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EKCI등재
      • A monitoring system for axonal growth dynamics using micropatterns of permissive and Semaphorin 3F chemorepulsive signals

        Ryu, Jae Ryun,Kim, June Hoan,Cho, Hyo Min,Jo, Youhwa,Lee, Boram,Joo, Sunghoon,Chae, Uikyu,Nam, Yoonkey,Cho, Il-Joo,Sun, Woong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9 Lab on a chip Vol.19 No.2

        <P>Neurons reach their correct targets by directional outgrowth of axons, which is mediated by attractive or repulsive cues. Growing axons occasionally cross a field of repulsive cues and stop at intermediate targets on the journey to their final destination. However, it is not well-understood how individual growth cones make decisions, and pass through repulsive territory to reach their permissive target regions. We developed a microcontact printing culture system that could trap individual axonal tips in a permissive dot area surrounded by the repulsive signal, semaphorin 3F (Sema3F). Axons of rat hippocampal neurons on the Sema3F/PLL dot array extended in the checkboard pattern with a significantly slow growth rate.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behaviors of axonal growth cones revealed the <I>saccadic</I> dynamics in the dot array system. The trapped axonal tips in the permissive area underwent growth cone enlargement with remarkably spiky filopodia, promoting their escape from the Sema3F constraints with straight extension of axons. This structured axonal growth on the dot pattern was disrupted by increased inter-dot distance, or perturbing intracellular signaling machineries. These data indicate that axons grow against repulsive signals by jumping over the repulsive cues, depending on contact signals and intracellular milieu. Our study suggests that our dot array culture system can be used as a screening system to easily and efficiently evaluate ECM or small molecule inhibitors interfering growth cone dynamics leading to controlling axonal growth.</P>

      • 초고층 건물 화재 시 버튼을 통한 양방향 응급구조라인 시스템 제안

        조혜련(Hye-Ryun Jo),이원제(Won-Jae Lee),장수영(Su-young Jang),조준동(Jun-dong Cho) 한국HCI학회 2018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1

        최근 국내는 물론 선진 외국에서는 인구의 증가 및 기반시설의 수요에 따른 초고층 건축물이 늘어나고 있는 반면 화재나 재난에 대한 방제 체계에 대해 우리는 항상 위험에 놓여 있다. 본 논문은 초고층 건축물의 화재 시 문제점과 현재 화재 관련 연구동향들을 바탕으로 화재 시 응급구조라인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응급 구조라인 시스템은 기존 구조 시스템과는 다르게 재실자와 구조자 모두를 위한 양방향 구조라인 시스템이다(Golden touch). 구조라인 시스템은 재실자가 사용하는 버튼과 구조자가 확인하는 맵으로 구성된다. 초고층 건물 복도에 일정한 간격마다 버튼(Golden touch)을 부착한다. 버튼은 평소 무선통신(Wifi)이 가능 하며 유사시 사용할 수단으로 유선통신 선로도 확보한다. 화재 시 재실자가 대피하거나 부득이하게 하지 못하는 경우 부착된 버튼을 터치하면 wifi 를 통해 디바이스의 고유번호를 서버로 전송한다. 서버를 통해 건물 중앙 통제실은 터치가 인식된 디바이스의 고유번호를 받아 맵에서 그 디바이스가 있는 위치를 확인한다. 구조자가 재실자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위급상황 시 신속한 구조자의 구조라인을 제공한다.

      • SCOPUSKCI등재

        도정도에 따른 찹쌀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

        김혜련(Hye-Ryun Kim),이애란(Ae-Ran Lee),권영희(Young-Hee Kwon),이향정(Hyang-Jeong Lee),조성진(Sung-Jin Jo),김재호(Jae-Ho Kim),안병학(Byung-Hak Ahn) 한국식품과학회 201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2 No.1

        원료 찹쌀의 도정도가 발효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0% 도정찹쌀을 대조군으로 수율 기준으로 10, 20, 30% 도정한 찹쌀을 이용하여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원료 찹쌀의 도정도에 따른 조지방 함량은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게 나타났고 17일 발효 후 최종 알코올 함량과 아미노산은 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정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pH는 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총산은 1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형분 함량, 착색도, 자외부 흡수 및 환원당 함량은 3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 중 malic acid와 acetic acid는 3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uccinic acid와 lactic acid는 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에서 maltose와 glucose는 30% 도정찹쌀을 원료로 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정도와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fructose는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원료 찹쌀의 도정도를 달리한 발효주는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알코올 함량과 아미노산은 감소하였고 고형분 함량, 착색도, 자외부 흡수, 환원당은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맛 성분 중 입안의 중량감과 단맛을 나타내는 유리당 함량은 증가하고 상큼하고 신맛을 나타내는 유기산 함량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GC와 GC-MSD를 사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alcohol 7종, ester 39종, acid 6종, aldehyde 1종, alkane 4종, alkene 1종, 기타 2종으로 60종이 검출되었다. 술의 주성분인 ethyl alcohol을 제외하고 hexadec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달콤하면서 견과류 향 특성을 나타내는 dec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그 다음을 나타냈다.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과일, 와인 향 특성을 나타내는 hexanoic acid ethyl ester, 2-octe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향은 거의 없고 부드럽고 달콤한 oil 특성을 나타내는 ethyl oleat, ethyl linoleate와 succinic acid diethyl ester, isoamyl laurate의 면적비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Ester류 외에 도정도가 증가할수록 acid류 중 propanoic acid의 면적비율은 증가하였고 n-caprylic acid의 면적비율은 감소하였으며 alcohol류 중 1-hexanol과 2,3-butanediol의 면적비율은 증가하게 나타났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milling degrees on the quality of glutinous rice wines,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compounds of various wines were evaluated. Sample wines prepared from glutinous rice with 90, 80, and 70% milling yields were analyzed for ethanol, pH, total acids, amino acids, soluble solids, coloring degree, UV absorbance, reducing sugars, organic acids, free sugars and volatile compounds. After fermentation for 17 days, ethanol contents in the wines ranged from 15.2 to 15.85%, while total acid levels ranged from 0.31 to 0.35%. The amino acid contents in four samples ranged from 0.63 to 0.73%, while soluble solid contents ranged from 11.4 to 13.1°Bx. The wine prepared from glutinous rice with a 30% degree of milling showed the highest coloring degree, UV absorbance and reducing sugar content among four samples. Furthermore, this wine had the highest levels of malic acid and acetic acid, while the glutinous rice wine prepared from rice with a 0% degree of milling had the highest levels of succinic acid and lactic acid. In all the glutinous rice wines tested, the most abundant free sugar was glucose followed by maltose. With increasing degree of milling, the alcohol, amino acid and organic acid contents of the glutinous rice wines decreased, whereas soluble solids, coloring degree, UV absorbance, reducing sugar and free sugar contents increased.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using GC-MSD, and thirty-nine esters, seven alcohols, six acids, one aldehyde, four alkanes, one alkene and two miscellaneous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the glutinous rice wines. Using relative peak area, it was determined that other than ethyl alcohol, hexadecanoic acid ethyl ester was the major component and was primarily found in the range of 11.566-18.437%. Succinic acid diethyl ester and isoamyl laurate decreased with an increasing degree of milling, whereas hexanoic acid ethyl ester and 2-octenoic acid ethyl ester increased. Overall, it was shown that different milling degrees greatly affected the physicochemical and volatile characteristics of the glutinous rice wines.

      • KCI등재

        석류 열수 추출물의 수면박탈을 유도한 Rat 모델에서의 항스트레스 효과

        나주련(Ju-Ryun Na),김선오(Sunoh Kim),조아라(Ara Jo),배동혁(Donghyuck Bae),오교녀(Kyo-Nyeo Oh),김용재(Yong Jae Kim),이유현(Yoo-Hyun Lee),전우진(Woojin J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1

        수면은 하루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중추신경계의 항상성 회복, 에너지 저장, 체온조절, 불필요한 기억의 제거, 면역 기능, 에너지 보존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생리현상이다. 이러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삶의 질 저하뿐만 아니라 다양한 증상 및 질병이 야기된다. 현대인은 학업, 직장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한 과도한 정신적 스트레스, 불안 또는 육체적 피로 등의 이유로 일시적 또는 장기적 수면장애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렇게 많은 현대인들이 겪는 수면장애를 예방 및 개선하기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전남 비교우위 특산자원인 석류의 수면, 특히 수면박탈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in vivo 및 in vitro 상에서 확인하였다. 석류(Punica granatum L.)는 부처꽃과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인도, 페르시아가 원산지이다. 석류는 항산화, 항암, 항당뇨, 항통증, 항염증, 에스트로젠 효과 등이 알려져 있다. 석류 추출물을 전처리한 SH-SY5Y 세포에 H₂O₂/corticosterone에 의한 신경세포독성을 유발하여 보호 효과를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와 lactate dehydrogenase로 측정한 결과, 유의적인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수면박탈 동물모델에서 생존율, 몸무게, 꾸벅임에서 수면박탈군과 비교하여 모두 유의적인 보호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석류 추출물의 수면박탈 스트레스에 대한 행동학적 보호 효과는 스트레스의 강도에 따라 행동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운동능력 및 인지능력은 수면박탈이 지속되어도 보호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각 효과는 hot hyperalgesia test를 통해 스트레스가 지속될수록 무뎌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Y maze는 변경행동력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석류 추출물 투여군들의 움직임이 수면박탈군에 비하여 활발함을 확인하였다. 생화학적 변화를 확인한 결과 코티졸, 세로토닌 및 도파민, 테스토스테론 및 growth factor I의 함량은 수면박탈 스트레스에 의하여 증가하다가 석류 추출물 및 카페인에 의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항산화 관련 인자인 catalase, glutathione, superoxide dismutase를 측정한 결과, 수면박탈군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석류 추출물에 의하여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석류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특히 동물실험에서는 석류 추출물에 의하여 수면박탈스트레스가 지속됨에 따라 감소하는 행동학적 결과들을 방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석류의 항스트레스 효과는 항산화적 측면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anti-stress effects of Punica granatum L. (family Lythraceae, PG) on H₂O₂/corticosterone (CORT)-induced stress in cells and sleep-deprived rats were investigated. The PG extract showed neuroprotective effects in SH-SY5Y cells against H₂O₂/CORT-induced stress. Sleep deprivation led to behavioral, hormonal, and biochemical alterations in the animal model. The effects of P. granatum on physiological, behavioral, and biochemical parameters aggravated by sleep deprivation were investigated. Sleep deprivation impaired physiological (survival, body weight, and drowsiness scores) and behavioral (rotarod, passive avoidance, hot hyperalgesia, and Y maze) parameters as well as biochemical factors (cortisol, serotonin, dopamine, testosterone, and growth factor I contents in serum). These parameters were significantly recovered by PG extract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PG extract also enhanced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and non-enzymatic antioxidative activities such as glutathione compared to sleep-deprived rat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our findings suggest that Punica granatum prevents impairment of body functions induced by sleep deprivation and related oxidative damage.

      • SCIEKCI등재
      • KCI등재SCOPUS
      • SCOPUSKCI등재

        누룩에서 분리한 효모를 이용한 찹쌀발효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휘발성 향기성분

        김혜련(Hye-Ryun Kim),권영희(Young-Hee Kwon),조성진(Sung-Jin Jo),김재호(Jae-Ho Kim),안병학(Byung-Hak Ahn) 한국식품과학회 200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1 No.3

        효모가 찹쌀 발효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전통 누룩에서 분리한 보유효모 Y18-2(Andong), Y54-3(Chungju), Y90-2(Hapchun), Y90-9(Hapchun) Y272-7(Boryung)과 시판효모 LP(La Parisienne, Saccharomyces cerevisiae)를 대조군으로 효모종류를 달리하여 발효주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과 휘발성 향기성분을 비교하였다. 17일 발효 후 최종 알코올 함량은 모든 술이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13.40±0.70%)보다 높게 나타나 양호한 발효상태를 보였으며 pH는 4.06-4.32, 총산은 0.33-0.44% 수준으로 나타났고 아미노산은 Y90-9를 사용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고형분 함량은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착색도는 Y90-9를 사용한 발효주가 가장 낮게 나타나 좋았으며 자외부흡수는 Y90-2를 사용한 발효주가 가장 낮게 나타나 쓴맛이 가장 적을 것으로 추측되고 환원당 함량은 고형분 함량이 가장 높았던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가 가장 높게 나타나 단맛이 가장 강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기산 중 함량이 가장 많은 succinic acid는 Y90-9를 사용한 발효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감칠맛 성분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고 좋지 않은 신맛에 기여하는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시판효모를 사용한 발효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가 진행되면서 생성되는 대표적인 유리당 성분 maltose와 glucose는 환원당 함량이 가장 높았던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GC와 GC-MSD를 사용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 결과 Alcohol 10종, Ester 19종, Acid 8종, Aldehyde 1종, 기타 1종으로 39종이 검출되었고 Y18-2를 사용한 발효주에서 가장 많은 향기성분이 확인되었다. 시판효모를 이용한 발효주에서는 ethanol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은데 반해 Y18-2와 Y90-9를 사용한 발효주에서는 ester류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hexadecanoic acid ethyl ester의 면적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찹쌀 발효주에서 효모 종류에 따른 향기성분의 많은 차이를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발효주 제조 시 원료, 담금 방법 및 발효 조건 등을 최적으로 맞추고 향기성분 생성이 우수한 효모를 사용한다면 색, 맛과 함께 향미가 우수한 찹쌀발효주가 제조되리라고 여겨지며 관련된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fferent yeasts (La Parisienne (LP), Y18-2, Y54-3, Y90-2, Y90-9 and Y272-7) from nuruks on the quality of Glutinous rice win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were evaluated. Glutinous rice wines prepared with different yeasts were analyzed for ethanol, pH, total acid, amino acid, soluble solid, coloring degree, UV absorbance, reducing sugar, organic acid, free sugar and volatile compounds. After fermentation for 17 days, the ethanol contents ranged from 13.40 to 14.50%, while the total acid levels were from 0.33 to 0.44%. The amino acid contents in six samples ranged from 0.13 to 0.18%, while soluble solid contents ranged from 12.1 to 14.7oBx. The glutinous rice wine prepared with L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loring degree, soluble solid and reducing sugar among six samples. Organic acid contents of the glutinous rice wine prepared with LP had the highest levels of lactic acid and acetic acid, while the glutinous rice wine prepared with Y90-9 had the highest level of succinic acid. In all glutinous rice wines tested, the most abundant free sugars were glucose followed by maltose.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glutinous rice wines were identified by using GC-MSD. Nineteen esters, ten alcohols, eight acids, one aldehyde and one miscellaneous compound were identified in the glutinous rice wines. Using relative peak area, it was found that other than ethyl alcohol, hexadecanoic acid ethyl ester was the major component, predominantly found in the range of 2.73-10.41%. Phenylethyl alcohol, isoamyl alcohol, ethyl oleate, ethyl linoleate and tetradecanoic acid ethyl ester were some of the major volatile components present through the fermentation, respectively. Overall, it was shown that different yeast strains from nuruks greatly affected chemical and volatile characteristics of the glutinous rice w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