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과학고등학교 및 중등학교 학생들의 생명 과학 탐구활동 시 안전교육에 대한 연구

        차현정,김대재,Cha, Hyeon-Jeong,Kim, Dae-Jae 충북대학교 교육개발연구소 2018 한국교육논총 Vol.38 No.3

        본 연구는 과학고등학교 및 중고등학교의 생명과학 탐구활동 중 안전사고를 개선 할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이 있는지 교과목상의 탐구와 자율 탐구 주제를 고려하여 안전교육 강화방안에 대해서 제안하고자 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생명과학 교과목에서 제시하는 탐구활동과 과학고등학교에서 수행되는 자율탐구에 대한 주제를 조사하였다. 무엇보다도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기본 안전수칙 및 일반적인 주의사항에 대한 안전교육을 반복적 실시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각 탐구 주제별 유의사항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탐구활동과 자율탐구 주제에 따라 고려해야 하는 안전요소를 구체화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무지에 의한 안전사고를 겪지 않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탐구 설계 및 수행 시 사전 유의사항에 발생되는 폐기물 처리에 대한 규칙을 명확히 부여하고 폐기물 처리 체계를 정비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안전과 관련된 정보를 손쉽게 접근하여 확인하도록 하고 탐구 종료 시 정리 및 사용물품의 인수인계를 확실히 함으로써 생명과학 탐구활동 시 안전사고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afety education on life science inquiry activity, which subjects on the exploration and autonomous research to the relevant topics, mainly done by the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Investigation was made on subjects of research activity proposed from Life science and autonomous research from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by examine thoroughly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To prevent school laboratory accidents, education of basic safety regulations and general precautions should be repeatedly notified by clear statements and expression to each topic. Expressing the safety factors considering the themes of autonomous inquiry and activities presented in the course of education should be done, so that students should not experience laboratory accidents by reason of ignorance. From the beginning of organization to performing research, safety rules about disposing chemicals and tools wastes occurring during research should be noticed and expressed in precautions following waste disposal system should be adopted. It is necessary to level up the accessibility of information about the laboratory safety rules to confirm to the every student, and also ensure the takeover of the clean-up and use of utilities at the time of search end in order to prevent the incidence of laboratory accidents during the thorough stages of biological inquiry activities.

      • KCI등재

        오이 떡잎의 발달 과정에서 carnitine의 검출과 변화

        차현정(Hyeon Jeong Cha),김대재(Dae-Jae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9 생명과학회지 Vol.29 No.4

        지방 저장 종자의 발아 시 저장 지방의 유동은 떡잎이 스스로 광합성을 하기 전까지 탄소 에너지원을 공급하기 위한 핵심적인 대사과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오이 종자의 발아와 유식물의 발달 및 노쇠화 과정의 떡잎에서 식물성 카니틴의 검출과 변화를 처음으로 보고하고자 한다. 또한 오이 떡잎의 전 발달과정에서 불포화 지방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카니틴은 오이 종자의 파종 후 3일째 떡잎에서 14.5 nM 수준으로 최고조에 달하며, 4일째에는 그 절반 수준인 7.2 nM 수준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이후 이어지는 3일 동안 7일째까지 카니틴은 ~3.0 nM 수준을 유지하였다. 같은 시기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카니틴이 최고조에 달하는 파종 후 3일째 급격히 떨어지고, 5일째 저장 지방은 완전히 고갈되는 것으로 보인다. 파종 9일째부터 카니틴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떡잎이 절반 노랗게 변한 노쇠화 중기의 떡잎에서 6.8 nM 수준으로 검출되었는데, 이 검출량은 오이 종자의 파종 후 저장 지방이 고갈되어가는 4일째 떡잎에서 검출된 카니틴의 양과 비슷한 수준이다. 파종 5일 이후 광합성 기능을 완전히 확보한 녹색 떡잎에서 불포화 지방산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며, 노쇠화 단계에 접어든 떡잎에서는 세포의 내막구조물들이 파괴되며 또다시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다소 증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카니틴과 불포화 지방산의 검출과 변화의 관찰은 오이 떡잎의 발달과정에서 밝혀진 최초의 발견이다. 이것은 오이 종자의 발아와 떡잎의 발달과정에 카니틴 대사와 관련 BOU 유전자 발현이 밀접하게 공조함을 확인한 것이다. 또한 오이종자의 발아과정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글라이옥실산 회로와 더불어 부가적인 탄소원 이동의 경로의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Mobilization of storage lipids is critical for the germination of oil seeds, as they supply carbon and energy until photosynthesis commences in cotyledon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levels of plant carnitine and associated changes in these levels from seed germination to cotyledon senescence. We also examined changes in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s throughout seedling development. Carnitine levels peaked on day 3 at 14.5 nM in cotyledons and decreased sharply to 7.2 nM on day 4. On development day 3 carnitine levels were maintained at around 3 nM until day 7. Th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dropped by half at the same time as carnitine peaked (day-3), and storage lipids were almost depleted by day 5. Thereafter, carnitine was hardly detected until the second stage of cotyledon senescence, at which stage the carnitine content was 6.8 nM, similar to that on day 4 at the time of fatty acid depletion in the cotyledons. Unsaturated fatty acids levels remained constant in green cotyledons but slightly increased in the senescing cotyledons. The latter can be explained by intracellular breakdown of membrane lipids. This is the first such discovery in developing cotyledons and may offer clues regarding other roles of the acetyl unit transport system in plants. The expression of BOU was closely associated with carnitine metabolism during seed germination and cotyledon development. The results provide support for the possibility of carbon re-routing during the glyoxylate cycle in the supply of energy for early germination and development.

      • KCI등재

        Response to Plant Hormones of Senescence-related Genes for Cucumis sativus L. in Cotyledon Development

        Hyeon Jeong Cha(차현정),Dae-Jae Kim(김대재)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8

        본 연구는 발달중인 오이 떡잎에 식물호르몬을 처리하여 나타나는 노쇠화 관련 유전자들(SAG)의 유전자 발현반응을 탐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따라서 선별된 오이의 노쇠화 관련 유전자들에 대하여 그들의 유전자 발현반응을 특정하기 위하여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을 통하여 조사되었다. 파종 후 14일 된 오이의 떡잎을 절취한 후 100 μM IAA또는 zeatin 용액 위에 두고 빛이 있거나 없는 조건에서 4일 째 까지 처리하였다. 떡잎은 2일 간격으로 회수하여 총RNA추출과 RT-PCR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RT-PCR 결과에 따르면 몇몇 오이의 SAG 전사체들은 처리기간 동안에 상당한 변화를 나타냈다. 에틸렌 반응 실험에서는 처리 1일 후 반응을 나타낸 PCK, SAG 158과 SAG 288을 제외한 대부분의 오이 SAGs는 즉각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나 ICL과 SAG 281은 10일 처리 후 노란 떡잎에서 강한 반응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들은 몇몇 오이의 SAGs가 외부적 자극에 대하여 영양 결핍이나 노쇠화 반응을 나타냄을 의미한다. 떡잎의 발달 동안에 이와 같은 노쇠화 유도 반응은 기관의 노쇠화에서 SAGs의 대사적 역할과 기능을 이해 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iscover the response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senescence- associated genes (SAGs) to several plant hormones in detached and developing cotyledon. Accordingly, a collection of cucumber SAGs were examined to characterize their gene expression response through semi-quantitative RT-PCR. Cotyledons were excised at day 14 after seed sowing from plantlets, then incubated in 100 μM each of IAA or zeatin solution for up to 4 days in light and darkness. They were collected at 2-day intervals and used for total RNA extraction and subjected to RT-PCR. Gene expression levels of several cucumber SAGs were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More than five cucumber SAGs involving SAG 60 responded to the IAA and zeatin treatment. In the ethylene response study, cotyledons were exposed up to 10 days by ethylene gas. Most of the cucumber SAGs did not show immediate response to ethylene in green cotyledon. The exceptions were PCK, SAG 158, and SAG 288 genes, which responded after 1 day of exposure to green cotyledon, while ICL and SAG 281 revealed strong responses after 10 days of being exposed to yellowing cotyled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veral cucumber SAGs react actively in response to starvation or senescence against exogenously applied stimulus. This induced senescence response is able to understand the SAGs role in lipids and amino acids metabolism partly and function in organ senescence during development.

      • KCI등재

        Metabolic Gene Expression in Lipid Metabolism during Cotyledon Development in Cucumbers and the Possibility of a Secondary Transport Route of Acetyl Units

        Hyeon Jeong Cha(차현정),Dae-Jae Kim(김대재) 한국생명과학회 2014 생명과학회지 Vol.24 No.10

        본 연구는 떡잎의 발달 동안 지방의 유동 및 대사와 관련된 오이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사하여 유전자의 활성을 비교하고자 하였으며, 글라이옥시좀과 미토콘드리아 사이의 탄소원(아세틸 단위)의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네 곳의 세포 내 소기관인 글라이옥시좀(퍼옥시좀), 미토콘드리아, 엽록체 및 세포질에서 작동하는 중요 대사경로의 10개 유전자들이 조사되었다. 나아가 암소에서 발아한 유식물체의 발아 초기 반응과 이후 3일간 빛을 주었을 때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T-PCR)에 따르면, 유식물체의 발달 동안에 저장지방의 유동과 관련된 Thio2, ICL 및 MS 유전자는 항상 유사한 유전자 발현 양상을 나타냈다. 오이의 발아 초기에 BOU 유전자와 함께 ICL 및 MS 유전자의 공조된 발현은 퍼옥시좀과 미톤콘드리아 사이에 아세틸 단위의 2차 통로의 존재 가능성에 대한 강한 증거이다. 앞서 보고된 연구에서 보여준 BOU 활성에서처럼 BOU 유전자는 빛 의존성으로 암소에서는 세포막의 미약한 발달로 인하여 활성이 저하됨을 암시한다. 나머지의 유전자들은 떡잎이 초록색으로 발달하고 노쇠화 할 때까지 떡잎의 전 발달 기간 동안에 활성을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는 아세틸 단위의 운반에 대한 새로운 추가적 제안으로써 지방 저장 종자의 발아와 오이 떡잎의 발달과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cucumber genes involved in lipid mobilization and metabolism during cotyledon development to compare gene activity and to study the direction of carbon (acetyl unit) transport between glyoxysomes and mitochondria. The core metabolic pathway involving 10 genes was examined in four intracellular compartments: glyoxysomes (peroxisomes), mitochondria, chloroplasts, and cytosol. Additionally, we tested the early germination response of dark-grown seedlings and the immediate light response for a further 3 days. According to th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3-L-ketoacyl-CoA thiolase 2 (Thio2), isocitrate lyase (ICL), and malate synthase (MS), the genes involved in storage lipid mobilization showed a similar and consistent pattern of gene expression in seedling development. Furthermore, coordinate expression of the A BOUT DE SOUFFLE (BOU) gene with ICL and MS during seedling emergence pointed to a possible secondary route of acetyl unit (acetyl-CoA) transport between peroxisomes and mitochondria in cucumber. The expression of the BOU gene was light dependent, as shown by BOU activity in Arabidopsis, suggesting that the dark condition also results in weak membrane biogenesis. In addition, several genes were active throughout the development of the green cotyledon, even during senescence. In conclusion, this study summarizes oil-seed germination and gene expression during cucumber cotyledon development and proposes an additional route for acetyl unit transport.

      • 발달중인 오이 떡잎에서의 L-carnitine 탐색

        차현정 ( Hyeon-jeong Cha ),김대재 ( Dae-jae Kim )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7 과학교육연구논총 Vol.33 No.1

        오이와 같은 박과식물의 지방 저장 종자의 발아는 저장 지방의 유동과 대사에 의하여 발아가 완성된다. 저장 지방은 식물에서 광합성을 하지 못하는 발아시의 유일한 에너지원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지방의 대사와 유동과정은 여러 대사과정이 관련되어 있으며 일시적으로 대사관련 유전자들의 활성이 최고조에 달한다. 이 시기는 파종 후 3~7일째까지 이며 이후 지방의 대사관련 핵심 유전자들의 발현은 급격히 줄어든다. 전통적으로 저장지방의 유동은 글라이옥실산 회로(Glyoxylate cycle)를 중심으로 하는 탄소원(acetyl-CoA)의 유동을 중심으로 일어나는 일차 통로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또 다른 지방유동의 통로의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BOU(a bout de shouffle) 유전자의 활성으로 확인된 carnitine을 통한 탄소원의 이동 통로가 존재 가능성이다. 선행 연구에서 이미 3개의 BOU 유전자가 오이에서 확인 된 바, BOU를 관통하는 carnitine의 생체내 존재와 그 양을 확인할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발아 중 떡잎에서의 carnitine의 존재를 확인하는 assay를 통하여 발아 초기 그 양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노쇠화 중기에서도 얼마간의 카니틴 증가가 측정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최종 결론에 이른 것은 아니지만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지방의 유동과 관련된 또 하나의 탄소원의 이동 통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이중풍선 소장내시경 검사 유도 하 소장조영검사로 진단한 소장결핵 1예

        진미경(Mi-Kyeong Jin),차현정(Hyeon-Jeong Cha),하동윤(Dong-Yoon Ha)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2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2 No.-

        서론: 최근 내시경 분야의 개발이 활발하여 캡슐내시경, 이중풍선 소장내시경 등의 도입으로 소장 병변에 대해 정밀하고 정확한 진단은 물론 용종 절제술이나 지혈 등의 치료 시술도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내시경의 길이적인 한계로 인해 접근이 어려운 병변에 대해 황산 바륨(BaSO 4 ) 조영제를 내시경을 통해 주입하여 회장 근위부 소장결핵을 진단할 수 있었던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증례: 1년 동안 복부 통증이 지속되어 내원한 환자에게 복부 전산화 단층촬영(복부3D Intestine CT)에서 공장 원위부에 약간의 협착과 모종의 궤양성 병변이 의심되었다. 이중풍선 소장내시경 시행 중 내시경을 통해 조영제를 주입하여 단일조영과 이중조영 검사법을 시행하여 병변을 진단하였고 약물치료 후 3개월마다 추적검사로 시행한 소장조영검사에서 예전과 비교하여 상태가 호전됨을 확인하였다. 고찰: 캡슐내시경은 검사가 수월하고 환자에게 따르는 고통이 없지만 고가이며 병변의 적극 적인 관찰과 영상이 애매하여 진단에 실패하는 경우가 있고 이중풍선 소장내시경은 병변을 능동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조직검사와 치료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내시경의 길이적인 한계로 인하여 도달하기 어려운 위치의 병변일 경우 검사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환자의 고통이 가중되고, 내시경 시술 비용 또한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에 소장의 염증성 질환의 진단을 위해 내시경 유도 하 조영제 주입 촬영은 진단에 도움을 주었다. Capsule endoscopy in diagnosing small bowel diseases, or double-balloon enteroscopy can be tried first, and test two X-ray diagnoses are high compared to the other to observe the entire small intestine of patients with low probability of discomfort, cost and risk of complications is high. Sustained over one year among patients who complained of abdominal pain,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CT) lesions in the small intestine and then assumed that the double balloon enteroscopy and stricture after trying out the location of the lesion was difficult due to the endoscopic approach. We report a case of enterotubercurosis diagnosed by double-balloon enteroscopy guided small bowel series.

      • 간 섬유화 진단을 위한 Liver Shear Wave Elastography의 유용성

        이병춘(Byeong Choon Lee),김현진(Hyeon Jin Kim),정양화(Yang Hwa Chung),최준호(Jun Ho Choi),이원홍(Won Hong Lee),차현정(Hyeon Jeong Cha)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2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3 No.1

        목적 : 간 섬유화(Liver fibrosis) 진단에 있어 Liver Shear wave elastography와 간 조직생검의 결과를 비교하여 Liver Shear wave elastography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1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B형 또는 C형 간염 보균자 54명을 대상으로 Liver Shear wave elastogrphy와 간 조직생검을 같이 시행하였다. 간 조직생검의 섬유화 정도는 METAVIR 기준의 간 섬유화 단계에 따라 분류하였다. Liver Shear wave elastography 수치는 3회씩 측정하여 평균치를 구한 후, Ultrasound in Medicine & Biology 2011에 나와있는 Liver stiffness optimal cutoff value 값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대상 54명 중 간 조직생검으로 나온 간 섬유화 정도는 F0~F1은 20명(37%), F2, F3는 각각 22명 (41%), 7명(13%)이었고, F4는 5명(9%)이었다. 간 섬유화 단계에 따라 간 탄성도 수치를 Optimal cutoff value값과 비교분석한 결과, F0~F1:95%(19명), F2:90%(20명), F3:85%(6명), F4:65%(3명)가 optimal cutoff value값에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 Liver Shear wave elastogrphy가 간 섬유화를 진단하는데 있어, F0~F1, F2의 간 섬유화 단계에서 90% 이상 일치율을 보였으며, 이는 간 섬유화 조기 진단에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is to determine clinical usefulness of liver Share wave elastography in diagnosing liver fibrosis by comparing test results of liver Share wave elastography and liver biopsy. Subjects and Methods : tests of liver Share wave elastography and liver biopsy have been done on 54 inpatients who carry hepatitis Type B and Type C between the period of September of 2011 and February of 2012. The degrees of liver biopsy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vels of liver fibrosis based on METAVIR. The rates of Liver Shear wave elastography were measured three times and their average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liver stiffness optimal cutoff value published on the Ultrasound in Medicine & Biology 2011. Results : Of all the 54 subjects, 20, 37% of them, were in the range of F0-F1 in liver fibrosis through liver biopsy. Those in the range of F2 and F3 were 22, 41% and 7, 13% respectively. The results of comparing rates of liver stiffness with Optimal cutoff value according to the liver fibrosis showed that 19 subjects, 95%, were in the range of F0-F1, 20 subjects, 90% in F2, 6 subjects, 85% in F3 and 3 subjects, 65% in F4 turned out to fit the optimal cutoff value. Conclusion : Liver Shear wave elastography tests, diagnosing the liver fibrosis, matched more than 90% in the levels of F0~F1 and F2 liver fibrosis. This is considered to be useufl in early diagnosis of liver fibrosis.

      • KCI등재

        대학생 환경교육캠프 사례에서의 집단 토의 활동에 있어서 상호작용 기능과 양상에 따른 역할 형성 양상

        정원영 ( Won Young Jung ),이고은 ( Go Eun Lee ),신현정 ( Hyeon Jeong Shin ),차현정 ( Hyun Jung Cha ),김찬종 ( Chan Jong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4

        최근 여러 과학 교육 연구와 실제에서 협동 학습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와 유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학습을 바라보면서 또래 집단 안 에서의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 구성을 매우 중요한 학습 과정으로 간주하고 있다. 특히 그룹 활동을 통한 학습 과정에 있어서 구성원의 역할 형성 및 분배가 성공적인 상호작용적 학습을 위한 주요 요인 임을 전제로 하여, 그룹 내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역 할 형성과 분배의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을 주제로 그 룹 토의 활동을 수행한 대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 정하였으며, 총 9명의 학생들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 어 토의 주제에 대한 인지적 대화뿐 아니라 토의 결과 발표를 위한 자료 준비에 관한 대화를 나누었다. 이들 의 토의 과정을 모두 비디오 녹화 및 전사하여 연구 자료로 삼았다. 연구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 하기 위해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를 코드화하였으며, 발화 양상을 도식화하기 위한 기호를 개발하여 적용 하였다. 상호작용 기능은 인지적, 조직적, 초인지적, 조작적 상호작용의 4가지로 구분되었고, 상호작용 요 소는 질문, 단순응답, 의견제시, 의견 받기의 4가지 행 위 요소 및 각 행위 요소별 2~4가지의 의도 요소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라 인지적 질문자, 조작적 질문자, 단순응답자, 조작적 제안자, 조직적 지시자, 조작적 지시자, 인지적 설명 자, 정리자, 반성자의 총 9개 역할이 도출되었다. 그 리고 이들은 발화의 순서와 대상에 따라 7개의 발화 양상으로 재유형화 되었으며, 이들 발화 양상의 특성 과 상호작용에 작용하고 있는 역할의 기능에 따라 상호작용 촉진, 지속, 종료의 3가지 역할 그룹으로 구분 되었다. 이는 그룹 내에서 구성원들의 역할이 어떻게 형성 및 작용하느냐가 상호작용과 학습에 영향을 미 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는 교수학습방법으로서의 협동 학습을 비롯하여 프로젝트, 자유 탐구, 동아리 활동 등 다양한 집단적 상호작 용을 통한 학습 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특히 그룹 단위의 학습에 있어서 역할을 상호작용이 라는 측면에서 재조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Many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s are recent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learning. This study also understands learning in aspects of socio-cultural context, and regarded the creation of meaning in a same-age group as an important learning process. This is most especially true in the premise that the formation of roles in a collaborative learning is important for successful interactive learning.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roles form in a group. For this purpos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a group discussion activity about energy flow and circulation of material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iscussions among the nine students in one group consisted of cognitive conversations on the topic and operational conversations for preparing a presentation. Video-clips of the discussions were made and transcribed, For the analysis, we developed a framework that includes four interaction functions (cognitive, organizational, meta-cognitive, operational), four action elements (question, simple answer, providing opinion, response to opinion), and two to four intention elements by each action elements. As a result, a total of nine roles were revealed through the interaction function and element; cognitive questioner, operational questioner, simple answerer, operational suggester, organizational commander, operational commander, cognitive explainer, terminator, reflective thinker, These roles are re-classified into seven utterance patterns by the utterance order and object,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role groups (facilitating interaction, sustaining interaction, finishing interaction), The result means that role formation and function can have influence on learning and inter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the suggestion to collaborative learning including project-based learning, investigation, club activity, and for the re-illumination of the role in an aspect of the interaction.

      • 경동맥 도플러 초음파 검사에서 석회화된 플라크에 의한 협착도에 따른 내부 혈류 관찰

        홍지영(Ji-Young Hong),이원홍(Won-Hong Lee),차현정(Hyeon-Jeong Cha),이미화(Mi-Hwa Lee)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 2012 대한초음파의료영상학회지 Vol.3 No.1

        목적 : 경동맥 도플러 초음파 검사 중 석회화된 플라크의 경우 초음파 시그널을 방해하여 내부 혈류를 보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몇 %에서 내부 혈류를 관찰할 수 없는지, 또는 관찰할 수 있는지 등의 구체적 수치에 관한 보고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동맥 내의 석회화된 플라크로 인해 그 내부 혈류를 몇 %에서 관찰 할 수 있는지, 또한 협착 정도에 따라 각각 몇 %에서 그 내부 혈류를 관찰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0년 1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경동맥 도플러 초음파 검사를 시행한 788명의 환자 중 작은 석회화된 플라크와 초음파 탐촉자에 대한 혈관의 후벽에 형성된 석회화된 플라크를 제외한 근위부 내경동맥과 경동맥 구부에 형성된 석회화된 플라크로 인하여 30% 이상의 협착이 있는 145명의 187개 부위를 대상으로 하였다. 석회화된 플라크에 의해 형성된 협착도를 제 1형(30-39%), 제 2형(40-49%), 제3형(50-59%), 제4형(60-69%). 그리고 제 5형(≥70%) 등 다섯 단계로 분류하여 각각 내부 혈류가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또한 다섯 단계로 분류된 대상 환자 전체의 내부 혈류 관찰 정도를 확인하였다. 결과 : 석회화된 플라크로 인해 30% 이상의 협착을 보인 전체 대상 187개 부위 중 내부 혈류가 관찰된 경우는 85.6%(160/187)로 그 관찰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협착 %별 내부 혈류 관찰율은 제 1형 91.9%(68/74), 제 2형 90.2%(46/51), 제 3형 75.8%(25/33), 제 4형 61.1%(11/18), 그리고 제 5형 90.9%(10/11)의 결과를 각각 보여, 제 3형과 제 4형을 제외하면 90% 이상에서 내부 혈류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05). 결론 : 석회화된 플라크에 의해 협착된 부위의 내부 혈류가 1차적으로 관찰되지 않더라도 협착 부위에 대해 탐촉자의 방향을 여러 방향으로 달리하여 시도한다면 내부 혈류를 충분히 관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In case of the calcified plaque, it is hard to examine the internal blood flow. There is no report about the concrete figure whether or not the internal blood flow can be examined at what percentages.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internal blood flow due to the calcified plaque in the carotid can be examined at what percentages, also do that depending on the stenosis at what percentages for each one. Materials and Methods : We evaluated 187 parts of 145 patients, who were with stenosis more or 30% by calcified plaque at the proximal internal carotid artery and common carotid artery (CCA) bifurcation out of 788 patients; 788 patients had a CCA doppler scan as had been admitted to this hospital and outpatients, from January 2010 to October 2011. We classified five stages according to stenosed degree into type 1(30-39%), type 2(40-49%), type 3(50-59%), type 4(60-69%) and type 5(≥70%). And then we checked the patient's internal blood flow. Results : The rate was very high in case the internal blood flow was visualized among the 187 parts; 85.6%(160/187). This study showed the result of internal blood flow rate per stenosis %. Type 1 was 91.9%(68/74), Type 2 90.2%(46/51), Type 3 75.8%(25/33), Type 4 61.1%(11/18) and Type 5 90.9%(10/11). We could visualize the internal blood flow over 90% except Type 3 and 4(p=0.005). Conclusion : It is difficult to examine the internal blood flow in case of stenosed vessel; calcified plaque disturbs ultrasound signal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examine the internal blood flow by changing probe direction in several ways, even if plaque became calcification.

      • SCIEKCI등재

        Bacillus 속균에 의한 균체외(菌體外) 단백질의 생산에 대하여

        김찬조,차현정 한국농화학회 1985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28 No.3

        Seventeen extracellular protein producing bacteria were isolated from soil samples, among which T219 strain having a strong capability of producing the protein was selected and identified for investigation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factors which affect the protein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219 strain which produces the most extracellular protein was identified as Bacillus sp.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production of the extracellular protein by T219 strain were 25℃ and 7.5 respectively. Almost no activities of protease and amylase were observed in the protein produced by the protein producing bacteria. In the medium containing yeast extract, the cell growth was moderately high, but almost no accumulation of protein was observed. However, polypeptone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the cell growth and the protein accumulation. The addition of glycine and L-isoleucine to the medium containing polypeptone, yeast extract and meat extract had a great effect on the protein production; 4㎎/㎖ of protein accumulation was ob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