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유형과 조직유효성에 대한 연구

        황창호(Hwang Chang Ho) 한국공안행정학회 201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경찰관들의 설문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 유형이 조직유효성의 산출변수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간 직무만족의 조절역할에 대하여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직무스트레스 유형 중에서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은 경찰관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역할과다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의 조절효과의 측면에서 역할갈등 및 역할모호성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연구에서는 좀처럼 시도하지 않던 접근방식을 통해 직무만족 변수가 경찰관들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조직몰입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대규모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Based on the data of the police officer survey,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types of job stress on the calculation variable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sum up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had nega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le role overload had no effect. Second, in term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served as the moderator in the relationship of role conflict, role ambigu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rough an approach seldom taken, it suggested job satisfaction variables can decrease job stress of police officers thus result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based on empirical analysis of mass data.

      • KCI등재

        레드테이프(Red Tape)의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황창호(Hwang, Chang-Ho) 한국공안행정학회 2015 한국공안행정학회보 Vol.24 No.2

        본 연구는 경찰조직의 레드테이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경찰관들이 업무에서 느끼는 목표모호성이 높을수록 경찰관들이 인식하는 레드테이프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내 규칙이나 규정을 중시하는 위계문화의 성격이 강하게 자리 잡을수록 경찰관들이 인식하는 레드테이프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경찰 관들이 현행 승진제도가 공정하지 못한 것으로 인식할수록 레드테이프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찰관들의 업무과다나 계급체계의 집권화 는 레드테이프와는 아무런 인과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의 경찰조직을 대상으로는 좀처럼 시도되지 않았던 레드테이프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레드테이프의 수준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향후 급변하 는 환경변화에 탄력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 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factors that influences red tape of police organizations. To sum up the study, it showed that first; more goal ambiguity felt by the officers meant a higher level of red tape. Second; stronger personalities of the hierarchical culture that emphasizes rules and procedures within the organization meant higher levels of red tape recognized by the officers. Third; when the officers recognized the promotional system as unfair, the red tape levels also rose. On the other hand, high work-loads and the centralization of the class system were found to have no causal relationships with the red tape levels. This study looked into aspects of influential facts of the red tape on police organizations that have never been attempted before; and can be said to have meaning for having created important implications that could flexibly and actively cope with the fast-changing environments in the future - thus lowering the red tape levels.

      • KCI등재

        디지털 지역혁신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ICT 조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황창호(Hwang, Chang-ho),윤창근(Yun, Changgeun) 한국지방정부학회 2021 지방정부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디지털 지역혁신을 위한 ICT 조직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실무자 인터뷰 및 전문가AHP 조사를 바탕으로 ICT 조직 개선방안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지방자치단체의 ICT 조직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제도적 측면에서 지방자치단체의 ICT 관련 업무가 각기 다른 부서 단위로 분산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ICT 영역 간에 기능의 비효율성을 야기하고 있다. 둘째, 인적자원의 측면에서 ICT 인력의 전문성 부족은 ICT 사업의 중장기 사업성과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적 측면으로 ICT 환경의 양적 팽창과 질적 다변화는 기존 정보화 추진체계로는 ICT 정책을 조정・지휘・통제를 제대로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실무자 인터뷰 및 전문가 AHP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한 결과, 새로운 조직을 신설하여 ICT 관련 기능을 모두 통합하여 운영하는 방안(0.396)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새로운 부서신설 없이 ICT 관련 기능을 통합·운영하는 방안(0.359), ICT 관련 기능을 재분류하고 팀을 재설계하는 방안(0.246) 순으로 상대적 우선순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 ICT 조직의 운영직제의 측면에서는 책임자는실장급 또는 실장∼국장 중간 포스트로 운영하는 방안(0.481)의 우선순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과장급으로 운영하는 방안(0.323)과 국장급으로 운영하는 방안(0.195)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해 제시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는 새로운 조직신설과 한 단계 높은 직급운영을 통해 ICT 기능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강화하고, 산발적으로 분산·운영함으로써 야기되는 부서간 비협조성, 부서이기주의, 유사사업의 중복적 집행과 같은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ICT와 행정의 융복합을 촉진할 조직개선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다가올 4차 혁명시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디지털 지역혁신에 활용할 수 있는 정책적·실용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ructures of ICT organizations of regional governments for digital innovation by interviewing practitioners and experts. The analysis leads us to report three findings. First, ICT organizations in regional governments are dispersed, which causes iefficiency in ICT administration. Second, ICT administrators in regional governments lack ICT expertise, so ICT policies of regional governments create poor performance. For example, ICT policies of regional governments do not lead to regional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Third, existing ICT organizations and their system cannot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in term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CT advancement. All the take together, a new control tower is required in order to coordinate, adjust, and control ICT policies. The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an ICT control tower should be established at the higher rank of a regional government and that the control tower can solve institutional problems which lower the efficiency of ICT policies, such as non-cooperation among ICT departments, departmental silos, and policy overlap.

      • KCI우수등재

        행정가치에 대한 국민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황창호 ( Chang Ho Hwang ),김영주 ( Young Ju Kim ),문명재 ( M Jae Moon ) 한국행정학회 2015 韓國行政學報 Vol.49 No.4

        정부는 행정가치 추구를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개선하고 사회적 정당성이나 신뢰를 획득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한다. 이 연구는 행정가치를 본질적 가치(공익성, 형평성)와 수단적 가치(전문성, 투명성, 효율성)로 구분하여 정부의 행정가치의 구현정도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질적 가치 중 정부가 공익성 가치를 잘 구현한다고 인식할수록, 수단적 가치 중 정부가 전문성과 효율성 가치를 잘 구현한다고 인식할수록 정부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본질적 가치인 정부의 형평성과 수단적 가치인 투명성 가치의 구현정도에 대한 국민의 인식은 정부신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공익과 사회통합을 의미하는 공익성 가치와 국민을 위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성 가치, 그리고 지속적인 비용절감을 통한 효율성 가치의 확보 노력을 통해 일반국민의 정부에 대한 신뢰를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effects of perception of administrative value-based government performance on public trust in government. Categorizing administrative values into essential values (public interest and equity) and instrumental values (professionalism, transparency, and efficiency), this study tests key hypotheses by using survey data collected from Korean citizens. The results show that the more Korean citizens perceive that the government realizes public interest, professionalism, and efficiency, the more it appears that they trust government. However, perceived equity and transparency are not associated with trust in government. The findings suggest that essential values are not necessarily more important to public trust in government than instrumental values, even though they are more fundamental and critical values.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level of public trust in government is more affected by perceived efficiency than by perceived equity. Public interest and professionalism also appear to be more significant than transparency for public trust in government.

      • KCI등재
      • KCI등재

        정부의 정책사업과 정부조직간 네트워크 분석 -노무현정부와 이명박정부 비교를 중심으로-

        황창호 ( Chang-ho Hwang ),장용석 ( Yong Suk Jang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3

        본 연구는 서로 지향하는 정책기조가 상이한 노무현정부와 이명박정부의 정책사업을 영역별·기능별로 분석하고 정부조직간 네트워크 구조가 서로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였는지분석하였다. 집권 2년차 때부터 2년 동안 노무현 정부(2004-2005)는 271개의 정책사업을, 이명박 정부(2009-2010)는 296개의 정책사업을 실시하였는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무현 정부에서는 산업, 기업, 노동/고용 분야와 관련된 정책사업이, 이명박정부에서는 경제일반, 산업, 교육 분야와 관련된 정책사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책사업을 주도적으로 주관하면서 동시에 타 부처에게도 많은 협력요청을 받는 정부조직간 네트워크에서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는 부처로는 노무현 정부에서는 중소기업청, 정보통신부, 환경부, 기획예산처, 과학기술부, 재정경제부, 교육인적자원부등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이명박 정부에서는 환경부, 고용노동부, 기획재정부, 교육과학기술부, 국토해양부, 문화체육관광부 등으로 정권이 바뀌면서 정책사업을 중심으로 한 정부조직간 네트워크 구조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우선순위나 정책수요에 따라 정부조직간 네트워크 구조에 변화를 가져오며 특히 노무현정부와 이명박정부처럼 지향하는 정책기조가 상이한 정부일수록 정부조직간 네트워크 구조가 다르게 형성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network structures differed because of the ideology and policy approaches of the two administrations by analyzing policy projects conducted in the Roh and Lee Administration; For the comparative study, this study analyzes 271 policy projects undertaken under the Roh Mu-hyun administration(2004-2005) and 296 policy projects conducted under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2009-2010). The results show that the Roh Administration was mainly focused on policy projects related to industry, business, labor and employment sector. The Lee Administration is mainly focused on the policy projects related to the economy, industry and education sectors. Second, the Roh Administration was Small Business & Medium Business Administration, the Ministry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Planning & Budget, Ministry of Science & Technology, Ministry of Finance & Econom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s core ministries located in the heart of the interorganizational network while actively promote policy project. On the other hand, Lee Administration was Ministry of Environment,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Ministry of Strategy & Financ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Ministry of Land, Transport & Maritime Affairs, Ministry of Culture, Sport & Tourism as core ministries located in the heart of the interorganizational network.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 on the interorganizational network structure that focused government policy project. This study implies that interorganizational network structure differ by the policy priority and policy demand in two different administrations such as Roh and Lee Administration.

      • KCI등재

        정부신뢰의 영향요인: 정부성과·국민참여·정보공개·공공성을 중심으로

        황창호 ( Hwang Chang-ho ),이남국 ( Lee Nam-kuk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3 공공정책연구 Vol.40 No.1

        해방 이후 괄목할만한 경제성장에도 불구하고, 가중되는 정부에 대한 국민의 기대와 요구, 해결이 쉽지 않은 수많은 사회적 난제들로 인해 정부신뢰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정부신뢰의 회복이 시급하다는 인식하에,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의 도출 및 정책대안의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결과 정부성과, 국민참여, 공공성이 정부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 변수로 도출되었다. 이는 정부의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의도한 정책목표의 성공적 달성과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의 직접 참여 강화 및 정책에 대한 국민의견 반영 등이 필요하며, 보편적 공공성 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정책의 적극적 추진 또한 필요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정보공개제도를 주요 변수로 제시하고 있는 선행연구 결과에서 더 나아가 국민의 적극적 국정 참여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질 좋고 보다 유익한 정보가 충분하게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ortant variables needed to improve trust in governm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variables that had a positive effect on trust in government were government performance, public participation, and publicity. This means that it is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successfully achieve its intended policy goals and to ensure that actual public opinions are reflected in policies. In addition, the more the government actively pursues policies that enhance universal publicity, the more it will help improve trust in the government.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the government’s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it means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quality information and more useful information to the public.

      • KCI등재

        정책홍보·정책수단·정책산출 그리고 정부역량이 정부신뢰에 미치는 영향: 국민인식조사를 중심으로

        황창호 ( Chang Ho Hwang ),김태형 ( Tae Hyung Kim ),문명재 ( M. Jae Moon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7 정부학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정부의 정책과정 전반에 활용되는 정책홍보, 정책수단, 정책산출 변수와 정부의 대표적인 역량변수에 해당하는 정부의 재원역량과 공무원역량 변수를 중심으로 정부신뢰와의 상호연계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정부의 정책수단(β=0.158)과 정책산출(β=0.229)에 대한 국민의 긍정적인 인식은 정부신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부의 재원역량(β=0.262)과 공무원역량(β=0.092)에 대한 국민의 긍정적인 인식 또한 정부신뢰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홍보(β=0.040)에 대한 노력은 정부신뢰에는 통계적으로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주요 통제변수로 연령과 소득수준이 정부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 그리고 실무적 중요성이 높은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정부신뢰의 중요한 설명변수로 다루어지지 않았던 정부의 정책홍보, 수단, 산출 변수, 그리고 정부의 재원과 공무원 역량 변수를 중심으로 정부신뢰와의 인과관계에 대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to investigate how policy PR, policy tools, policy outputs, and government capacity affected public trust in government using data collected from a national citizen survey. Results showed that perceptions on policy tools, policy outputs, and government financial/personnel capaci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blic trust in government. However, policy P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ts association with public trust in government. This study also suggested that several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and incom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ublic trust in government.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of public trust in government by linking policy PR, policy tools, policy outputs, and government capacity to public trust. Such information has not been covered in previous studies.

      • KCI등재

        정부의 정책연구용역에 기반한 정책지식 활용과 효과성에 대한 연구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황창호 ( Chang-ho Hwang ),문명재 ( M. Jae Moon ) 한국정책학회 2014 韓國政策學會報 Vol.23 No.4

        본 연구는 매년 막대한 예산과 인적자원이 투입되는 정책연구용역을 통하여 생성된 정책지식의 활용과 효과성에 대하여 지방과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최근 정책연구용역에 대한 다양한 관점과 추측, 비판들이 제기되고 있는 현실에서 정책연구용역 결과를 통해 생성된 정책지식은 주로 어떻게 활용되고 있으며, 정책지식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정부의 정책지식은 새로운 정책사업의 개발, 특정정책문제의 해결, 그리고 법이나 제도개선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정부는 단일의 연구기관에서 생산한 정책지식보다 대학의 교수진이나 민간연구소나 정부연구소 등의 다양한 분야의 연구기관들이 컨소시엄 형태로 생산한 정책지식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책지식의 효과성 측면에서는 현실적인 정책지식일수록, 현안을 객관적으로 분석한 정책지식일수록 그리고, 당시의 정치적인 상황이나 경제적인 환경, 사회적 환경변화를 반영한 정책지식일수록 효과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보다 효과성이 높은 정책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정책지식의 활용도와 효과성 제고에 필요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하겠다.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policy knowledge obtained from government's research projects by using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Considering critical views on the utility of government's policy research,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various determining factors which contribute to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policy research-generated policy knowledge. The statistical analysis suggests that policy knowledge is primarily utilized for development of new policies and solution of policy problems, and improvement of current laws and institutions. Secondly, government officials appear to prefer the policy knowledge generated from research jointly conducted by various actors including universities, private research institutes, and government research institutes. Lastly, it also appears that the effectiveness of policy knowledge becomes greater as it is perceived more practically relevant, more objective, and environmentally more reflec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