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르와 레지스터 분석에서 나타난 중학생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

        차현정,김찬종,맹승호 한국지구과학회 2011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2 No.1

        The study investigated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on the themes of earth science through analysis of its genre and register. Data for analysis included 7th grade and 9th grade students’ writings about ‘global warming’ and ‘classification of ro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 First, many students were not accustomed to writing in genre, especially exposition genre. Second, in terms of ideational meaning, the material verbs representing action or doing were more dominant than relational verbs that are related to the attribute or definition of things, and additional logical relations were predominant. Third, regarding interpersonal meaning, agents, emotions,subjective opinions appeared in the writings and students did not express their ideas conclusively and revealed feelings of doubt and uncertainty about their knowledge. Fourth, as for textual meaning, most students listed fragments of information using additional conjunctions in simple structures and were not accustomed to writing texts with organizing structures,logical patterns, cohesion, and coherence. From these results, we argued that the scientific writings should be emphasized in science learning that aims to foster scientific literacy.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necessity of improv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n scientific writing as well as setting up a specific plan in the national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장르 분석 및 레지스터 분석을 통해 중학생들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7, 9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 온난화’와 ‘암석의 분류’ 주제 글쓰기를 실시하여 얻은 학생들의글쓰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장르별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았으며 특히 논설장르 글쓰기에 많은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내용과 논리관계의 특징으로 정의나 분류와 같이 한 부분을 다른 부분과관련시키는 관계적 술어보다는 행동 및 하는 것을 의미하는 현상적 술어와 부가적 논리 관계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상호관계적 표현의 특징으로 글 속에서 글의 주체, 글쓴이의 감정, 주관적 의견들이 많이 드러났으며, 학생들은 자신의생각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불확실성을 드러내었다. 넷째, 텍스트 구성의 특징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부가접속사를 통해 단편적인 정보들을 나열하였으며, 체계적이며 논리적인 글을 쓰는데 익숙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과학 학습에서 과학 글쓰기가 강조되어야 하며 국가 교육과정차원에서 체계적인 계획뿐만 아니라 과학 글쓰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향상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VR/AR 활용 과학 수업 계획 과정에서 나타나는 TPACK 특징 -인식적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차현정,가석현,윤혜경 한국과학교육학회 2023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3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PACK in science lesson planning using VR/AR content based on epistemic network analysis (ENA). Seven TPACK coding elements were derived inductively based on the existing TPACK framework. Then, th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discourse in science lesson planning was coded according to the seven TPACK coding elements and analyzed using the ENA Web Tool. The discourses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and compar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hich the researchers analyzed qualitatively, were clearly shown on the ENA graph.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argued that the ENA method is a useful research tool for analyzing the complex interactions of technology knowledge (TK), content knowledge (CK), and pedagogical knowledge (PK), which is different from previous TPACK research. Also,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TPACK competency development of pre-service teachers by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groups’ discourse. 이 연구에서는 인식적 네트워크 분석(ENA)을 통해 초등 예비교사의 VR/AR 콘텐츠 활용 과학 수업 계획 과정에서 나타나는 TPACK의특징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자들은 기존의 TPACK 프레임워크에기초하여 7개의 TPACK 코딩 요소를 귀납적으로 추출하였다. 그리고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을 계획하며 나누는 담화를 TPACK 요소에 따라 코딩하고 이를 ENA Web Tool로 분석하였다. 두 모둠의담화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는데 연구자들이 질적으로 분석한 두 모둠의 담화의 차이는 ENA 그래프를 통해 명확하게 드러났다. 이러한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ENA 방법이 기존 TPACK 연구와달리 테크놀로지 지식(TK), 내용 지식(CK), 교수 지식(PK)의 복합적상호작용을 분석할 수 있는 유용한 연구 방법임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두 모둠의 담화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통해 예비교사의 TPACK 역량 함양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과학 수업에서의 실감형 콘텐츠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요구

        차현정,윤혜경,박정우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2 초등과학교육 Vol.41 No.3

        In this study, the perception and demands on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were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d in using realistic content in science classes. Specificall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investigated: (1) What kind of realistic content and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use it in science classes? (2) What are the perceptions and difficul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in science classes? (3) What are the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lated to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in science classes? The study reveal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elementary school teachers mainly used digital textbooks and realistic content provided by the “Science Level Up” site, and the content types could be classified into “exploration type,” “visit type,” and “production typ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Seco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ntioned the educational advantages of using realistic content to help students understand scientific content, induce interest and curiosity, and become immersed in a sense of reality. Several difficulties related to the use of realistic content were mentioned. Among them, the lack of high-quality educational content suitable for science classes and a lack of examples of specific class cases that use realistic content stood out. Thirdly,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teacher expertise to use realistic cont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mphasized the need for information on quality realistic content; teacher training centered on specific class cases; instructional models that can be applied by realistic content type; and information on the purchase, us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necessary devices. Reflecting on thes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more effective use of realistic content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were discussed.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한 경험이 많은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실감형 콘텐츠의 활용에 대한 인식과 요구 사항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1) 과학 수업에서 초등 교사는 주로 어떠한 실감형 콘텐츠를, 어떠한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는지, (2)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과 어려움은 무엇인지, (3)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 활용을 위한 연수에서의 초등 교사의 요구 사항은 무엇인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 교사는 주로 디지털교과서와 ‘사이언스레벨업’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실감형 콘텐츠를 사용하였고 콘텐츠 유형은 활용 목적에 따라 ‘탐구형’, ‘방문형’, ‘제작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둘째, 초등 교사들은 실감형 콘텐츠 활용의 교육적 장점으로 과학 내용 이해에 도움, 흥미와 호기심 유발, 실재감을 통한 몰입을 언급하였다. 실감형 콘텐츠 사용과 관련된 어려움은 여러 가지가 언급되었으나 과학 수업 내용에 적합한 양질의 교육용 콘텐츠가 매우 부족하다는 점, 실감형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사례의 예시가 부족하다는 점 등이 있었다. 셋째 실감형 콘텐츠 활용을 위한 교사 연수와 관련해서 초등 교사들은 질 좋은 실감형 콘텐츠에 대한 정보 제공, 구체적인 수업 사례 중심의 연수, 실감형 콘텐츠 유형별로 적용해 볼 수 있는 수업 모형의 제공, 필요한 기기의 구입, 사용, 관리 및 운영에 관련된 정보 안내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초등 과학 수업에서 실감형 콘텐츠를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오이 (Cucumis sativus L.) 떡잎의 노쇠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과 수분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차현정,김대재 충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0 과학교육연구논총 Vol.25 No.2

        This study presents that six of cucumber senescence-associated genes(SAGs) functional identification in silico, time of gene expression and possible biological roles in cucumber senescence. They are sen 4-1, sen 8-6, sen 11-8, sen 15-8, sen 053, and sen 218. The most probable biological function of the cDNA sequences was identified through NCBI-GenBank database investigation using tblastx and blastx searching module. According to the cDNA sequence information, we have designed PCR primers to the six genes for following molecular genetic study. The primers were made by 20 nucleotide length with similar GT contents for appropriate annealing temperature adjustment in PCR study. To investigate the above cucumber genes expression pattern in the cotyledon development, cucumber seeds (Baek Da Da Gi) were sown in wet vermiculite after l2hr imbibition in sterile water. Then growing green cotyledons were collected one-week interval from two week after seed germination until four weeks of cucumber development as NOT in Senescence stage (negative control). After that the following turing point of development from growth to senescence, two pairs of senescing cotyledons were selected with amount of yellow pigment as senescence stage I (50% yellow), II (70% yellow) and stage III (>90% yellow) until 42 days of cucumber development. Subsequently, total RNA purification, cDNA synthesis (reverse transcription), PCR, electrophoresis and UV gel image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standard molecular biological protocols. Eventually, we have found four noble SAGs (sen 4-1, sen 8-6, sen 15-8 and sen 218) which shows strong developmental coordination in gene expression at the stage of senescence development in cucumber cotyledon. In particular, sen 218 revealed that earlier onset of the gene action in senescence development compare to ICE. The other SAGs start action from stage II to stage III which may be involved in the senescence of cucumber cotyledons. The sen 8-6 and sen 15-8 start action at the stage II of senescence development. So, the sen 8-6 may be involved in the (1-4)-beta-mannan hydrolysis of cucumber cotyledons cell membrane. The sen 15-8 may be involved in the deamination of asparagine to aspartate conversion. Finally, sen 4-1 may be involved in the dephytylation of cucumber cotyledons and leaves. Unfortunately, we did not have acceptable outcomes to the rest of cDNA clones as cucumber SAGs, so further refined study should be done more carefully in the future. In water stress study, cucumber seedlings show morphological change by water stress in this primary study. But, it also need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gene expression level to the water-stressed cotyledons in the future study.

      • KCI등재
      • KCI등재

        사회과에 대한 초등 교사의 부정적 인식의 특징과 발생 구조

        차현정,송언근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3 사회과교육연구 Vol.20 No.2

        사회과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부정적 인식의 특징과 그것의 발생 맥락과 구조의 구명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회과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관념적인 측면에서는 긍정적인데 반해, 실행적 측면에서는 부정적이다. 부정적 인식의 핵심은 사회과는 타 교과보다 지도하기 ‘어렵다’, ‘힘들고, 번거롭다’ 이다. 부정적 인식 발생의 핵심 요인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교과의 내용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자료 문제이다. 특히 후자가 중요하다. 어렵다가 교과서 내용과 관련된다면, 힘들고 번거롭다는 ‘교사의 수업 준비’라는 직접적 노력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부정적 인식 발생의 핵심 요인인 내용과 자료의 문제는 사회 교과의 본질적 특성, 즉 사회과 지식의 속성과 구성 과정, 탐구 대상의 내·외적 특성 등과 관련 깊다. 이들은 필연적으로 사회과 자료와 관련된다. 사회과에 대한 부정적 인식 극복은 사회과의 본질적 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로 부터 출발해야 하며, 그것의 핵심 중 하나는 사회과다운 자료에 대한 이해이다. This paper is on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ources of negative perception of the specificity, on the par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achers’ perception of the specific material was negative in terms of implimentation, though positive ideologically. They thought the subject was “difficult” to teach, and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to be prepared for. That is, the negativity was traced to two areas: contents of the subject and their learning materials. Of the two the latter loomed larger as the source of negative perception because teacher’s effort is primarily on the preparation for learning materials which is complicated and time-consuming. The negative perception in two areas is in turn closely related to the nature of social studies, i.e., the nature and construction of their knowledg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quiry objects. The negativity may be dissipated when the real nature of the social studies, especially of learning materials, is grasped by the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