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나눔으로 고객과 하나되는 KIHA - 묵은 때는 이리 주세요, 희망으로 바꿔드립니다

        안혜진,An, Hye-Jin 대한산업보건협회 2018 산업보건 Vol.367 No.-

        주말 오전, 8시. 평소 같으면 조용했을 창원산업보건센터가 시끌시끌하다. 센터 테니스장에서 세탁봉사를 하는 날이기 때문이다. 창원산업보건센터 직원들은 익숙하고 능숙한 솜씨로 빨래를 하기 시작했다. 빨래를 하며 나누는 이야기에는 웃음이 넘쳤다.

      • KCI등재
      • KCI등재

        성취목표 재개념화 모형 검증

        안혜진(Hye Jin An) 한국교육심리학회 2013 敎育心理硏究 Vol.27 No.2

        본 연구는 사회적 성취목표의 중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성취목표의 이론적 분화에 맞추어 사회적 성취목표를 포함한 성취목표의 구조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사회적 성취목표를 포함한 성취목표의 재개념화를 위한 경험적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기존의 학업적 성취목표에 사회적 성취목표를 추가하여 성취목표의 구조모형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성취목표의 내적구조는 학업적 영역과 사회적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각의 영역에 숙달목표, 수행접근, 수행회피의 위계적 6요인 모형이 가장 타당한 모형으로 검증되었다. 모형의 외적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학업성취를 설명하는 변량이 학업적 성취목표 외에 사회적 성취목표의 설명량이 확인 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학업적 성취목표만을 강조하던 기존의 연구에서 벗어나 성취목표 이론이 사회적 성취목표로 분화될 수 있음을 경험적으로 입증하였으며, 학교현장에서 학생들의 동기수준의 진단 및 이해를 위해서는 학업적 성취목표뿐만 아니라 사회적 성취목표를 포함한 다양한 목표가 추구될 수 있다는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nceptualize the achievement goal theory including social achievement goal and verify its structural model. To accomplish this purpos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is to verify structural model of the achievement goal theory according to re-conceptua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 To verify structural model of the achievement goal theory according to re-conceptualization, the goodness of fit of the research model and competing models were compar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hypothesized model was more appropriate than the competing models.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d that achievement goal theory was district factors across the academic and social domains and each domain included mastery goal, performance approach, performance avoida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some implication. The extension of achievement goal theory was suggested through the explanation of the social achievement goal. Also,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goals could be pursued for diagnosis and understanding of student in a school education.

      •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자아개념, 내적동기, 부모지원이 미래목표를 매개로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안혜진 ( Hye Jin An ),정미경 ( Mi Kyung Chung ) 안암교육학회 2014 한국교육학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시간의 변화에 따라 청소년의 학업자아개념, 내적동기, 부모지원의 발달경향성을 분석하고, 청소년의 학업자아개념, 내적동기, 부모지원이 미래목표를 매개로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2∼7차년도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학업자아개념과 내적동기, 부모의 학업 지원은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으로 학년이 증가할수록 점점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고, 부모의 정서 지원은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학업자아개념과 내적동기의 초기치와 변화율, 부모의 학업 지원과 정서 지원의 초기치가 미래목표를 매개로 대학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청소년기의 학업자아개념, 내적동기, 부모지원이 미래목표를 매개로 대학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전국 단위 표집의 종단적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고,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에서 미래목표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의 미래목표 설정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교육적 적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지닌다.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find out about a changes pattern of adolescents’ academic self concept, intrinsic motivation, parental support, and also to analyze longitudinally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 concept, intrinsic motivation, parental support on university adjustment mediated by future goal.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anel data of 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using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ademic self concept, intrinsic motivation, parental academic support had gradually decreased by getting old. But high school students scored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on parental affective support. Second,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academic self concept and intrinsic motivation, the initial value in parental academic support and affective support affected on university adjustment mediated by future goal. This study has contribution to analyze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 concept, intrinsic motivation, parental support on university adjustment mediated by future goal using longitudinal data of the whole country. Also, this study has educational implication to consider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training for goal setting by examining mediation effect of future goal on school adjustment.

      • KCI등재

        사회적 성취목표 척도의 타당화

        안혜진(Hye Jin An),송인섭(In Sub S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2 敎育心理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사회적 목표의 중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사회적 영역에서의 성취목표를 측정할 수 있는 사회적 성취목표의 타당화를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사회적 성취목표의 타당화를 위해 문항을 수집하고 내용타당도를 거쳐 예비조사를 위한 23개의 예비검사 문항이 완성되었다. 중학생을 대상으로 1차에서 200명, 2차에서 302명에게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통하여 사회적 성취목표의 3요인(사회적 숙달, 사회적 수행접근, 사회적 수행회피), 19문항이 추출되었다. 서울과 경기에서 중학교 남학생 695명, 여학생 420명, 총 1,115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사회적 성취목표의 내적타당성을 검증하였고, 사회적 성취목표의 준거관련 변인인 긍정적 대인관계, 사회적 자기효능감, 부정적 평가의 두려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외적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사회적 성취목표 척도가 성별에 상관없이 활용될 수 있는지를 구인동등성 검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모든 중학생들에게 공용척도로 사용될 수 있는 검사도구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social achievement goal. To accomplish this purpose,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social achievement goal scale. Using content validity, 23 items for the preliminary survey were constructed. Through examination of the item descriptive statistic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his research was selected the 19-items which consists of three factors(social mastery, social performance-approach, social performance-avoidance) of social achievement goal.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 revealed that the three factor structure was the most appropriate to represent the social achievement goal structure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Also,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factorial invariance across gender in measurement model was establish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some implication. First, the extension of achievement goal theory was suggested through the explanation of the social achievement goal. Second, the validation of social achievement goal scale is significant by using the construct invariance method, Third, it was suggested that various goals could be pursued in a school education.

      • KCI등재

        비대면 창업 멘토링의 이해와 창업지원사업의 발전을 위한 시론적 연구 : 창업의지와 교육만족도를 중심으로

        안혜진(An, Hye-Jin),이승하(Lee, Seung-Ha) 한국창업학회 2021 한국창업학회지 Vol.16 No.2

        최근 COVID-19의 확산으로 인해 창업교육 현장에서 비대면 멘토링으로의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창업 멘토링의 효과와 개선방향에 대한 연구는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비대면 창업 멘토링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비대면 창업 멘토링의 특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특성이 창업 의지와 교육 만족도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서울시창업카페 양천상상캠프의 멘토링 사례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비대면 창업 멘토링의 개선점을 탐색하였는데,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멘토링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록 만족도와 재참여 의사가 높게 나타나 멘티의 능동적인 태도와 멘토링의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 관계를 발견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개인적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니즈를 나타내었으므로 멘토는 참여자의 특성을 세밀하게 고려하여 수준이나 기간별로 맞춤형 멘토링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 덧붙여 기관 또한 네트워크 연결 문제나 즉각적 피드백의 부재 등 비대면의 한계점을 해결해나가야 한다. 셋째, 1시간(1회 기준)의 멘토링에 대해 참여자들은 대부분 시간이 부족하다고 평가하였기 때문에 상담 횟수를 최소 3회 이상으로 늘려 참여 기회를 높여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비대면 창업 멘토링의 홍보 수준은 낮게 평가되며, 특히 디지털 역량에 따른 정보소외계층도 창업 멘토링을 받을 수 있도록 사회와 기관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창업교육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이를 통해 창업지원기관의 질적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처럼 참여자의 니즈를 충족시킨 맞춤형 지원이 늘어날수록 창업 멘토링이 창업의지 고취와 창업의 성공이라는 초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 With the recent outbreak of COVID-19, startup training has rapidly shifted toward mentorship programs in a contactless setting. While studies on the effect and improvement of startup mentorship have continuously been made, contactless startup mentorship has not yet been studied adequately.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ntactless startup mentorship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training satisfaction based on the mentorship program at the Yangcheon-Sinjeong branch of Seoul Startup Cafe. Additionally, measures to improve upon contactless startup mentorship were explored based on the result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re the participants wanted to volunteer to take part in mentorship, the higher the satisfaction and the willingness to rejoin the program, indicating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mentee s positive attitude and the effect of mentorship. Second, since the participants showed different need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circumstances, it is recommended that mentors provide customized mentorship in level or duration by careful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articipant. Institutions also need to address the limitations of contactless interactions, such as network connection issues and lack of immediate feedback. Third, as most participants found the one-hour mentoring session not long enough, increasing the number of sessions to at least three is recommended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Fourth, publicity for the contactless startup mentorship was generally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institutions to take more active measures to make access to startup mentorship programs easier for those marginalized from access to digital information; this way, they can also take advantage of startup mentorship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startup training systems and be of significance in contributing to strengthening the qualitative capacity of startup support institutions. It is expected that an increase in customized support that can meet the needs of participants will lead to the achievement of the initial goals of startup mentorship: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success in startups.

      • KCI등재

        청소년의 자아개념,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안혜진 ( Hye Jin An ),정미경 ( Mi Kyung Chung ) 안암교육학회 2015 한국교육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청소년의 자아개념,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이 시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해 나가는지 발달경향성을 파악하고, 자아개념과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종단적으로 검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중학교 1학년 6,90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5차년도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다변량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중학생의 자아개념은 신체자아개념을 제외한 사회자아개념, 가족자아개념, 학업자아개념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회적지지는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갈수록 부모지지는 감소하는 반면에 교사지지는 점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자기효능감은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으로 올라갈수록 증가하다가 고등학교 2학년에 다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둘째, 자아개념과 사회적지지의 초기치가 자기효능감 초기치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개념의 초기치와 자아개념의 변화율과 사회적지지의 변화율이 자기효능감의 변화율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효능감이 자아개념과, 사회적지지와 진로성숙도간의 구조모형에서 매개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사회적지지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전국 단위표집의 종단적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청소년 시기의 진로교육은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에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a changes pattern of adolescents`` self concept, social support, self efficacy and to analyze longitudinally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 concept,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mediated by self efficacy. We analyzed the 5-year panel data conducted by 1st grade in middle school 6,908 of KELS using a 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hysical self concept and teacher support had gradually increased but social, academic, family self concept and parental support had gradually decreased. Also, high school students scored higher than middle school students on self efficacy. Second, the initial value in self concept and social support affected on the initial value in self efficacy, the initial value in self concept and the rate of change in self concept and social support affected on the rate of change in self efficacy. Also, self concept and social support was found to influence the career maturity as a mediation for self-efficacy. This study has contribution to analyze the effects of adolescents`` self concept, social support on career maturity mediated by self efficacy using longitudinal data. Also, this study has educational implication to consider program development and education training for self efficacy.

      • KCI등재

        브랜드 마케팅의 엔터테인먼트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팝업스토어의 경험적 가치, 관계품질, 행동 의도 간 관계를 중심으로

        안혜진(Hye-Jin An),이승하(Seung-Ha Lee),서국선(Kuk-Sun Seo)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24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8 No.4

        As the concept of “pop-up” expands to cover various types of events, Pop-up Stores have become a major brand marketing tool that creates various effects and entertainment that provides users with various experiences.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rs relationship quality and behavioral intention to the pop-up store, focusing on the pop-up stores “experience value” to examine the entertainment characteristics of brand marketing. This study conducted a path analysis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a pop-up store visitor survey. In addition, the difference in entertainment according to user characteristics was analyzed through difference test.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mong empirical values of pop-up stores factors, entertainment and service excell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relationship quality. Second, relationship qu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ositive word of mouth and revisit intention.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y user characteristics, entertainment differed according to the gender and number of experiences of users. This means that entertainment functions as an important value criterion according to the type of pop-up store visitors. 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related research by analyzing pop-up store’s brand marketing based on experiential values, relationship quality and behavioral intentions. Furthermore, it highlights the potential of utilizing brand marketing strategies that apply the value criteria of pop-up store visitors.

      • KCI등재

        창업지원사업 운영제도 개선방안: 창업지원기관과의 의견불일치 사례를 중심으로

        안혜진(An, Hye-Jin),이승하(Lee, Seung-Ha) 한국창업학회 2021 한국창업학회지 Vol.16 No.3

        본 연구는 2019년부터 2020년까지 창업지원사업에 참여했던 (예비) 창업자와 기관의 의견불일치 사례들을 중심으로 창업만족, 직무스트레스, 기업 발전에 끼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참여자의 심리를 이해해 기관과의 상호 보완적 관계를 형성하고, 창업자의 만족도를 높이며, 창업 성과를 거둬 창업생태계의 활성화를 이루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에 심층 면접법과 문헌 연구법을 활용해 총 7개의 사례를 분석했으며, 그 결과와 이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의 주된 참여 계기는 투자금 유치였다. 실제로 20~30대의 창업자는 대부분 예상 창업 필요 자금에 비해 자산이 적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따라서 기관에서 이를 고려해 지원사업을 기획 및 홍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서류의 복잡한 절차, 명확하지 않은 정보, 담당자의 대응 문제가 사업 수행 과정에서의 어려움으로 나타났으며, 용어의 난해함ㆍ불명확한 지침ㆍ담당자의 설명 부족 등은 향후 의견불일치의 원인이 됐다. 이에 참여자들은 서류의 간소화, 명확한 정보 전달, 담당자의 태도 변화를 원했으며 나아가 근본적인 변화를 위해서는 조직 내 시스템의 정립이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았다. 셋째, 의견불일치가 창업만족에 끼친 영향은 긍정(2명), 부정(4명), 1명은 긍정도 부정도 아니라고 말했다. 긍정적인 이유로는 창업 역량강화, 부정적인 이유에는 입지 선택 실패, 자신감 및 타인에 대한 신뢰도 저하, 직무스트레스가 해당한다. 한편 기관과 창업자 간 라포(Rapport)가 존재할수록 의견불일치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기에 미리 상호 간 친밀한 관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이 발견됐다. 또한 아이템에 직접적 관여가 일어날수록 반감이 커졌으므로 라포의 형성 이후 관여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제시돼야 한다. 넷째, 창업지원사업이 기업 발전에 끼친 영향에 대해 긍정(5명), 부정(2명)으로 나타난 반면 의견불일치가 기업 발전에 끼친 영향에 대해서는 1명을 제외하곤 모두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그 이유로는 업체와의 갈등, 업무 지연, 경제적 손해가 있다(중복 포함). 이처럼 참여자들은 다각적 측면에서 회사 운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고 느껴 이들이 처한 현실적인 상황을 고려해 운영 방침이 간소화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창업지원사업의 전반적인 만족도 평가에 3명이 불만족, 4명이 만족을 표했다. 특히 의견불일치가 창업만족과 기업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고 답한 이들은 창업지원사업 전반에도 불만족을 느꼈다. 따라서 중재를 위한 외부 조정자, 챗봇의 등장 등 시스템 도입 및 변화가 이뤄지는 동시에 기관 내 인식(문화) 변화 촉구도 병행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 즉 기관에서 본 사업이 ‘공적 부조(Public Aid)’ 지원이 아닌 ‘투자 사업(Investment Projects)’임을 명확하게 인지하고, 이런 인식을 기반으로 참여자들을 응대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문적 교육을 통해 기관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조직 체계를 개편하는 등 전체적인 시스템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방향을 새롭게 제시했다. 또한 최근 창업지원사업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담아 현재 운영제도의 한계와 개선점을 새로이 발견하였다. 창업에 대한 관심과 지원정책이 늘어나고 있는 지금, 양질의 성장을 위해서는 실사례들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개선점을 찾아나가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effect of disagreement on start-up satisfaction, job stress, and corporate development based on cases of disagreement between (preliminary) start-up entrepreneurs and government sponsors which participated in start-up support projects from 2019 to 2020. By doing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sychology of participants in building a mutually beneficial relationship with government sponsors, improving satisfaction among start-up entrepreneurs, helping to deliver start-up outcomes, and promoting a start-up ecosystem. To that end, seven cases were analysed with in-dep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based on the findings. First, participants often participated in projects in an effort to attract investments. In fact, start-up entrepreneurs in their 20s or 30s were experiencing financial difficulties as they had fewer available assets than funds required for their start-ups. Hence, government sponsors may need to consider this when planning and promoting support projects. Second, difficulties during projects were identified as cases of complex documentation procedures, unclear information, and problematic responses from staff, and difficult-to-understand terminologies, unclear guidelines, and a lack of explanation from staff served as potential causes for disagreement. In this regard, participants favoured simplified documentation, communicating clear information, and changing the attitude of the staff, and demanded a more systematic organisation of government sponsors. Third, the effect of disagreement on start-up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positive (two participants), negative (four participants), and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one participant). Positive reasons included strengthening start-up competencies, while negative reasons included failure to choose the location, decreased self-confidence and trust in others, and job stress. Meanwhile, Rapport between start-up entrepreneurs and government sponsors made it more likely that disagreement would be positively accepted, which suggests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build a close relationship in advance. Furthermore, as more direct involvement in start-up ideas resulted in a greater backlash, clear guidelines about involvement need to be provided after building rapport. Fourth, while the effect of start-up support projects on corporate development was found to be positive (five participants) and negative (two participants), the effect of disagreement on corporate development was evaluated as negative except for one participant. The reasons included conflicts with vendors, delayed work, and financial damages (multiple answers allowed). Accordingly, as participants felt disagree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various aspects of their corporate operations, it would be important to consider their actual circumstances and simplify operating guidelines. Fifth, in regard to overall satisfaction with start-up support projects, three participants indicated dissatisfaction, and four indicated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who said disagree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start-up satisfaction and corporate development were dissatisfied with the entire start-up support scheme. Henc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nd change the system including external mediators or chatbots while promoting a shift in awareness (culture) in government sponsors . More specifically, government sponsors must clearly recognise the projects not as ‘Public Aid’ but as ‘Investment Projects’ and serve participants based on such awaren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new directions for changing the entire system by enhancing professionalism in government sponsors through professional training and reorganising their organisational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