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植物遺體에 基礎한 新石器時代 農耕 에 대한 觀點의 再檢討

        이경아(Lee Gyoung Ah)(李炅娥) 한국신석기학회 2005 한국신석기연구 Vol.- No.10

        본고는 필자가 지금까지 분석한 식물유존체 자료에 기초하여 신석기시대 생계상 및 농경에 대한 관점을 재점토한 것이다. 필자가 분석한 자료는 전기의 세죽리, 비봉리유적, 중기와 동삼동, 후기의 용유도와 상촌리유적에서 수집되었다. 세축리 자료는 명아주속을 중심으로 한 잡초종자로 인간 거주지 주변에서 흔한 종들이다. 당시 주민들이 주변의 야생식물자원을 관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비봉리에서는 전기층에서 다량의 도토리와 함께 조 1 립이 출토되었다. 동삼동 자료는 조와 기장이 전체 종자의 45%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명아주 위주의 일년생 잡초종자이다. 상촌리 자료에서는 조와 기장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잡초에서는 가장족이 명아주속을 대체한다. 반면 서해안의 용유도 유적에서는 어떠한 재배종 유체도 검출되지 않았다. 현재까지 분석된 자료로 볼 때 신석기시대의 식물 이용상은 지역별, 유적 특성별로 차이가 있다. 동남부지역의 경우 조와 기장이 재배되는 시점이 중부지역 즐문토기의 확산기와 대략 일치하며, 주거와 자원 이용 양상 역시 변화한다. 만약 비봉리 출토 조의 연대가 전기로 밝혀지면 작물 및 재배기술이 다른 문화현상에 앞서 확산되었음을 의미한다. 기존 자원 이용 계획에 큰 저해가 되지 않는다면 조, 기장 같은 재배종은 쉽게 수용될 수 있다. 조와 기장의 확산에서 지역별 다양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중서부 도서의 신석기유적에서는 경작의 흔적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반도 전역의 다양한 생계경제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식물유체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과 시기에 대한 연구가 절실히 요구된다. 한반도의 선사시대유적에서 발견된 작물은 다른 지역에서 재배화가 일어난 후 들어왔으므로 한반도는 작물의 기원상 이차적 지역에 속한다. 또한 작물 재배가 이루어진 한반도 신석기시대의 경제상은 집약적 농경 단계 이전의 저차원 식량생산단계로 볼 수 있다. This paper tries to review briefly the perspectives on Korean Neolithic subsistence and agriculture based on archaeobotanical remains which I have examined. My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juk-ri and Bibong-ri sites of early Neolithic. Dongsam-dong site of middle Neolithic. and Sangchon-ri and Yongyu-do site of late Neolithic. Sejuk-ri samples are mainly weed seeds of anthropogenic taxa in which Chenopodium species are most abundant. which indicates the possibility of the management of surrounding wild plant resources by hunter-gatherers. Among Dongsam-dong samples 45% of seeds are cultivated millets, and others are annual weed seeds mainly of Chenopodium. In Sangchon-ri, the importance of millets were increased and Paniceae weeds replaced Chenopodium ones. On the other hand there is no cultivated remains from Yongyu-do site in western coast. Comparing the samples examined so far, plant exploitation system in Korean Neolithic were varied according to periods. regions, and function of the site. In case of the southeast region. the appearance of millet cultivation was roughly correspondent with the spread of mid-west style chulmun pottery. and the patterns of settlement and plant exploitation were also changed at that time. The regional diversity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pread of millet cultivation since the evidence of cultivation has not been found so far from any Neolithic sites in mid-western islands.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verse Neolithic subsistence economy pattern across Korean peninsular, we urgently need the study on the region and period where no systematic archaeobotanical analysis have been done. Generally it might be said that the subsistence economy during middle and late Neolithic in Korean peninsular belonged to the low-level production with domesticates, being secondary context of agricultural origins.

      • KCI등재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친밀 관계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이경 한국보육지원학회 2015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1 No.6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친밀 관계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리더십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만 4, 5세 유아 266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양육행동, 교사-유아 친밀 관계, 의도적 통제, 리더십이 측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리더십에 의도적 통제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리더십에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리더십에 교사-유아 친밀 관계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의도적 통제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큰 인과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유아의 리더십에 의도적 통제와 교사-유아 친밀관계는 직접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사-유아 친밀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교사-유아 친밀관계와 어머니의 온정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교사-유아 친밀 관계는 유아의 리더십 증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시추깊이와 총비용의 시대에 따른 변화 연구

        이경,최종근 한국자원공학회 2009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6 No.2

        본 연구에서는 시추깊이와 총비용(total upstream costs)의 시대별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최대시추깊이는 40,000 ft를 넘었고 평균시추깊이는 7,000 ft 내외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평균시추깊이는 1990년대 이후 심해시추 빈도증가, 다양한 지역에서의 시추, 한계유전시추 등의 이유로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총비용은 생산비용(lifting or production costs)과 부존확인비용(finding costs)의 합이다. 생산비용은 원유를 지표까지 끌어올리는 데 소요되는 유지, 운영 비용을 말한다. 부존확인비용은 탐사, 개발활동을 통해 확인매장량을 추가하는 데 드는 비용을 말한다. 총비용은 1980년대 중반 이후부터 배럴당 $10로 유지되었으나, 2004년 이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부존확인비용은 생산비용에 비해 절대적인 수치가 클 뿐 아니라 최근 급격한 증가를 보이며 총비용증가의 주요인이 되고 있다. 유럽지역의 경우 부존확인비용이 2003~2005년에서 2004~2006년에 걸쳐 122.1%의 증가를 보이며 총비용의 증가로 이어졌다. 중동지역에서는 생산비용을 구성하는 생산세금의 가격이 2005년에서 2006년에 걸쳐 약 67배나 올랐다. 이는 최근 구매자시장에서 판매자시장으로 변하고 있는 석유시장의 흐름을 잘 보여주고 있다. 심해의 경우 탐사 및 개발단계에서는 큰 비용이 들지만 이후 생산단계로 들어가면 육상과 큰 차이가 없다. This study is about the historical trend of drilling depth and total upstream costs. The average drilling depth is more or less 7,000 ft with a steady increase throughout years, but the deepest drilling depth records over 40,000 ft onshore in 2008. After 1990s the average drilling depth has fluctuated roughly because of drilling in various regions, increasing drilling numbers for deep subsea, and marginal oil fields. Total upstream costs are the sum of production costs and finding costs. Production costs are the costs to operate and maintain wells that are extracting a barrel of oil to the surface. Finding costs are the costs to add proved reserves through exploration and development. After mid 1980s total upstream costs showed stable trend around $10/bbl, but there was a upward trend since 2004. It was caused mainly by the increase of finding costs that were about two times bigger than lifting costs. In Europe, finding costs showed steep rise about 122.1% (from 2003~2005 to 2004~2006) resulting in increased total upstream costs. Production taxes which are elements of lifting costs increased about 67 times in Middle East (2004~2006). This trend reflects that world-wide oil market is changing from the buyer market to the seller market. Finding costs show a wide gap between onshore and offshore wells, but lifting costs are almost the same ranges between them.

      • KCI등재

        광업 분야에서의 지속가능개발 정책 동향 및 시사점

        이경,김대형 한국자원공학회 201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7 No.2

        20세기 후반 이후 국제적으로 산업화와 대규모 개발이 확대됨에 따라 생태계 훼손이 심화되기 시작하였고, 환경 및 생태계 보존과 개발의 조화를 위해 지속가능개발에 대한 개념 정립과 정책 시행이 확산되어 왔다. 특히 광업은 자연자원의 채취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구조적으로 자연환경의 훼손과 지역사회에 대한 변화를 유발할 수 있어, 지속가능개발 정책 적용에 주요 대상이 되는 산업으로 취급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WCED, 리우지구정상회의, MMSD 등에서의 지속가능성과 지속가능개발에 대한 정의와 논의 등을 살펴보았으며, 광업에서의 지속가능개발 개념의 적용과 광업의 지속가능개발의 가능성 및 문제점을 검토하였다. 또한 광업에서의 지속가능개발의 실현과 지속가능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개발에 대한 국제기관 및 금융기관들의 연구 동향과 지표적용 사례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광업에서의 지속가능개발정책 적용 사례와 최근 확대되는 해외자원개발 투자와 연계하여 국내 산업여건에 맞는 지속가능개발 지표의 개발과 광업투자 시 지속가능개발 지표의 조속한 적용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Mining inevitably affects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ies. Economic benefits of mining sometimes come with significant environmental and social costs to mining communities and regions. Balancing the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benefits and costs of mining is the focus of the ques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mining. This paper reviews the overview of sustainabi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related to mining activity, and recent trend of sustainable indicators & guidelines development in mining sector. Also the paper reviews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policy and application related to mining activities in Korea.

      • KCI등재

        HSPF를 이용한 농업비점오염원 최적관리방안에 따른 수질개선효과 예측

        이경,이동훈,안영미,강주현 한국습지학회 2023 한국습지학회지 Vol.25 No.2

        농업지역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타 지역에 비해 넓은 면적에서 배출되기 때문에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발생원 제어와 배출수 관리와 같은 다양한 오염원 저감대책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유역특성을 고려한 오염원별 배출량 및 최적관리방안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HSPF)모델을 활용하여 유역내 오염원별 부하 및 주요 오염원저감방안에 대한 수질개선효과를 분석하여 농업지역의 비점오염관리대책 수립 지원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지역은 경남 창녕군 계성천 유역으로 전체 면적대비 농업지역이 약 26.13%로 산림을 제외하고 지배적인 토지이용을 가지며, 주요 오염원은 농업활동에 기인하 는 화학비료 및 액비살포와 축사에서 발생하여 야적 또는 농지에 살포되는 축분을 포함하고 있다. 계성천 유역에 대 한 HSPF 모델 구축시 화학비료와 액비 사용량, 소규모 축사의 축분 발생량과 공공하수처리장, 분뇨처리장, 마을하수 도 및 개인오수처리시설 등 점오염원 영향을 고려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영양염류의 식생흡수, 침적, 흡탈착, 깊 은침투에 의한 손실 등 상세 순환기작모의가 가능하도록 NITR 및 PHOS모듈을 활용하였다. 구축된 모델은 유역말단 의 2015~2020년 측정값을 토대로 보·검정을 수행하였으며 모델이 유량 및 수질을 적절히 모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오염저감시나리오는 농업비점관리(배수물꼬관리, 완효성비료와 사용), 축산비점관리(액비저감, 소규모 축사 축분관 리), 생활계오염원제어(개인오수처리시설 관리) 등 세 부문으로 구분하고, 달성기간에 따라 단기, 중기, 및 장기로 구 분하여 부문별로 단계별 저감대책을 구성하였다. 개별시나리오 모의 결과 수질개선에 효과는 완효성비료의 대체사 용>배수물꼬관리>소규모축사 축분관리 순으로 나타났다. 유역 전반에 모든 관리방안을 적용하였을 때 장기적으로 TN, TP의 연간부하량은 각각 40.6%, 41.1%, 연평균 농도는 각각 35.1%, 29.2% 감소되는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농업활동 우세 유역에서의 다양한 오염원 저감시나리오별 수질개선효과에 대한 예측 및 이에 기반한 오염관 리대책 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합리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Non-point source (NP) pollutants in an agricultural landuse are discharged from a large area compared to those in other land uses, and thus effective source control measures are needed. To develop appropriate control measures, it is necessary to quantify discharge load of each source and evaluate the degree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implementing different options of the control measures. This study used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 FORTRAN (HSPF) to quantify pollutant discharge loads from different sources and effects of different control measures on water quality improvements, thereby supporting decision making in developing appropirate pollutant control strategies. The study area is the Gyeseong river watershed in Changnyeong county, Gyeongsangnam-do, with agricultural areas occupying the largest proportion (26.13%) of the total area except for the forest area. The main pollutant sources include chemical and liquid fertilizers for agricultural activities, and manure produced from small scale livestock facilities and applied to agriculture lands or stacked near the facilities. Source loads of chemical fertilizers, liquid fertilizers and livestock manure of small scale livestock facilities, and point sources such as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community WWTPs, private sewage treament plants were considered in the HSPF model setup. Especially, NITR and PHOS modules were used to simulate detailed fate and transport processes including vegitation uptake, nutrient deposition, adsorption/desorption, and loss by deep percolation. The HSPF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based on the observed data from 2015 to 2020 at the outlet of the watershed. The calibrated model showed reasonably good performance in simulating the flow and water quality. Five Pollutants control scenarios were established from three sectors: agriculture pollution management (drainge outlet control, and replacement of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s), livestock pollution management (liquid fertilizer reduction, and ’manure management of small scale livestock facilities) and private STP management. Each pollutant control measure was further divided into short-term, mid-term, and long-term scenarios based on the potential achievement period.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effective control measure is the replacement of controlled release fertilizers followed by the drainge outlet control and the manure management of small scale livestock facilities. Furthermore, the simulation showed that application of all the control measures in the entire watershed can decrease the annual TN and TP loads at the outlet by 40.6% and 41.1%, respectively, and the annual average concentrations of TN and TP at the outlet by 35.1% and 29.2%, respectively. This study supports decision makers in priotizing different pollutant control measures based on their predicted performance on the water quality improvements in an agriculturally dominated waters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