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후보

        A Rare Case of an Endobronchial Lipomatous Hamartoma Growing into the Peribronchial Pulmonary Parenchyme

        Jong Myeon Hong, Si Wook Kim, Jin young Ahn, Kee Man Lee, Kang Hyeon Choe 충북대학교 동물의학연구소 2012 Journal of Biomedical and Translational Research Vol.13 No.1

        A 40-year-old male was admitted with dry cough of two months’ duration. Radiologic examination revealed an endobronchial mass obstructing the right middle lobar bronchus and poststenotic pneumonia. Despite failure in bronchoscopic diagnosis, due to suspected malignancy and difficulty for bronchoscopic resection, we performed a right middle lobectomy. The histopathological diagnosis was a lipomatous hamartoma, which was exophytic and endobronchial. We report on a rare surgical case of endobronchial lipomatous hamartoma which had occlusive and exophytic growth across the bronchial wal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Contact and Channel Resistances of Ballistic and Non-ballistic Carbon-nanotube Field-effect Transistors

        Jong-Myeon Park,Shin-Nam Hong 한국물리학회 2016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8 No.2

        Recently, man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carbon-nanotube field-effect transistors (CNFETs) in expectation that the CNFETs could replace metal-oxide-semiconductor field-effect transistors (MOSFETs) in the sub-10-nm era. In consideration of both ballistic conduction and nonballistic conduction, including elastic scattering, optical phonon scattering, and acoustic phonon scattering, this paper presents the simulated dependence of the coaxially-gated single-walled semiconducting CNFET characteristics on the contact and the channel lengths. When the contact length was longer than 100 nm, the CNFETs showed a constant minimal value of the contact resistance. In this case, the saturated drain current was higher than that of CNFETs with a shorter contact length. When the channel was longer than 600 nm, the channel resista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due to acoustic phonon scattering. When the channel was shorter than 200 − 250 nm with optical scattering, acoustic scattering or all three scattering mechanisms taken into account, the contact resistance began to become larger than channel resistance.

      • 외상성 기관지 파열

        홍장수,홍종면,안재호,이조한,노윤우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4 忠北醫大學術誌 Vol.4 No.1

        흉부의 비관통성 외상에 의한 기관지 파열은 매우 드문 질환이기는 하나, 각종 산업의 발달 특히 교통수단의 발달과 함께 증가추세에 있다. 이러한 기관지 파열은 교통사고로 인한 흉부압박손상이 가장 일반적인 원인이며 조기진단 및 조기수술이 예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증례는 교통사고로 인해 흉부압박손상을 받아 기흉 및 늑골골절이 발생하여 수상후 3시간에 흉강 삽관술을 시행받은 후, 우측 중간기관지의 완전단절 및 단절된 중간기관지가 사선형으로 우중엽기관지의 기시부까지 부분파열된 환자의 조기발견을 통해 응급개흉술에 의한 단단문합술 및 단순봉합술로의 수술적 치료와 좌측 주기관지의 부분파열로 인해 육아조직의 성장으로 인한 무기폐의 초래로 발견되어 수상 후 22일만에 전폐 절제술을 시행한 각각 1예를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he injuries to the bronchi have been reported with increasing frequencies. The most common cause of such injuries is compression or crushing chest trauma. Early diagnosis and emergent repair should be done for the good prognosis. We report 2 cases who had bronchial injuries. Both patients sustained compression chest injury with traffic accident. The 17 months old patient was undertaken emergency operation for bronchial repair and the 28 years old patient was undertaken pneumonectomy 23 days after trauma.

      • 흉선암종 1례

        홍장수,홍종면,노윤우,이조한,안재호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5 忠北醫大學術誌 Vol.5 No.2

        흉선암종은 전상종격등에 드물게 발생하는 예후가 매우 불량한 질환으로 흉선종과는 다른 독특한 병리조직학적 및 임상적 특징을 갖는다. 환자는 31세 여자로 우측흉부불쾌감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흥부전산단층촬영상 전상종격동에 4×4cm정도의 종괴가 있었으며 양측 폐에 경계가 비교적 좋은 결절들이 산재되어 있었다. 비료를 위해 전상종격동의 종괴와 비교적 큰 우상엽의 결절을 제거하였으며, 병리조직학적검사상 흉선암종 중 편평상피암으로 확인되었다. 환자는 술후 cisplatin 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cisplatin, cytoxan and adriamycin)를 받고 있으며 현재 내과 외래로 추적관찰중이다. Thymic carcinomas are rare neoplasms of the anterior mediastinum. These tumors have extremely poor prognosis and distinct patholog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We have experienced one case of thymic carcinoma with pulmonary metastasis. The patient was a 31-year-female, complaining of right chest discomfort. Total thymectomy with resection of the pulmonary nodule of the RUL was done. The pathological diagnosis was thymic squamous carcinoma. The patient received the cisplatin based combination chemotherpy with cisplatin, cytoxan, and adriamycin. The patient is now follow- up in IM -OPD.

      • 외상에 의한 횡격막 손상

        홍장수,홍종면,이조한,노윤우,안재호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4 忠北醫大學術誌 Vol.4 No.1

        외상에 의한 횡격막 파열은 흉복부 외상에 의한 다른 합병증에 비하여 비교적 드문것으로, 발견치 못하거나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교실에서는 5례의 외상성 횡격막 탈장의 치험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첫번째 예는 62세 남자로 교통사고에 의한 횡격막 탈장으로 수술 시행한 환자로 수술소견은 위, 비장, 횡행결장, 대망이 흉곽내로 탈장되어 있어 정복시켰고, 손상된 횡격막은 이중봉합하였다. 두번째 예는 30세 남자로 교통사고에 의한 횡격막 탈장으로, 흉곽내로 탈장된 위를 정복시키고 횡격막 열상은 연속봉합하였다. 세번째 예는 35세 남자로 자상에 의한 횡격막 탈장으로 흉곽내로 탈장된 위를 정복시키고 열상된 횡격막은 연속봉합하였다. 네번째 예는 32세 남자로 교통사고에 의한 횡격막 열상으로 위, 대망이 흉곽내로 탈장되어 있었고 심외막 열상이 동반되어 있었다. 위와 대망을 정복시키고 횡격막 열상은 연속봉합하였고, 심외막 열상도 연속봉합하였다. 다섯번째 예는 33세 남자로 교통사고에 의한 횡격막 탈장으로, 흉관내로 탈장된 위는 정복시키고 횡격막열상은 이중 연속봉합하였다. 다섯예 모두 술후 특별한 문제 없이 퇴원 하였다. Five cases of traumatic diaphragmatic hernia were repaired during the period from 1992 to 1993. The first case, a 62-year old man, was diagnosed as diaphragmatic hernia caused by traffic accident. Herniated stomach, spleen, transverse colon and omentum were repositioned and lacerated spleen was extracted. The diaphragmatic rupture, on left side, was repaired with two layer continuous suture. The second case, a 30-year old man, was diagnosed immediately after traffic accident at emergency room. Herniated stomach was repositioned and diaphragmatic rupture, about 12 cm on left side, repaired with non-absorbable continuous suture. The third case, a 35-year old man, was diagnosed immediately at emergency room after stab wound. Herniated stomach was repositioned and ruptured diaphragm was repair with non-absorbable continuous suture. The forth case, a 32-year old man, was diagnosed immediately after traffic accident at emergency room. And he was operated urgently. Herniated stomach and omentum were replaced. Diaphragmatic rupture, about 15 cm, was repaired with non-absorbable continuous suture in two layer. And lacerated pericardium was repaired with continuous suture. The fifth case, 33-year old man, was diagnosed after traffic accident at a local clinic and transfered to our hospital. Herniated stomach was replaced and diaphragmatic rupture, about 15 cm, was repaired with non-absorbable continuous stuture. All of the cases were approached transthoracically and recovered uneventfully.

      • KCI등재

        화살나무 추출액의 항종양 및 면역조절 작용

        김종면(Jong Myeon Kim),양홍현(Hong Hyun Yang),최민순(Min Soon Choi) 한국예방수의학회 1994 예방수의학회지 Vol.18 No.1

        화살나무의 잔 가지는 민간요법에서 항궤양 및 항종양 물질로 인정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과학적인 실험보고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실험은 화살나무(Euonymus alatus, 이하 EA라 약함) 의 항종양 효능과 그 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콜크질이 발달된 EA의 가지로부터 수용성 추출물을 얻어 화학적 발암물질(3-methylcholanthrene, MCA)로 유도된 종양발생 및 암종세포(Lewis lung carcinoma cell line, 3LL)의 이식에 의한 종양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아울러 그 작용기전을 구명하기 위하여 EA가 생체내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 시험관내 각종 암종세포주와 림프구의 증식능 그리고 림프구의 림포카인 생산능 및 NK세포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EA는 MCA의 유도 및 3LL세포의 이식에 의한 종양의 발생율 및 발생종양의 크기 모두를 현저히 억제하였다. 그러나 시험관내 EA는 섬유아세포주인 A 431세포의 증식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고 Fsa2세포의 증식능은 오히려 항진시켰으나, 3LL세포 및 S 180세포의 증식은 현저히 억제시켰다. 또한 EA는 면양적혈구에 대한 마우스의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반응 그리고 NK세포의 활성도를 모두 항진시켰을 뿐 아니라 마이토겐 자극에 의한 T 및 B림프구의 증식반응과 T림프구의 대식세포유주저지인자 및 인터루킨 2의 생산능을 유의하게 촉진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EA는 암종세포 의존성 항종양작용을 보이며, 이와 같은 EA의 항종양 작용은 EA가 종양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발현됨과 동시에 생체면역계 세포의 활성 촉진작용에 의하여 간접적으로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성인에서 발견된 폐기관지 전장기형[bronchopulmonary foregut malformation]의 수술요법

        홍종면,김주현,Hong, Jong-Myeon,Kim, Ju-Hyeo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2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25 No.7

        Abnormalities of ventral foregut budding have been classified as "Bronchopulmonary Foregut Malformation[BPFM]". Two cases of this unusual malformation are presented. The first case was that of a 48-year-old male with a history of hemoptysis and fever. He had intralobar sequestration, located in the right lower lobe and the posterior segment of the right upper lobe, communicated with the lower esophageal fistula. The sequestrated lobe received its blood supply from anormalous feeding artery from the descending thoracic aorta. The second case was that of a 42-year-old woman with intralobar sequestration that communicated with the lower esophagus. The intralobar sequestration was located in the superior segment of the right lower lobe, and in this case, the abnormal feeding artery could not be found. In both cases, there were no other combined congenital anomalies. They were managed with surgical resection successfully and followed up without any significant complications.li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