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음향학적 분석을 통한 노년층 연령에 따른 조음교대운동의 속도 및 규칙성

        조윤희(Cho, YoonHee),김향희(Kim, HyangHee) 한국음성학회 2013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5 No.3

        Aging is related to anatom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respiratory and phonation organs. These changes influence articulation which leads to inaccurate speech and slow articulatory diadochokinesis(DDK). DDK indicates the range, rate, regularity, accuracy, and agility of articulation that reflect motor speech fun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ates and regularities of DDK in healthy Korean elderly through passive acoustic analysis (Praat). Thirty subjects between the ages of 65 and 94 participated in this study. Rate was observed for 5 seconds, while regularity was calculated based on the standard deviation on the following: 1) syllable duration of each task; 2) gap duration between syllables. Then,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age on performanc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low rate was not a significant factor in terms of advancing age. Furthermore, regularity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ollowing: 1) /p?/, /k?/ and /p?t?k?/ in syllable duration; 2) /k?/ duration in the gap between syllables. In conclusion, articulatory coordination is reduced with the onset of aging. In particular, /k?/ would be a sensitive task for articulatory coordination.

      • KCI등재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의 조음교대운동 특성

        정은영(EunYoung Jung),조성래(Sung-Rae Cho),김윤정(YunJung Kim),김향희(Hyang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1

        배경 및 목적: 객관적 측정을 통한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 환자의 조음교대운동 수행력의 차이와 중증도에 따른 조음교대운동 수행력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군이 정상군에 비해 조음교대운동의 속도 및 규칙성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고, 둘째, 말명료도의 중증도에 따라 같은 변인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방법: 경도의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 환자 11명, 중등도의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 환자 7명, 정상인 26명을 대상으로 '퍼', '터', '커', '퍼터커' 과제를 실시한 후, Motor Speech Profile Model 4500와 Window용 Praatⓡ 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군이 정상군에 비해 AMR 과제에서 느린 속도를 보였으나, SMR 과제에서는 정상 속도를 보였다. 규칙성에 있어서 조음교대운동 과제 모두에서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군이 정상군에 비해 불규칙적이었다. 둘째, 조음교대운동 과제에서 모두에서 중증도에 따른 속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런데 규칙성에 있어서 '퍼', '터', '퍼터커' 과제에서 경도의 환자군이 정상군에 비해 불규칙적이었고, '커' 과제에서 중등도의 환자군이 경도의 환자군에 비해 불규칙적이었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객관적인 측정을 통하여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 환자의 조음교대운동 과제에 대한 속도 및 규칙성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중증도에 따른 운동감소형 마비말장애 환자의 조음교대운동 수행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diadochokinetic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hypokinetic dysarthria. In this study, differences in the rates and regularities of DDK tasks were compared between hypokinetic dysarthria patients and normal subject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between a mild and moderate form of the disorder were compared based on speech intelligibility. Methods: Eleven patients with mild hypokinetic dysarthria, seven with moderate hypokinetic dysarthria, and 26 normal controls were asked to perform DDK tasks. The subjects were asked to perform both AMR and SMR tasks which were acoustically analyzed using the Motor Speech Profile™(Model 4500) and the Praat computer program. Results: The hypokinetic dysarthria group demonstrated relatively slower rates of AMR compared to those of the normal group, while the rates of the SMR group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The hypokinetic group demonstrated irregular patterns in both AMR and SMR tasks compared to those of the normal group. In addition, hypokinetic dysarthria patients with different severities did not exhibit any differences in the rates of completion for the AMR and SMR tasks. However, the repetition of /p˄/ and /t˄/ in the AMR and the SMR tasks were more irregular in mild hypokinetic patients than they were in normal subjects, whereas the repetition of /k˄/ was more irregular in moderate hypokinetic patients than it was in the mild group.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objective measurement of diadochokinetic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hypokinetic dysarthria. Furthermore, these results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by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diadochokinetic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dysarthria.

      • KCI등재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wallowing-Quality of Life Scale

        김자영(Ja Young Kim),김덕용(Deog Yong Kim),김향희(HyangHee Kim),조성래(Sung-Rae Cho)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삼킴장애 환자의 심리사회적 측면을 이해하고자 Swallowing-Quality of Life (SWAL-QOL)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측정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설문은 임상적으로 신경학적이거나 구조적인 구인두 삼킴장애로 진단받은 만성기 환자 중 자기보고식 설문이 가능한 환자 53명(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의 연령대)과 이들과 연령을 일치시킨 정상인 53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검사-재검사 신뢰도 측정은 5명의 삼킴장애 환자와 5명의 정상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결과: 본 척도의 내적일관성 신뢰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모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 검증 결과, 본 척도는 모든 범주 및 문항에서 삼킴장애 환자와 정상인 간에 구별 가능한 도구였다. 공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SF-36 척도와의 총점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척도는 서로 다른 구성문항을 측정하여 상관관계가 없었다. 내적 구성타당도 분석 결과, 본 척도는 총 7개의 범주(정신건강 범주, 사회적 기능 범주, 섭식 관련 범주, 일반적 건강 범주, 의사소통 범주, 부담감 범주, 음식 선택 범주)로 요인분석이 가능하였다. 논의 및 결론: 한국어판 SWAL-QOL은 국내 삼킴장애 환자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데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본 측정도구가 삼킴장애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Objectives: Although impairment of the swallowing function is a troublesome symptom in the general population, until recently, there has been no instrument for evaluating dysphagia. The aim of this work is to study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wallowing-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K-SWAL-QOL).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of 53 patients, who are clinically diagnosed as neurological or mechanical oropharyngeal dysphagia and have shown consistent symptoms of dysphagia during at least 6 months, was conducted. Fifty-three healthy age matched controls were recruited to evaluat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K-SWAL-QOL. Among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5 patients and 5 healthy controls were randomly chosen for the test-retest reliability. Results: Reliability was estimated using tests of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he KSWAL- QOL was able to differentiate between dysphagic and nondysphagic patients. Construct validity was validated through a factor analysis.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SWAL-QOL were found to be largely similar to those of the original SWAL-QOL; however, 10 factors are clustered by 7 factors (Mental Health, Social Functioning, Eating Related, General Health, Communication, Burden, and Food Selection). A correlation study of the total score between the K-SWAL-QOL and the SF-36 (The Short Form-36), which is a widely used generic questionnaire for measuring health-related QOL, showed no significant results. Conclusion: K-SWAL-QOL is found to be a clinically valid and reliable tool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individuals with dysphagia. We expect that K-SWALQOL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Korean patients with dysphagia in the future.

      • KCI등재

        Acoustic and Auditory-Percep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top Consonants in Patients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and Cerebellar-Multiple System Atrophy

        김보미(Bo Mi Kim),이석재(Seok Chae Rhee),조성래(Sung Rae Cho),김향희(Hyang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4

        배경 및 목적: 파킨슨증을 동반하는 특발성 파킨슨병과 소뇌성 다계통위축증은 후두와 조음 기관 간의 협응 능력이 저하되어 우리말 파열음의 평음, 경음, 격음 산출 시 오류를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두 환자군과 정상군의 파열음 산출 양상을 세 가지 조음 위치(양순, 치조, 연구개)에서 세 가지 조음 방법(평음, 경음, 격음)에 따라 음향학적 및 청지각적 측면에서 비교해보고 두 환자군 간의 감별 요인으로 활용할 수 있는 특색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연구대상으로는 특발성 파킨슨병(남:여=5:5, 평균 나이=62.7±9.5세), 소뇌성 다계통위축증 환자군(남:여=5:5, 평균 나이=58.6±3.8세), 정상군(남:여=5:5, 평균 나이=57.5±11.2세) 각각 10명씩 총 30명을 포함하였다. 문장의 어중 초성 위치에서 전체 9개 파열음 /p/, /t/, /k/, /p’/, /t’/, /k’/, /ph/, /th/, /kh/의 폐쇄와 기식 구간의 길이, 폐쇄와 기식 구간의 비율을 살펴보았고, 청지각적 측면에서는 대치 오류 횟수와 그 유형을 분석하여 음향학적 분석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첫째, 폐쇄와 기식 구간 길이는 소뇌성 다계통위축증 환자군이 유의하게 길게 나타나 느린 속도를 보였다. 둘째, 폐쇄+기식 구간에서 기식 구간이 차지하는 비율은 격음에서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군이 유의하게 길었다. 이에, 기식성이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군의 파열음 조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반면, 소뇌성 다계통위축증 환자군은 연구개 경음에서 유의하게 짧은 폐쇄 구간과 긴 기식 구간 비율을 보였다. 셋째, 소뇌성 다계통위축증 환자군은 후두의 개 · 폐 속도가 현저하게 느려 평음을 동일한 위치의 경음 또는 격음화하는 조음 방법 오류가 빈번하였고, 특발성 파킨슨병 환자군은 혀의 움직임이 저하되어 치조 파열음을 연구개 파열음으로 대치하는 조음 위치 오류가 빈번하였다. 논의 및 결론: MSA-C 환자들과 IPD 환자들은 후두 및 조음 기관의 협응에 어려움으로 파열음의 삼중대립 산출에 어려움을 보이기는 하나 그 양상은 서로 달랐다. 또한, 주된 대치 오류 유형 또한 변별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특발성 파킨슨병과 소뇌성 다계통위축증 환자군의 우리말 파열음의 특성을 객관적 및 주관적 평가를 통해 비교 분석해 보고, 감별 정보로 활용할 수 있는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Korean stop consonant production in patients with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IPD) and Multiple System Atrophy-cerebellar variant (MSA-C) in aiding in differentiating the two types of diseases with Parkinsonism in common. Method: We included a total of 30 subjects (M:F=15:15) (10 with IPD, 10 with MSA-C, 10 age-matched normals). The subjects were to produce nine Korean stops, /p/, /p’/, /ph/, /t/, /t’/, /th/, /k/, /k’/, /kh/ embedded in VCV contexts. The speech data were analyzed with the Praat program, and the analyses included length and ratio of closure sections and aspiration sections; speech rate, variability across repeated measurements; and error patterns based on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Results: The MSA-C group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longer duration than IPD and normal control groups in closure and aspiration sections in seven and two consonants, respectively. Within the combined closure and aspiration sections, the IPD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aspiration duration ratio for all the aspirated consonants /ph/, /th/, /kh/ than MSA-C and normal control groups. The MSA-C group frequently manifested substitution errors of lax consonants with tense or aspirated consonants. The IPD group substituted dental plosives with velar plosives. Conclusion: Difficulty in coordinating between the laryngeal and articulatory gestures in MSA-C and IPD groups is differentially manifested in absolute and relative measures of duration of closure and aspiration segments in stop consonants. In addition, the reduced laryngeal-articulatory movements appeared auditory-perceptually as erroneous substitutions of lax consonants with tense or aspirated consonants. Further studies are warranted to investigate more diverse severities of patients with high volume recruitment.

      • KCI등재

        Utterance-Level Word Class Characteristics in Normal Elderly Women

        김지영(Jiyoung Kim),서상규(Sangkyu Seo),조성래(Sung-Rae Cho),김향희(HyangHee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3

        배경 및 목적: 자발화에 나타난 품사를 살펴봄으로써 화자의 표현 언어를 문법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노년층과 청년층의 품사 산출 양상을 비교하여, 노년층의 발화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노년층 35명, 청년층 35명에게 자발화를 수집하였고, 산출한 품사는 형식, 기능, 의미에 따라 나누었다. 이에 따른 품사의 빈도수와 유형수, 어휘다양도의 수치를 나타내었다. 결과: 형식적 분류에서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빈도수와 유형수 모두 가변어를 적게, 불변어를 많이 사용하였고, 가변어의 어휘다양도는 노년층이 낮았다. 기능적 분류에서 노년층은 체언에서는 빈도수를 많이 사용하였으나, 용언에서는 빈도수와 유형수 모두 적게 사용하였고, 용언의 어휘다양도는 노년층이 낮았다. 수식언은 빈도수를 적게, 독립언은 빈도수를 많이 산출하였다. 의미적 분류의 품사는 노년층이 대명사에서 빈도수와 유형수 모두 많이 산출하였고, 동사에서는 빈도수를 많이 사용하였지만, 동사의 어휘다양도는 낮게 나타났다. 형용사와 부사에서는 노년층이 빈도수와 유형수 모두 적게 산출하였다. 추가분석으로, 용언의 양상을 관형적용법, 서술적용법으로 나누었다. 노년층은 청년층에 비해 서술적용법의 사용 비율이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노년층은 청년층과 비교하여 품사 산출 양상이 달라지는 것을 밝혔다. 품사의 세 가지 분류방법을 통해 여러 측면에서 특징을 분석하였고, 빈도수, 유형수, 어휘다양도를 측정하여 양적 측면뿐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 발화 특성을 살펴보았다. Objectives: Expressive language ability can be analyzed grammatically by examining the production of word class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people's utterances by looking at word classes in spontaneous speech. Methods: Spontaneous speech from 35 young females and 35 elderly females was collected. Word classes were divided by three criteria (form, function, and meaning). The real usage frequency of each instance of a word class (token)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each word class (type), type-token ratio (TTR), were calculated. Results: For the form category, in both type and token count, the use of inflected words was lower among elderly people, while the use of uninflected words was higher. TTR of inflected words was lower in elderly people. For the functional category, the tokens for substantives were higher among elderly people, while both the types and tokens of inflectional words were lower. For the semantic category, the tokens for verbs were higher but TTR of verbs was lower. The tokens and types for adjectives were both lower among elderly people. Additional experiments showed that the predicative use of inflectional words is more frequent than the attributive use among the elderly. Conclusion: This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ree word class criteria to find various speech characteristics. Further study on word class in language production needs to be conducted while considering factors, such as education and gen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