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NA marker를 이용한 풍기 재래인삼의 주요 특성 분석

        임순영,최홍집,류태석,권태룡,최진국,손재근 한국작물학회 2010 한국작물학회지 Vol.55 No.3

        국내 수집 재래종 인삼과 기존육성품종과의 유전적 연관을 통해 풍기지역 고유의 재래인삼 특성을 구명하고 지리적 표시제 및 신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전적 연관 분석에서 가장 먼 것으로 분류된 풍기지역 수집종 331002 등 5점과 금산지역 수집종 332009 등 5점간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한바 풍기 재래종 인삼의 경수는 1~2개로 금산지역 수집종과 차이가 없었으나, 장엽수, 경색, 엽병색, 소엽 모양에서는 금산지역 수집종과 차이를 보였다. 즉 풍기 재래종은 장엽수가 5개이고 소엽 모양이 타원형이며,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 연자색, 진자색 등 다양한 것이 특징적이었다. 특히 유전적 연관에서 풍기지역 수집종 중 331002, 331005, 331007 및 331026은 함께 grouping 되었지만 331002는 대비 품종인 천풍과 99.5%에서 함께 group지어져 있었다. 특히 331002 등 이 3개의 풍기 수집종은 기존 품종과 유전적 차이를 나타내보였다. 이를 통해 풍기 수집종 331002, 331005, 331007은 국내 재래종에서 순계분리법으로 선발된 기존육성품종과는 유전적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331007은 농가 조사에서 나타난 주요 특성을 모두 갖추고 있어 풍기 재래인삼의 고유 특성을 가진 것으로 추측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풍기지역 재래 인삼의 주요 형태적 특성을 확인하였고, 유전적인 면에서도 타 지역 수집종과 기존육성품종과도 구분되어짐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선발된 OPD05 등 9개의 prime는 경수 1개, 장엽수 5개, 소엽 모양은 타원형, 경색과 엽병색이 자색계열인 특성을 지닌 풍기 재래인삼을 구분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어서 인삼 유전자원의 특성 구분 및 품종개량에 유익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a total of 25 lines consisting of five native ginseng collections from Poonggi area, five lines from Geumsam area and 15 varieties were analyzed and clustered for the selection of Poonggi native ginseng in Korea using DNA marke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ng cluster distance were observed between the collections of 331002, 331004, 331005, 331007 and 331026 from Poonggi area, and the collections of 332009, 332021, 332046, 332050 and 332066 from Geumsan area because of the sensible differences on the number of leaves per stem, stem color and petiole color. Thus, the collections from Poonggi area with specific characters consisting of one stem per plant, five leaves per stem and broad elliptic leaflet shape were finely classified using nine primers including OPD05, OPD20, OPG17, OPH05 and so on. In this study, the collection of 331007 from Poonggi area was considered as the respective collection with above characters. Thus, the nine primers such as OPD05 and so on, will be used to select the Poonggi ginseng in the future studies.

      • KCI등재

        『중등교육조선어급한문독본(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과 타(他) 독본과의 비교 연구: 『時文讀本』, 『中等朝鮮語作文』, 『文藝讀本』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임순영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4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4 No.-

        In this research, I examine relation between 『JungdeunggyoyukJoseoneogeuphanmundokbon』(After this 』Jungdeungdokbon』) and Representative textbooks like 『Simundokbon』, 『JungdeungJoseoneojakmun』, 『Munyedokbon』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era. Japanese Government - General of Korea worried whether or not to include famous korean writer's articles and method of Containing in it. A lot of articles put in 『Jungdeungdokbon』, were selected among the printed articles during 1910s and 1930s by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on their own Criteria. 『Simundokbon』in 1910s, 『JungdeungJoseoneojakmun』in 1920s and 『Munyedokbon』 in 1930s Overlapped most parts. These textbooks satisfied literary impulse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ut side education system.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made use of these influential textbooks in compilation of Josuneo dokbon. But, in spite of overlapping textbook, they did not intend to including outcome of New Literary Movement and korean Emotion in 『Jungdeungdokbon』. They selected only parts useful in colonial policy, suiting their taste and falsified them. This can be read off by comparing 『Jungdeungdokbon』and other textbooks in many Aspect of acceptance. 이 논문의 목적은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이하 『中等讀本』)과 일제시대 대표적 독본이었던 『時文讀本』, 『中等朝鮮語作文』, 『文藝讀本』과의 관련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조선총독부는 『中等讀本』을 편찬하면서 조선 문사의 글의 수록 여부, 수록한다면 그것을 어떠한 방식으로 수록할 것인지 상당히 고심했던 것으로 보인다. 『中等讀本』에 실린 많은 글들은 1910년대부터 1930년대 초반까지 잡지나 신문, 독본 등에서 취사선택하였다. 특히 1910년대의 최남선의 『時文讀本』, 1920년대 조한문교원회가 편찬한 『中等朝鮮語作文』, 1930년대 편찬된 이윤재의 『文藝讀本』과 상당 부분이 겹치고 있다. 이들 독본들은 중등학생들에게 제도 교육 밖에서 1910-20년대 사용된 중등용 교과서인 『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新編高等朝鮮語及漢文讀本』, 『女子高等朝鮮語讀本』에서 채울 수 없었던 다양한 독서 욕구를 채워주었다. 1930년대 일제가 『中等讀本』을 편찬하면서 대중에게 파급력이 있던 독본의 내용을 가져와 활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요한 점은 『中等讀本』과 이들 독본류의 글이 상당 부분 겹친다 하더라도 일제가 이들 독본류가 담고 있던 신문학 운동의 성과와 조선적인 정서를 『中等讀本』에 그대로 담아내고자 한 것은 아니었다. 같은 제재라도 일제의 구미에 맞게 변개시키며 식민정책에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선별적으로 실은 것을 알 수 있다. 『中等讀本』과 이 독본들을 비교해 보면 수용 양상 면에서 여러 가지 차이점이 있다.

      • KCI등재

        멀티미디어 지원을 위한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실시간 스케줄링 기법

        임순영,이재완,전칠환 한국정보통신학회 1997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 No.2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환경등의 실시간 시스템에서 타스크에게 빠른 응답시간을 제공하는 실시간 스케쥴링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타스크를 주기적 타스크와 비주기적 타스크로 구분하고 타스크의 형태를 긴급 타스크, 필수 타스크, 일반 타스크로 구분하여 다양한 타스크의 처리를 원하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주기적 타스크의 경우 마감시간을 지키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수행을 연기하여 비 주기적 타스크에 빠른 응답시간을 제공한다. 각 타스크는 우선 순위를 가지며 우선 순위의 변경은 동종 타스크 에서만 허용하고 동적 우선순위 방법을 이용하여 스케줄링한다. 긴급타스크의 경우 어떠한 경우에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준비된 실시간 타스크 가 여러 개인 경우 laxity값이 작은 타스크를 먼저 수행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눈문에서는 비주기적 타스크가 있을 때와 없을 때를 구분하여 비주기적 타스크가 있을 때에는 주기적 타스크를 뒤로 미루고 비주기적 타스크를 앞에서 먼저 처리하며 비주기적 타스크가 없을 때에는 주기적 타스크를 앞에서 처리하는 스케줄링 기법을 사용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지금까지 suboptimal 하다고 알려진 EDZL 보다 응답시간 관점에서 제안한 기법이 우수하였고 부하가 증가하여도 성능이 우수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 mechanism which supplies tasks with fast turn-around time on real-time multimedia environments. Tasks are classified into periodic and aperiodic tasks according to their executing period, and the types of them a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 critical tasks, essential tasks and common tasks by the degree of its urgency. In the case of periodic tasks, we defer the execution of it within the extent to keep the deadline as long as possible and serve the aperiodic tasks, and provide aperiodic tasks with fast turn-around time. Changing the priority of each task is allowed within the same type and it is scheduled by using the dynamic priority. The emergency tasks are executed within deadline in any circumstances, and the least laxity one is served first when many real-time tasks are waiting for execution. The result of simul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mechanism is better than the EDZL, known as suboptimal in multiprocessor systems, in the point of rum-around time.

      • KCI등재

        민족혼을 제거한 문화주의 교과서-『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을 중심으로-

        임순영 한국국어교육학회 2014 새국어교육 Vol.0 No.9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Japanese empire’s intention in the Jungdeunggyoyuk-Joseoneogeuphanmundokbon(After this Joongdeungdokbon) during 1920s and middle of 1930s. The 『Joongdeungdokbon』 was textbook made on the purpose of winning over cultural nationalism discussion accumulated during that periods. In other words, Japanese empire exploited nationalism movement as their own colonial domination needs. 『Joongdeungdokbon』 selectively hold cultural discussion embodying Chosunistic qualities. But nationalism as a part of cultural discussion, was effaced and replaced by society. In 1930s, struggle of labor against capitalist in cities and conflict between landowner and tenant farmer in farming area became the social problems on the process of rapid capitalism. Education policy authorities of Japanese empire required writers who had influence on Koreans and compromising attitude with Japanese empire’s interest. On the surface, the articles written by cultural nationalist claimed nationalism but in the background, articles produced by literary men such as Kwangsoo Lee, Namsun Choi, who had tendency to compromise with cultural colonization policy, had majority part of 『Joongdeungdokbon』 in the result. These writings in 『Joongdeungdokbon』, based on intention of the colonial domination through culture, distinguished from writings of resistant nationalism and were made use by Japanese empire easily.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은 일제가 1920년대에서 30년대 중반에 걸쳐 축적된 민족주의 문화담론을 이용하여 조선인을 동화시키고 협력 메커니즘에 포섭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만든 교과서이다. 독립의 밑거름이 되고자 했던 민족족의 운동을 동상이몽(同床異夢)격으로 활용하고자 했던 것이다. 일제가 내세운 것처럼 『中等敎育朝鮮語及漢文讀本』은 조선적인 색채가 있는 문화담론을 선별적으로 수용하고 있지만 ‘민족’을 지우고 그 자리에 ‘사회’를 내세우면서 강력한 제국의 꿈을 담고자 하였다. 당시 자본주의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계층이 분화되고 빈부의 차가 커지는 상황 속에서 사회적 의식을 강조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원활한 식민 통치를 위해서 필요한 것이었다. 그러나 문화의 논리는 결국 제국의 논리로 환원되고 만다. 문화에 대해 많은 지면을 할애한 듯 보이지만 결국 문화를 중심으로 한 세계의 화합이 목적이 아니다. 국가 간의 관계를 경쟁에 기초하여 바라보면서 힘의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우회적으로 제국 논리의 주입이 가능한 이광수, 최남선 등 조선 문사의 글을 집중적으로 싣고 있는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 KCI등재
      •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RAPD)를 이용한 Yersinia enterocolitica의 PCR Fingerprinting비교

        임순영,윤석권 동덕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2006 생활과학연구 Vol.11 No.-

        The lamer single primer was used to generate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RAPD) profile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for 100 strains of Y. enterocolitica from various sources. The RAPD pattern within same serotype was devided into different subtypes and also RAPD pattern of different serotypes showed same RAPD type. Regardless of serotype for Y. enterocolitica, DNA fingerprinting bands of non-pathogenic strains were a few in number and small in size but those of pathogenic were reversed. Every serotype showed unique RAPD patter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iscriminate within Y. enterocolitica strains. Showing some strains no band or a few, RAPD is effective method to subtype the strains. If RAPD was utilized with serotyping and biotyping, it should be powerful tool to devide Y. enterocolitica strains for epidem iological purpose.

      • 전기화학에서 고등학생들의 일반적인 오개념 : 갈바니전지와 전해전지

        임순영,이종백,이상권 全南大學校 師範大學 科學敎育硏究所 2006 科學敎育硏究誌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udents' misconception in electrochemistry. Sanger and Greenbowe’s interview protocols for galvanic and electrolytic cells were used with modifications in this study. These questions for the conceptual test of electrochemistry were administered to 40 3rd grade students in a high school after giving instruction in oxidation-reduction reac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several students in the sample were confused about understanding the need for a standard half-cell, understanding the charge on the anode and cathode, predicting the products of electrolysis, identifying the anode and cathode and understanding current f10w in galvanic, electrolytic cells. Most students having misconceptions were still able to calculate cell potentials correctly, which is consistent with research suggesting that students capable of solving quantitative examination problems often lack an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concepts. Probable origins of these student misconceptions we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식품에서 분리한 Yersinia enterocolitica의 특성조사

        임순영,이동하,박선희,박영식,윤석권,김창민,Lim, Soon-Young,Lee, Dong-Ha,Park, Sun-Hee,Park, Young-Sig,Yoon, Suk-Kwon,Kim, Chang-Min 한국식품과학회 1999 한국식품과학회지 Vol.31 No.1

        국내 식육중 Y. enterocolitica의 분포 조사 및 분리균의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4월부터 11월사이에 상, 하반기로 나누어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463건을 서울, 대전, 광주, 부산에서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전체 식육중 17.5% (81건)에서 Y. enterocolitica가 분리되었으며 닭고기(26.0%)가 가장 많이 오염되어 있었다. 분리율은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하반기에 수거한 돼지고기와 닭고기에서 상반기보다 2배이상 높은 균 분리율을 보였다. 항생제 감수성 실험결과 대부분의 분리균은 carbenicillin, ampicillin, erythromycin, penicillin, bacitracin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는 반면 polymyxin B, kanamy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ciprofloxacin, tetracycline, nalidixic acid, gentamicin등에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분리된 Y. enterocolitica의 혈청형은 serotype O:5가 주종이었고 일본 및 유럽 등지에서 많이 분리되어지는 O:9는 분리되지 않았다. PCR 실험결과 81개의 분리균주중 8균주(10%)가 병원성을 갖고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 중 6균주가 돼지고기에서 발견되었다. 그리고 돼지고기 분리균주중 병원성이 없는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serotype O:5가 PCR 양성반응으로 병원성을 보여 이전 연구들과 상반된 결과를 나타낸 것에 대해서는 더 연구해야할 과제로 남아 있다. The incidence of Yersinia enterocolitica in raw meat was determined over 10 month period. Y. enterocolitica was isolated from 8.5% of beef, 17.0% of pork and 25.6% of chicken. Overall prevalence of Y. enterocolitica in raw meat was 17.5%. Seasonal difference was observed in isolation rate in which pork and chicken samples collected in the second half of the year twice was more than that of the first half of the year. Serotypes of Y. enterocolitica isolates were O:5 (17.3%), O:8 (8.6%), O:3 (6.2%), O:1,2 (1.2%), and others. The antibiotics susceptibility tests showed Y. enterocolitica isolates were resistant to carbenicillin, ampicillin, erythromycin, penicillin and bacitracin. In contrast it showed sensitivity to polymyxin B, kanamycin, ciprofloxacin, gentami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nalidixic acid, and tetracycline. PCR with specific primers derived from ail gene of Y. enterocolitica was applied to detect and confirm pathogenic Y. enterocolitica. About 10% of the isolated Y. enterocolitica proved to be pathogenic and most of them were found in pork. However, proper cooking and meat process can kill and remove all Y. enterocolitica in meat, because the organism is very sensitive to he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