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권도의 전자호구 충격값과 포스플랫폼 충격력과의 관련성

        배영상 ( Young Sang Bae ) 한국운동역학회 2013 한국운동역학회지 Vol.23 No.2

        1. 엘리트 태권도선수와 태권도학 전공학생의 충격력 태권도 발차기에 대해 충격력을 측정한 연구는 Bae, Shibukawa와 Ishijima (1989), Pieter, F.와 Pieter, W. (1995), Bae와 Lee (2006), Pedzich, Mastalertz와 Urbanik (2006), O`Sullivan 등 (2009)의 보고가 있으며, 발차기기술에 대한 연구보다 발차기 충격력 연구는 상대적으로 거의 발표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그러나 매년 국기원에서 실시하는 태권도한마당대회의 격파왕 선발대회에는 많은 참가자들이 격파왕 타이틀을 차지하기 위해 도전하는 등 태권도의 위력이라고 말한다면 격파의 위력을 지칭할 정도로 태권도인 뿐만 아니라 일반인까지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충격력에 관련된 연구가 적은 이유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생각할 수 있다. 즉 첫째는 충격력 측정에 참가하는 피험자가 부상을 우려하여 참가를 기피한다는 점이며, 둘째는 포스플랫폼 등의 신뢰성과 정밀성을 갖춘 장비라고 하더라도 표면이 철판이기 때문에 직접 충격력을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표적면에 완충재료를 사용할 수밖에 없고, 그때의 충격력 값은 측정조건에 따라 상대값으로 사용할 수 밖에 없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의 실험방법에서 제시한 충격력의 산출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확보하였기에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문제가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안정성을 확보할 의도로 많은 피험자를 동원하고자 엘리트태권도선수군 21명과 태권도학 전공학생군 20명을 피험자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숙달된 태권도 수련군이지만 수련군별 특성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동질집단으로 간주해도 좋을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거치고자 엘리트태권도선수군과 태권도학 전공학생을 비교 검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Table 1>에서 보면 앞차기와 뒤차기의 최대충격력에서 두 그룹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는바, 발차기 기술에 따라 엘리트 태권도선수군이 우수한 능력을 발휘한 기술(뒤차기)과 태권도학전공 학생군이 우수한 능력을 발휘한 기술(앞차기)이 다르게 나타났다는 점이 주목 된다. 즉 돌려차기에서는 두 그룹 간에 비슷한 충격력(약 4,000 N)의 크기를 나타냈으나, 앞차기는 태권도학전공 학생들이 큰 충격력(약 4,700 N)을, 뒤차기는 엘리트 태권도 선수군이 큰 충격력(약 5,300 N)을 발휘하였다. 이를 좀더 세밀히 분석하고자 세 가지 발차기 기술의 최대충격력에 대한 일원배치분산분석과 다중비교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대충격력의 크기는 엘리트 태권도선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p<.01)한 차이를 나타내면서, 다중비교검정에서 뒤차기, 돌려차기, 앞차기 순으로 유의한 최대충격력의 크기(약 4,000 N)를 나타났다. 그러나 태권도학 전공 학생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것을 미루어 볼 때 태권도에서 발차기 빈도가 가장 많은 돌려차기 기술(Bae, 1992)은 두 그룹 모두 평소의 수련에서 많은 반복연습을 실시하는 관계로 거의 동일한 수준의 위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앞차기 기술의 경우는 태권도경기의 특성상 앞차기 기술로 발차기를 한다는 것은 차기가 아닌 밀어내기가 되기 때문에 득점으로 인정받기 어렵다는 인식 때문에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어(Bae, 1992) 대부분의 선수들은 앞차기 기술에 대한 수련을 하지 않는다는 점을 생각 할 수 있다. 또한 뒤차기 기술은 앞차기나 돌려차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어려운 기술이기 때문에 정확하게 뒤차기 기술을 구사하기 위해서는 숙달을 위한 훈련시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발차기 수련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은 일반 태권도학전공학생이 엘리트 태권도선수군 수준의 뒤차기 위력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2. 전자호구 충격값과 포스플랫폼 충격력데이터와의 관련성 태권도경기에 전자호구가 도입되면서 판정의 객관성을 보장받았다는 점에서는 큰 호응을 얻고 있지만, 전통적으로 인정되지 않았던 밀어차기 공격이 득점으로 인정된다는 점에 대해 문제점을 제기하는 태권도 현장지도자가 많다(Kim, 2012; Seo, 2012). 태권도 경기에서 사용되는 발차기 기술은 다양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발차기는 앞차기와 돌려차기 그리고 뒤차기이다. 태권도의 다양한 발차기 기술은 대부분 이들 세 가지 기본발차기 기술을 바탕으로 한 응용발차기 기술인 것이다. 이 세 가지 발차기 기술을 발차기 유형으로 보면 앞차기와 뒤차기는 지르기형의 발차기이며, 돌려차기는 치기형 발차기 기술이다. 또한 앞차기와 뒤차기는 동일한 지르기형의 발차기로 분류할 수 있지만, 엄밀히 보면 앞차기는 밀어차기형의 발차기 기술이다. 즉 앞차기는 밀어차기형, 돌려차기는 치기형, 뒤차기는 지르기로 분류할 수 있다(Kaneko & Fukunaga, 2006). 이상과 같은 발차기 기술의 특성을 바탕으로 전자호구의 충격값과 포스플랫폼의 충격력데이터와의 관련성을 논의하고자 한다. 돌려차기의 전자호구 충격값과 포스플랫폼의 충격력데이터의 관련성은 <Figure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충격력의 모든 요소에서 양자 간에는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앞차기<Figure 2>에서는 최대충격력(p<.01), 체중당 최대충격력(p<.01), 그리고 평균충격력(p<.05)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뒤차기<Figure 4>에서는 최대충격력(p<.001), 체중당 최대충격력(p<.001), 체중당 평균충격력(p<.01), 그리고 평균충격력(p<.05) 등 모든 충격력데이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것을 종합해 본다면 지르기형인 뒤차기, 밀어차기형인 앞차기에서는 전자호구 충격값과 포스플랫폼의 충격력데이터가 높은 상관을 나타낸 반면, 치기형인 돌려차기에서는 양자 간에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여기서 세 가지 발차기 기술이 표적에 임팩트 되는 순간을 본다면 돌려차기는 보다 비스듬하게(사선) 진입하는데 비해(Bae et al., 1989) 앞차기와 뒤차기는 보다 수직으로 표적에 진입하는 것을 연상할 수 있다. 즉 표적면에 대해 보다 수직으로 임팩트하는 뒤차기와 앞차기는 전자호구 충격값과 포스플랫폼 충격력값이 통계적으로 관련성이 높은 반면, 표적면에 대해 비스듬히 진입하는 돌려차기는 양자 간에 통계적 관련성이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태권도경기현장에 태권도지도자들이 전자호구 도입에 따라 제기하고 있는 문제점(Kim, 2012; Seo, 2012)과도 일치하는 사항이다. 여기서 고려할 수 있는 사항은 전자호구의 충격력인식 센서가 표적면에 대해 수직방향만 인식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제기된다. 즉 충격력은 벡터량이기 때문에 표적에 대해 좌우방향, 상하방향, 그리고 수직방향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어야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태권도경기 현장지도자들이 제기하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객관적인 경기진행을 위해서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각종 전자호구의 충격력인식 시스템을 재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Although the electronic body protector has been officially adopted by the World Taekwondo Federation(WTF) in 2006, no scientific information is available about the reliability of its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value of electronic body protector and the impact force of force platform. Male collegiate Taekwondo athletes([MCTA], n=21) and male collegiate Taekwondo students([MCTS], n=20)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Each subject performed the apchagi, dollyeochagi and dwichagi on the force platform and the electronic body protector. At the apchagi, it showed that MCTS(about 4,700 N) generated more maximum kick force than MCTA(about 3,900 N), but it expressed that MCTA(about 5,300 N) generated more maximum kicking force than MCTS(about 4,400 N) at the dwichagi. At the apchagi and the dwichagi, it indicated the high coefficient of correlation(over r=.8) which supports higher explanation for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pact value of electronic body protector and the impact force of force platform,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dollyeochagi.

      • SCOPUSKCI등재

        Salt-Induced Protein Precipitation in Aqueous Solution: Single and Binary Protein Systems

        Kim, Sang-Gon,Bae, Young-Chan The Polymer Society of Korea 2003 Macromolecular Research Vol.11 No.1

        A molecular-thermodynamic model is developed for the salt-induced protein precipitation. The protein molecules interact through four intermolecular potentials. An equation of state is derived based on the statistical mechanical perturbation theory with the modified Chiew's equation for the fluid phase, Young's equation for the solid phase as the reference system and a perturbation based on the protein-protein effective two body potential. The equation of state provides an expression for the chemical potential of the protein. In a single protein system, the phase separation is represented by fluid-fluid equilibria. The precipitation behaviors are simulated with the partition coefficient at various salt concentrations and degree of pre-aggregation effect for the protein particles. In a binary protein system, we regard the system as a fluid-solid phase equilibrium. At equilibrium, we compute the reduced osmotic pressure-composition diagram in the diverse protein size difference and salt concentrations.

      • KCI등재

        Effect of DREAMMO<SUP>®</SUP> Scalp Lotion on Hair Growth Promotion in an Alopecia Model of C57BL/6 Mice

        Seung Ho Lee,Hwa Jeung Lee,In Jeoung Baek,Jung Min Yon,Sang Yoon Nam,Beom Jun Lee,Young Won Yun,Yun-Bae Kim,Seock Yeon Hwang,Jin Tae Hong 한국실험동물학회 2006 Laboratory Animal Research Vol.22 No.1

        Scalp hair loss has increased recently in young-aged people as well as middle-aged people, and although there are no serious in health problems, scalp hair loss may significantly affect a variety of psychological and social experiences and the individual's quality of life. DREAMMO scalp lotion is composed of several plant extracts which are known to be used as oriental medicine to prevent hair loss or promote hair growth in alopeci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REAMMO scalp lotion on hair growth in an alopecia model of C57BL/6 mice.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control, DREAMMO scalp lotion and 3% Minoxidil (MXD). The test compounds were topically treated with 0.2 ㎖ per mouse per day for 4 weeks. The hair growth was determined photographically and histologically in an alopecia model of C57BL/6 mice. After 3-4 weeks, DREAMMO scalp lotion significantly increased hair growth compared to the controls in the dorsal skin of C57BL/6 mice. DREAMMO scalp lotion also promoted the elongation of hair follicles than the contro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REAMMO scalp lotion has a hair growth activity and can be useful for the treatment of alopecia.

      • KCI등재

        야생식물 중독의 임상 양상

        옥택근,박찬우,조준휘,천승환,이승용,김성은,최기훈,배지훈,서정열,안희철,안무업,조병렬,김용훈,Ok, Taek-Gun,Park,, Chan-Woo,Cho, Jun-Hwi,Cheon, Seung-Whan,Lee, Seung-Young,Kim,, Sung-Eun,Choi, Ki-Hoon,Bae, Ji-Hoon,Seo, Jeong-Yeul,Ahn, Hee-Cheo 대한임상독성학회 2005 대한임상독성학회지 Vol.3 No.2

        Purpose: With the recent boom in 'eating healthy', many adults are interested in dieting to prevent future diseases. However only well trained experts can distinguish between what are edible vegetables and herbs from their poisonous look-alikes. In cases where a patient unknowingly ingests a poisonous herb, is caught off guard by the poisonous side effects that occur because of their lack of knowledge of what they have ingested.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need to educate the public about the risks involved with ingesting wild vegetables and herbs and study the emergency diagnosis and treatment of poisoned patients that enter the emergency room. Method: This study was done in the spring of 2004 (from March to May) in the Kangwon Young-Seo districts of Korea. 15 subjects used in this study, entered the emergency room showing signs of toxic symptoms. Data was collected by examining subject's records. Additional data was collected by collaborating with physicians in the hospital that diagnosed and treated the subjects. Identifying the poisonous vegetable or herb is the first step to proper diagnosis and treatment. Subjects admitted to the emergency room, underwent a battery of tests: laboratory examination, ECG, radiological exam and etc. Results: The demographics of the study encompassed subjects with the average age of $50{\pm}19$ years old. There were 10 men and 5 women. Common symptoms of this study included; gastrointestinal symptoms such as nausea, vomiting, epigastric pain and so on. In the case of Caltha palustris ingestion, additional symptoms were present; bradycardia and hypotension which lasted for a long time. While cases that ingested Scopolia parviflora had little effect on vital signs but manic episodes lasted for about three days. Veratrum patulum ingestion showed signs of bradycardia and hypotension but contrary to Caltha palustris recovery was shorten by treating with dopamine. However, dizziness, headache and paresthesia of the extremities continued for a long time. Finally Sium ninsi ingestion showed visual disturbance, paresthesia of the extremities, dizziness as their initial symptoms. Conclusion: The risks involved with ingesting wild plants without the proper knowledge can lead to serious side effects and steps need to be taken to educate the public. In addition, all emergency physicians need to have a working knowledge of the symptoms and signs associated with ingesting toxic wild plants and need to treat accordingly.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Blockade of vascular angiogenesis by Aspergillus usamii var. shirousamii-transformed Angelicae Gigantis Radix and Zizyphus jujuba

        Sang-Wook Kang,Jung-Suk Choi,Ji-Young Bae,Jing Li,Dong Shoo Kim,Jung-Lye Kim,Seung-Yong Shin,Hyun Ju You,Hyoung-Sook Park,Geun Eog Ji,Young-Hee Kang 한국영양학회 2009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Vol.3 No.1

        The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 play an important role in tumor invasion, angiogenesis and inflammatory tissue destruction. Increased expression of MMP was observed in benign tissue hyperplasia and in atherosclerotic lesions. Invasive cancer cells utilize MMP to degrade the extracellular matrix and vascular basement membrane during metastasis, where MMP-2 has been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malignancies.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antiangiogenic activity of the medicinal herbs of Aspergillus usamii var. shirousamii-transformed Angelicae Gigantis Radix and Zizyphus jujube (tAgR and tZj) with respect to MMP-2 production and endothelial motility in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or VEGF-expos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Nontoxic tAgR and tZj substantially suppressed PMA-induced MMP-2 secretion. In addition, 25 ㎍/mL tAgR and tZj prevente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timulated endothelial cell transmigration and tube formation. The results reveal that tAgR and tZj dampened endothelial MMP-2 production leading to endothelial transmigration and tube formation. tAgR and tZj-mediated inhibition of endothelial MMP may boost a therapeutic efficacy during vascular angiogen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