인정되었거나 범죄를 입증하기에 증거가 부족했다는 점, 언어상의 장벽으로 변호가 충분하지 못했다는 점, 군사문화의 차이에 대한 이해 부족 등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다수의 포로들을 죽음으로 몰고 갔던 열악한 조건과 한계 상황들에 대한 책임이 지휘관보다도 현장의 말단들에게 집중되었다는 점에서 조선인 BC급 전범재판의 특징을 볼 수 있다. While analyzing how the Australian military recognized and dealt with the issue of BC–class war criminals, the research aims to explain the true nature and cause of the Allied POW abuse through the records of Korean guards tried in the Australian Military Court and to clear up the issues raised during the trial. For war crimes committed by the Japanese military, the Australian government has taken a tougher punishment policy than other allied forces. In preparing for the war crimes trial, the Allies resolved the “reasons for immunity under orders from superiors” by introducing justice-based natural laws and emphasizing the abnormal brutality of the Japanese military. According to trial records and testimonies, the Korean BC–class war crimes trial had many problems, including the illusion of unspecified defendants, insufficient evidence, insufficient defense due to language barriers, and a lack of understanding of differences in military culture. In addition, the Korean BC–war crimes trial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responsibility for the poor conditions and limitations that led to the death of many prisoners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mmander.

      • KCI우수등재

        유엔해양법협약상 해양환경소송사건을 통해 본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 - 청구취지 구성 등 소제기시 시사점을 중심으로 -

        金珉徹 ( Kim Minchul ) 법조협회 2021 法曹 Vol.70 No.3

        이 글은 일본의 원전 오염수 방류 문제가 유엔해양법협약 제12부상 해양환경보호규정 위반을 이유로 동 협약 제15부에 따른 강제분쟁해결절차에 회부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동 절차에서 다루어진 해양환경소송사건들을 검토하고 한국이 주장할 만한 주요사항과 여타 소제기시 시사점을 도출한다. 협약상 강제분쟁해결절차, 특히 제7부속서 중재재판에 회부된 해양환경소송사건은 MOX Plant 사건, 조호르해협 간척사건, 차고스 해양보호구역 사건, 남중국해 사건, 연안국 권리 사건이 있다. 이중 남중국해 사건에서는 실질적인 협약 제12부 위반의 본안판단이 내려졌으며, MOX Plant 사건, 조호르해협 간척사건의 경우 잠정조치 절차를 거쳤던 특색이 있다. 협약 제12부의 규정들은 공간적 적용범위가 광범위하고 관할권에 대한 제한 장치가 부재하다는 점에서 협약상 강제분쟁해결절차 회부에 있어 관할권 단계를 넘어 본안판단을 받기에 용이하다. 그러나 그 실체판단에 있어서는 개별 규정의 내용과 범위에 불분명한 부분도 상당하다. 이로 인해 여타 국제규칙이나 기준 등에 의해 보완되거나 심리과정에서 특정 분야의 전문가의 역할이 강조되기도 한다. 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종전 판례사안에서 제소국의 청구취지와 재판소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오염수 방류 건에 있어서는 협약 제12부상 해양환경오염 방지·경감·통제를 위한 조치의무, 협력의무, 환경영향평가의무 등의 위반 원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잠정조치의 신청가능성도 원론적으로 열려 있다. 다만 한국에 보다 의미있는 결론 도출을 위해서는 과학적 증거를 토대로 객관적인 국제기준에 따라 해양환경오염을 입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변론에 현출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소제기에 따른 각종 부담을 고려할 때 정책목표에 대한 근본적 고민 하에 교섭 등 소송외적 방안을 통한 문제해결 가능성도 충분히 고려함이 타당하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litigation cases regarding the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under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In addition, an effort is made to suggest Korea’s possible arguments and draw the policy implications when Korea refers the issue of Japan’s radioactive contaminated water discharge to an arbitral tribunal in accordance with the UNCLOS Annex Ⅶ. Until now, the Annex Ⅶ tribunals have dealt with the viol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obligation in the following cases: the MOX Plant (Ireland v. U.K.) case, the Land Reclamation (Malaysia v. Singapore) case, the Chagos Marine Protected Area (Mauritius v. U.K.) case, the South China Sea (The Philippines v. China) case, and the Coastal State Rights (Ukraine v. Russia) case. Of these cases, the South China Sea Arbitral Tribunal rendered the award on the merits with regard to the substantive viol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obligations under the UNCLOS Part XII. Furthermore, the noteworthy provisional measures orders were made in the MOX Plant case, and the Land Reclamation case by the International Tribunal for the Law of the Sea (ITLOS). Theoretically, the marine environmental litigation cases have the feature that it is relatively easy to reach the decision on the merits beyond the jurisdictional stage. This is because the spatial scope of applica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obligations is wide and there is no jurisdictional limitation set by the Section Ⅲ of the UNCLOS Part XV. However, in the substantive aspects, there exists a degree of uncertainty in terms of the contents and scopes of the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obligations under the UNCLOS Part XII. Thus, it is rather difficult to clearly judge a violation of such obligations, and furthermore, the supplementation by other international rules and standards may be necessary. The role of the experts of the specific field is also regarded as important. Despite such limitations, given the claimants’ submissions in the previous litigation cases and the conclusions made by the tribunals thereof, Korea can invoke the following obligations under the UNCLOS Part XII against Japan with regard to the contaminated water release: the obligation of measures to prevent, reduce and control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the obligation of cooperation, and the obliga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n principle, Korea is also able to request for provisional measures to the ITLOS or the Annex Ⅶ tribunal. However, in order to draw more meaningful decision, it is paramount for Korea to prove the marine environmental pollution based on the scientific evidence according to the objectiv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to effectively present such arguments in the proceeding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isks associated with filing a lawsuit, it is reasonable to fully consider the possibility of resolving the issue by the means other than litigation under the fundamental consideration of policy goals.

      •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데이터 간 전이 학습을 위한 신호 정렬 기법

        김민철(Minchul Kim),황은진(Eunjin Hwang),안민규(Minkyu Ahn) 한국HCI학회 2022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2

        뇌파를 이용하여 의도를 인식하는 기술인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는 사람마다 다른 뇌파 특성으로 인하여 사용 시 매번 새롭게 뇌파를 측정하고 분류기 모델을 구현해야 한다. 하지만 뇌파를 매번 측정하는 것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기에 불필요한 뇌파 측정 및 모델 생성 시간을 줄이기 위한 방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측정된 데이터를 재사용할 시에 신호의 특성이 다른 점을 교정하여 분류기 모델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상관계수기반 신호 정렬 방법을 제안한다. 분석 결과 데이터를 사용하여 분류기 모델을 구성하는 일반적인 방식은 20.8%의 정확도를 보인 반면 제안한 방법은 58.7% 의 비교적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 KCI등재

        니카라과-콜롬비아 간 카리브해에서의 주권적 권리 및 해역 침해 주장 사건 평석

        김민철(Minchul Kim) 국제법평론회 2022 국제법평론 Vol.- No.63

        This article examines the judgment of the Alleged Violations of Sovereign Rights and Maritime Spaces in the Caribbean Sea (Nicaragua v. Colombia), which was rendered by the International Court of Justice (ICJ) in April 2022. In addition, it provides some comments in law of the sea perspective and also draws implications in Korean perspective. In this judgment, the ICJ dealt with the following issues: the rights and duties-particularly with respect to the fisheries and marine environmental protection -of Nicaragua and Colombia in Nicaragua’s exclusive economic zone (EEZ), the compatibility of Colombia’s contiguous zone with customary international law, Nicaragua’s alleged infringement of the traditional fishing rights of the Colombian nationals, and the compatibility of Nicaragua’s straight baselines with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n this regard, this article points out several noteworthy features in the judgment: first, the ICJ recognized the spatial limit of the contiguous zone and the contents on the control of the coastal State in this zone in accordance with article 33, of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 as customary international law; second, the ICJ found it possible for the EEZ and contiguous zone to be overlapped between States, because the two regimes regulate different rights and duties; and third, the ICJ determined whether the straight baselines system established by the coastal State was in effect legal or not. Lastly, in the broader context of the law of the sea, this article also takes note that the ICJ declared or reaffirmed that not a few articles of UNCLOS reflected customary international law in this judgement. This suggests that UNCLOS is constantly contributing to the materialization of the customary law of the sea and broadening its universality in the law of the sea field, as the so-called Magna Carta of the ocean.

      • 적외선통신 암호화 연구

        김민철 ( Minchul Kim ),서태원 ( Taeweon Suh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1

        적외선통신은 리모컨이나 하이패스와 같이 주변에서 흔히 보이는 디바이스에서 사용하는 방법이다. 적외선통신을 이용하여 전송을 하게 되는 경우 전파를 이용한 통신에 비해 비용과 유지의 효율성 면에서 이점을 가진다. IoT환경에서 적외선통신은 민감하고 중요한 데이터까지 보내는 수단으로까지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적외선통신을 IoT환경 하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두 가지 관점을 제시한다. 적외선통신의 키를 사용하는 방법과 카운터를 사용하는 두 가지의 관점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평가를 병행한다.

      • KCI등재

        프랑스혁명에 대한 결산으로서의 19세기 정치사상

        김민철 ( Minchul Kim ) 수선사학회 2021 史林 Vol.- No.78

        The dominant intellectual currents of nineteenth-century Europe such as liberalism or socialism emerged less from the linear development of traditions stretching far back to their putative origins in antiquity or the Middle Ages than from the shockwaves of the French Revolution. Thus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dividing lines between political positions were drawn according to a variety of assessments of the political and social experiments of the Revolution and the Napoleonic Wars. This means that the lines were drawn in response to what were perceived to be the necessary transition mechanisms to progressively reach a future of liberty and welfare without a re-run of the preceding century’s revolutionary upheavals and wars. This prospect is unfolded in this paper through the examination of various nineteenth-century intellectuals including Cuoco, Maréchal, Saint-Simon, Comte, Guizot, Tocqueville, Mill and Constant.

      • RF 대역폭에서의 수중장치의 무선 원격 제어 및 영상 전송

        김민철(Kim minchul),김주원(Kim juwon),박윤진(Park Yunjin),신승제(Shin Seungje)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12

        본 논문에서는 RF모듈 및 STM 32를 이용한 수중 장치(ROV: Remotely Operated Vehicle)의 무선 원격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RF모듈과 카메라를 통한 영상 송수신 방법을 제시한다. 잠수함의 부력탱크는 피스톤 주사기로 구현하였으며, 서보모터를 이용해 부력 탱크를 제어하도록 설계하였다. RF 모듈과 MCU(STM 32)를 통한 무선 원격 제어로 부력 탱크 안에 물이 들어오면 잠항하게 되고, 부력 탱크 바깥으로 물이 배출되면 부상하게 된다. 수중장치 제어를 위한 신호 전달은 저주파 대역폭의 RF 송수신기를 이용하였다. 영상 전송은 수상에 부표를 띄워 영상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구현한다. BLDC모터와 ESC를 통해 추진장치를 구성하고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wireless remote control system for an underwater device (ROV) using an RF module and an STM 32, and based on this, we present a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images through an RF module and a camera. The buoyancy tank of the submarine was implemented as a piston syringe, and it was designed to control the buoyancy tank using a servo motor. Wireless remote control through the RF module and the MCU (STM 32) causes water to enter the buoyancy tank, and rises when water is discharged out of the buoyancy tank. For signal transmission for underwater device control, an RF transceiver having a low frequency bandwidth was used. Image transmission is implemented to enable im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y floating a buoy on the award. The propulsion device is configured through the BLDC motor and the ESC, and direction change is possible using the servo mo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