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源氏物語』に表れに「紫のゅかり」に關する硏究

        李相境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5 인문과학연구 Vol.1 No.-

        『源氏物語』 前篇에 나타난 光源氏의 世界는 그의 王權成就라고 하는 宿世의 榮華 實現과 그의 사랑의 世界로 區分할 수 있다. 그리고 그의 사랑의 世界는 다시 純粹한 사랑과 彷徨的인 사랑의 世界로 區分할 수 있다. 本 論文에서는 光源氏의 純粹한 사랑의 世界에 나타난 「유카리(ゆかり),와 「무라사키 노유카리(紫のゆかり),가 갖는 意味에 關하여 硏究해 보았다. 光源氏의 그 純粹한 사랑은 우선 무엇보다도 먼저, 돌아가신 어머니 桐壺에 대한 그리움에서부터 시작 되는 것이며, 그것은 이윽고 그 어머니를 닮은 高貴한 身分의 藤壺에 대한 사랑으로 전환된다. 그것이 그로부터 전개돼 나가는 光源氏의 사랑의 역사의 실질적인 출발점이자 根源이 된다. 그러나, 藤壺로 시작되는 純粹한 사랑의 마음은 「무라사키노유카리」로서 紫上를 향하여 나아가게 되며, 紫上는 理想的인 女人像으로서 光源氏의 사랑의 역사에 그 중심적인 위치를 확보하게 된다. 즉 「무라사키노유카리」는 紫上 自身의 뛰어난 인간적 자질로 인하여 이윽고 그 根源인 藤壺를 超越하여 자신의 독자적인 지위를 확고히 지니기에 이르는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아버지 桐壺帝의 皇后인 桐壺를 사랑한 罪는, 結局, 血緣關係로서의 「유카리」에 대한 慾心으로 降嫁하게 된, 女三宮에 의해 因果應報約인 罰을 받는다고 하는 構造를 띠게 된다. 그러나 光源氏의 人生에 있어서 紫上가 完全한 理想的인 女人으로 자리잡게 되는것은, 女三宮의 降嫁를 통하여 紫上가 人生의 孤獨을 超越했을 때, 그때 비로소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그 형태는, 紫上에 있어서는 죽음이었고, 光源氏에게 있어서는 永遠한 女性으로서 오로지 그 마음속에 남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課題는, 그렇게 해서 紫上를 잃은 光源氏가 人間으로서 과연 救濟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다분히 向佛敎的인 『源氏物語』의 後篇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源氏物語』는, 光源氏의 宿世라고 하는 그 榮華 實現의 뒷면에서, 「유카리」를 追求 하는 人間의 慾望이 갖는 어리석은 모습을, 女三宮의 降嫁를 通하여, 그리고 眞實한 사랑의 世界인 「무라사키노유카리」의 덧없음을 光源氏와 紫上의 삶을 通하여 描寫하면서, 그 사랑의 世界의 소중함과 덧없음을 同時에 전개시키고 있었다고 생각되는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인터넷 이용행태 및 조사방법

        이상경 에스케이텔레콤 (주) 2003 Telecommunications Review Vol.13 No.3

        인터넷 리서치는 인터넷 이용자수 및 이용률의 확산으로 본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이 형성되었다. 만6세 이상 인터넷 이용자수는 2,726만 명이고 전체인구 중 59.4%에 이르며 특히 6~19세는 91.4%, 20대는 89.8%, 30대는 69.4%에이르고 있다. 또한 설문조사의 과학성을 담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통해 이제 인터넷 리서치도 동일한 리서치 도구로자리매김하고 있으며, 향후 인터넷 이용자의 확산과 더불어 리서치 산업에서 그 비중이 커져서 현재 약 5%에서 향후 10년이내에 30%까지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터넷 리서치는 측정과 설문조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사용자 중심 측정으로획득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터넷 상에서의 이용행태를 알아 볼 수 있다. 2001년 5월에 비해 2003년 4월 현재 월간 방문자수는 1.5배 증가, 월간 이용시간도 1.7배 이상 증가하였고, 1인당 방문사이트수도 89개에서 121개로 1.4배, 열람페이지뷰도1.5배, 1인당 이용일수도 1.5배, 한사이트당 체류시간도 1.3배가량 증가하여 양적 성장이 둔화하고 있으나 질적 성장은 계속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포털이 압도적 우위를 점하는 가운데 쇼핑/경매, 생활/ 레저, 금융 분야에서는 방문자수, 방문횟수, 페이지뷰의 증가율이 돋보이며, 생활/레저와 함께 엔터테인먼트의 증가율도 눈에 띈다. 그러나 미디어 분야는 둔화 내지감소세를 보이고 있음이 주목된다.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뉴노멀 시대의 선거운동에 관한 일고 ― 미국의 비대면 선거운동과 우리나라의 시사점에 대하여 ―

        이상경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서울법학 Vol.28 No.4

        The cornerstone of non-face-to-face campaigns has long been identified in user-participatory election content on the Internet. Nevertheless, the campaign wa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could appeal and appeal to voters more strongly by expressing intimacy through face-to-face meetings, so the non-face-to-face campaign on the Internet was not used very much. However, many changes have occurred in our daily lives and lives due to the outbreak of the unprecedented Korona 19 incident and the global spread over late 2019 and early 2020. In particular, the 21st parliamentary election (April 15th general election) in 2020 can be called the first non-face-to-face election in which candidates were unable to meet with voters in person and campaign due to the Covid-19 incident. The same was true of the Democratic Party's leadership race in August 2020. At that time, with nearly 300 new confirmed Covid-19 daily cases, Democratic Party of Korea's party leadership candidates chose to refrain from offline campaigns and increase contact with voters online. Since the existing election paradigm was based on the natural premise of face-to-face and contact methods, collective mobilization, organizational power, and personal connections using money were key elements of the mainstream party's election strategy. At the same time, however, we all criticized that such a method was very inefficient. It is now highly likely that the old-fashioned political mobilization will disappear. This direction is positive and developmental. If one of the side effects related to politics and elections was in a high-cost and low-efficiency structure, it was because they experienced a transition in a non-face-to-face manner and experienced low-cost and high-efficiency structural improvements. However, there are problems or disadvantages that the transition to non-face-to-face can bring, so it will also have to be looked at with interest. After all, in the case of non-face-to-face campaign-style YouTube content, it is important to make voters or users learn how to filter themselves. In the case of non-face-to-face campaigns, it will be more urgent to foster thorough democratic awareness so that voters and users can turn their backs on content that distributes slander, false signs, and fake news. 비대면 선거운동의 단초는 이미 오래 전부터 인터넷상의 사용자 참여적인 선거 컨텐츠에서 확인된다. 그럼에도 선거운동은 직접 대면을 통하여 친밀감을 표시함으로써 보다 강하게 유권자들에게 호소할 수 있다는 특성이 있어서 그런지 인터넷상의 비대면 선거운동은 그다지 크게 활용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런데 2019년 말・2020년 초에 걸쳐 미증유의 코로나19사태의 발생과 세계적 확산으로 말미암아 많은 변화가 우리 일상과 삶에 일어났다. 특히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4・15 총선)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후보들이 유권자들을 직접 만나 선거운동을 할 수 없었던 사상 첫 비대면 선거라고 부를 수 있다. 또한 2020년 8월 민주당 대표 경선에서도 상황은 마찬가지였다. 당시 코로나19 일일 신규 확진자가 300명에 근접하는 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당권 주자들은 오프라인 선거운동을 자제하고 온라인을 통해 유권자와 접촉을 늘려가는 방식을 택했다. 기존의 선거패러다임은 대면・접촉 방식을 당연한 전제로 하고 있었으므로, 금전을 활용한 집단 동원, 조직적인 힘 및 개인적인 연결망이 주류적인 정당의 선거 전략의 핵심적인 요소였다. 그러나 동시에 우리 모두 그러한 방식이 매우 비효율적인 것이라고 비판하였다. 이제는 옛날 방식의 정치적 동원이 사라질 가망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방향은 긍정적이고도 발전적인 것이다. 정치 및 선거와 관련된 부작용 중의 하나가 고비용・저효율적인 구조에 있었다면, 비대면 방식으로 전환을 경험하면서 저비용・고효율적인 구조개선이 가능하다는 것을 체험했기 때문이다. 다만 비대면 방식으로의 전환이 가져올 수 있는 문제점 또는 단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 또한 관심을 갖고 바라봐야 할 것이다. 결국 비대면 선거운동 방식의 유튜브 컨텐츠의 경우 유권자 내지 사용자 스스로 여과하는 방법을 터득하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비대면 시대 선거운동의 경우 다양한 규제 보다는 건강한 컨텐츠를 올리도록 하는 문화가 정착되도록 유도하고, 비방, 허위표시, 가짜 뉴스를 살포하는 컨텐츠에 유권자 내지 사용자 스스로가 등을 돌릴 수 있도록 철저한 민주시민의식의 양성이 더욱 급선무일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미국의 재난대응체계의 규범적 고찰과 시사점

        이상경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서울법학 Vol.23 No.2

        Since there have been many natural disasters and terrors constantly, each country in the world has been trying to develop and organize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s and legal frameworks. Especially, after 9ㆍ11 terrorists attack and a catastrophic hurricane Katrina in the United States, the federal government has reorganized the integr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efficiently handle the crisis, and to administrate assistance to the victims of the disasters, newly establishing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and relocating the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under the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As such, after Korea has suffered the Sewol ferry disaster, many criticisms have occurred with respect to the inefficiency and inexpert crisis management system. Hence,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established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in order to efficiently rescue and assist the disaster victims, reorganizing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s and revising the disaster and security management act. The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should be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a control tower like the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of the United States over the variety of disasters, based on the revised disaster and security management act. In this regard, this article focuses on the normative examination of the federal crisis management system of the United States in details, which, hopefully, allows many practical implications to the Korean crisis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자연적 및 인위적 재난 혹은 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하면서 세계 각국은 이러한 사태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재난관리체계 및 법제도를 정비하고 있다. 미국은 9ㆍ11테러 사태 및 허리케인 카트리나 사건 이후로 연방정부와 주(州) 및 지방정부간의 재난대응체계가 효율적으로 운영되도록 국토안보부(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를 신설하여 산하에 연방비상사태관리청(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을 두도록 통합관리체계와 관련 법제를 정비하였다. 우리나라도 세월호 참사 이후에 국가의 위기관리시스템과 전문성에 대한 비판의 여론이 일자 국민안전처를 신설하여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및 복구의 통제탑(control tower)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을 개정하였다. 보다 전문적이며 신속하고도 효율적인 위기관리 및 재난대응을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유기적으로 협조하여 재난업무분장의 적실성을 높여야한다. 우리나라의 재난관리체계에 있어서도 먼저 중앙정부가 체계적인 통합관리체계를 수립하여 국가재난사태에 효율적이고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간의 책무, 즉 공공영역에서의 재난관리체계의 조직적ㆍ유기적 구성을 도모해야 한다. 이에 더하여 민간영역에서의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재난관련법제를 정비하는 것이 시급하다. 미국의 연방재난관리체계와 재난관리법제를 검토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유기적이고도 조직적인 재난 예방, 대응 및 처리 체계를 재정비하고 조직하는데 있어 여러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미국의 연방위기관리시스템 하에서 연방정부와 주(州)정부 및 지방정부 간의 유기적인 협력체계와 조정기능 및 민간영역 자원활용체계 등의 구체적인 내용들에 주목하여 앞으로 우리의 재난과 위기관리 법제 개선에 참조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미국 연방의회와 행정부의 정치권력 관계 및 예산권한 배분에 관한 헌법적 고찰

        이상경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서울법학 Vol.26 No.4

        This article focuses on the political and legal relations and the distribution of budget authority between the U.S. Congress and the Federal Executive, mainly examining how the political and budgetary powers have been distributed. Essentially from a constitutional perspective, the distribution of authority and authority in the legislative process between the U.S. Congress and the Federal Executive has long been shaped by parliamentary practices, legislative acts and precedents. It is worth noting that especially the independent legislative power of the President including veto power has been recognized in various forms, although the legislative power has been regarded as the exclusive property of Congress.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allocation of budget authority, it can be seen that, in particular, congressional traditions and customs in the approval process of the budget fill gaps which exist between the Executive and Congress, since there are no specific provisions under the U.S. Constitution. Also, since appropriation bills are passed in the form of the congressional acts, other laws against the appropriations can be amended directly by the appropriation acts if necessary to ensure budget and legal consistency. Also, in the process of deliberating and deciding the appropriation bill, the Congress can contribute to the realization of budgetary democracy as a representative of the people and secure democratic legitimacy on budget. The common reasonableness of allocating U.S. budget authority is based on the division of the House and Senate, which can be found in the pursuit of budgetary division and the ideals of balanced budget. The roles and functions of the Senate and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can also be understood for a long time in terms of political consensus and power control through the functions of the House and Senate Committees. Indeed,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deral Executive (especially the President) and the U.S. Congress over the 200-year history of roles and functional division has been established, followed by reasonable distribution of law-making power, budget authority, and appropriation acts to realize legitimacy and budgetary democracy. 미국은 1776년 영국식민지로부터의 독립을 선포한 후 13개 주(州)가 국가연합(Confederation)형태의 실권 없는 중앙정부를 수립하고 그 아래서 각 주가 우호와 친선 관계를 유지하는 형식적인 통일형태를 유지하다가, 1789년 강력한 중앙정부를 둔 연방제(Federation)형태를 채택함으로써 완전한 미합중국으로 통일하여 지금과 같은 국가조직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미국 건국의 기초자들은 영국식민지로 출발하여 독립을 쟁취하기까지 영국의회의 위상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으로 인하여 특히 행정부의 의회 권력 통제방법에 대해 천착하였다. 그 결과 정치권력관계에서 의회 권한의 헌법적 제한과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의 법률안 거부권과 같은 강력한 권한이 헌법에 도입되는 새로운 메커니즘이 탄생하였다. 연방의회의 전유물이라고 여겨졌던 입법권에 대해서도 행정부 특히 연방대통령의 독자적인 입법관여권이 다양한 형태로 인정되었다. 또한 연방헌법에 명문의 규정이 없는 연방의회와 연방행정부 간의 예산권한의 배분에 관한 부분은 두 권력기관 사이에 오랜 기간 형성된 정치적 관행과 재정입법형성과정에 대한 선결적 이해가 요청된다. 미국 연방헌법상 세출의결권과 조세징수권은 의회가 보유하나 건국 이후 연방헌법에 근거하여 의회가 보유하고 있는 예산에 관한 권한 중 상당 부분을 사실상 행정부가 행사하였다. 1921년의 예산회계법(Budget and Accounting Act)은 대통령에게 예산안제출권을 부여하는 반면 의회는 단순과반수로서 대통령의 예산안을 수정할 권한을 보유토록 규정하였다. 동 법에 의하여 대통령은 단순히 각 행정기관의 예산안의 총액을 그대로 제출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정책적 우선순위를 반영한 예산안을 제출할 수 있게 되었다. 미국 세출법은 법률의 형식으로 성립되므로 필요한 경우 세출법을 통하여 다른 법률을 직접 개정할 수 있다. 세출법과 다른 법률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거나 충돌하는 경우에는 세출법을 통하여 이를 개정함으로써, 예산과 법률의 일관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연방의회가 예산법률안을 심의하여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국민의 대표자로서 재정민주주의 실현에 이바지하고 재정에 관한 민주적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수권입법과 세출입법에 대한 상원과 하원의 역할과 기능 또한 세출위원회 및 수권위원회의 기능을 통해 오랫동안 정치적 합의와 권력견제의 관점에서 이해될 수 있다. 미국 예산 권한 배분의 보편적 합리성은 상하원의 구분을 전제로 하며, 재정지출의 구분과 균형재정의 이상을 추구하는 가운데 발견될 수 있다.

      • KCI등재

        제국의 전쟁과 식민지의 전쟁문학-조선총독부의 기획 번역 히노 아시헤이(火野葦平)의 『보리와 병정(兵丁)』을 중심으로

        이상경 한국현대문학회 2019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8

        Hino Asihei's Mugi to Heitai (Barley and Soldiers) was translated into more than 20 languages at the time. Hino Asihei published the work while participating in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and serving as a soldier. In the colonial period, the Joseon Governor-General, planned the translation and publication of the work, and it was translated by a veteran Japanese censor. This is a very exceptional situation. This study revealed its reasons and meaning with a critical mind on this exceptional situation. In colonial Korea, the Korean writers did not intend to translate such war mobilization literature. That's why a Japanese censor was forced to translate it under the title Boriwa Byeongjeong. This book was also issued by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and sold at a low price. This is an indirect resistance by writers. It is the pages related to war literature in the Journal Munjang that revealed the traces of this resistance. Founded in February 1939, the Journal has continuously organized a special "War Literature Anthology." There were some reportage, mainly written by Japanese writers, which has been excerpted and published. Although the number of works was small, the Journal also put in some war-related articles written by Chinese writers and an introduction to China's anti-war author's recent situation. There were some articles which claim to be anti-war or non-war literature that intentionally avoids any connection with war. This is a few evidence that Munjang have been to avoid being mobilized by the Joseon Governor-General's repressive literary policy. 이 논문은 히노 아시헤이의 중일전쟁 종군기인 『麥と兵隊』가 당시 세계 20여개 국어로 번역되었는데 식민지 조선에서처럼 식민 당국자인 조선총독부가 번역 출판을 기획하고 조선총독부의 노련한 일본인 검열관이 번역을 맡아서 출간한 예는 없다는 데 주목하여 그 이유와 의미를 밝혔다. 미국에서 출간된 영어본은 펄벅의 부정적 서평을 일본 신문이 긍정적인 것으로 왜곡 소개하면서 ‘세계성’을 입증하는 데 이용되었다. 중국어본은 중일전쟁의 현장인 상해에서는 전쟁의 실상과 적군의 동향을 짐작하는 자료로 번역되었고 일본 제국의 비공식적 식민지였던 만주국에서는 국책 기관의 기획으로 번역된 것으로 보인다. 식민지 조선에서는 번역을 잘할 수 있는 일본 유학생 출신 문인이 많이 있고 경영난을 겪고 있던 출판사 역시 많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식민 당국자인 조선총독부의 일본인 검열관이 『보리와 병정』이라는 제목으로 번역한 것을 조선총독부가 직접 발행하여 염가로 뿌렸다. 아무도 나서지 않았다는 것, 당시 식민지 조선의 작가들이 이런 전쟁동원문학의 번역에 나서지 않고 우회적으로 저항하고 있었기에 할 수 없이 조선총독부와 검열관이 나서서 번역 출판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 한글본 『보리와 병정』이 동아시아 문학에서 가진 독특한 위치를 보여준다. 이러한 저항의 흔적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것이 『문장』지의 전쟁문학 관련 지면이다. 중일전쟁이 발발하고 무한 삼진도 함락된 후인 1939년 2월 창간된 『문장』지는 ‘전선문학선’ 특집을 이어갔는데 히노 아시헤이의 「土と兵隊」, 「花と兵隊」의 일부를 비롯하여 일본 작가의 종군기, 전쟁보고문학을 조금씩 발췌 소개하면서 거기에 슬쩍 중국쪽 작가가 쓴 전쟁 관련 글을 끼워 넣었다. 또 『보리와 병정』을 기화로 벌어진 ‘전쟁문학’ 논의를 빌어 중국의 ‘반전(항일)’ 작가의 근황을 소개하거나 훌륭한 전쟁문학이란 반전문학이거나 아예 전쟁과의 관련을 의도적으로 회피하는 비전(非戰)문학이라는 식의 전쟁문학론을 싣기도 했다. 『문장』이 ‘순문학’, ‘조선적인 것’을 추구하면서 조선총독부의 억압적 문예정책에 동원되는 것을 어떤 식으로든 피하려고 했던 하나의 증거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