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실 내 소수집단으로서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교육심리학의 역할

        장인실(Insil Cha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6 敎育心理硏究 Vol.30 No.4

        본 연구는 교실 내 소수집단으로서 다문화 배경 학생들을 위한 교육심리학의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영역,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교육심리학의 학문 영역과 관련하여 다문화교육에서 교육심리학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연구자가 제안하는 다문화교육에서 교육심리학의 역할은 여섯 가지이다. 첫째, 교육심리학은 다양한 문화적 특색을 지닌 다문화가정과 자녀에 대한 개인차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교육심리학에서의 이들에 대한 연구는 교육심리학의 학문적 성격을 반영하여 질적 연구보다는 양적 연구 방식으로 실시하여 다른 연구 분야와의 차별성을 둔다. 둘째, 양적연구를 위해서는 측정도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특히나 대부분의 다문화교육 관련 측정도구가 외국의 것을 번안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한국 실정에 맞는 측정도구 개발이 요구된다. 셋째, 다문화가정 자녀 발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나 교육심리학적인 측면에서 그들의 언어 발달에 관한 연구가 중점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사회·정서발달과 관련하여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뿐 만 아니라 다문화가정 자녀의 정체성 발달에 대한 심도있는 연구가 행해져야 한다. 다섯째, 교실 내 다문화 배경 학습자를 위한 교수학습의 변화에 대한 연구이다. 문화적으로 적합한 교육법과 문화반응 교수법을 이론적 측면이 아닌 어떻게 교실 내에서 실현하여야 하는가에 대한 실제적 연구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평가와 관련하여 다문화가정 학생을 위한 평가 방법의 하나로 참평가를 소개하였다. 참평가가 한국 교실에서 어떻게 실시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ole of educational psychology for students of multicultural backgrounds, understood as a minority group in classrooms. My effort is geared towards the concept and classif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well as research trends, and based on the research areas of educational psychology, it"s role was contempla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s six roles. First, the studies on individual differences exhibited by children of multicultural backgrounds are required in applying educational psychology, with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to be considered. In particular, more emphasis needs to be placed on the quantitative side of the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than its qualitative aspects. Second, more research endeavors need to be channeled toward the development of specific measurement tools. For the most part of measures in researches, the tools used are those adapted from cases abroad, which calls for developing tools that are specific to the circumstances in Korea. Third, among other development areas, the aspects of languag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pupils must be integrated into educational psychology research. Fourth, other than the concept of one’s self-concept and self-esteem, the question of identity should also be stressed. Fifth, changes in teaching courses concerning learners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in classrooms need to be considered. More practical approach is required in applying ‘culturally relevant pedagogy’ and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more to works done in classrooms than in theory. Lastly. the present study introduces the notion of ‘authentic evaluation’ as a criterion of evaluation designed to be applied to multicultural pupils. More practical and concrete research seem to be required to this effect.

      • KCI등재

        다문화교육 실행을 위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장인실 ( Insil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교육 실행을 위한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초·중등 국가교육과정 총론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적용할 다문화교육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다문화교육 실행과 관련하여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본 연구 결과는 첫째,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은 매우 밀접한 관계로 앞으로의 다문화교육 방향은 다문화가정 자녀를 위한 적응교육 뿐 만 아니라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 개혁을 지향해야 한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된 다문화교육은 다문화가정 자녀에 대해서만 진술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다문화가정과 자녀 뿐 만 아니라 일반 학생을 위한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방향에 대하여 몇 가지를 제안하였는데, 다문화가정 자녀 중심 교육에서 모두를 위한 교육으로의 전환, 교과를 통한 다문화 교육과정 적용, 통합의 원리에 근거한 다문화 교육과정 재구성, 학생 생활 중심 교육과 학습자 중심 교육에 근거한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 적용, 참평가의 실시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 결과를 실현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교사교육이며,현장에서의 실천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a school-based curriculum. To accomplish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urriculum,analyzes the Sou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resents a future direc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In addition, this study recommends a direction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regard to school-based curriculum. The first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made available for all children, not just multicultural children. Thus, a school-based curriculum should focus on how to incorporate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the 2009 South Korean national curriculu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nly focuses on multicultural families and multicultural children.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must include information on all students, not just multicultural children. Third, this paper recommends several directions for developing a school-based curriculum. The conversionaboutcurriculumshouldfocusonincludingallchildren,notjustmulticulturalchildren.Moreoverthec urriculumforeverysubjectshouldberestructuredsothatmulticulturaleducationisfullyintegratedintothesubje ctsandcreativeactivitycurriculum.Diverseteachingstylesshouldbeusedthatfocusonthestudents’lifeandlea rning,andschoolsshouldimplementauthenticassessments.However,educatorsneedtorealizethatthemosti mportantaspectofaccomplishingtheseobjectivesisthatmulticulturaleducationmustbeincluded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so that it can be practiced in the field.

      • KCI등재

        1 : 1 가정 방문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 및 자기주도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장인실 ( Insil Chang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6 다문화와 평화 Vol.10 No.3

        본 연구는 가정 방문교육 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 및 자기주도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다문화가정 자녀 학업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부산지역 175명의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업 및 자기주도학습태도 수준을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가정 방문교육 프로그램이 교과 학력 증진과 자기주도학습에 도움을 주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험전과 실험후의 교과별 평가 점수와 자기주도학습태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전과 실험후의 전체 평균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주도학습태도도 실험전과 실험후의 평균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과별 전체 평균값이 30.31점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과학이 51.82점으로 가장 높고, 국어 38.22점, 수학 31.31점, 영어 9.85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자기주도학습태도를 분석한 결과, 하위영역 중 자기주도능력이 학습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능력의 하위변인은 고학년, 저학년의 관계없이 주도성, 지기효능감, 만족지연 순으로 나타났다. 학습법의경우에는 저학년은 자기관리능력이 인지전략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고학년의 경우에는 사고전략연역에서 메타인지가 인지전략보다 높게 나타났고, 관리영역에서는 도움구하기, 자기관리, 시간관리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정 자녀의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학력 수준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 수준을 분석한 결과 이중언어, 친구관계, 학업 수준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력 및 자기주도학습태도 증진을 위해 가정 방문을 통한 1:1 교육 프로그램이 사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fundamental data to improve academic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ptitude of multicultural children. For this study, I measured the level of academic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ptitude of 175 multicultural children in the area of Seoul, Kyonggi-do, and Busa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verage of subject tests of multicultural children was 30.31. The highest score was science (M=51.83), followed by Korean (M=38.22), Math (M=31.31), and lastly English (M=9.83). In regards to younger students (1-3 grades), the self-directed learning aptitude was 3.37 and with older students (4-6 grades), the self-directed learning aptitude was 3.27. Both indicated the same result; the self-directed skill score was higher than the learning method score. Moreover, I found that there were no background variables that affect multicultural children`s academic abilities. However, the self-directed learning aptitude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according to bilingual ability, friendship, and academic abi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1:1 visiting education showed a sta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for improving academic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ptitude. Based on this study, I hav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1:1 visiting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academic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ptitude of multicultural children.

      • KCI등재

        성인 문해학습자의 학습 변화 양상과 학습의 의미 : 생애사를 중심으로

        박진솔(Park, Jinsol),장인실(Chang, In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3

        목적 본 연구에서는 문해학습자의 교육 생애 경험을 통해 학습 변화 양상과 학습의 의미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문해교육에서의 계속교육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방법 문해학습자의 교육 생애 경험을 탐구하고자 문해교육에 참여 중인 문해학습자 1명을 선정하여, 생애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1년에 걸쳐 네 차례의 심층 면담, 참여자의 수기, 관찰 노트, 수업 일지를 수집하여 자료로 활용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는 문해교육 학력인정과정으로 교육공동체를 경험하였고, 이를 통해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였다. 또한, 교육공동체 경험은 학습을 지속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참여자의 관심사는 학습 동기로 이어졌고, 점차 구체적인 학습 목표를 형성시키고 있었다. 참여자에게 학습이란 주체적인 삶을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기에 계속해서 학습하길 희망하고 있었다. 결론 문해교육을 통한 계속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력인정과정이 문해교육의 출구가 되어서는 안 되며, 문해력을 지속해서 향상할 수 있는 생활문해교육, 디지털교육의 확대 및 지원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nges in learning and the meaning of learning through the educational life experiences of literacy learners. Methods In order to explore the educational life experiences of literacy learners, one literacy learner participating in literacy education was selected and a life history study was conducted. For this purpose, four in-depth interviews, the participants notes, observation notes, and class journals were collected and used as data. Results The study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educational community through the literacy education academic ability recognition process, and through this, they cultivated community competence. Participants interests led to learning motivation and gradually formed specific learning goals. For the participants, they hoped that they would continue to learn because learning is an essential condition for an independent life.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learning environment so that continuous education can be achieved through literacy education after the middle school education qualification process, and to discuss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life literacy education programs.

      • 중 · 고등학생이 지닌 난민에 대한 인식 분석 연구

        경윤영(Yunyoung Kyung), 장인실(Insil Chang) 한국실행연구학회 2023 교육실행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2022년 법무부가 난민심사 지침을 공개해야 한다는 원심판결이 확정된 사건을 배경으로 교사가 가상의 상황을 설정하여 주도권 토론으로 중·고등학생이 지닌 난민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설정한 연구 문제는 첫째, 학생들은 난민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둘째, 난민 수용에 있어서 제도적으로 보완해야 할 점을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 셋째, 학생들은 난민 신청자를 난민으로 인정하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이다. 학생들은 난민인정기준 심사에 포함될 평가 항목으로 경제력, 재능, 가족 여부, 출신국, 건강 이상의 다섯 가지 중 두 가지를 중요도 순으로 고른 후 한 가지를 더 제안하는 형태의 주도권 토론을 실시하였다. 토론 결과 학생들은 주어진 다섯 가지 평가 항목 이외에도 자국민 보호, 난민 구호의 시급성, 자국 이익, 신뢰성, 난민 신청자의 태도 등을 세 번째 인정 심사 평가 항목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학교급별에 따라 난민인식에 차이가 있었는데, 고등학생들은 난민의 무조건 수용에 대하여 자국민 보호를 우선 혹은 전제로 두고 의견을 제시하였으나, 중학생은 난민 입장을 우선 생각하는 팀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이는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조금 더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계산에 더 많이 마음을 기울이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난민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를 이해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refugees through a discussion of a hypothetical scenario proposed by a teacher in light of a court decision confirming that the Ministry of Justice should publish refugee screening guidelines in 2022. The research questions were: First, what do students think about refugees? Second, what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cessary for refugee acceptance? Third, what elements do students think are essential for recognizing refugee applicants as refugees? After listing economic status, talent, family background, country of origin, and health as possible evaluation criteria, the study proposes that each team should choose two criteria based on importance and suggest another one. During the discussion, students highlighted the need to expand the evaluation criteria to include national protection, urgent refugee relief, national interest, reliability, and the attitude of asylum seekers. High school student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national protection over the unconditional acceptance of refugees, while middle school students focused on establishing criteria from a refugee's perspective. The results indicate that high school students tend to be more pragmatic and focused on practical consideration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aims to provide insight into the differences in thinking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refugees and to encourage them to consider the issue of accepting refugees from various perspectives.

      • KCI등재

        다문화가정 밀집 지역 중학교 교육과정 개선 방안 탐색: IB 교육과정 적용의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조현희 ( Hyunhee Cho ),장인실 ( Insil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1

        이주민들의 증가와 더불어 최근 5년간 나타난 국내 인구지리학적 변화의 특징은 출신국별 공동체와 집단적 거주지를 중심으로 이른바 다문화가정 밀집 지역이 출현하고 있다는 것이다. 경기도교육청에서는 이와 같은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학생들의 배움과 공존을 적극 보장하기 위해 2017년부터 ‘다문화국제혁신학교’를 지정해왔으나, 해당 학교현장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 없이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의 성공 가능성을 예측하기는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국제혁신학교로 지정된 A중학교의 실제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다문화국제혁신중학교 교육과정 개선의 가능성과 한계를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다문화국제혁신학교와 교육적 지향을 같이 하는 인터네셔널 바칼로레아(International Baccaluareate, IB)의 교육과정적 활용 가능성을 타진해보는 데 역점을 두었다. 자료의 수집과 분석을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다문화국제혁신중학교의 교육과정을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육방법, 교육평가, 학생-교사 관계, 교실풍토의 6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국제혁신중학교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하고, 다문화국제혁신중학교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With a growing number of foreign residents, South Korea is recently experiencing the emergence of these people in certain areas where they collectively inhabit. In response to these population­geographic shifts, Gyeonggi Ministry of Education has designated a total of twelve schools as the Multicultural International Innovative Schools (MIISs) in order to advocate educational equity and diversity for students in these areas. Yet, there has been lack of efforts to closely examine a set of curricula and programs implemented in the MIISs, which make it difficult to determine their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in education reform. In this regard, the present study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MIISs by analyzing the current curricula and programs implemented in one of the MIISs with focus on its possibility to successfully utilize the curricular principle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embedded in the International Baccalaureate (IB). Methodologically, this study was guided by a qualitative case study. The findings highlight that the MIIS shares its vision, curriculum goal and content with the IB but it would need to wrestle with the rigidity of the nation-level curriculum and evaluation system, the teachers' low expectation for culturally and ethnically marginalized students, and the assimilation-oriented school and classroom climates so that the IB-based principles and strategies are successfully adopted. Based on the findings, suggestions for further improvement of the MIISs were provided.

      • KCI등재

        대학-학교 간 협력적 관계에서 개발된 다문화국제혁신학교의 교육과정 분석연구 : Posner의 교육과정 분석이론을 바탕으로

        박영진 ( Youngjin Park ),장인실 ( Insil Cha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3

        본 연구는 교육국제화특구 내 다문화국제혁신학교로 지정되어 운영되고 있는 PDS의 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다문화 밀집 지역 및 학교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 설계와 실행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Posner(1994)의 분석이론을 바탕으로 2017년∼2019년까지의 3개의 다문화국제혁신학교학교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학생 비율 증가로 교육과정의 구조적 변화가 불가피한 상황 속에서 교육국제화특구 및 다문화국제혁신학교 지정을 시작으로 학교 교육과정이 개발되었다. 둘째, 다문화국제혁신학교는 대학과 협력적 관계를 유지하며, 다문화 밀집 지역 및 학교 특성을 반영한 교육과정의 구조적 변화를 시도하며, 학교 상황에 적합한 특색있는 교육과정을 설계·실행하였다. 셋째, 학교별교육과정을 다문화주의 관점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학교별로 다른 다문화주의 관점이 반영되어 나타났다. 넷째, 각 학교는 대학-학교 간 협력하에 교육과정 비평을 바탕으로 교육과정을 수정·보완해 나갔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PDS school curriculum which is designated and operated for multicultural innovation schools in the International Special Zone of Educa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curriculu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multicultural clusters. For analyzing the schools the school curricula from 2017 to 2019 were analyzed based on Posner’s(1994) analysis theo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chool curriculum was develop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second, multicultural innovation schools attempt to structurally change the curriculum to reflect the multicultural cluster area and the school’s characteristics; third, through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reflected in the PDS curriculum,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curriculum development between universities and schools can be grasped; fourth, the curriculum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curriculum criticism.

      • KCI등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문화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 연구

        박세훈(Sehun, Park),장인실(Insil, Ch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문화 프로젝트 수업이 초등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문화 프로젝트 수업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0명에게 적용하였다. 연구방법은 6학년이 한 학급인 소규모 학교라 양적연구를 바탕으로 질적 연구가 보조하는 혼합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양적연구는 다문화 감수성을 사전․사후 검사로 비교 분석하였고, 사전검사에서 다문화 감수성이 낮은 3명의 학생을 수업 중 작성한 교수일지로 질적 분석하였다. 수업은 스마트 기기 사용 방법을 학습하고 다문화 프로젝트 계획을 수립한 후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다문화 프로젝트 발표 자료를 제작 및 공유하는 형태로 운영하였다. 양적 연구 결과 분석은 SPSS 23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문화 프로젝트 수업은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다문화 감수성이 낮은 3명의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이 모두 향상된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 결과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다문화 프로젝트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증명되었으며, 향후 다문화교육 수업을 구안하는데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sensitivity through the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project classes using smart devices. The experimental class consisted of 10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at used smart devices. In the class, students learned how to use smart devices for the project, such as computer programs, applications, and so on. Then they discussed multicultural topics and planned their multicultural project in groups. Finally they made a multicultural project presentations such as poster, news, movie, using smart devices and shared them with another friends. The data was applied to paired sample T-test analysis to confirm significance between variables by using SPSS statistics 23.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lticultural project classes using smart devices were a positive contribution to elevating multicultural sensitivity, especially in multicultural knowledge and multicultural interaction implementation. In the pre-test, three students measured very low in term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so the students were observed by teachers using teacher journal. It showed that their multicultural action improved. Therefore, this study implies that the use of smart devices in the multicultural class and design are effective programs to improve elementary students multicultural sensitivity.

      • KCI등재

        성인학습자의 중학문해과정 학습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박진솔(Park, Jinsol),장인실(Chang, In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중학문해과정에 참여한 성인학습자의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학습경험으로 인한 삶의 변화 경험을 탐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중학문해과정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연구 방법은 심층면담을 활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는데 중학문해과정에 참여 중인 성인학습자 5명과 6개월 동안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주요 자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풍부하고 깊이 있는 해석을 위해 관찰, 연구자노트, 참여자 저녈을 수집하여 자료로 활용하였다. 결과 참여자들은 중학문해과정을 통해 평생 소망이었던 ‘학습자’가 되는 경험을 하고 있었으며, 지식과 상식의 증가, 학습 내용 이해에 어려움, 되찾은 학창 시절, 문해교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중학문해과정 학습경험으로 인하여 세상과의 소통이 가능해졌으며, 본인을 존중하고, 실현 가능한 꿈을 꾸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참여자들의 경험은 중학문해과정의 개선 방향을 제공해주었는데, 첫째, 중학문해과정은 스스로 학습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보충 수업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둘째, 중학문해과정의 비대면 수업 대비 방안으로 정보교육 확대가 필요하였다. 셋째, 중학문해 예비과정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마지막으로 고등문해 교육과정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론 성인학습자가 계속적으로 원활한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중학문해과정뿐만 아니라 이후 제도가 마련되어 학습을 중단하지 않도록 제도적 지원과 논의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dult learners learning experiences in the middle school literacy curriculum and to explore life-changing experiences due to the learning experience.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ase stud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adult learner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participants were experiencing learners who were lifelong dreams through their learning experiences in the middle school literacy curriculum. Also, there were the increase in knowledge and common sens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learning content and experienced positive interactions with literacy teachers. Participants felt that their vision of the world had improved due to their learning experience and began to respect themselves and dream feasible. Conclusions The participants experience provided the limitations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in the middle school literacy curriculum.

      • KCI등재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적응 요인 연구 : 다문화 예비학교를 중심으로

        권보근(Kweon, Bo-Guen),장인실(Chang, Ins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는 중도입국 청소년의 초기 적응 교육 기관인 다문화 예비학교에서의 적응 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문화 예비학교 학생 15명, 예비학교 교사, 학부모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관찰, 심층 면담, 문서 분석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를 개별 사례 내 분석, 사례 간 분석을 하여 학교 적응 요인을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문화 예비학교에서는 한국어 교육뿐만 아니라 정규 학교로 복귀하기 전에 충격을 완충하는 곳으로 학교생활 및 학습에 적응할 수 있도록 교육함에도 불구하고,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한국어로 인한 의사소통의 어려움 뿐 만 아니라 본국과 한국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생활적응과 학습 적응에서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육과정의 차이나 학교 규칙의 차이로 인한 어려움도 느끼고 있었다. 부모, 교사, 친구와의 관계 형성도 학생의 일상생활 및 학업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근거로 중도입국 청소년들이 학교 적응하는 데에 필요한 중요 요인은 의사소통, 생활적응과 학습적응, 관계형성 요인임이 밝혀졌다. 앞으로 더욱 증가하게 될 중도 입국 청소년을 위한 초기적응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실질적인 맞춤형 교육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lements of immigrant youths adjustment to multicultural environment of preliminary schools. The participants were 15 students from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s and teachers in charge of those students. The relevant data were collected via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s focused on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serving as initial organizations that help immigrant youths adjust to new surroundings and facilitate a smooth transition to local schools. In the beginning, immigrant youths went through a period of struggle, owing to problems resulting from the unfamiliar environment and language, reunion with family and restructuration efforts within it. These problems arose particularly from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method or syllabus and school regulations. But they gradually adjusted to their new live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school activities. These pupils underwent a great deal of trial and error in adjusting to school activities and learning arising from the difference in culture between their home country and Korea. Their relationships with parents, teachers, and friends were instrumental in adjusting to multicultural preliminary school. With the numbers increasing, the current situations demands more systematically and realistically tailored education for adjustment of these pupi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