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책 아이디어와 서울시 정책변동 - 공정 가치를 중심으로 한 박원순 시정과 오세훈 시정의 정책 담론 비교분석 -

        이주하 ( Jooha Lee ),백두산 ( Doosan Paik ),박치성 ( Chisung Park ) 한국정책학회 2023 韓國政策學會報 Vol.32 No.3

        본 연구는 오세훈 시장 1기, 박원순 시장, 오세훈 시장 2기의 주요 정책 담론은 무엇이며, 한국 사회의 주요 화두로 떠오른 ‘공정’이라는 정책 아이디어가 정책변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비교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공정성의 유형화를 제시한 후, 언어 중심 담론분석과 방법론적 다중주의에 의거해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유의어 분석 및 전문가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의 적절한 조화를 추구하였다. 분석결과, 오세훈 시장에게 있어 공정의 의미는 1기와 2기에 걸쳐 법원칙의 공정이라는 측면에서 유사하였지만, 1기에서는 공정을 시장의 투명한 거래 및 공직사회의 공정으로 한정하였고 절차적 차원의 공정에 치중한 반면, 2기에서는 여러 공공가치를 포괄하면서 결과적 차원의 공정성도 함께 부각되었다. 이러한 정책 담론의 변화는 불평등이 심화된 사회경제적 환경, 오세훈 1기 실패의 정책학습, 박원순 시정 유산의 경로의존성 등이 영향을 미친 것이라 할 수 있다. 박원순 시장의 경우 공정의 의미가 반칙 및 특혜에 의한 불평등을 바로 잡고 공평한 공동체의 상생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세훈 시장과 달리 재분배 중심의 결과적 차원의 공정성이 중시되었다. 하지만 서울시정에 있어서 공정 담론의 등장이 정책결과 차원에서 어느 정도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왔는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ain policy discourses of Mayor Oh Se-hoon and Mayor Park Won-soon, and how the policy idea of “fairness,” which has emerged as a key buzzword in Korean society, affected policy changes. For this, the study presented the typology of fairness and sought an appropriate harmony betwee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ologies by conducting network text analysis, Word2Vec analysis, and expert surveys based on language-oriented discourse analysis and methodological pluralis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eaning of fairness for Mayor Oh was similar in terms of the fairness of the legal principles for the first and second terms. However, in the first term, fairness was limited to transparent transactions in the market and fairness in the management of public office, and focused on fairness at the procedural level, while in the second term, fairness at the outcome level was also highlighted while encompassing various public values. These changes in policy discourse can be attributed to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in which inequality has intensified, policy learning of Oh’s first-term failure, and the path dependence of Park’s policy legacies. In the case of Mayor Park, the meaning of fairness was found to reduce inequality and pursue a fair community coexistence, and unlike Mayor Oh, emphasis was placed on fairness in the consequential dimension centered on income redistribution. Finally, there should be an additional analysis on to what extent the emergence of fair discourse in Seoul city administration has brought about substantial changes in terms of policy outcomes.

      • KCI우수등재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의 정책 프레임을 통한 주택정책 설계 분석

        백두산 ( Doosan Paik ),박치성 ( Chisung Park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2

        주택문제는 대한민국 역사를 관통하는 복잡한 정책문제로서, 정부의 주택문제 해결을 위한 막대한 정책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는 크게 나아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 원인을 찾기 위해 정책지향성 및 정책도구 논리로 구성되는 정책설계에 초점을 맞추어 국정운영의 핵심 행위자인 대통령의 정책지향성과 정책설계의 정합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각각의 대통령이 전국적으로 집값이 상승하는 유사한 상황에서 어떠한 정책 지향성을 제시했는지, 그리고 정책목표와 정책도구가 정합성을 갖춘 정책설계로 구현되었는지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활용하여 각 대통령의 연설문에서 복수의 정책 프레임을 도출하였고, 각각의 정책프레임을 ‘정책 지향성-정책도구(논리)’, ‘정책목표-정책도구’의 틀로 재구성하였다. 분석결과, 노무현 대통령은 상위 정책목적에서 정부주도의 지역균형개발로 대표되는 부동산 개발과 민생 안정을 위한 양극화 완화의 두 가지 지향성이 나타났으나, 하위수준의 정책목표에서는 양극화 완화를 위한 투기 억제 및 서민주거 안정만 등장하였고 부동산 개발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도구가 드러나지 않아 정책목표-정책도구 간 일부 부정합적인 모습이 발견되었다. 이명박 대통령은 시장주도 도구 논리에 기반하여 경제개발 중심의 정책지향성을 추진하기 위해 하위정책 목표로서 주택경기 활성화 및 서민주거 안정을 제시하였다. 경제개발을 위한 하위정책목표로서 주택경기활성화를 제시하며 규제완화를 정책도구로 사용하여 정합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임대주택 공급은 이전 정부 정책과 유사하게 국가주도로 추진하고자 함으로서 시장주도 도구 논리에 반하는 부정합적인 모습 또한 나타났다. 박근혜 대통령은 주택정책 부문에서 창조경제 활성화를 정책지향성으로 제시하였으나, 창조경제의 관점에서 주택문제 정의가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아 상위 정책지향성과 하위 정책목표 및 정책도구 간 정합성이 낮은 정책설계의 모습을 보였다. 상위 정책지향성 수준에서의 목표가 하위 정책프로그램 수준에서의 목표 및 도구와의 정합성이 있어야 성공적인 정책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는 기존연구 논의와 마찬가지로 본 연구의 분석결과 역시 정합성이 낮은 정책설계는 바람직한 정책 결과가 나타나지 못함을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정책목표 설정과정에서 정책을 둘러싼 맥락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반영된 정책문제 정의가 필요하다는 정책적 함의를 이끌어내었다. Housing issues are the complex policy problem that run through the history of Korea. Despite numerous government policies to solve the problem, efforts have not been fruitful. To explore causes of constant policy failures, we focused on policy design consisting of policy orientation and policy tool logic. In particular, the focus is on the congruence of policy design - whether congruence among policy orientations, policy goals, and policy tools were made consistently - suggested by the key policy decision maker, the President.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adopted network text analysis that is a suitable tool to analyze policy frames out of texts (i.e. the presidential speeches in this study). The study compared the housing policy design of the President Roh, Lee, and Park. First, while the President Roh showed two policy goals centering on state-led policy orientations, there was less congruent linkage between given policy goals and policy tools. Second, the President Lee promoted the market-driven policy orientation of economic development. There seemed to be congruent relations between the goal (i.e. market-driven housing ecomony) and the tool (i.e. deregulation). However, when it comes to the rental housing supply, the state-led policy tool was selected, which is incongruent with the market-based policy orientation. Finally, the President Park put ‘creative economy’ as policy orientation in the housing policy, but the link between the creative economy and the housing problem was ambiguous. In sum, less congruent policy design did not produce desirable policy results. The main reason for the policy design incongruence stems from overlooking the complex policy contexts surrounding housing policy problems. Setting up a congruent policy design requires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policy context.

      • Stakeholder framing, communicative interaction, and policy legitimacy: Anti-smoking policy in South Korea

        ( Chisung Park ),( Jooha Lee ) 한국정책학회 2019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Since the emergence of the argumentative turn in critical policy studies,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crucial role that language, context, and communicative practices play in the policy proces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mmunicative interaction between political elites and policy stakeholders in South Korea with a focus on anti-smoking policy in two different administrations: the Roh administration (2003-2008) and the Park administration (2013-2017). As a theoretical base, it proposes the demand-oriented approach to legitimacy which incorporates policy frame analysis with the notion of a three-tier policy structure (i.e.,policy goals, policy tools, and tool settings). In assessing policy legitimacy, the demand-oriented approach examines whether there is congruence between the three-tier policy structure and the corresponding stakeholder framing. In the Roh administration, policy frames among the three tiers of policy structure centered on public health promotion, whereas in the Park administration, they expanded to the domain of tax policy. The empirical findings lead us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stakeholders, which can be evidenced using policy frame analysis. If there is no hidden or pre-determined policy intention that could be detected by stakeholder framing, policy legitimacy is more likely to be guaranteed.

      • KCI우수등재

        정책 아이디어에 기반한 대통령별 공공가치 비교연구 - 대통령 연설문에 등장한 신공공관리와 후기신공공관리의 주요 가치를 중심으로 -

        박치성 ( Chisung Park ),백두산 ( Doosan Paik ) 한국정책학회 2021 韓國政策學會報 Vol.30 No.4

        신공공관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후기신공공관리 논의는 확대되고 있으나 실제 후기 신공공관리적 변화는 매우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통령의 정책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한국의 신공공관리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후기신공공관리적 변화를 포착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정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기 위해 Jørgensen과 Bozeman이 제시한 공공가치 분류를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대통령의 연설문에서 주요 공공가치를 도출하였고, 단어 임베딩을 통해 공공가치의 의미론적 유사어를 검토하여 공공가치의 의미를 명확히 하였다. 그리고 공공가치 간 관계를 추출한 후(코사인 유사도 활용) 공공가치 의미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대통령별 정책 아이디어를 비교분석했다. 분석결과, 동일한 공공가치라고 하더라도 대통령 간 이해하는 방식에는 차이가 있었는데 이명박, 박근혜 대통령은 신공공관리의 정책 아이디어가 명료했으나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은 다소 완화된 신공공관리적 해석이 관찰되었다. 문재인 대통령의 경우 후기신공공관리적 이해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한국의 신공공관리는 행정환경과 정책맥락이 고려된 재해석된 신공공관리로서, 최근에는 후기신공공관리적 해석이 두드러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정책 아이디어와 관련된 담론적 제도주의 논의를 뒷받침할 수 있는 방법론(경험적 분석틀)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기여가 크다. Despite the criticism of new public management(NPM), discussions on post-NPM are slow to root in the government management.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oncept of Korean NPM(its interpretation and change) focusing on the pesidents’ policy ideas, and capture the emergence of post-NPM initiatives. The policy idea is embodied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public values suggested by Jørgensen and Bozeman. Specifically, major public values are derived from the speeches of the five presidents(Kim Dae-jung, Roh Moo-hyun, Lee Myung-bak, Park Geun-hye and Moon Jae-in) through word embedding. The meanings of public values are clarified by examining semantic similar words. In addition, the relations between public values are extracted (using cosine similarity) and public value semantic networks are formed to compare policy ideas for each presid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even if the public value is the same, the interpretations of the presidents are different. Presidents Lee and Park had a clear idea of the NPM, but Presidents Kim and Roh show a weakened interpretation of the NPM. President Moon have the most clear understanding of post-NPM. In other words, the NPM in Korea is a reinterpreted NPM that takes the administrative environment and policy context into consideration, Lately, the policy ideas of post-NPM has a tendency to stand out. This article has a contribution in that it presents a methodology (empirical analysis framework) that can support the discursive institutionalism.

      • Identifying Policy Frame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Chisung Park(박치성),Junseok Lee,Doosan Paik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2019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학술대회발표논문집 Vol.2019 No.4

        The case study demonstrates the identification and changes of policy frames in major countries as the policy context changes. This research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extracting policy frames from texts through semantic networks. Specifically, we want to share the researchers’ concerns about how to code texts, how to identify subgroups, and how to reconstruct subgroups into policy frames. Readers are expected to gain better understanding of the usefulness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in constructing policy arguments. This case discusses issues which could arise when disassembling the texts (i.e., constructing co-occurrence matrix), network analysis techniques needed for frame analysis (i. e., centrality and modularity analysis), and the processes to identify policy frames.

      • SSCISCOPUSKCI등재
      • KCI등재

        양팔 로봇의 협조제어를 위한 최적 경로 설계

        박치성(Chisung Park),하현욱(Hyunuk Ha),이장명(Jangmyung Lee)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10 제어·로봇·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6 No.9

        This paper proposes a cooperative control algorithm for a dual-arms robot which is carrying an object to the desired location. When the dual-arms robot is carrying an object from the start to the goal point, the optimal path in terms of safety, energy, and time needs to be selected among the numerous possible paths. In order to quantify the carrying efficiency of dual-arms, DAMM (Dual Arm Manipulability Measure) has been defined and applied for the decision of the optimal path. The DAMM is defined as the intersection of the manipulability ellipsoids of the dual-arms, while the manipulability measure indicates a relationship between the joint velocity and the Cartesian velocity for each arm. The cost function for achieving the optimal path is defined as the summation of the distance to the goal and inverse of this DAMM, which aims to generate the efficient motion to the goal. It is confirmed that the optimal path planning keeps higher manipulability through the short distance path by using computer simulation.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this cooperative control algorithm experimentally, a 5-DOF dual-arm robot with distributed controllers for synchronization control has been developed and used for the experiments.

      • KCI우수등재

        집단-격자 문화유형의 소득재분배에 대한 영향 분석 - 퍼지셋 다중결합 인과관계를 중심으로 -

        박치성 ( Chisung Park ),신현중 ( Hyeon-joong Shin ),주재현 ( Jaehyun Joo ) 한국정책학회 2020 韓國政策學會報 Vol.29 No.4

        본 연구는 문화유형이 소득재분배에 어떤 원인조건으로 작용하는지, 그리고 문화요인이 다른 요인들과 어떤 조합의 형태로 소득재분배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집단-격자 문화이론과 비교복지정책 분야의 기존 문헌을 이론적 준거로 하고, 퍼지셋 질적 비교분석방법을 적용해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등주의 문화유형은 그 자체만으로도 소득재분배에 대한 충분조건이 됨과 동시에, 강한 노동조합, 높은 소득재분배수요, 그리고 경제적 상황과 결합하여 높은 소득재분배가 발생하는 원인조건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계층주의 문화유형의 경우, 그 자체로는 일관성이 높은 원인조건으로 나타나지 않았으나, 다른 변수와의 결합을 통해서(즉 경제 상황이 좋았을 때) 높은 소득재분배 효과를 야기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개인주의와 운명주의 문화유형은 그 자체로도, 그리고 다른 변수와의 조합에 의해서도 전혀 원인조건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평등주의적 국가에서는 경제성장률이 낮을 때 소득재분배 수준이 높아지는 반면, 계층주의적 국가에서는 경제성장률이 높을 때 소득재분배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전반적으로 집단-격자 문화이론을 토대로 한 본 연구의 추론 및 비교복지정책 분야의 기존 연구성과와 부합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첫째, 한국 사회의 문화유형이 계층주의와 유사하다는 측면에서 볼 때, 소득재분배가 높아지기 위해서는 경제성장이 동시에 수반되어야 한다. 둘째, 앞으로 한국 사회의 격자성은 점차 약화되지만 집단성은 약화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서 [집단 성향*강한 노동조합*높은 소득재분배수요]의 조합에서 미래의 처방책을 찾아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aim of the study is to explore compounding effects of the culture (i.e., grid-group cultural theory) with other contextual variables (such as policy demands on income-redistribution, economic growth, and strength of labor union) on income-redistribution as a result of the welfare policy. Focusing on 19 Western European and English-American countries, the study applies Fuzzy set qualitative comparative methods. Major findings are; 1) out of four typologies of the grid-group culture, the egalitarianism has independent influences on income-redistribution as a sufficient condition. 2) In the case of the collectivism, it does not have its independent effects, but combined with higher economic growth, it becomes a causal condition. However, 3) other two cultural typologies (i.e. individualism and fatalism) show no casual effect on income-redistribution. 4) While the level of income redistribution in egalitarian states increases when the growth rate of national economy decreases, vice versa effects happen in collectivistic countries. Policy implications for Korea can be drawn based on findings above. First, since Korean culture is similar to collectivism, it is necessary to simultaneously make economic growth in order to increase income redistribution. Second, “group*(strong) labor union*high income-redistribution demands” combination as a causal condition to income redistribution could be a policy recipe to make better of welfare policy in Korea, in the sense that it is expected that the grid would be weakened whereas the group would remain the same as now.

      • KCI등재
      • KCI등재

        정부정책에 대한 이해관계자 정책 프레임 비교연구: 금연정책을 중심으로

        박치성 ( Park Chisung ),백두산 ( Paik Doo-san ),정지원 ( Chung Chi-weon ) 한국행정연구원 2017 韓國行政硏究 Vol.26 No.1

        정부정책과 관련하여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자신의 주장을 관철하기 위하여 정책현상의 특정 측면을 부각시킴으로써 만들어낸 선택된 해석을 `정책 프레임`이라고 할 수 있다. 정책이해관계자들은 가치체계, 지식, 경험 등이 다르기 때문에 같은 정책현상에 대하여 서로 다른 정책프레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정책프레임의 차이와 유사점을 파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들의 정책주장을 담고 있는 텍스트를 대상으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의 금연정책중 2015년 담뱃값 인상을 중심으로, 이해관계자 간 정책프레임을 비교했으며 동시에 정책시행 이전과 이후에 나타난 정책프레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① 이해관계자들이 중심적으로 사용한 단어들을 가지고 정책시행 이전과 이후의 주요 관심사항을 비교했으며, ② 이해관계자들이 사용한 주요 단어들을 재구성하여 이해관계자의 구체적인 인식을 비교·분석하고, ③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통합한 사회인식(socio-cognitive)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주요 단어 및 통합인식을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여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주요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해관계자별로 관심사가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전문가집단(의료/보건)과 이익단체가 담뱃값인상 이후 비가격정책에 집중함으로써 정책 목표 달성에 관심도가 높았던 반면, 시민단체와 언론(보수/진보)은 담뱃값 인상에 의한 사회적 부작용에 집중하였다. 둘째,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 비가 격규제가 강조되었다. 담뱃갑 경고그림 삽입, 간접흡연 규제 등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으로 상당히 높은 공감대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담뱃값 인상에 대해 정부와 이해관계자 간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다. 담뱃값 인상 전에는 찬성, 반대, 신중 등 비교적 다양한 프레임이 등장하여 복잡한 상황이었으나 인상 이후 담뱃값 인상에 대해 정책실패로서 인식이 귀결되었으며 특히, 서민증세라는 프레임이 강하게 나타났다. In the context of government policy, policy stakeholders have their own respective perspectives or policy frames to highlight a specific aspect of the policy because they differ in value system, preferences, knowledge, and experiences. To identify the correspondence and difference of policy frames, this study carried out a text network analysis on texts containing policy claims of stakeholders. Specifically, we compared policy frames among seven stakeholders, focusing on the raising cigarette prices in 2015.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1) we compared policy frames of stakeholders by their types, and 2) we organized a socio-cognitive network, which integrates stakeholders` perceptions and analyzed the patterns of change before and after policy decision making. The main implication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terests of stakeholders vary considerably. While expert groups(medical/health) and interest groups focused on policy goals by concentrating non-pricing regulations after raising cigarette prices, civic groups and media (conservative/progressive) focused on social side effects caused by the raising cigarette prices. Second, non-price regulations were emphasized to lower the smoking rate. Cigarette box warning, and the regulation of secondhand smoke had a high social consensus. Finally, there was no consensus between the government and stakeholders regarding the increase in the price of cigarettes. Before the raising cigarette prices, a relatively wide range of frames including favor, opposition, and caution appeared, complicating the situation. However, the raising cigarette prices was recognized as a policy failure after the increase, in particular, the frame of the increase of the ordinary citizen tax was str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