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based on Number of Revolutions of Separator of Air Classifier Mill

        ( Insil Jang ),( Hoeman Park ),( Jong Ryul Park ),( Youngwook Seo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8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3 No.1

        Income growth and globalization reduce traditional food consumption due to agricultural products multiplexing and Westernized eating habits. In the domestic rice production volume, the inventory of rice has increased from 87.4 tons (‘14) to 170.2 tons (‘16). However, domestic rice consumption has not reached production volume. Thus, conversion from meal to processed rice products is necessary to increase consumptio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for processing raw materials. An air classifier mill was used in the testing machine. The number of revolution of the grinding pin is 6,200 rpm, and the intake air amount of the powder bag is 12.8 CMM. The test conditions for the separator (distribution rotation rotor) were 2,100 rpm, 2,500 rpm, 2,700 rpm, and 2,900 rpm. According to the test conditions, average particle size of rice flour and degree of damaged starch were measured. The degree of damaged starch was measured using Megazyme assay kit (Megazyme International Ltd., Wicklow, Ireland) which was based on AACC method 76-31. Average particle size was measured by optical equipment which used for measurement angles according to the scattered light intensity by the dispersed microscale particles. According to the four revolution numbers of grinding plate, results showed that average particle size, and damaged starch as follows: (2,100 rpm, 139.7 um, 4.1%), (2,500 rpm, 109.9 um, 8.4%), (2,700 rpm, 79.4 um, 9.64%) and (2,900 rpm, 59.7 um, 13.9%). The faster angular velocity of a grinding plate, the smaller particle size and the more starch is damaged. The air flow probably depends o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separator.

      • Decon21S Peak Picking 알고리즘 성능 개선

        최인실(Insil Choi),조호성(Hosung Jo),박희진(Heejin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0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

        Decon21s와 SpecArray는 탠덤 질량 스펙트럼(Tandem Mass Spectrum)을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피크 픽킹(Peak picking)은 질량 스펙트럼 분석의 첫 번째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SpecArray와 Decon21s의 피크 픽킹 알고리즘을 분석하여 SpecArray 피크픽킹 알고리즘은 Decon21s의 피크 픽킹 알고리즘에 비해 정확도가 높으나 수행시간이 많이 걸리고 반대로 Decon21s 피크 픽킹 알고리즘은 수행시간은 짧지만 정확도가 높지 않음을 보인다. 그리고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Decon21s의 피크 픽킹 알고리즘을 개선한 새로운 피크 픽킹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Decon21s 피크 픽킹 알고리즘을 개선한 것으로 수행시간을 거의 희생하지 않으면서 SpecArray와 비슷한 정확도를 가지는 알고리즘이다.

      • SCISCIESCOPUS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Eight Genetic Variants of Human DNA Polymerase κ Involved in Error-Free Bypass across Bulky <i>N</i><sup>2</sup>-Guanyl DNA Adducts

        Song, Insil,Kim, Eun-Jin,Kim, In-Hyeok,Park, Eun-Mi,Lee, Kyung Eun,Shin, Joo-Ho,Guengerich, F. Peter,Choi, Jeong-Yun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4 Chemical research in toxicology Vol.27 No.5

        <P>DNA polymerase (pol) κ, one of the Y-family polymerases, has been shown to function in error-free translesion DNA synthesis (TLS) opposite the bulky <I>N</I><SUP>2</SUP>-guanyl DNA lesions induced by many carcinogens such as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We analyzed the biochemical properties of eight reported human pol κ variants positioned in the polymerase core domain, using the recombinant pol κ (residues 1–526) protein and the DNA template containing an <I>N</I><SUP>2</SUP>-CH<SUB>2</SUB>(9-anthracenyl)G (<I>N</I><SUP>2</SUP>-AnthG). The truncation R219X was devoid of polymerase activity, and the E419G and Y432S variants showed much lower polymerase activity than wild-type pol κ. In steady-state kinetic analyses, E419G and Y432S displayed 20- to 34-fold decreases in <I>k</I><SUB>cat</SUB>/<I>K</I><SUB>m</SUB> for dCTP insertion opposite G and <I>N</I><SUP>2</SUP>-AnthG compared to that of wild-type pol κ. The L21F, I39T, and D189G variants, as well as E419G and Y432S, displayed 6- to 22-fold decreases in <I>k</I><SUB>cat</SUB>/<I>K</I><SUB>m</SUB> for next-base extension from C paired with <I>N</I><SUP>2</SUP>-AnthG, compared to that of wild-type pol κ. The defective Y432S variant had 4- to 5-fold lower DNA-binding affinity than wild-type, while a slightly more efficient S423R variant possessed 2- to 3-fold higher DNA-binding affin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R219X abolishes and the E419G, Y432S, L21F, I39T, and D189G variations substantially impair the TLS ability of pol κ opposite bulky <I>N</I><SUP>2</SUP>-G lesions in the insertion step opposite the lesion and/or the subsequent extension step, raising the possibility that certain nonsynonymous pol κ genetic variations translate into individual differences in susceptibility to genotoxic carcinogens.</P><P><B>Graphic Abstract</B> <IMG SRC='http://pubs.acs.org/appl/literatum/publisher/achs/journals/content/crtoec/2014/crtoec.2014.27.issue-5/tx500072m/production/images/medium/tx-2014-00072m_0006.gif'></P><P><A href='http://pubs.acs.org/doi/suppl/10.1021/tx500072m'>ACS Electronic Supporting Info</A></P>

      • KCI등재

        성인 문해학습자의 학습 변화 양상과 학습의 의미 : 생애사를 중심으로

        박진솔(Park, Jinsol),장인실(Chang, In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문해학습자의 교육 생애 경험을 통해 학습 변화 양상과 학습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문해교육에서의 계속교육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방법 문해학습자의 교육 생애 경험을 탐구하고자 문해교육에 참여 중인 문해학습자 1명을 선정하여, 생애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1년에 걸쳐 네 차례의 심층 면담, 참여자의 수기, 관찰 노트, 수업 일지를 수집하여 자료로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는 문해교육 학력인정과정으로 교육공동체를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였다. 또한, 교육공동체 경험은 학습을 지속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참여자의 관심사는 학습 동기로 이어졌고, 점차 구체적인 학습 목표를 형성시키고 있었다. 참여자에게 학습이란 주체적인 삶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기에 계속해서 학습하길 희망하고 있었다. 결론 문해교육을 통한 계속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력인정과정이 문해교육의 출구가 되어서는 안 되며, 문해력을 지속해서 향상할 수 있는 생활문해교육, 디지털교육의 확대 및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in learning and the meaning of learning through the educational life experiences of literacy learners. Methods 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life experiences of literacy learners, one literacy learner participating in literacy education was selected and a life history study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four in-depth interviews, the participants notes, observation notes, and class journals were collected and used as data. Results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educational community through the literacy education academic ability recognition process, and through this, they cultivated community competence. Participants interests led to learning motivation and gradually formed specific learning goals. For the participants, they hoped that they would continue to learn because learning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an independent lif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earning environment so that continuous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literacy education after the middle school education qualification process, and to discuss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life literacy education programs.

      •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장인실(Insil Chang),박다미(Dami Park) 한국실행연구학회 2024 교육실행연구 Vol.2 No.2

        한국 사회에 체류 외국인이 증가함에 따라 대표적인 한국 적응 프로그램인 사회통합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통합프로그램 수업이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 생활 적응에 어떤 도움을 주고 있는지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사회통합프로그램 5단계를 수강 중인 외국인 근로자 3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생활 적응은 어떠한가? 둘째,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 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사회통합프로그램 5단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 결과, 사례연구에 참여한 외국인 근로자들은 사회통합프로그램이 한국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고 프로그램을 통해 다양한 외국인 반 친구들을 사귈 수 있는 기회는 얻게 되었다. 또한 한국 생활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한국 사람에게 어떻게 말을 해야 할지 알게 되는 등 한국 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하였다. 그러나 한국 친구가 있냐는 질문에는 참여자들 대부분이 직장에서 동료를 사귀거나 동종국가의 친구들을 사귀게 된다고 답하여 한국인을 친구로 사귀는 것에는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통합프로그램 5단계는 한국 사회 이해 영역인데, 한국 생활 적응에 집중하기 보다는 대부분 외국인이 비자 변경을 위해서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이유로 인해 시험에 나오는 역사 단어 등 배운 내용이 실생활에서 잘 쓰지 않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또한 기술교육 등으로 프로그램이 연계될 수 있기를 희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통합프로그램이 외국인 근로자의 한국 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통합프로그램의 내용과 운영 방식이 실생활과 더 밀접하게 연계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With the increase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n society, this study analyzed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which is a representative adaptation program in Korea. The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how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classes assist foreign workers in adapting to life in Korea. To achieve this, a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foreign workers currently enrolled in the five stages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First, how is the adaptation to life in Korea? Second, what are the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Third,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five stages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reign workers participating in the case study found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helpful in understanding Korea and provided opportunities to make friends with various foreign classmates. They also reported that it helped them stabilize their lives in Korea and learn how to communicate with Koreans. However, when asked if they had Korean friends, most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y primarily made friends with colleagues at work or friends from their home country, suggesting difficulties in making friends with Koreans. The five stages of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focus on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but many foreign participants engage in the program primarily for visa changes. They pointed out that the historical terms learned for the tests are not frequently used in real life. Additionally, they expressed hope that the program could be linked to technical training, among other thing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while the social integration program is beneficial for foreign workers in adapting to life in Korea, the content and operation of the program need to be more closely connected to real-life situations.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중학문해과정 학습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박진솔(Park, Jinsol),장인실(Chang, In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중학문해과정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학습경험으로 인한 삶의 변화 경험을 탐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학문해과정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 방법은 심층면담을 활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중학문해과정에 참여 중인 성인학습자 5명과 6개월 동안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주요 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풍부하고 깊이 있는 해석을 위해 관찰, 연구자노트, 참여자 저녈을 수집하여 자료로 활용하였다. 결과 참여자들은 중학문해과정을 통해 평생 소망이었던 ‘학습자’가 되는 경험을 하고 있었으며, 지식과 상식의 증가, 학습 내용 이해에 어려움, 되찾은 학창 시절, 문해교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중학문해과정 학습경험으로 인하여 세상과의 소통이 가능해졌으며, 본인을 존중하고, 실현 가능한 꿈을 꾸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참여자들의 경험은 중학문해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공해주었는데, 첫째, 중학문해과정은 스스로 학습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보충 수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중학문해과정의 비대면 수업 대비 방안으로 정보교육 확대가 필요하였다. 셋째, 중학문해 예비과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고등문해 교육과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론 성인학습자가 계속적으로 원활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학문해과정뿐만 아니라 이후 제도가 마련되어 학습을 중단하지 않도록 제도적 지원과 논의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dult learners learning experiences in the middle school literacy curriculum and to explore life-changing experiences due to the learning experienc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ase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adult learner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learners who were lifelong dreams through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middle school literacy curriculum. Also, there were the increase in knowledge and common sens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learning content and experienced positive interactions with literacy teachers. Participants felt that their vision of the world had improved due to their learning experience and began to respect themselves and dream feasible. Conclusions The participants experience provided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middle school literacy curriculum.

      • KCI등재

        IB PYP를 적용한 다문화 특별학급에 대한 사례연구

        박정은(Jeongeun Park),장인실(Insil Chang) 한국다문화교육학회 2024 다문화교육연구 Vol.17 No.4

        다문화 학생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학생들에 대한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다문화 학생에게 핵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IB PYP 교육과정이 이러한 교육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경기도의 다문화 학생 밀집 지역에 위치한 IB PYP 후보학교에서 다문화 특별학급의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을 중심으로 수행된 사례 연구이다. 연구는 2024년 5월부터 7월까지 진행되었으며, IB PYP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하여 다문화 특별학급의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A학교의 다문화 특별학급에 소속된 초등학생 6명으로, 이들에 대한 참여 관찰, 수업 일지 분석,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인지적, 정의적, 기능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IB PYP 기반의 다문화 특별학급에 참여한 학생들의 한국어 능력과 학습 방법에 대한 기능이 향상되었으며, 탐구 학습을 통해 교과에 대한 개념 이해, 자기효능감과 학생 주도성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IB 프로그램 기반의 다문화 특별학급 교육과정 설계를 통해 한국어 교육 위주의 다문화 교육에서 벗어나 다문화 학생들의 미래 역량을 키우는 교육과정 설계와 정책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As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increases,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for student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are required. In particular, a curriculum that can foster core competencies for multicultural students is needed, and the IB PYP curriculum can be an alternative for such education. This study is a case study conducted at an IB PYP candidate school located in a multicultural student-dense area in Gyeonggi-do,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ulticultural special class curriculum.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o July 2024, and the curriculum for a multicultural special class was designed and applied to students based on the IB PYP program.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ix elementary school students belonging to a multicultural special class at School A in Gyeonggi-do, and cognitive, affective, and functional changes were analyzed using participant observation, class journal analysis, and interview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learning method function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B PYP-based multicultural special class improved, and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self-efficacy, and student initiative were improved through inquiry learning. This study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sign and policy development that fosters future capabilities of multicultural students by moving away from multicultural education center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rough the design of a multicultural special class curriculum based on the IB program.

      • 핀란드 에스까리에서의 이중언어교육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박다미(Dami Park),장인실(Insil Chang) 한국실행연구학회 2024 교육실행연구 Vol.2 No.1

        본 연구는 핀란드에 거주하는 다문화가정 자녀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경험을 분석하여 핀란드의 이중언어 교육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우리나라 교육의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핀란드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입학 전(에스까리) 자녀를 둔 4명의 다문화가정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핀란드 다문화 유치원생의 이중언어교육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다문화 유치원생 학부모의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다. 연구 결과, 자녀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한국어보다 핀란드어가 더 편해지는 등 언어 순위가 바뀌는 경향을 보였다. 또 이중언어 자녀들은 대상에 따라 언어를 구사하는 방식이 달랐다. 한국인에게는 한국어를 사용하고, 다문화가정 자녀에게는 핀란드어 또는 기타 외국어를 사용하였다. 이중언어 자녀들은 3살 이전에는 말을 잘 못했지만, 어느 순간 말이 트여서 한국어와 핀란드어 등을 함께 말할 수 있게 되었다. 다문화 학생의 학부모들은 한글학교가 아이들의 정체성을 심어주는 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반면,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았던 상황에서 겪었던 부정적인 경험과 참여를 강조하는 것에 부담스러워했다. 학부모들은 공통으로 모국어를 잘해야 외국어를 잘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었으며, 아이가 이중언어를 구사하는 것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인지하였다. 또한 핀란드에서는 책이나 콘텐츠 외에도 자연스럽게 다중언어를 접할 수 있는 환경이라서 이중언어에 대한 부담이 적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중언어교육이 다문화가정 자녀에게 핀란드 생활 적응과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핀란드의 이중언어교육에 대한 국가적인 지원이 이민자들의 적응에 도움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bilingual education experiences of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living in Finland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bilingual education in Finland an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education in Korea.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4 multicutural families living in Finlan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the main focus of this study. First, what are the experiences of bilingual educa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in Finland? Seond, what are the perceptions of parents of multicultural students about bilingu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hildren's language ranking tended to change over time, with Finnish becoming more comfortable than Korean. The bilingual children also differed in the way they spoke to different audiences. They spoke Korean with Koreans, and Finnish or another foreign language with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bilingual children didn't speak much before the age of three, but at some point, they were able to speak Korean and Finnish. While parents of multicultural students believe that Korean-language schools help to instill a sense of identity in their children, some parents feel burdened to emphasize their participation and negative experiences in the absence of the system. A common perception among parents was that being good at their native language is necessary to be good at a foreign language, and they perceived their children to be proud of being bilingual. We also found that in Finland, there is less pressure to be bilingual because children are exposed to multilingualism naturally, not just through books and cont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ilingual education help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dapt to life in Finland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and that there is a need for national support for bilingual education in Finland for immigrants.

      • KCI등재

        대학-학교 간 협력적 관계에서 개발된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의 교육과정 분석연구 :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이론을 바탕으로

        박영진 ( Youngjin Park ),장인실 ( Insil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3

        This study analyzes the PDS school curriculum which is designated and operated for multicultural innovation schools in the International Special Zone of Educ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urriculu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clusters. For analyzing the schools the school curricula from 2017 to 2019 were analyzed based on Posner’s(1994) analysis theo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curriculum was develop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second, multicultural innovation schools attempt to structurally change the curriculum to reflect the multicultural cluster area and the school’s characteristics; third, through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reflected in the PDS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curriculum development between universities and schools can be grasped; fourth, the curriculum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curriculum cri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