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출용매에 따른 울금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 및 항비만 효과

        박정진,이정민,전우진,Park, Jeongjin,Lee, Jeongmin,Jun, Wooj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2

        본 연구에서는 울금 냉수, 열수 및 메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라디칼 소거활성 및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울금의 냉수, 열수 및 메탄올 추출물에서 각각 $3.68{\pm}0.80%$, $3.94{\pm}0.74%$와 $9.01{\pm}0.73%$로 나타났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 역시 물 추출물에 비해 메탄올 추출물에서 $6.88{\pm}0.44%$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능 결과로부터 울금의 메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울금 추출물들을 3T3-L1 전지방세포에 분화유도물질과 함께 처리했을 때, 메탄올 추출물은 분화과정 중 세포내 지방축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울금 메탄올 추출물은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메탄올 추출물이 전지방세포에서 지방세포로의 분화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In the present study, the levels of phenolic compounds and flavonoids, as well as activities of radical scavenging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besity were assessed with cold water (CLC), hot water (CLH), and methanolic (CLM) extracts of Curcuma longa L. (turmeric). Our results showed that the phenolic compounds of CLC, CLH and CLM were $3.68{\pm}0.80%$, $3.94{\pm}0.74%$ and $9.01{\pm}0.73%$, respectively.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the CLM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s (CLC and CLH). During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the treatment of CLM more significantly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timulation of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and the inhibition of adipogenesis were brought on by the lipophilic compounds of turmeric.

      • KCI등재

        발효울금 50% 에탄올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 및 지방형성 억제 효과

        김지혜(Jihye Kim),전우진(Woojin J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2

        본 연구에서는 FCE50을 대상으로 다양한 항산화 실험을 실시한 결과, FCE50이 항산화능을 보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FCE50은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 세포내 지방축적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며 포도당 유입을 감소시켰다. 지방합성과 관련된 ACC 효소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한 결과, 완전히 분화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FCE50의 처리 시 그 발현량이 현저히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FCE50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FCE50이 지방세포로의 분화과정 중 지방형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BTS, DPPH, NBT, TBARS, and ORAC) and anti-obesity potential were evaluated using 50% ethanol extract from fermented Curcuma longa L. (FCE50). FCE50 showed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oxidant potential. Lipid accumulation and intracellular TG content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25.8% and 28.6%, respectively, by 250 μg/mL of FCE50 compared to adipocytes. Glucose uptak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12.0%. FCE50 significantly reduced mRNA expression of acetyl-CoA carboxylase in 3T3-L1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FCE50 might be due to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potential.

      • KCI등재

        동과 분획물이 3T3-L1 지방세포 분화 억제에 미치는 영향

        유양희(Yanghee You),전우진(Woojin J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7

        본 연구에서 동과 물추출물의 계통분획을 통해 획득된 세가지 분획물인 핵산 분획(BHHH), 클로로포름 분획(BHHC), 에틸아세테이트 분획(BHHE)들을 3T3-L1 분화과정 중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에 의한 lipid accumulation, 지방구내 triglyceride 함량을 평가하고, free glycerol release 함량과 adipogenesis와 관련된 transcription factor들의 발현 함량을 비교하여 동과 물추출물 중 anti-adipogenesis 활성 분획물을 밝히고, 이 분획물의 작용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50 ㎍/㎖ 농도의 BHHC와 BHHE의 처리는 분화된 지방세포 내 지질 축척을 11%와 13%로 낮추었다. 지방세포 내 중성지방(TG)의 함량은 동일 농도의 각 분획물에서 21%와 16%로 낮게 나타났다. TG 함량의 감소와 지방구내 지질 축적의 감소, 즉 anti-adipogenesis 메커니즘을 밝히기 위해 free glycerol 분비량을 평가하였다. 동일 농도의 BHHC와 BHHE에서 각각 13%와 17% 감소되어 나타났다. BHHC와 BHHE는 세포가 분화하는 동안 PPARγ, C/EBPα, leptin의 mRNA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BHHE의 경우 각 transcriptional factor들의 발현을 45%, 67%, 35%로 현저히 억제시키는 우수한 anti-adipogenetic 소재로 나타났다. 이에 BHHE는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effects of three fractions, hexane (BHHH), chloroform (BHHC), and ethyl acetate (BHHE), from water extract of Benincasa hispidaon the underlying mechanisms of adipogenesis were investigated in 3T3-L1 cells. Intracellular lipid droplets were stained with Oil Red O dye and quantified. Compared to control, lipid accumulation significantly decreased by 11% and 13% upon treatment with BHHC and BHHE, respectively at a concentration of 50 ㎍/㎖. Intracellular triglyceride (TG) levels were also reduced by 21% and 16%, respectively, at the same concentration. To determine the mechanism behind the reductions in TG content and lipid accumulation, glycerol release and expression levels of adipogenic marker genes were measured. The levels of free glycerol released into culture medium increased by 13% and 17% upon treatment with BHHC and BHHE, respectively. In subsequent measurements using real-time polymerization chain reaction, the mRNA levels of PPARγ, C/EBPα, and leptin significantly decreased upon treatment with BHHE (45%, 67%, and 35%) in comparison with non-treated contr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BHHE inhibits adipocyte differentiation by blocking PPARγ, C/EBPα, and leptin gene expression in 3T3-L1 cells, resulting in reduced lipid accumulation, increased glycerol release, and intracellular triglycerides.

      • KCI등재

        발효울금의 갈락토사민 투여에 의한 흰쥐의 간독성에 대한 보효 효과

        김용재(Yongjae Kim),유양희(Yanghee You),전우진(Woojin J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6

        본 연구는 울금의 산업적 실용화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Aspergillus oryzae를 이용하여 산업용 규격에서 생산된 발효울금의 일반성분 및 미량성분 분석과 발효울금을 이용하여 동물모델에서 14일간 예비 투여하고 GalN으로 급성 간독성을 유발한 후 혈액 중 간기능 지표물질의 변화 및 간조직의 조직학적 관찰을 통해 GalN로 유발된 급성 간독성에 발효울금의 간기능 보호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발효울금의 일반성분은 수분 0.15%, 조지방 4.68%, 조단백 4.35%, 조섬유 6.92%, 조회분은 6.83%로 분석되었다. 발효울금의 미량성분은 P, Mg, Ca 순으로 분석되었다. 간기능 지표효소인 AST와 ALT의 활성은 발효울금 300 ㎎/㎏/day과 silymarin 150 ㎎/㎏/day를 투여한 군에서 GalN만을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발효울금 300 ㎎/㎏/day의 예비 투여는 GalN에 대한 급성 간독성에 대해 보호효과를 갖으며, 양성 대조군인 silymarin 150 ㎎/㎏/day 투여와 비교하여 유사한 간독성 보호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ALP의 경우 발효울금을 100 ㎎/㎏/day로 투여한 군에서만 GalN만을 투여한 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나타났고 300 ㎎/㎏/day 발효울금을 투여한 군과 silymarin 투여군은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중성지방의 경우 발효울금 300 ㎎/㎏/day 투여군만 GalN만을 투여한 군과 비교하여 통계적 유의차가 나타났으나 silymarin 투여군에서는 동일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GalN으로 유도된 급성 간독성의 조직병리학적 결과 GalN만을 투여한 군에서 세포괴사 및 침윤된 염증세포, 카운실만 소체의 괴사가 심하게 나타났으며 300 ㎎/㎏/day 발효울금 투여군과 150 ㎎/㎏/day silymarin 투여군에서 간조직의 괴사 및 염증의 개선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혈청 분석 및 조직병리학적 결과를 종합한 결과 GalN 유발 간독성에 대한 개선효과는 300 ㎎/㎏/day 발효울금 투여군과 150 ㎎/㎏/day silymarin 투여군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사용한 Aspergillus oryzae로 발효하여 산업적 규격에서 생산된 발효울금은 간기능 저하 개선 기능을 갖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간질환과 관련된 다양한 기능성식품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the general components and minerals of fermented Curcuma longaL. (FC) by Aspergillus oryzae were examined as well as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FC on acute hepatotoxicity induced by a single dose of galactosamine (GalN, 650 ㎎/㎏ body weight (b.w.)). The FC was found to consist of 0.15% moisture, 4.68% crude fat, 4.35% crude protein, 6.92% crude fiber, and 6.83% crude ash. The P, Ca, and Mg levels in FC were also quantitatively analyzed.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six groups; nontreated control, GalN, 150 ㎎/㎏ b.w. of silymarin plus GalN, 30 ㎎/㎏ b.w. of FC plus GalN, 100 ㎎/㎏ b.w. of FC plus GalN, and 300 ㎎/㎏ b.w. of FC plus GalN. Pretreatment 300 ㎎/㎏ b.w. of FC during 14 day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increased in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anine amino transferase, and triglyceride (TG) induced by GalN. Severe liver damage, hepatocellular necrosis,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nd councilman body necrosis on histopathological liver tissues were observed in GalN treated rats. Administration of 300 ㎎/㎏ b.w. of FC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egree of live damage. These results suggest that FC displays hepatoprotective activity and FC was able to lower the TG levels in serum; thus, FC may serve as a useful material for health food and clinical conditions associated with liver disease.

      • KCI등재

        어린 으름잎 추출물(Akebia quinata D. Leaves)의 항비만 효과

        전용섭(Yongseop Jeon),유양희(Yanghee You),전우진(Woojin J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2

        본 연구에서 어린 으름잎으로부터 추출된 열수추출물인 AQH와 80% 주정추출물인 AQE를 대상으로 3T3-L1 전지방세포의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에 의한 lipid accumulation, intracellular 중성지방 함량을 평가하고 free glycerol release 함량을 측정하여 지방세포형성 억제능을 확인하며,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고지방식이 섭취 하에 어린 으름잎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따른 체중과 백색지방에 작용하는 효과를 평가하여 어린 으름잎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3T3-L1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 AQH 및 AQE 추출물을 처리한 결과 AQE 처리군에서만 유의적 감소를 나타내었다. Intracellular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도 AQE 처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지방세포 분화 중 배양액으로 유출되는 free glycerol 함량을 평가한 결과에서도 AQE 처리군의 유의적 감소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AQE는 3T3-L1 지방세포 분화과정 중에 지방구 생성 억제 및 지방세포의 지방세포 생성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마우스에서 8주간 고지방식이 하에 600 mg/kg/day의 AQE를 경구투여하였을 때 고지방식이군과 비교하여 체중 및 체중증가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부정소 주위 및 신장 주위 백색지방의 감소가 나타났다. AQE 투여에 의한 체중 감소 및 부정소 주위 백색지방량의 감소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Orlistat의 경구투여 결과와 유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세포수준에서의 지방세포 분화 억제, 지방구 생성 억제 작용과 실험동물에서 체중증가량 및 체지방의 감소 작용을 갖는 AQE는 향후 항비만 효과를 갖는 소재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and in vivo anti-obesity effects of extracts from young Akebia quinata D. leaves, including hot water (AQH) and 80% ethanol (AQE) extracts. The inhibitory effects of AQH and AQE on lipid accumulation in 3T3-L1 cells were examined by Oil Red O staining. Compared to control, lipid accumul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18.3% with the treatment upon AQE at a concentration of 5 μg/mL. The levels of intracellular triglycerides and free glycerol were also reduced by 52.8% and 9.1% at the same concentration of AQE. The in vivo anti-obesity effect of AQE was evaluated in terms of body and white adipose tissue weights in ICR mic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five groups: normal diet (ND), high fat diet (HFD), high fat diet with 60 mg/kg/day of Orlistat (HFD-RF), high fat diet with 200 mg/kg/day of AQE (HFD-AL), and high fat diet with 600 mg/kg/day of AQE (HFD-AH). Feeding of HFD for eight weeks resulted in significant increases in body weight as well as weight gain compared to the ND group. HFD-AH group showed reduced body weight, weight gain, epididymal white adipose tissue weight, and perirenal white adipose weight as compared to the HF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QE supplementation might have beneficial effects on anti-obesity by inhibiting lipid accumula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알코올성 산화적 손상에 대한 발효울금의 간세포 보호 효과

        성혜미(Heami Sung),이유현(Yoo-Hyun Lee),전우진(Woojin J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6

        본 연구는 발효울금 추출물에서 알코올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발효울금을 열수 추출, 냉수 추출, 80% 에탄올 추출 및 메탄올 추출하여 HepG2/2E1 세포에서 알코올과 추출물을 함께 처리 후 세포생존율을 평가하고 세포생존율이 가장 높은 냉수 추출물에서 reactive oxygen species(ROS) 함량, 항산화 지표와 malondialdehyde(MDA) 함량을 측정하였다. 알코올에 대한 간 보호 효과에서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의 세포생존율이 72.8%로 감소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을 함께 처리 시에 세포생존율이 86.1%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며 간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에서 세포 내 ROS 생성 억제능은 에탄올만 처리한 군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ROS 생성이 증가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 100 μg/mL, 250 μg/mL, 500μg/mL 농도 처리군 모두 알코올만 처리한 군과 비교 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ROS level을 감소시켰다. 항산화 지표에서 효소적 항산화인 catalase, glutathione-S-transferase,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및 glutathione reductase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에서 무처리군보다 감소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 500 μg/mL 농도 처리군에서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항산화 효소의 감소를 억제하였다. GSH 함량은 에탄올만 처리한 군에서 무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 250 μg/mL, 500μg/mL 농도 처리군 모두 에탄올만 처리한 군에 비해 GSH 함량의 감소를 억제하였다. MDA 함량은 알코올만 처리한 군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 고농도 처리군(500 μg/mL)에서는 알코올만 처리한 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MDA 함량을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발효울금 추출물 중 냉수 추출물에서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발효울금을 냉수 추출하는 것은 발효울금의 알코올성 간 손상에 대한 간 보호 효과를 증대시키고 ROS 생성을 억제, 항산화 효소와 GSH 함량의 감소 억제 및 MDA 함량의 증가 억제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발효울금을 냉수로 처리하여 추출하는 것이 간 보호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며, 이러한 방법을 통해 얻은 발효울금 냉수 추출물은 알코올로 유발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Protective effects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CL) against alcoholic liver damage were investigated in HepG2/2E1 cells. Fermented CL was extracted by cold water (FCC), hot water, 80% ethanol, and methanol. Of the four extracts, the strongest hepatoprotective effect against ethanol-induced oxidative stress was observed in FCC. Pretreatment with FCC also reduced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formation compared to ethanol-alone treated cells. FCC also enhanced catalase, glutathione-S-transferase, glutathione reductase, glutathione peroxidase, and superoxide dismutase, and non-enzymatic antioxidative activities such as glutathione compared to alcohol-treated HepG2/2E1 cells. Our findings suggest that FCC might be considered as a useful agent in the prevention of liver damage induced by oxidative stress by increasing the antioxidant defense mechanism.

      • KCI등재

        블루베리 추출물과 쌀 단백질의 혼합물이 한계유영운동에 미치는 영향

        김신태(Shintae Kim),박정진(Jeongjin Park),김경미(Kyungmi Kim),전우진(Woojin Ju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2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 추출물과 쌀 단백질을 혼합한 복합물을 마우스에 투여한 후 한계유영운동능력을 평가하였다. 한계유영운동 시간은 비투여(Ex-CON)군보다 혼합물을 투여한(Ex-Mix) 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중 젖산(lactic acid)과 비에스테르화지방산(NEFA) 모두 Ex-Mix군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근육내 글리코겐 함량 및 항산화 능력이 혼합물을 투여한 군에서 운동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비운동군과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한계운동으로 높아진 근육 내 MDA 함량은 혼합물 투여에 의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비운동군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혼합물의 투여가 한계유영운동 능력을 높이고 관련 인자들을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ndurance exercise capacity in mice fed water extract from a blueberry and rice protein mixture. For endurance exercise capacity,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sedentary control (CON), exercise control (Ex-CON), and exercise blueberry and rice protein mixture (Ex-Mix). Ex-Mix showed significantly prolonged swimming time as compared to the Ex-CON group. Further, the blood lactate level decreased 0.63-fold. Furthermore, blood non-esterified fatty acids increased 1.19-fold. The Ex-Mix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increased glycogen level and reduced malondialdehyde level compared to the Ex-CON group. The catalase, superoxide dismutase, and glutathione peroxidase activities were elevated in Ex-Mix.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xture might have the capability to increase endurance exercise capacity by delaying accumulation of lactate, saving glycogen, and elevating antioxidant defense activities.

      • KCI등재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알코올에 의해 유발된 간손상에 대한 지구자 추출물의 보호효과

        유양희(Yanghee You),정국영(Kuk-Yung Jung),이유현(Yoo-Hyun Lee),전우진(Woojin Jun),이부용(Boo-Yo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2

        알코올에 의해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지구자 추출물의 보호효과를 연구하였다. HepG2/2E1 세포에서 알코올로 유도된 ROS 생성과 산화적 손상에 대한 지구자 추출물 보호효과를 확인하였다. C57BL/6마우스를 대조군(NC), 알코올군(ET), 알코올과 지구자 추출물 1 g/㎏ body weight 투여군(ET-HD)으로 나누었다. 5 g/㎏ body weight의 알코올을 1주일간 ET와 ET-HD군에 투여하였다. 알코올 투여는 혈청 alanine amintransferase(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AST) 및 alkaline phosphatase(ALP)를 증가시키고, 지구자 추출물은 이러한 간 기능 지표효소의 증가를 억제시켰다. 간조직의 항산화 효소 활성은 알코올 투여에 의해 감소되었고, ET-HD군에서 SOD 및 GST 활성은 ET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GSH 함량은 ET군에서 NC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아졌고, ET-HD군에서 ET군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NC군과 유사한 함량을 나타내어 간 보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질과산화물 함량은 ET-HD군과 NC군이 유사한 함량을 나타냄으로써 알코올에 의해 유도된 지질과산화물 증가에 의한 간손상으로부터 지구자 추출물의 보호 효과를 보여주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지구자 추출물은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 알코올로 유도된 간 손상으로부터 항산화 방어 대사의 증가와 지질과산화율의 감소에 의해 간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에 지구자 추출물은 알코올성간 손상으로부터 보호 효과를 갖는 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ethanol extract from Hovenia dulcis fruit (HD) against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was investigated. Ethanol-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and liver damage on HepG2/2E1 cells were protected by 100 ㎍/mL ethanolic extract from HD. Male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control (NC), ethanol (ET), ethanol plus 1 g/㎏ body weight ethanolic extract of HD (ET-HD). The activities of serum alanine amintransferase (AL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ethanol-treated group. However, ET-HD group showed protective effect by lowering serum activities. The ET group markedly decreased the activities of catalase (CAT),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glutathione-s-transferase (GST) with the reduced level of glutathione (GSH) in liver. On the other hand, ET-HD group increased the activities of SOD and GST, and the level of GSH. Lipid peroxidation level, which was increased after ethanol administr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ET-HD group. Based upon these results, it could be assumed that ethanolic extract of HD protected the liver against ethanol-induced oxidative damage by possibly inhibiting the suppression of antioxidant activity and reducing the rate of lipid peroxidation in vitro and in vivo. Therefore, extract of Hovenia dulcis fruit might be used as a protective agent for ethanol-induced hepatic damag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