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참여 신학’을 통한 종교간 연대의 모색

        황화경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20 한국종교 Vol.48 No.-

        The present era, which forms a community and a global village, is a religiously pluralist society, with the emphasis on the public concern or public good of religion, and inter-religious dialogue and solidarity are further requested by the universal order of world peace. Therefore, efforts for inter-religious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re generally well made worldwide.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Christianity has fundamental difficulties in actively participating in inter-religious dialogue and cooperation, as it has the nature of exclusive soteriology due to its monotheistic faith. However, this paper identified God’s nature as “justice” and “love,” and argued that “real” is reality, and the foundation of eternity and truth, and that God’s justice and love were realized in reality through Moses and Jesus, so it should be realized again in modern times. The theology that testifies to the existence of God, should be expanded in the history of realities, and especially in terms of social-ethical aspects, justice should be realized in the political realm, while love should be realized in the economic realm. This was sought chiefly by the Liberation Theology in Latin America and the Minjung (a People) Theology in South Korea. This practical theology, which has the feature of participating directly in reality and society, is presented as ‘Engaged Theology’ as a broader concept in this paper, and through this ‘Engaged Theology’, Christianity can more actively participate in inter-religious solidarity to realize universal love for humanity, such as loving-kindness, compassion and benevolence, as well as justice. 하나의 공동체와 지구촌을 이루고 있는 현시대는 종교다원주의 사회이며, 종교의 공공성(公共性) 또는 공공선(公共善)이 강조되고 있고, 세계 평화라는 인류 보편적 지상 명령에 의해 종교간 대화와 연대가 더욱 요청되고 있다. 그러기 때문에 종교간 이해와 협력의 노력이 대체로 세계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지만 여전히 기독교는 유일신 신앙으로 인하여 배타적 구원론(救援論)의 성격을 갖고 있기 때문에 종교간 대화와 협력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데 근본적인 어려움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본질을 ‘정의(正義)’와 ‘사랑[愛]’으로 볼 수 있고, ‘현실’이 바로 실재(實在)이며, 영원과 진리의 바탕이라는 측면에서 하나님의 정의와 사랑이 모세(Moses)와 예수(Jesus)를 통해서 현실 속에서 실현되어졌기에, 이는 현대에서도 실현되어져야 한다. 신(神)의 존재를 증언하는 신학(神學)은 현실이라는 역사 속에서 펼쳐져야 하며, 특히 사회 윤리적 측면에서 정의는 정치에서, 사랑은 경제 영역에서 실현되어져야 한다. 이는 주로 남미의 해방(解放) 신학과 한국의 민중(民衆) 신학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참여, 사회 참여적 실천신학을 논자는 보다 넓은 개념인 ‘참여 신학’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기독교는 이러한 ‘참여 신학’을 통하여 종교의 공통된 교훈인 자비(慈悲)·인(仁) 등과 같은 보편적 인류애와 정의(正義)를 실현하고자, 종교간 이해와 대화를 넘어서서 보다 적극적으로 종교간 연대에 참여하여야 한다.

      • KCI등재

        중국과 EU의 개인정보보호 규정 비교와 시사점

        황화경,홍창표 중국지역학회 2021 중국지역연구 Vol.8 No.4

        중국 개인정보 보호제도에 있어 기본법이라고 할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법이 2021년 8월 20일 제13차 전인대 상무위원회에서 통과된 후 2021년 11월 1일부로 정식 시행된 다. 이법은 중국 민법전, 네트워크보안법, 데이터안전법 등 여러 법령에 산재되어 있는 개인정보보호와 관련된 내용을 통합하여 체계적으로 정리가 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 법안을 중심으로 사이버 정보관리, 데이터 및 일반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된 기본적인 법규체제가 완비되었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EU의 신 개인정보보호법이이라고 할 수 있는 GDPR이 2018년 5월25일부로 정식 발 효가 되었다. GDPR과 비교하여 중국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정보의 정의와 적용범위, 개인정보 처리 원칙, 개인정보 주체의 권리 보장, 개인정보처리 동의 및 철회 조항, 개인 정보의 국외이전, 신기술 응용 개인정보의 보호, 위반시 처벌 조항 등에 있어 대부분 유사한 면을 보이고 있지만, 민감 개인정보의 범위가 더 넓고, 공공안전 사건 발생시 사전 고지없이 개인정보 처리가 가능하다는 점, 법규 위반시의 제재 조항은 GDPR 대비 더욱 엄격하고 광범위하다는 차이점도 내포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디지털 경제의 발전이 가속화되는 현재 개인정보 처리 및 이전관련 이슈가 앞으로 더욱 늘어날 것이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로서는 사전 중국 개인정보보호법에 대한 이해와 대응노력이 필요하다.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asic law of Chin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was passed by the Standing Committee of the 13th Chinese National People's Congress on August 20, 2021, and will be officially entered into force on November 1, 2021. It has the significance that the China’s basic legal system related to cyber information, data management and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has been completely organized by integrating the content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cattered in various laws such as the Chinese Civil Code, the Network Security Law, the Information Safety Law, etc. EU's new vers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GDPR, came into effect formally starting from May 25, 2018. Compared to GDPR, Chin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is mostly similar to the former in many respects such as definition and applic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principles of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guarantee of the rights of the subject of personal information, provision regarding consent and withdrawal of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international transfer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application of new technology, penalty provisions for violation, etc. The Chinese law, however, differs from EU in the following points: the scope of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is wider,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is possible without prior notice in case of public safety incidents, and sanctions for violation of laws are stricter and broader than GDPR. As the digital economy is accelerating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issues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transfer ar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Korean companies need efforts to understand and respond to the China's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in advance.

      • KCI등재후보

        개벽(開闢) 사상의 논증적 재고(再考) -우주 개벽·물질 개벽·정신 개벽 중심으로-

        황화경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9 한국종교 Vol.46 No.-

        Donghak, Jeungsan-gyo, and Won-Buddhism, as new religions of early modern Korea, all advocated the ideas of ‘Gaebyeok (Great Opening).’ The ideas of Gaebyeok originated from ancient Eastern beliefs, and, in particular, it was continued as a folk faith with prophetical (docham) elements in Korea. In modern times, the ideas of the Later Day’s Great Opening have become prominent in religious and intellectual circles. Researches on the Great Opening have been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However,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established concept of the Earlier Day’s Great Opening was not divided into the meaning of creation of heaven and earth in the universe, the original meaning of the Great Opening, and the idea of Earlier Day in the shift and circulation between the Earlier Day and the Later Day. Thus this paper distinguishes the Universe Great Opening from the Earlier Day’s Great Opening. This paper examined the argument of Won-Buddhism that the contents of the Later Day’s Great Opening signified the Great Opening of matter as Earthly Opening, and the Great Opening of spirit as Heavenly Opening. This paper investigated in a concrete manner the content of the Great Opening of matter concerning how the Great Opening of matter, which had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thus far, proceeded, and what was the reason why the Great Opening of matter caused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and the beginning of scientific inquiry. Also, this paper discovered out how those three religions of Donghak, Jeungsan-gyo and Won-Buddhism proposed their specific methodology regarding the Great Opening of spirit in order to construct a blissful world of the Later Day on this earth and which they depicted as a utopia of the future. Lastly this paper reviewed in a rational and reasonable manner how the true circumstances regarding creating the paradise of the Later Day relate to a world where the Great Opening of matter and the Great Opening of spirit are advanced simultaneously and form a unified harmonious whole, and where the spirit (spiritual civilization) is the principal element and matter (material civilization) must be subordinate. 한국 근대의 신종교인 동학, 증산교, 원불교 등은 모두 ‘개벽(開闢)’ 사상을 주창하고 있다. 개벽 사상은 원래 고대 동양의 사상에서 비롯하는데, 특히 한국의 도참(圖讖) 사상 등의 민간 신앙으로 이어지다가 근대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후천 개벽 사상이 대두되었다. 개벽에 대한 연구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본고에서는 기존의 선천 개벽이 개벽의 본래 의미인 우주의 천지 창조의 의미와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의 교역 순환에 있어서의 선천의 이념과 구분되지 않는 점을 지적하고, 이를 우주(宇宙) 개벽과 선천 개벽으로 나누어 구별하고자 하였다. 후천 개벽의 내용을 원불교에서 주장하는 지벽(地闢)으로서의 물질 개벽과 천개(天開)로서의 정신 개벽으로 보고, 그 동안의 연구에서 다소 미진했던 물질 개벽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어 왔으며 그 이면의 발생 동기가 무엇인지, 그 내용을 좀 더 세밀히 살펴보고, 또한 미래의 이상향으로 그려지고 있는 후천 선경과 낙원 세상을 건설하기 위해서 삼교(三敎)에서는 정신 개벽의 구체적인 방법론을 어떻게 제시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후천 선경의 낙원 세계의 실상은 물질 개벽과 정신 개벽이 병진되는 세상, 조화롭게 일치된 세상이면서도 정신이 주(主)가 되고 물질이 종(從)이 되는 세상이어야 함을 논증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일상 수행의 요법」을 통한 원불교 성불론 -보은 불공을 중심으로-

        황화경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4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9 No.-

        정산(鼎山: 宋奎, 1900-1962)은 『정산종사 법어』 「법훈편」 7장에서 평생 「일상수행의 요법」만 읽고 실행하여도 성불(成佛)에 족(足)하다고 하였다. 그러나 성불은 직접적으로는 삼학(三學) 등과 관련이 있는데, 어떻게 보은 불공(報恩佛供) 이라 할 수 있는 사은(四恩) · 사요(四要)에 해당하는 조목까지 닦아야 하는 것인가라는 점을 밝혀야 이 법문의 진정한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원불교 『정전(正典)』에 실려 있는 「일상 수행(日常修行)의 요법(要法)」은 사은 · 사요와 삼학 · 팔조의 실천 강령으로서, 「교강(敎綱) 9조」라고도 하는데, 이는 마음 공부를 통한 초범 입성(超凡入聖)의 수행법이며, 보통급에서부터 여래위에 이르기까지닦아야 하는 근간 수행법이다. 그런데 원불교는 대승 불법(大乘佛法)을 표방하며, 대승에서는 자각각타(自覺覺他)와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보살도(菩薩道)를 닦아 성불할 수 있음을 중요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요법」의 내용을 「교리도」 의 변천 과정 및 「사대 강령」 중 ‘지은 보은(知恩報恩)’의 의미와 관련하여 살펴보면, 사은은 감사 생활에 해당되고, 사요 실천은 구체적인 보은행이라 할 수있다. 그러므로 대승의 보살도라 할 수 있는 「교강 9조」에서 각타 · 이타의 제중행(濟衆行)이라 할 수 있는 사은 · 사요에 해당하는 조목도 수행하여 보은 불공하여야, 진정으로 성불할 수 있다는 논리가 성립된다. 또한 「요법」을 통하여성불뿐만 아니라 원만한 인격의 완성도 성취할 수 있으므로, 성불에 족하다고한 것이다. In the verse 7 of Chapter of Dharma Admonitions of The Dharma Discourses of Cardinal Master Chŏngsan , Chŏngsan (Song Ky u , 1900-1962) said, “Even if we were only to read and apply the ‘Essential Dharmas of Daily Practice’ for our whole lives, that would be enough to attain buddhahood.” However, because achieving the Buddhahood is directly related to the Threefold Study, the reason should be clarified why the articles must be practiced that correspond to the Fourfold Grace and the Four Essentials, which can be practices concerning requiting grace and making buddha offerings,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these words. The contents of the ‘Essential Dharmas’ in The Principal Book of Wo n - Buddhism are the main principles of practice, which consist of the Fourfold Grace, the Four Essentials, the Threefold Study and the Eight Articles, which are also called ‘9 Articles of Teaching Principles.’ Those ‘9 articles’ are the ways of practice to transcend the ordinary and enter sagehood through mind practice, and also the fundamental ways of practice that must be cultivated from the ordinary grace to the tathāgata status. However, they profess to the Buddhadharma of Mahāyāna in Wo n -Buddhism, and the Mahāyāna puts emphasis on being able to achieve the Buddhahood by practicing the paths of bodhisattvas that consist of enlightening themselves and enlightening others, benefiting themselves and benefiting others. If we examine the contents of ‘9 Articles’ in relation with the changing process of the ‘Doctrinal Chart’ and the meanings of the ‘Four Great Principles,’ we can find that the Fourfold Grace corresponds to the life of gratitude and the practice of the Four Essentials to the concrete actions to requite the grace. Therefore, in order to achieve the genuine Buddhahood, we should requite grace and make buddha offerings by cultivating the articles that correspond to the Fourfold Grace and the Four Essentials―elivering practice of enlightening others and benefiting others―in the ‘9 Article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paths of bodhisattvas of Mahāyāna. In addition to achieving the Buddhahood, they are also the ways of practice to have a perfect personal character.

      • KCI등재

        21세기의 바람직한 원불교 종교교육 개선 방향 연구

        황화경(Hwang Hwa Kyou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7 한국종교 Vol.41 No.-

        본 연구는 원불교 종립학교의 한 전문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21세기의 바람직한 원불교 종교교육 개선 방향 연구를 목적한다. 특히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 미래종교문화의 변화 추이와 참다운 인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본질적 물음을 인식하여 학교현장에서의 종교교육이 인성교육을 포괄하여 시행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 실천 방향성을 논의하였다. 이에 바람직한 종교교육을 위해 종교가 성자의 근본 가르침에 입각하여 인간을 바로 세우고, 사회를 정화하고, 행복한 세상을 만들어 간다는 관점에 입각한다. 그리하여 21세기의 원불교 종립학교가 추구해야 할 종교교육을 1) 인간성 회복을 위한 사실적 도덕훈련으로의 인성적 종교교육, 2) 모든 생명이 하나의 은(恩)적 생명체임을 자각하고 감사보은하는 생활적 종교교육, 3) 상생과 평등의 윤리도덕을 실천하는 실천적 종교교육, 4) 자리이타의 정신자세로 대중을 유익하게 하는 공익적 종교교육, 5) 인간의 무한한 잠재능력을 계발시켜주는 창의적 종교교육을 제시한다. 아울러 급격하게 변화하는 세계화, 정보화 사회를 주도할 글로벌 인재 양성에 있어 학교교육과 종교교육의 상보적 관계의 시스템을 운영하고, 글로벌 교육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세계시민으로 성장해 갈 수 있는 다양한 종교문화교육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원불교 종교교육에 대한 탐색, 매뉴얼 및 교재개발에 대한 연구와는 달리 원광보건대학교에서 실시된 종교교육을 통해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으로 원만한 인격을 이루게 하고 상생과 평등의 사회를 이루는 방향으로 21세기 바람직한 종교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둔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Won-Buddhism in the 21st century in the case of one college. In the midst of the rapidly changing currents of time, essential questions have been asked about the meaning of true personality and future trends in the context of religious culture. This approach also emphasizes that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 should be conducted focusing on education in relation to personality. In this paper, specific plan of practice are discussed. First, education focusing on character should be pursued in order to restore personality through practical moral training; Second, life-oriented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with an emphasis on expressing gratitude for the love received from parents; Third, practical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realize ethical moral values such as symbiosis and equality; Fourth, the direction of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by enhancing public interest in the public domain. Fifth, creative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to highlight the limitless potential of man. For the training of global talent in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 system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Furthermore, this approach highlights the variety of religious and cultural education so that global citizens can arise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global training network.

      • KCI등재

        원불교 사은사상의 생명윤리

        황화경(Hwang Hwa Kyoung) 원광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6 한국종교 Vol.40 No.-

        자본주의는 우리의 삶에 경제적 풍요를 가져왔으나 한편으로는 경쟁과 착취의 메커니즘으로 인해 생명에 대한 존엄성 및 정체성의 혼란을 야기했다. 이로써 지구상에 공존하는 자연 생태계의 가치 또한 인간발전을 위한 수단으로 전락하였고, 생명의 가치를 경시하는 현상은 자연 생태계 파괴는 물론 인간의 존엄성과 인간성마저도 상실하는 데 일조하였다. 이로 인한 자연 환경의 문제는 물론이며, 인간사회의 윤리적 문제도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생명사상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생태계 파괴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생명에 대한 개념을 근대의 기계론적 자연관과 유물론적 차원으로 환원시켜 왜곡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시점에서 생명사상을 새롭게 정립하는 작업이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본고에서는 자본주의의 메커니즘과 다윈의 생명개념의 연관성을 비판하고, 생태계 파괴와 생명경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원불교의 사은(四恩)사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원불교의 사은사상에 바탕을 둔 생명의 윤리란 모든 생명과 더불어 살아가는 은혜의 발견이며 서로 연결된 하나의 세계를 발견하고, 상호 협동하여 공생·공존(共生·共存)하는 것으로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균형과 조화를 유지하는 인륜의 창출이다. 본고 2장은 생명을 탐구해온 역사와 생명을 바라보는 현대적 관점을 짚어보고, 근대 자본주의 이념에 녹아있는 생명사상의 문제점과 새로운 생명가치의 이념을 제시하였다. 3장과 4장에서는 원불교의 은(恩) 사상으로부터 생명사상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보편적인 생명윤리를 생명에 대한 모순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 4장은 원불교의 생명사상 실천사례를 고찰하였다. 이와같은 시도는 추상적이고 관념적인 흐름에 그칠 수 있는 원불교의 생명사상과 활동을 구체화하여 가치관을 정립하고, 생명윤리와 실천문화를 정착시키는 데 그 의미가 있다. Capitalism has brought economic affluence into our lives. Yet conversely, through competition and the mechanism of exploitation, it has caused confusion about the identity and dignity of life. In this way, the natural ecosystems that exist on Earth were also degenerated for human development. A phenomenon that downplays the value of life, it contributed to the loss of human dignity and humanity, as well as to the destruction of natural ecosystems. It caused problems in the natural environment, and it also resulted in ethical problems in human society, which have been occurring constantly ever since. Recently, these event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using life to overcome destruction of the ecosystem. However, modern people tend to distort the idea of life, as they adopt mechanistic views of nature and embody various dimensions of the modern materialist. In this situation, one’s perception of life should be redesigned first, This paper criticizes the relevance of capitalist mechanisms, as well as Darwin"s idea of the life of capitalists.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to sol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ontempt of life and ecosystem degradation, it proposes the Fourfold (四恩) Grace of Won Buddhism. Based on the Fourfold Grace of Won Buddhism in ethics of life, it discovers grace of life; this perspective emphasizes a world in which we all live together, and articulates that everyone in the world is connected to each other. The creation of humanity maintains balance and harmony, collaboration, and a symbiotic coexistence (共生·共存). The second chapter demonstrates the modern viewpoint, where people overlook history and life. It propose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idea of life and the value of new life. These views belong in modern capitalism ideology. The third and fourth chapters derived ideas of life from (恩) the grace of Won Buddhism. Through this, a universal bioethics has been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of life. The fourth and final chapter discusses the idea of life practices of Won Buddhism. It attempts to embody the activities and refine the ideas that could only be affected by abstract and conceptual flow. In this way, it is thus meaningful to establish a culture that practices bioethics.

      • KCI등재

        가공 방법에 따른 하수오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의 종합적인 비교

        이희율,정은,화경,조두용,정재각,김민주,정종빈,장무연,조계만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22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65 No.4

        본 연구는 증자, 숙성 및 발효에 따른 Polygoni multiflori Radix의 이화학적 특성, phytochemical 함량,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Polygoni multiflori Radix (PMR) 은 가공 후 pH는 약간 감소하고 산도는 증가하였다(pH 5.70 →4.78, 산도 0.23→0.29%). 환원당 함량은 숙성과 발효 후PMR (1.19mg/g)에서 1.40 (FPMR), 1.30 (RPMR), 1.53 (FRPMR), 1.99 (BPMR) 및 2.33 mg/g (FBPMR)으로 증가하였다. Total phenolic 함량은 PMR (6.05 mg/g)에서 가장 높았으며, total flavonoid 함량과 maillard product는 PMR을 숙성과 발효 후증가하였으며 각각 BPMR (1.60 mg/g)과 FBPMR (2.76 O.D.) 에서 가장 높았다. 주요 phytochemical은 2,3,5,4'-tetrahydroxystilbene- 2-0-α-glucoside로 PMR (64.9 mg/g)에서 가장 높았으며, FPMR에서 46.47 mg/g, RPMR에서 33.94 mg/g, FRPMR에서48.76 mg/g, BPMR에서 36.68 mg/g, FBPMR에서 34.35 mg/g이검출되었다. 주요 지방산과 유리아미노산은 palmitic acid (C16:0)과 proline이었다. 2,2-diphenyl-1-picrylhydrazyl, 2,2'- 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라디칼 소거활성 및 FRAP 환원력은 대체로 PMR (39.06%, 98.32%, 및 2.61 O.D. - 추출물 농도 1.0 mg/mL)에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숙성과 발효 후에 감소하는 경향을보였다.

      • KCI등재

        Survey of ERETIC2 NMR for quantification

        홍란선,황화경,김선춘,조황의,이훈주,홍진태,문동철 한국자기공명학회 2013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 Resonance Society Vol.17 No.2

        The ERETIC (Electronic REference To access In vivo Concentrations)2 method is a new qNMR experimental technique to measure analytes based on the signal of the reference compound without additional hardware equipment. In this study, ERETIC2 method was validated, and we sought to identify whether it would be possible to apply this method to a specific compound analysis of metabolites in plant. The 90° pulse value (P1) and spin-lattice relaxation time (T1) of each compound were measured for ERETIC2. The 91H of 3-(trimethylsilyl) propionic-2,2,3,3-d4 acid (TSP) was used as a reference peak for ERETIC 2, and then, a suitable solvent and pulse sequence for each compound were selected. Under the NOESY-presat sequence, the relative accuracy error for quantitative analyses of primary metabolites was within the range of 5%, with the exception of glucose, which showed ≥ 55% error due to saturation. It showed excellent results for the quantification of glucose by using a 30° pulse sequence, which did not suppress the water peak. In addition, the quantitative accuracy for secondary metabolites was extremely accurate, with an error ≤5% when considering the purity of the standard sample. The ERETIC2 method showed outstanding linearity, precision, and accuracy.

      • 미생물 발효차의 역사·지리적 특성

        오명진 ( Oh Myungjin ),황화경 ( Hwang Hwagyeong ) 원광대학교 한국예다학연구소 2016 한국예다학 Vol.3 No.-

        본 논고는 지역에 따른 미생물발효차의 차이점과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찻잎에 미생물을 이용하는 방법 및 차문화 전파는 차나무의 원산지, 동아반월호로 부터 생태 지리적 영향에 의하여 자연스레 동아시아 방향으로 미생물 적극 이용의 방향과 미생물 억제방향이라는 두 방면으로 형성되었다. 미생물 적극이용 방향은 유산균발효를 이용한 혐기성발효로부터 시작되며, 동아반월호로부터 식생문화를 공유하게 되는 조엽수림대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현상으로 동남아를 거쳐 일본으로 유입되었다. 미생물 억제 방향은 역사상 파·촉 지방에서부터 발생한 차문화가 중원으로 퍼져나가 미생물을 배제하고 찻잎 내 효소를 이용하는 다양한 가공법으로 발전하면서 6대 다류로 분화되었다. 이는 중국내지를 통해 한국으로 전래되었다. 이 과정에서 변방지역으로 운반되었던 차가 기폭제가 되어 호기성 곰팡이에 의한 발효차인 흑차가 탄생하였다. 즉, 호기성 발효차의 모태는 미생물 억제 방식의 산물이었다. 이처럼 미생물 발효차는 지역적으로 확연한 차이점과 방향성을 가지고 있었고 절임식의 혐기성 발효차가 호기성 곰팡이류의 발효차 보다 시대적으로 매우 앞서 나타났다. 그러나 혐기성발효차가 음용의전 단계적 과정은 아니다. 단지, 민족성과 지역적 문화관습에 따른 찻잎 이용형태의 문제로 봐야하며, 이는 민족의 이동 및 전파의 방향성문제로 귀착된다. This thesis concerns a study on the differences among region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teas fermented by microorganisms. The method of using microorganisms to ferment tea leaves and associated tea culture were spread from the origin of tea trees in the East Asia crescent to the Far East. This spread was naturally led by ecologic and geographic influences and developed into two aspects; the active use and control of microorganisms. The active use of microorganisms starts from the anaerobic fermentation process, which uses lactic acid bacteria. Starting from the East Asia crescent, this process spread to the laurel forest zone, which has the same vegetation. It subsequently passed through South-East Asia and flowed into Japan. The control of microorganisms historically began in the Sichuan province, where tea culture originated from, and thereafter spread within the whole of China. It developed into various methods using enzymes in tea leaves and excluding microorganisms. Eventually, it became divided into six types of teas. This method was introduced into Korea via China. In this process, teas delivered to the border area became a trigger and led to the creation of black tea which was fermented by aerobic fungi. Therefore, the origin of aerobically fermented tea was a result of the control of microorganisms. Thus, teas fermented by microorganisms had locally definite differences and directions and anaerobically fermented tea appeared far earlier than tea fermented by aerobic fungi. Anaerobically fermented tea was used for edible purposes; however, it was not a prerequisite of drinking tea. The spread of anaerobically fermented tea was a matter of ethnicity, culture and custom, depending on the migration of people and other fac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