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인지과학적 시뮬레이션을 통한 朝鮮 性理學의 禮교육 心性모델 개발(1)

        유권종,박충식,장숙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2 民族文化硏究 Vol.37 No.-

        이 연구는 유교, 특히 조선 성리학의 도덕교육에 의한 인격변화의 과정과 그 결과를 컴퓨터로 모의 실험하기 위하여, 조선 성리학자들이 이해했던 心의 구조와 그 작동의 모형을 작성해보고자 하는 데 그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아울러 그것을 통해서 조선 성리학의 큰 줄기를 형성한 퇴계의 심학과 율곡의 심학을 연구대상으로 포용하고, 그 둘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피고, 그 결과를 근거로 일종의 성리학 통합심성모델을 작성해보고자 할 때 필요한 이론적 정지작업을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실제 내용이다. 그 작업을 위하여 먼저 통합심성모델 작성의 이론적 관점과 기반으로서 일종의 구성주의의 관점을 채택한 이유를 밝히고, 그것에 의하여 성리학의 심성론의 해석과 그에 따른 심성모델의 구성 방식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서구의 심리철학에서 이해되는 mind, 인지과학에서 연구되고 있는 인간의 마음, 인공지능에서 이해되는 마음을 분석하고 그것과 구성주의에 의하여 재해석된 성리학자들의 마음과의 비교를 행하였다. 중요한 것은 성리학의 역사로 볼 때 똑같이 주자학 계열의 성리학자이면서도 인간의 심성의 관념에 관해서 대립적인 견해를 지녔던 퇴계와 율곡의 관점을 하나로 묶어서 통합심성모델을 작성하는 작업이다. 이에 대해서 본 연구는 퇴계와 율곡이 근본적으로 禮실천에 의하여 인간의 심성의 순수함과 정직함을 기르고 회복하려는 점에서 동일한 입장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사단과 칠정, 인심과 도심 등에 관한 理氣論적 해석에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통합해 볼 수 있는 이론적 체제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현대에 논의되는 서구철학적 관점의 윤리학과는 다소 다른 방향과 관점에서 진행되는 이 논의는 인지과학과 비트겐슈타인류의 언어철학 등의 관점과 상호 통하는 면이 있으며, 현대 서구철학의 윤리학이 해결하지 못하는 인간의 도덕적 앎과 행위와의 괴리를 넘어설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을 보여준다고 전망된다. 그 점을 인지과학자인 프란시스코 바레라, 언어철학자인 허버트 핑가레트 등의 이론을 근거로 추론하였다. 결론적으로 퇴계와 율곡의 성리학 심성모델은 현대 윤리교육에 대해서 인간의 심신관계 및 실천지향의 윤리교육의 기초를 제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그에 관한 실용성도 풍부하게 지니는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make a structure of mind and its working principles, which had been thought and understood by confucians of Chosun Dynasty, for computer simulating processes of peronalyity changes through Chosun Dynasty's moral education. This study includes Simhak(心學) of famous Chosun confucians, Toegye and Yulgok, and compares commons and differences of two scholar's theory. The key of this study prepares a necessary theoretical foundation for making a Neo-confucian integrated mind model from such results. We explained why we adopt radical constructivism as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integrated mind model, and proposed an interpretation of Neo-confucian mind theory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mind model. Futhermore, we look around a mind of western psychological philosophy, a mind of cognitive science, and a mind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we have compared the confucian mind which is re-interpreted as radical constructivism with such minds. An important work is to make an integrated mind model of Toegye and Yulgok because two scholars are same Neo-confucian, but assisted own theories about human mind. Although the interpretations of Sadan(四端) and Chiljung(七情), Insim(人心) and Dosim(道心) are different each other, encouraging and recovering purity and honesty human mind with the practice of rituals is very much alike. Therefore we want to prepare theoretical foundation for integrating both. This argument is different from ethics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but have something to do with cognitive science and Wittgenstein-like philosophy of language. We expect that this idea show a theoretical possibility beyond the dissociation between ethical thinking and behavior, which modern western ethics can't solve. Such a conclusion is inferred from the concepts of Francisco Valera, the cognitive scientist, and Herbert Figarette, the linguistic philosoper. Now to conclude, the confucian mind model of Toegye and Yulgok can provide the explainable mind-body relationship and the foundation of practical moral education for modern education. We believe that the model has much possibility for practical use.

      • KCI등재

        60Hz 절연변압기가 없는 고주파링크방식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시스템 고찰

        유권종,정영석,최주엽 전력전자학회 2002 전력전자학회 논문지 Vol.7 No.6

        This paper proposes an inverter for the grid-connected photovoltaic system based on the transformer-less inverter. This system consists of a high frequency DC-DC converter, high frequency transformer, diode bridge rectifiers, a DC filter, a low frequency inverter, and an AC filter. The 20kHz switched high frequency converter is used to generate bipolar PWM pulse, and the high frequency transformer transforms its voltage twice, which is subsequently rectified by diode bridge rectifiers for a full-wave rectified 60 Hz sine wave power output. Even though the high frequency link system needs more power semiconductors, a reduced size, light weight, and saved parts cost make this system more comparative than other power conditioning systems due to elimination of 60Hz transformer. 본 연구는 60Hz 절연변압기가 없는 형태의 고주파링크방식의 계통연계형 PCS(Power Conditioning System)를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고주파 DC-DC 컨버터, 고주파 절연변압기, 풀브리지 다이오드 정류기, DC filter, 저주파 인버터, LC 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고주파 DC-DC 컨버터는 20kHz의 bipolar PWM 펄스를 발생시키며, 이 펄스는 고주파 절연변압기를 통해 승압되고, 풀브리지 다이오드를 통해 정류된다. 마지막으로 저주파 인버터를 통해 정현파 전류가 계통에 유입되게 된다. 제안한 고주파링크방식의 시스템은 기존의 60Hz 절연변압기를 사용하는 시스템보다 많은 스위칭 소자가 사용되지만, 60Hz 절연변압기를 생략함으로서 시스템의 소형경량화 및 저가화를 이룰 수 있었다.

      • 퇴계와 다산의 심성론 비교

        유권종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본 연구는 퇴계학이 기호지역에 전개되면서 학문적으로 영향을 주었다고 하는 사실을 퇴계와 다산의 학문 사이의 유사성과 연관성을 통해서 설명한 것이다. 특히 심성수양과 관련된 분야에서 퇴계에 대한 다산의 학문적 태도를 중심으로 점검하면서, 다산에 의해서 계승된 퇴계학의 내용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 의하여 고찰된 까닭에 이 연구는 다산의 실학과 퇴계의 성리학 사이에는 차별성이나 단절성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똑같은 유학으로서 상호 연관성이나 연속성이 존재한다는 것도 아울러 추론하였다. 그 동안 성리학과 실학을 서구의 철학적 관점에 의하여 조명한 결과는 철학적 사고 차원의 차이를 선명하게 구별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두 학자의 학문적 관계를 철학보다는 유학이라는 관점에서 비교하면 차별성 못지 않게 동질성도 매우 강하게 관찰된다. 그것을 본 연구에서는 다산이 퇴계의 학문으로부터 유교의 도를 계승하고자 하는 태도가 분명하다는 점으로 설명하였다. 그 태도는 그의「西巖講學記」, 「陶山私淑錄」, 「理發氣發辨」 및 각종 경전의 주석에서 고찰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egyes Neo-Confucianism and Dasans Practical Learning. Especially in the sphere of moral self-cultivation the relationship keeps so much similarity. Dasans works as like Seo-am-gang-hak-gi, Do-san-sa-suk-lok, I-bal-ki-bal-byeon1,2 etc., succeeded to Toegyes viewpoint. Ever though the concepts and theories of Neo-Confucianism used by Toegye were not accepted by Dasan, but Dasan recognized Toegyes idea of two ways to start ones feelings or emotions, that is I-bal and ki-bal. and accepted as his useful method to explain the appearances of ones mind. And Dasan admired Toegye and copied after him in his true heart. These facts told us that even though philosophically Dasans thoughts were different from Toegyes, but in the Confucian Way, Do(道), it is certain that Dasan succeeded to Toegye. From this inference, Toegyes learnig kept an important portion in Dasans Practical Learning, specially in the ideas of moral self cultivation. Now we can insist on a continuity of Confucian learning between Toegye and Dasan.

      • KCI등재

        21세기 유교 담론의 새로운 구도와 전망 - 爲己之學 연구에 대한 성찰을 중심으로 -

        유권종 한국유교학회 2011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

        이 글에서는 유교에 관한 담론에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몇 가지 담론의 새로운 구도를 제시함으로써 주장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가 현대사회의 고질적 문제해결과 현대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기여하는 전통적 지혜로 재정립되도록 하여야 한다는 점을 유교 담론의 중요한 목적으로 삼고, 그에 걸맞는 연구와 담론의 방향과 형태를 재론한다. 다만 논의의 영역과 주제를 위기지학에 한정하여 논의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이루어진 연구와 담론의 일반적 형태가 보여준 한계를 다름 아닌 관념적 분석과 관념적 담론의 차원에 머물고 있다는 점, 그리고 분과학적 영역에 갇힌 논의의 방식이라는 점, 나아가서 현대적 학문과의 소통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점에 있다고 간주하고, 이를 넘어서거나 개선하기 위한 방법과 담론의 형태를 모색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기지학과 관련된 담론을 특히 위기지학(聖學) 과정 속에서 상호 연관되는 유교의 하위 학문 분야인 禮學과 理學 내지 心學을 상호 연관지어 볼 수 있는 논의의 구조를 재구성하는 방식까지도 다루었다. 아울러 문명담론의 시대의 동아시아 공동체 논의와 관련하여 유교 문명을 보는 새로운 방법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In this article it is insisted with some new compositions of discourses that radical changes are asked in the field of studies or discourses on Confucianism. In this article, it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purpose of studying or discourses on Confucianism that Confucianism must be re-interpreted as a traditional wisdom which can resolve many of chronic problems of contemporary mankind and can improve the quality of contemporary human lives. And new and adequate styles or methodologies of Confucian studies and discourses are discussed. Three problematic phenomena or currents are observed in contemporary studies or dicourses on Confucianism in Korean academic field: the first is that most of them remain in abstract and out of touch with reality, the second is that most of them are activated only in the departed section of philosophy or pedagogy etc., and the third is that most of them make very little communication with interdisciplinary studies or integrated sciences. Therefore how to overcome or solve these problematic things is the significant discussion of this article. However the discussion focuses on the Confucian methodology of self-organization namely Sage-learning, and at the same time focuses on the way how to discourse about Confucianism as a civilization in the era that stresses on reinterpretation of traditional wisdom and on development of ethics for co-existence with peoples from civilizations of different nature.

      • KCI등재

        晦谷 權春蘭의 생애와 학문 : 「進學圖」성립 배경 연구

        유권종 중앙대학교부설 중앙철학연구소 2009 철학탐구 Vol.26 No.-

        본 연구는 조선 중기 具鳳齡의 문인인 권춘란의 생애와 학문을 고찰한 것이다. 권춘란은 퇴계의 학맥에서 이루어진 도학과 심학 및 성학의 맥락을 계승한 학자로서 ꡔ進學圖ꡕ라는 전체 26건의 도상과 그에 대한 해설로 구성된 도설집을 편찬했다. 이 저술의 학문적 가치나 의의에 대한 학계의 평가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나, 장차 이 저술의 가치와 의의를 이해하기 위한 배경으로 그의 생애와 학문을 고찰한 것이다. 전체 논문의 구성은 먼저 권춘란의 생애를 3부분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즉 修學時期, 仕宦時期, 그리고 學問 硏鑽과 著述의 時期로 구분하였다. 주로 그의 「家狀」과 「行狀」의 기사를 참고하되 다른 참고자료를 동원하여 살폈다. 그리고 그의 학문 형성과 발전과정에서 중요한 또 하나의 배경은 스승 具鳳齡으로부터의 가르침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대해서 ꡔ栢潭集ꡕ과 관련자료들을 동원하여 구봉령이 권춘란에게 준 영향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또 마지막으로 권춘란의 학문관에 대해서 살폈다. 이 고찰 역시 궁극적으로는 ꡔ進學圖ꡕ성립과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ꡔ進學圖ꡕ는 권춘란의 추구한 爲己之學의 성과라고 간주된다. 그리고 그 결과로 얻어진 내용을 체계화한 것으로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이는 비록 李滉의 ꡔ聖學十圖ꡕ의 취지와 학문관을 계승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특히 이황보다도 구봉령과의 학문적 수수관계를 중심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는 판단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향후 연구해야 할 과제를 언급하자면, 구봉령과 권춘란으로 이어지는 퇴계학맥 내부의 제3계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ꡔ進學圖ꡕ라는 도설집에 대한 圖像學的 관점에 입각한 체계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In this article life and scholarly attainments of Gwon Chunlan is researched. A Confucian scholar, Gwon was a student of Gu Bonglyong who was a famous Confucian scholar and student of Yi Hwang. Therefore Gwon’s learning naturally consisted of Dohak(道學) and Simhak(心學) that belonged to the context of Yi and Gu’s academic research, and he is the author of Jinhakdo(進學圖), that was edited with 26 diagrams and explanations about promotion of Confucian learning. Any evaluation on his work and its meaning has not been tried. So this article tries to research his life and scholarly attainments as the background for understanding this work. Explanation of his life is divided into three parts, getting his education from Gu and Yi, entering the government service, and cultivation and full growth of his learning by writing and editing books. The main source of research of his life is from the records about his life and his family. The decisive mentor of his life must be Gu, his teacher. This fact is cleared up from the many records on the collection of Gu’ works. And finally his viewpoint of Confucianism related to the work, Jinhakdo, is inquired. Jinhakdo is a result of his pursuit of Confucian moral self cultivation for a long time and so informs a systematic approach to the methods of the self cultivation. It seems to succeed to the famous work of Yi, th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 but it shows more advanced system of Sage learning. And what is important is that his achievement of this work is not only the result of succeeding to Yi’s context but also of Gu’s independent teaching from Yi’s. The future research must aim at explanation of the context from Gu to Gwon as the third one in Yi’s academic circle, and a systematic research of Jinhakdo from the viewpoint of a kind of an iconograph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