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병렬 SISO 복호기에 의한 저전력 터보 복호기의 설계

        이희진,황선영,Lee, Hee-Jin,Hwang, Sun-Young 한국통신학회 2005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0 No.2C

        터보 코드는 Shannon의 한계 이론에 가까운 성능을 보이나 알고리듬의 특성상 반복 복호와 대용량 메모리의 사용으로 구현이 복잡하며 전력 소모가 크다. 본 논문에서는 병렬 구조 방식을 적용할 경우 출력 주파수가 감소되어 결과적으로 전력 소모가 감소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터보 부호기에 병렬 구조 방식을 적용한 설계를 제안하였다. 하드웨어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Max-Log-MAP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병렬 구조가 적용된 터보 부호기를 위한 새로운 인터리버 구조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인터리버의 사용으로 병렬 구조화된 각각의 SISO 부호기들이 인터리버에 대해 읽기/쓰기 동작을 수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메모리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실험 결과 기존의 구조와 비교하였을 경우 인터리버 제어기에 의한 면적의 증가는 무시할 정도이며, 전력 소모는 약 40%정도 감소되었다. Turbo code is popularly used for the reliable communication in the presence of burst errors. Even if it shows good error performance near to the Shannon limits, it requires a large amount of memories and exhibits long latency. This paper proposes an architecture for the low power implementation of the Turbo decoder adopting the Max-Log-Map algorithm. In the proposed design, two SISO decoders are designed to operate in parallel, and a novel interleaver is designed to prevent the collision of memory accesses by two SISO decode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ower consumption has been reduced by about 40% in the proposed decoder compared to previous Turbo decoders. The area overhead due to the additional interleaver controller is negligible.

      • KCI등재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체육학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방안

        이희진,김정현,Lee, Hee-Jin,Kim, Jeong-Hye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3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4 No.4

        이 연구는 체육학 분야의 학문적 특성과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체육학 분야의 분류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KDC 제6판 체육학의 분류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체육학의 학문분류체계는 체육학이론, 체육사회학, 체육심리학, 체육경영학 등 이론적인 분과학문 위주로 연구영역이 구분되어 있는 것에 비해, 문헌분류체계는 스포츠 위주의 세목으로 전개되어 있다. 둘째, 국립중앙도서관의 유별 자료 분석결과 전체 344만여건 중 체육학 자료는 38,585건이며, 그 가운데 특히 692(체육학, 스포츠)에 22,870건이 집중되어 있다. 이는 스포츠 항목보다 이론적인 학문에 기반한 자료들이 많이 출판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로 인해 하나의 분류기호에 많은 자료가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분류항목을 중심으로 주제어 분석을 하였다. 셋째, 분류명사나 항목의 세분전개는 체육학의 학문적 특성과 주제어 분석을 반영하여 수정 전개하였으며, 항목간의 이동은 최소화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general problems concerning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in the KDC 6th edition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system, and suggested some ideas for the improvements of them. Results of this study are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the academic classification divided items focusing on theoretical disciplines such as physical education, sociology, or business administration, the library classification divided them into details according to sport entries. Second, We examined the classification status of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of the collection database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number of physical education field data was 38,585, and of them, that of books having classification codes starting with 692(physical education, sports) was 22,870. This shows that data actually have been published mainly based on academic characteristics rather than sport entries, which causes a problem due to concentration of many data on one classification cod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keywords around these classification codes. Third, modified classification of items was basically performed through the academic system of the physical education and the keyword analysis, and the typical KDC classification system was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 KCI등재

        환경적 지원성과 활동적 노인의 총체적 건강 간의 관계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

        이희진,이연숙,이수진,Lee, Hee-Jin,Lee, Yeun-Sook,Lee, Soo-Jin 한국주거학회 2010 한국주거학회 논문집 Vol.21 No.2

        Korean population is now aging at an unprecedented rate. Fertility decline together with rapid improvements in life expectancy is the dominant demographic trend. As human life and housing environment are inseparably related to each other, the importance of conditions of housing environment for active aging among seniors has been received considerable attention as vital ones to expand the independency period of senior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affordance and perceived holistic health of the active elderly living in a retirement community located in Seoul. With spending time personally in the community to observe their lives, the researcher could be in close rapport with the residents. After the period of getting familiar with each other, in-depth individual inter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were conducted and then, qualitative analysis was completed. As a result, general evidences showed that perceived seniors' health on the whole was improved physically, socially, and mentally by moving into the community providing appropriate environment affordance with the older adults. The study presents that retirement relocation into an improper environment may be a negative challenge, however, it may positively influence on the health and well-being of those who live there if the environment properly supports seniors‘ needs physically and socially

      • KCI등재

        프랜차이즈 미용실에 관한 인식이 프랜차이즈 미용실 브랜드 이미지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희진(Lee, Hee Jin),진용미(Jin, Yong Mi)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5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1 No.3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등장은 미용업의 수요층과 수요량을 증가시켰지만 레드오션 현상, 기술격차의 표준화 등으로 인해 수익성 창출과 미용실간의 양극화 등의 문제점이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미용서비스업은 기술과 경영을 결합시킨 마케팅 전략과 차별화된 프로그램, 긍정적 브랜드 이미지 확립 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랜차이즈 미용실에 대한 인식이 브랜드이미지와 만족도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서 미용실 브랜드의 이미지 개선방법과 성장시킬 수 있는 방법을 창업자 및 미용실 경영자들에게 제시하고자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실증분석을 위해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하여 SPSS 21.0을 통해 총 258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사무직에 근무하는 100만원 미만 소득의 여자 대상자가 많았으며 미용실을 1달에 1번 방문한다는 대상자가 많았다. 프랜차이즈 미용실에 관한 인식의 차원은 ‘신뢰중시형’, ‘환경중시형’, ‘가격중시형’, 프랜차이즈 미용실 브랜드 이미지의 차원은 ‘물리적이미지’, ‘서비스이미지’, 프랜차이즈 미용실 만족도의 차원은 ‘이용만족도’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프랜차이즈 미용실에 관한 인식이 프랜차이즈 미용실 브랜드 이미지와 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프랜차이즈 미용실에 관한 인식 중 ‘환경중시형’과 ‘신뢰중시형’ 요인이 미용실 브랜드 이미지의 ‘물리적 이미지’와 ‘서비스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프랜차이즈 미용실에 관한 인식 중 ‘신뢰중시형’ 요인이 ‘이용 만족도’ 요인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 중 ‘물리적이미지’가 ‘이용 만족도’ 요인에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프랜차이즈 미용실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디자이너들에게 더 많은 신뢰를 느끼고 좋은 서비스와 환경을 갖추었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프랜차이즈 미용실의 브랜드를 선호하고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개선시키고 적극적인 고유브랜드 및 이미지 개발을 위한 기반을 마련한다면 신규고객의 유치 및 시술 만족도와 매출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Although the appearance of franchise beauty salon increased the user class and the demand size of hairdressing industry, but there also increase a lot of problems like the creation of profits and the polarization among beauty salons due to the red ocean phenomenon and the standardization of skills reducing gaps between beauty salons. So the hairdressing service industry now requires som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integrating the skills and the management, some differentiated programs, the establishment of positive image of beauty salon’s brand.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opose some ways to improve and to grow up the beauty salon’s brand image to beauty-salon founders and the executive managers by investigating how the consumer’s perception on a franchise beauty salon influenced on the consumer’s brand image and brand satisfaction leve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gotten from total 258 copies of questionnaire in using the SPSS 21.0, a statistical program, and conducted the factorial analysis, the reliance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data, for the aspect of consumer’s perception on franchise beauty salon, the trust-centering type’ occupied the highest rate, and followed the ‘environment-centering type’, and the ‘price-centering type’ in order, and for the aspect of consumer’s brand image of franchise beauty salon, the ‘physical image’ had the highest rate and followed the ‘service-image’, and for the aspect of consumer’s satisfaction level on franchise beauty salon, the ‘consumer’s satisfaction’ was identified. Finally, as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data about consumer’s brand image of franchise beauty salon and satisfaction on franchise beauty salon,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of ‘environment-centering type’ and ‘trust-centering type’ among the factors about consumer’s perception on a franchise beauty salon significantly influenced on a franchise beauty salon’s ‘physical image’ and ‘service image’, and of the factors about consumer’s perception on a franchise beauty salon, the ‘trust-centering type’ factor influenced on the ‘consumer’s satisfaction’ factor the most significantly. From the above results, it could be known that because customers using a franchise beauty salon felt more trust on hair designers working in franchise beauty salons and thought such franchise beauty salon had better services and environment, so they preferred for and were satisfied on the brand of franchise beauty salon. If the foundation to progressively promote original brands and develop their images are set on the basis off these data, it is consider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attracting new customers and increasing the customer’s satisfaction on their hairdressing procedures as well as improving a beauty salon’s sales.

      • KCI우수등재

        Evaporative Stress Index (ESI)를 활용한 북한의 위성영상기반 농업가뭄 평가

        이희진 ( Lee Hee-jin ),남원호 ( Nam Won-ho ),윤동현 ( Yoon Dong-hyun ),홍은미 ( Hong Eun-mi ),김대의 ( Kim Dae-eui ),( Mark D. Svoboda ),( Tsegaye Tadesse ),( Brian D. Wardlow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논문집 Vol.61 No.3

        North Korea has frequently suffered from extreme agricultural crop droughts, which have led to food shortages, according to the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 The increasing frequency of extreme droughts, due to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has increased the importance of enhancing the national capacity for drought management. Historically, a meteorological drought index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weather stations has been widely used. But it has limitation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weather stations and the spatial pattern of drought impacts. Satellite-based data can be obtained with the same accuracy and at regular intervals, and is useful for long-term change analysis and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wide area access in time and space. The Evaporative Stress Index (ESI), a satellite-based drought index using the ratio of potential and actual evaporation, is being used to detect drought response as a index of the droughts occurring rapidly over short periods of time. It is more accurate and provides faster analysis of drought conditions compared to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the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In this study, we analyze drought events during 2015-2017 in North Korea using the ESI satellite-based drought index to determine drought response by comparing with it with the SPI and SPEI drought indices.

      • 원격탐사기술 기반 논 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현장조사 및 분석

        이희진 ( Hee-jin Lee ),남원호 ( Won-ho Nam ),홍은미 ( Eun-mi Hong ),장민원 ( Min-won Jang ),박종환 ( Jong-hwan Park ),김대의 ( Dae-eui Kim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가뭄은 농업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자연재해로 전지구적 차원의 농업생산시스템 및 수확량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가뭄을 판단하기 위하여 시간적인 가뭄의 발생과 공간적인 가뭄의 분포를 파악해야하며, 가뭄을 정량화하고 대상 가뭄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여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원격탐사기술은 재해 발생지역의 진행과 피해 정도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으며, 주기적이고 동일한 정확도로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지역 또는 광역적인 범위의 지역에 대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논 벼 작물 재배지역에 대하여 위성영상을 활용한 농업가뭄 판단의 적정성을 판단하고자 하며, 현장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정량적인 가뭄 판단을 위한 가뭄지수로 증발산을 활용한 위성영상 기반 가뭄지수인 ESI (Evaporative Stress Index)를 적용하였으며, MODIS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기반 실제 증발산과 잠재 증발산의 비를 활용하여 산정하였다. 현장조사 지역은 강원도 춘천시, 경기도 안성시, 경상남도 사천시 소재의 저수지 수혜지역을 대상으로 2020년 4월부터 9월까지 실시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관개기 논 지역의 식생 변화를 파악하고, 위성영상 기반 가뭄지수와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논 가뭄 모니터링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개화기(1876-1910) 의료복지활동에 관한 연구사적 분석

        이희진 ( Hee Jin Lee ),이방현 ( Bang Hyun Lee ),이방원 ( Bang Won Lee ),양옥경 ( Ok Kyung Ya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2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9 No.-

        본 연구의 목적은 개화기(1876-1910)에 이루어졌던 의료복지활동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해당 시기를 연구한 선행 연구들을 중심으로 문헌고찰 하였다. 개화기의 시대적 상황과 공공 의료체제, 민간의 의료사업을 고찰하였고, 이들의 의료 복지 활동을 주체, 대상, 형태에 따라 탐색 및 정리하였다. 그 결과, 의료 복지 활동의 주체로는 크게 공공(조선 후기 정부, 대한제국 황실, 통감부)과 민간(선교사 단체, 한의사 단체) 주체가 두축이 되어 활동을 전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복지활동의 대상은 대부분 빈곤한 환자, 전염병자가 주를 이루었고 그 당시 사회적으로 소외된 계층이었던 여성, 고아를 포함한 어린이, 한센병자, 행려병자, 죄수, 무의무탁한 자, 군인, 그리고 농촌 지역주민들에 대한 복지활동이 펼쳐졌다. 활동의 형태는 주로 ``구료``, ``시료``로 표현되는 무료 진료, 무료 치료, 약제비무료 혹은 저가 치료와 순회 진료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활동들은 그 시기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현재까지 이어지는 하나의 연속선으로 볼 수 있었으며, 본 연구는 그와 같은 역사적 고리를 탐색하고 정리하였다는 것에서 의의를 가진다. 특히 현재 의료사 회복지의 역사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 연구를 위한 초석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함의가 클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e research is to see how the medical welfare activities during the civilization age fared. To do this, we studied preceding researches with related documents. We studied on the situation of the age, public medical system, civil medical businesses and we broke down their activities into the subject, the object and the forms. As a result the public sector(later Chosun dynasty, the emperial Daehan Royalty, the Residence-General) and the civil(missionaries, the oriental medicine organizations) were shown to be thought of as two main bodies. The target of their activities were mostly poor patients, and poor patients with contagious diseases who were regarded as major body of patients and others include socially marginalized people who were women, children including orphants, people with Hansen``s disease, persons fallen sick on the road, criminals, people with no protector, soldiers, and people living in rural areas. The activities were practiced mainly as ``kuryo``, ``shiroy`` which mean free diagnosis, free treatment, free medication or low priced treatment and itinerant treatment. These activities were not confined to the mentioned age but have continued to the present arranged the historical link. Particularly given that there has been no research on the history of medical social welfare,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laid the basis for further studies.

      • Evaporative Stress Index (ESI)를 활용한 북한의 위성영상기반 농업가뭄 평가

        이희진 ( Hee-jin Lee ),남원호 ( Won-ho Nam ),윤동현 ( Dong-hyun Yoon ),( Tsegaye Tadesse ),( Brian D. Wardlow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기후변화로 인한 전 세계적인 온난화 현상으로 인하여 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상 및 환경요인의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됨에 따라 극심한 가뭄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기상청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17년 우리나라 봄철 강수량이 평년 대비 50∼60% 수준으로 물 부족 현상을 야기하여 극심한 가뭄을 겪은 것으로 나타면서 농업 가뭄에 대한 다양한 접근과 새로운 가뭄지수 활용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인 가뭄 평가는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와 시기별 강수량 및 유효토양수분량에 근거하여 가뭄을 판단하는 파머가뭄심도지수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가뭄지수들은 지점 자료를 기반으로 내삽기법을 통해 재 산정된 지도를 사용하여 공간 해상도 측면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위성 영상을 이용할 경우 주기적이고 동일한 정확도로 지상 자료의 획득이 가능하고 장기적인 변화관측이나 환경감시 등에 유용하며 시공간적으로 변화가 심한 요소의 관측과 광역적 접근이 가능하다. 현재 국내 농업분야 연구에 활용되고 있는 위성영상기반의 가뭄지표는 정규식생지수 (No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와 Enhanced Vegetation Index (EVI), 식생가뭄반응 지수 (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 VegDRI) 등이 있다. 잠재 증발산과 실제 증발산의 비를 이용한 위성영상기반 가뭄지수인 Evaporative Stress Index (ESI)는 SPI, PDSI 등과 비교하였을 때, 가뭄에 더 민감하고 빠른 반응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로부터 짧은 기간의 급속하게 발생하는 Flash drought의 가뭄판단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데이터는 SERVIRGLOBAL(https://www.servirglobal.net)에서 4, 12주 단위로 전 세계 범위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3년간 북한 지역 가뭄발생을 확인하여 다양한 가뭄지수 (SPI, SPEI, EDDI)들과 ESI의 비교를 통해 북한의 가뭄 판단을 위한 위성 영상기반 가뭄 모니터링의 새로운 지표에 대한 적용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 Evaporative Stress Index (ESI)의 국내 가뭄심도 분류기준 제시

        이희진 ( Hee-jin Lee ),남원호 ( Won-ho Nam ),윤동현 ( Dong-hyun Yoon ),김대의 ( Dae-eui Kim ),( Mark D. Svoboda ) 한국농공학회 2019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9 No.-

        자연재해 중 하나인 가뭄은 지구온난화, 엘리뇨 현상 등과 같은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고 있으며, 최근 전 세계적으로 국내외 가뭄 피해 및 발생빈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대 이후 가뭄 주기가 점점 짧아져 2013년 이후 매년 가뭄이 발생하는 추세이다. 지속되는 가뭄의 경향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정량적인 분석이 요구되며, 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 기술은 동일한 정확도와 주기적인 관측으로 가뭄 취약성 평가, 가뭄 피해에 대한 예측 등이 가능하다. 위성영상 기반 농업가뭄 모니터링은 국내 농업분야에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실제 증발산량과 잠재 증발산량의 비를 통해 산정되는 Evaporative Stress Index (ESI)를 활용하였다. ESI는 빠른 가뭄 판단과 단기적인 가뭄 분석에 활용될 수 있으며, Flash drought의 가뭄판단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아노말리 (anomaly)를 지수화한 지표이며, 일반적인 가뭄 평가로 활용되는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파머가뭄심도지수(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등과 같은 가뭄지수와 달리 가뭄심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정립되어 있지 않다. 미국 항공우주국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에서 제공하는 해상도 5km의 ESI가 국내 농업가뭄 판단에 활용 가능하다는 연구 결과를 토대로 2001년부터 2018년까지의 ESI 데이터를 취득하여 가뭄심도 분류기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미국 United States Drought Monitor (USDM)은 지역적 특성에 맞추어 가뭄 단계를 D0부터 D4까지 구분하여 가뭄심도를 분류하였으며, 우리나라 기상청의 경우 SPI의 가뭄심도 분류를 6단계로 나누어 나타내고 있다. 국내에 적용할 수 있는 ESI의 가뭄심도 분류기준을 제시하여 가뭄의 정도를 정량화하고, 가뭄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함으로써 가뭄 평가에 대한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