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도서관 업무의 시대별 변천에 따른 특성 연구

        조철현,Cho, Chul-Hyu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웹의 진화에 따른 도서관의 대응을 도서관1.0, 도서관2.0, 도서관3.0으로 시대 구분하여 대학도서관 업무의 변화를 알아보고, 시대별 변화에 따른 업무의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와 사례를 통한 직무분석과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나타난 연구 결과, 첫째, 도서관1.0 시대에서 시작하여 도서관3.0 시대로 계속 이어지는 업무 170개, 도서관2.0 시대에서 시작하여 도서관3.0 시대로 이어지는 업무 58개, 도서관1.0 시대에서 시작하여 도서관2.0 시대로 이어지는 업무 3개, 도서관1.0 시대에만 존재한 업무 3개, 도서관2.0 시대에만 존재한 업무 1개, 도서관3.0 시대에 새롭게 생성된 업무 25개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5개 직무영역의 세부적인 부분을 포괄하는 전체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경영관리의 경우, 중요도, 난이도, 빈도 모두가 시대별로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장서개발 및 관리의 경우, 중요도, 난이도, 빈도 모두가 도서관2.0 시대에서 도서관3.0 시대로만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자료조직의 경우, 중요도는 도서관1.0 시대에서 도서관2.0 시대로 유의미하게 하락하고, 빈도는 시대별로 유의미하게 하락하며, 난이도는 시대별로 유의미한 변화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용서비스의 경우, 중요도는 시대별로 유의미하게 상승하며, 난이도는 도서관1.0 시대에서 도서관2.0 시대로만 유의미하게 상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빈도는 시대별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정보시스템 구축 및 관리의 경우, 중요도 및 빈도는 시대별로 유의미하게 상승하며, 난이도는 시대별로 유의미하게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ansition of academic libraries' jobs by developing a model based on a shift of library generations including Library 1.0, Library 2.0, and Library 3.0 corresponding to the shift of web generations and to explore generational characteristics of library duties as well. The research used three phases of procedure: literature review about different library generations; job analyses for academic libraries in South Korea and the U.S.A.; the Delphi technique in tree sequential order.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ere 170 duties that continued from Library 1.0 to Library 3.0. There were 58 duties which continued from Library 2.0 to Library 3.0 whereas three duties that continued from Library 1.0 to Library 2.0. In addition, three distinctive duties existed only in Library 1.0 whereas one unique duty was only in Library 2.0. Library 3.0 generated 25 new duties. Secondly, considering general characteristics which cover specific parts of individual dutie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library administration throughout the three generations. In terms of importance, difficulty, and frequency of collection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nly from Library 2.0 to Library 3.0. Considering information organiz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importance from Library 1.0 to Library 2.0.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frequenc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iculty throughout the three generations. In the case of information service,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importance among three genera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difficulty only from Library 1.0 to Library 2.0. However, there was no generational difference in frequency. With the respect of information system development and managemen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importance and frequency throughout the three generation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ifficulty among three generations.

      • 상완 골두 골괴사증에서의 관절경하 핵심 감압술 - 수술 술기 -

        조철현,손승원,배기철,김동후,Cho, Chul-Hyun,Sohn, Sung-Won,Bae, Ki-Cheor,Kim, Dong-Hoo 대한관절경학회 2009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3 No.2

        목적: 상완 골두 골괴사증에서의 관절경하 핵심 갑압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후방 및 전방 삽입구를 이용하여 진단적 관절경을 시행하고 견봉 외측 연의 전방 1/3 부위의 3 cm 하방에 2cm의 천공술을 위한 삽입구를 만든 후, 유도핀 삽입시 주위 연부 조직 손상을 막기 위해 짧게 만든 회색 도관를 위치시킨다. C-형 투시 장치를 견관절의 전후방에 정확히 위치시키고, 관절경을 통해 상완 골두의 관절면을 관찰하면서 3~4개의 유도핀을 괴사 부위에 삽입한 후 7.0 mm 확공기를 이용하여 천공술을 시행한다. 결론: 본 술기는 기존의 삼각흉근 도달법을 이용한 개방적 핵심 감압술에 비해 합병증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견관절내 병변의 진단 및 치료를 동시에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술후 통증 및 재활에 유리하여 초기 상완 골두 골괴사증의 치료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introduce arthroscopic assisted core decompression for humeral head osteonecrosis. Operative technique: After diagnostic shoulder arthroscopy is performed using posterior and anterior portal, we make a 2 cm lateral skin incision approximately 3 cm distal to 1/3 of lateral margin of the acromion and place short gray cannula to prevent adjacent soft tissue injury when insert guide pin. Under C-arm fluoroscopic and arthroscopic guidance, 3 to 4 guide pins are inserted toward the necrotic area. Then we perform drilling using 7.0 mm reamer. Conclusion: We believe this technique is a less invasive approach and avoids the complications comparing to deltopectoral approach. Arthroscopic assisted core decompression is an effective procedure in management of early stage of the humeral head osteonecoris.

      • 전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소절개 회전근 개 봉합술 - 수술 술기 -

        조철현,손승원,배기철,이경재,서혁준,Cho, Chul-Hyun,Sohn, Sung-Won,Bae, Ki-Cheor,Lee, Kyung-Jae,Seo, Hyuk-Joon 대한관절경학회 2010 대한관절경학회지 Vol.14 No.1

        목적: 회전근 개 파열에서의 전외측 도달법을 이용한 소절개 봉합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전신 마취하에 측와위 자세를 취한 후 후방 삽입구, 전방 삽입구를 이용하여 관절내 병변의 유무를 확인하고, 관절경을 견봉하 공간에 위치시킨 후 외측 삽입구를 이용하여 회전근 개의 파열 형태 및 크기를 파악한 후 관절경하견봉 성형술을 시행한다. 견봉의 전외측 연에서 하방으로 3~4 cm의 피부 절개를 가한 후 전방 및 중간 삼각근의 봉합선을 따라 박리하고 삼각근 견인기를 이용하여 시야를 확보한다. 파열된 건에 견인 봉합을 시행하여 해부학적 복원을 위한 위치를 확인한 후 봉합 나사를 이용하여 일열 혹은 이열 봉합술을 시행한다. 봉합술 후 견봉에서 삼각근이 견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1번 흡수봉합사를 이용하여 견봉과 삼각근과의 추가적인 봉합을 시행한다. 결론: 본 술기는 회전근 개의 가장 흔한 파열 부위인 극상건의 전방부에 직접 도달이 가능하고, 전방 및 중간 삼각근 사이로 접근하기 때문에 삽입구 연장 도달법에 비해 비교적 적은 견인으로도 시야를 확보할 수 있으며 전방으로는 견갑하건의 상부와 후방으로는 극하건까지 도달할 수 있는 유용한 술식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introduce arthroscopically assisted mini-open rotator cuff repair using anterolateral approach. Operative Technique: Placing lateral decubitus position on general anesthesia, a standard arthroscopic glenohumeral examination is performed to evaluate lesions of shoulder joint through posterior and anterior portal. And then arthroscope is placed in the subacromial space and we evaluate the size of the torn tendon and perform arthroscopic acromioplasty through lateral portal. A 3 to 4 cm skin incision is performed from anterolateral edge of acromion to distal and dissected along to raphe between anterior and middle deltoid. A deltoid retractor is then placed, allowing direct visualization of the rotator cuff and humeral head. As torn tendon is tagged by traction suture, we try to anatomical reduction on the footprint and then perform single row or double row repair of the rotator cuff using suture anchors. To prevent avulsion of the deltoid from the acromion, additional sutures by bone tunnel with acromion and deltoid is performed. Conclusion: This technique is useful procedure to get direct approach to anterior portion of supraspinatus tendon and to need lesser deltoid retraction than portal extension approach due to dividing along to raphe between anterior and middle deltoid. Also it provide better visualization of the superior portion of subscapularis and infraspinatus.

      • KCI등재

        회전근 개 봉합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한 경정맥 자가 통증 조절법에서의 성별에 따른 차이

        조철현(Chul Hyun C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1

        목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통증 조절을 위해 시행한 경정맥 통증 자가 조절법의 효용성를 알아보고 성별에 따른 통증 조절 정도 및 부작용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총45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남자 군이 21예, 야자 군이 24예였다. 두 군간의 통증 정도, 재원 기간, 술 후 재활의 기간, 추가적 주사 진통제의 사용 횟수, 약물 부작용 등을 조사하였다. 통증의 정도는 visual analogue scale (VAS)를 이용하여 수술 전, 수술 직후, 수술 후 1일째부터 5일째까지 매일 일정한 시간에 환자 스스로 측정하게 하였다. 결과: 두 군 간의 나이, 체 질량 지수, 파열의 정도, 수술 시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전체 환자에서 수술 전 및 술후 5일째까지 매일 측정한 VAS 점수는 평균 7,6,8,0,5,2,4,0,4,0,3,6,3,0점이었다. 술 전, 수술 직후, 술 후 1일에서 4일째까지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으나, 술 후 5일째에 시행한 VAS 점수는 남자 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전체 약물 부작용으로 변비가 35.6%, 오심이 28.9%, 어지러움 22.2%, 구토 15.6%순 이었다. 술 후 추가적 주사 진통제의 시용 횟수는 남자 군에서 평균 1.7회, 여자 군에서 3.6회였으며, 부작용으로 인해 통증 지자가 조절 장치를 중단한 경우가 각각 3예(14.3%), 5예(20.0%)를 보였다. 약물 부작용, 술 후 추가 진통제의 사용 횟수, 부작용으로 인해 통증 자가 조절 장치를 중단한 경우 모두 남자 군에서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VAS 점수는 술 후 5일째 남자 군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재원 기간도 남자군에서 통제적으로 유의하게 짧아 술 후 통증 조절에서 남녀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acy and gender-related difference of intravenous patient-controlled anesthesia (IV PCA)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patients undergoing rotator cuff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Forty-five patients undergoing rotator cuff repair had their postoperative pain controlled using IV-PCA. There are 21 males and 24 females. The results of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prospectively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score (VAS score) measured before and until 5 days after surgery, hospital stay,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additional analgesics consumption and medication-related adverse effects. Results: There was no difference in age, body mass index, tear size and operative time between the groups. The mean VAS scores measured before and until the 5th postoperative day were 7.6, 8.0, 5.2, 4.0, 4.0, 3.6 and 3.0.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VAS score on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day and until 4th postoperative day. Significant pain relief was noted in the male group on the 5th postoperative day. In medication-related adverse effects encountered were constipation (35.6%), nausea (28.9%), dizziness (22.2%) and vomiting (15.6%). The consumption of additional analgesics was 1.7 and 3.6 times in the male and female group, respectively. Three (14.3%) and 5 (20.0%) patients in the male and female group, respectively, had their IV PCA stopped because of medication-related adverse effects. Although lower in the male group,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dication-related adverse effects, additional analgesics consumption and stop IV PCA. Conclusion: There were gender-related differences in IV PCA for postoperative pain control in rotator cuff repair, such 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VAS score on the 5th postoperative day and a shorter hospital stay in the male group.

      • KCI등재

        회전근 개 파열 없이 발생한 상완 이두근 장두의 단독 내측 탈구

        조철현(Chul-Hyun Cho),이경재(Kyung-Jae Lee),배기철(Ki-Cheor Ba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상완 이두근 장두의 내측 아탈구나 탈구는 회전근 개의 파열에서 동반될 수 있는 소견으로, 특히 견갑하건의 파열에서 비교적 흔히 볼 수 있는 병변이다. 그러나 회전근 개의 파열 없이 발생한 상완 이두근 장두의 단독 내측 탈구는 극히 드물며, 현재까지 Gambill 등이 보고한 회전근 개 파열 없이 외상성 후방 탈구 후 회전 간격의 파열에 의해 발생한 상완 이두근 장두의 단독 내측 탈구 1예 이 외에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회전근개의 파열 없이 발생한 상완 이두근 장두의 단독 내측 탈구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Medial subluxation or dislocation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is often linked to rotator cuff tear, especially a tear of the subscapularis tendon. Isolated medial dislocation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without rotator cuff tear is extremely rare. There has been only one published report of an isolated dislocation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with intact subscapularis and supraspinatus tendons after traumatic posterior dislocation, by tear of the rotator interval. We report a case of isolated medial dislocation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without rotator cuff tear and include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소아 상완골 외과 골절 -158예의 역학적 분석-

        조철현 ( Chul Hyun Cho ),송광순 ( Kwang Soon Song ),손승원 ( Sung Won Sohn ),배기철 ( Ki Chul Bae ),이정훈 ( Jung Hoon Lee ) 대한골절학회 2006 대한골절학회지 Vol.19 No.4

        목적: 소아 주관절 주위 골절에서 두 번째로 빈도가 높은 소아 상완골 외과 골절의 역학을 조사하여 여러 인자들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 4월부터 2006년 3월까지 소아 상완골 외과 골절로 치료받은 158예를 대상으로 성별, 연령 분포, 계절별 빈도, 원인, 골절 유형, 치료 방법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남아가 113예 (72%), 여아가 45예 (28%)였으며, 연령 분포는 최저 1세 3개월, 최고 11세 3개월로 평균 5.4세였다. 계절별로는 봄이 43예 (27%), 여름이 44예 (28%), 가을이 48예 (30%), 겨울이 23예 (15%)로 계절적으로는 옥외 활동이 활발한 계절에 호발하였다. 원인은 놀이터에서의 사고가 39예, 스포츠 활동이 32예, 교통 사고가 17예, 집에서의 실족 사고가 15예, 집에서의 낙상 사고가 14예, 친구와 장난치다 넘어진 경우가 6예, 계단 보행 중 실족이 6예, 2층 이상 높이의 추락 사고가 4예,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25예였다. 골절의 전위 정도는 Jakob stage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I형이 42예, II형이 77예, III형이 39예였다. 치료는 34예에서 석고고정술, 68예에서 도수 정복술 및 경피적 K-강선 고정술, 56예에서 관혈적 정복술 및 K-강선 고정술을 시행하였다. 놀이 기구 및 스포츠활동 중 사고나 교통 사고가 많은 원인을 차지하며 (56%), 이 경우 골절의 전위가 심하여 수술적 가료를 한 경우가 많았다 (94%). 결론: 옥외 활동이 많은 계절에, 특히 유치원이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아동에게 놀이 기구 및 스포츠 활동과 교통 사고로 인한 골절의 예방을 위한 안전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analyze the correlation of various factors by examining the epidemiology of lateral condylar fracture of the humerus which is the second most fracture among elbow fractures in children. Materials and Methods: Of 158 cases treated for lateral condylar fracture of the humerus in children from April 1996 to March 2006, their age and sex distribution, the seasonal frequency, etiology, type of fracture, method of treatment, etc.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Boys were 113 cases, girls were 45 cases, and the mean age was 5.4 years. Regarding the seasonal occurrence, spring 43 cases, summer 44 cases, autumn 48 cases, and winter 23 cases had occurred. It occurred preferentially during the season when outdoor activity was most active. As its etiology, the accident in a playground was 39 cases, sports activity was 32 cases, traffic accident was 17 cases, slipping accident at home was 15 cases, falling accident at home was 14 cases, slip while playing with friends was 6 cases, a missing step while walking on stairs was 6 cases, fall from a height more than 2 floors was 4 cases, and the cases with unknown cause were 25 cases. According to the Jakob stage, the stage I was 42 cases, the stage II 77 cases, and the stage III was 39 cases. As treatment, cast immobilization was performed in 34 cases, closed reduction and percutaneous K-wire fixation was performed in 68 cases, and open reduction and K-wire fixation was performed in 56 cases. The prevalent causalities were play devices, accident during sports activity, and traffic accident, and in such cases, the displacement of fracture was severe and thus surgical treatments were performed in many cases (94%).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during the season when outdoor action is active, particularly, for kindergarten children or the lower grade primary school children, safety education is required to prevent the fracture by play devices, sports activity and traffic accident.

      • KCI등재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삶의 질은 언제 좋아지는가?

        조철현(Chul-Hyun Cho),임영재(Young Jae L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4

        목적: 회전근 개 봉합술 후 언제부터 삶의 질이 좋아지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봉합술을 시행한 85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술 전, 술 후 3, 6, 12개월째 견관절 동통 및 기능 평가를 위해 visual analogue scale (VAS),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cale (UCLA),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ale (ASES), Korean Shoulder scale (KSS) 점수를 측정하였고,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점수를 측정하였다. 구간별 호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해 I구간(술 전-술 후 3개월), II구간(술 후 3개월-6개월), III구간(술 후 6개월-12개월)으로 나누어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WHOQOL-BREF 점수는 술 전 58.8점에서 술 후 12개월째 66.4점으로 증가하였으며, VAS, UCLA, ASES, KSS 점수와 함께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구간별 호전 양상을 분석한 결과, I구간에서는 모든 평가 점수가, II구간에서는 VAS, UCLA, KSS 점수가, III구간에서는 UCLA 점수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여자가 남자에 비해 술 후 12개월째 모든 도구 평가에서 열등한 임상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 술 후 3개월째에 동통 감소 및 기능 회복과 함께 삶의 질이 향상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 후 임상적 결과의 추가적 호전은 술후 12개월까지 서서히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n the quality of life improve after rotator cuff repair. Materials and Methods: Eighty-five consecutive cases with rotator cuff repair were studied. Patients completed the visual analogue scale (VAS),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scale (UCLA),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ale (ASES), Korean Shoulder scale (KSS),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preoperatively and at postoperative 3, 6, and 12 months. For evaluation of serial recovery pattern, section I (preoperatively-postoperative 3 months), section II (postoperative 3 months-postoperative 6 months), and section III (postoperative 6 months-postoperative 12 months) were divided. Results: The mean WHOQOL-BREF score was significantly improved from 58.8 preoperatively to 66.4 at postoperative 12 months, with improvement of VAS, ULCA, ASES, and KSS scores. On serial recovery pattern, all measurements in section I, VAS, UCLA, and KSS scores in section II, and UCLA score in section III, were significantly improved. Female sex had a negative effect on all outcome measurements at postoperative 12 months. Conclusion: Our results showe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as well as reduced pain and increased function at 3 months after rotator cuff repair. Further recovery of clinical outcomes showed gradual progress until postoperative 12 months.

      • KCI등재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의 Endobutton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

        조철현(Chul-Hyun Cho),정구희(Gu-Hee Jung),신홍관(Hong-Kwan Sin),이영국(Young-Kuk Lee),박진현(Jin-Hyun Park)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1 대한견주관절학회지 Vol.14 No.1

        목적: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 Endobutton을 이용한 오구 쇄골 인대 보강술을 시행하고 그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0월부터 2009년 9월까지 오구 쇄골 인대 손상이 동반된 Neer 제 2형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로 TightRope<SUP>®</SUP> 고정술을 시행하고 1년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연속적 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적 평가는 단순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오구 쇄골 간격 측정 및 골유합을 판단하였고, 임상적 평가는 ASES 평가 점수를 이용하였다. 결과: 8예 (88.9%)에서 골유합을 얻을 수 있었으며, 평균 골유합 기간은 12.9 (9~16)주였다. 술 후 및 최종 추시 평균 오구 쇄골 간격은 5.6 mm, 6.2 mm로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정복의 소실은 없었다 (p>0.05). ASES 점수는 평균 90.3 (78~96)점으로 우수 6예, 양호 2예, 보통 1예였으며, 8예 (88.9%)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합병증으로 1예에서 초기 정복 소실로 인하여 불유합이 발생하였으며, 보통의 임상적 결과를 보였다. 그 외 고정물의 파손 및 감염등의 합병증은 없었다. 결론: 불안정성 쇄골 원위부 골절에서 TightRope<SUP>®</SUP> 고정술은 고정물의 제거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이 있으며, 원위 골편의 고정이 어려운 골절에서 안정된 고정을 얻을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adiologic and clinical outcomes after operative treatment using endobuttons for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October 2007 and September 2009, 9 consecutive patients who were followed up for at least more than 12 months after operative treatment using a TightRope<SUP>®</SUP> were studied. The radiologic results on the serial plain radiographs and the clinical results according to the American Shoulder Elbow Surgeons (ASES) score were analyzed. Result: Bony union was shown in 8 cases (88.9%) and the average time to union was 12.9 (range: 9~16) weeks. The average coracoclavicular distances at the postoperative and final follow-up were 5.6 mm and 6.2 mm, respectively,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The average ASES score was 90.3 (range: 78~96) and the clinical outcomes were 6 excellent, 2 good and one fair. There were no complications such as implant failure or infection except for one case of nonunion due to loss of the initial reduction. Conclusion: A major advantage of TightRope<SUP>®</SUP> fixation for unstable distal clavicle fractures is that no further surgery is needed to remove the implant. We suggest that this technique provides an alternative for fracture with a distal fragment, which is difficult to fix.

      • KCI등재

        동결 견 환자에서의 수면 상태 및 삶의 질 평가

        조철현(Chul-Hyun Cho),정성원(Sung-Won Jung),손은석(Eun-Seok Son),황일선(Il-Seon Hwang)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3

        목적: 동결 견 환자에서의 수면 상태 및 삶의 질을 평가하고, 동통과 기능 제한이 수면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특발성 동결 견으로 진단된 30명의 환자군과, 60명의 건강 대조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통과 기능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ore (ASES) 및 Korean Shoulder Score (KSS) 점수를 측정하였고, 수면 상태 및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PSQI) 및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점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평균 PSQI 점수는 환자군에서 8.6점으로 대조군의 4.1점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86.7%의 높은 수면 장애의 발생률을 보였다. WHOQOL-BLEF 점수는 환자군에서 77.6점으로 대조군의 93.6점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증상 기간, VAS, ASES, KSS 점수는 PSQI 및 WHOQOL-BLEF 점수와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ASES 점수는 WHOQOL-BLEF의 하부 척도인 신체적 건강과 KSS 점수는 전반적인 삶의 질 및 신체적 건강과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동결 견 환자들은 심한 통증과 일상 생활에서의 기능 제한을 가지며, 높은 수면 장애의 발생률과 함께 낮은 삶의 질 수준을 보였다. Purpos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assess sleep status and quality of life (QOL) i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and to evaluate correlations between pain, disability, sleep disturbance and QOL.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patients with idiopathic frozen shoulder and 60 healthy controls were enrolled into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evaluated using the following: visual analogue scale (VA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ore (ASES), Korean Shoulder Score (KSS), Pittsburg Sleep Quality Index (PSQI), 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Results: The mean VAS, ASES, and KSS scores in patient groups were 6.5, 40.3, and 45.1, respectively. The mean PSQI score was 8.6 in the patient group and 4.1 in the control group. Patient groups had signifi cantly high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for the PSQI score (p<0.05). The incidence of sleep disturbance was 86.7%. The mean WHOQOL-BLEF score was 77.6 in the patient group and 93.6 in the control group. The patient group was signifi 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WHOQOL-BLEF score (p<0.05).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 cant correlations with PSQI and WHOQOL-BLEF scores regarding duration of symptoms, VAS, ASES, and KSS scores (p>0.05). The ASES sco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hysical health domain and KSS score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verall QOL and physical health domain of the WHOQOL-BLEF (p<0.05). Conclusion: Patients with frozen shoulder had noticeable pain and functional disability. Furthermore, they had signifi cant incidence of sleep disturbance and had a signifi cantly lower QOL.

      • KCI등재

        후방 이중 금속판 고정술을 이용한 상완골 원위 간부 골절의 치료

        조철현 ( Chul-hyun Cho ),정광영 ( Kwang-yeung Jeong ),김범수 ( Beom-soo Kim ) 대한골절학회 2017 대한골절학회지 Vol.30 No.3

        목적: 상완골 원위 간부 골절에서 후방 이중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한 후 치료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7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상완골 원위 간부 골절에서 후방 이중 금속판 고정술을 시행하고 최소 6개월 이상 추시 관찰이 가능하였던 1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후방 도달법을 통해 요골 신경의 박리 없이 위치만 확인한 다음 짧은 3.5 mm 금속판을 이용하여 골절의 안정화를 이룬 후 추가로 3.5 mm 금속판 고정을 시행하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로 골유합을 확인하였고, MEPI 점수로 임상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결과: 11예(91.7%)에서 골유합을 얻었고, 평균 유합 시기는 13.9주였다. 지연 유합의 1예에 대해서는 술 후 8개월째 자가 장골 이식술 후 골유합을 얻었다. 평균 MEPI 점수는 95.8점이었으며, 우수가 9예, 양호가 3예였다. 1예에서 술 후 일시적인 요골 신경 마비가 발생하였으나 술 후 4일째 완전 회복되었고, 이소성 골화에 의한 주관절 강직이 1예 있었다. 결론: 상완골 원위 간부 골절에서 후방 이중 금속판 고정술은 만족할 만한 임상적 및 방사선적 결과를 보였으며, 요골 신경의 박리 없이 안정된 고정을 할 수 있는 유용한 수술 방법의 하나로 판단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results and efficacy of posterior dual plating for distal shaft fractures of the humeru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12 patients, who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using posterior dual plating for distal shaft fractures of the humerus, between July 2007 and July 2015, with at least 6 months of follow-up. After locating the radial nerve without dissection via posterior triceps splitting, the fracture was stabilized using a short 3.5 mm locking compression plate. Then additional fixation, using a long 3.5 mm locking compression plate, was performed. The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in accordance with the Mayo Elbow Performance Index (MEPI) scoring system, and the radiological outcomes were assessed using serial plain radiographs. Results: Eleven patients (91.7%) had bony union, and the mean union period was 13.9 weeks. In one patient, delayed union was treated by autogenous iliac bone graft at 8 months after surgery, which resulted in bony union. The mean MEPI score was 95.8, and the clinical outcomes were excellent in 9 patients and good in 3 patients. Postoperative complications included 1 elbow stiffness by heterotopic ossification and 1 temporary radial nerve palsy. One patient with temporary radial nerve palsy was completely recovered within the first 4 days after surgery. Conclusion: Posterior dual plating for distal shaft fractures of the humerus revealed satisfactory clinical and radiological outcomes. It can be a useful alternative to provide stable fixation without the need for a dissection of the radial ner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