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조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구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황창호 ( Changho Hwang ),김정숙 ( Jungsook Kim ),최정인 ( Jungin Choe ),문명재 ( M. Jae Moon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9 국가정책연구 Vol.33 No.1

        기업가정신은 기업의 혁신을 주도하는 정신이나 가치관이며, 기업가정신이 발현하기 위해서는 조직의 리더가 기업가적 리더십을 갖출 것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공공 부문의 혁신을 위하여 강조되는 기업가적 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어떠한 조직구조 하에서 조직 몰입을 높일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업가적 리더십이 조직 몰입에 주는 영향과 함께 공식화, 집권화, 공식화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기관과 공공기관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방법으로 조절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가적 리더십은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조직구조의 세 가지 특성 중 집권화가 기업가적 리더십과 조직몰입을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결과는 통제의 권한이 집중된 집권화된 조직에서는 기업가적 행동과 리더십의 발현이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leadershi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a context where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for the public sector is increasing. The authors further explores how the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lationship changes depending on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types.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entrepreneurial leadership have impac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entralization, one of organizational structure types, has a moderating effect.

      • KCI등재

        역대 정부의 해양수산 행정조직의 변화와 정책성과에 대한 비교연구: 해양수산부를 중심으로

        황창호(Hwang, Changho) 한국지방정부학회 2017 지방정부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역대 정권별로 해양수산행정 조직 및 기능변화를 살펴보고, 해양수산분야의 정책성과를 설문자료와 양적자료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설문자료 분석결과 해양수산행정조직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은 지난 20년간 양식산업, 해양환경보전, 해양문화관광 분야에 대한 정책성과를 높이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양영토관리와 재난 및 안전관리 부문은 상대적으로 성과가 미흡한 분야로 평가하고 있었다. 특히 해양환경보전과 해양과학기술 부문을 집중적으로 육성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양적자료 분석결과 해양투기허용 총량제도의 도입과 해양폐기물 허용품목의 축소로 폐기물 해상투기량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어업소득과 어가자산 모두 최근 정부로 들어올수록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업생산량 측면에서는 어장축소 등으로 인하여 어려운 생산여건 속에서도 지속적인 자원조성사업 및 감척사업의 노력으로 톤당 어업생산량은 꾸준하게 증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해운수출입 측면에서는 최근 정부로 들어올수록 해운수입과 지출 모두 대폭 증가하였으며, 그 결과 해운수지의 경우도 두배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해양수산분야의 정책성과를 설문조사자료와 지난 20년간의 양적자료를 수집하여 정권별로 체계적으로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해양수산분야의 정책성과에 대한 연구결과를 축적하고, 보완, 발전시키는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policy performance of oceans and fisheries of sector based on survey data and quantitative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shows that the members who work in the oceans and fisheries of administrative organization are positive evaluating the policy performance of the aquaculture industry, ocean cultural tourism, ocean environment preservation but ocean territory management and safety management are relatively poor in terms of policy performance. Second, quantitative data analysis shows that the amount of waste water disposal has decreased continuously and both fishery income and fishery assets increased with the recent government entr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by linking regime to oceans and fisheries of p

      • KCI등재

        정부역량에 대한 국민인식이 정부성과인식에 미치는 영향 : 정부의 내·외부역량을 중심으로

        황창호(Hwang, Changho)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정부의 대표적인 역량변수를 내부역량과 외부역량 변수로 구분하여 정부역량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정부성과인식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정부의 내부역량 변수 중에서 재정자원관리와 정보공개에 대한 국민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정부성과인식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둘째, 정부의 외부역량 변수 중에서 정부의 시민참여에 대한 국민들의 긍정적인 인식은 정부성과인식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정부의 인적자원관리 역량과 시민지지 역량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정부성과인식에는 통계적으로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통해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의 시사점은 정부는 국민의 세금을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재정자원관리 역량을 한층 강화하고, 정부의 의사결정과정을 국민에게 충분히 공개하여 알권리를 보장하는 동시에 다양한 경로와 채널을 확대하여 국민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려는 노력을 통해 정부성과에 대한 국민들의 긍정적인 인식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how citizen perception of government capacity affects government performance perceptions by dividing representative capacity variables of government into internal and external capacity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itizen s positive perception of financial resource management and information disclosure has a positive effect on government performance perception. Second, The citizen s positive perception of the government s citizen participation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overnment performance perception.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citizen s perception of the government s human resource management capacity and citizen support capacity has no statistical effect on government performance perception. This study has an academic value because it can be utilized as an important policy reference material for improving government performance.

      • KCI등재

        역대 대통령 연설문의 유형과 특징에 대한 비교연구

        황창호(Hwang, Changho),이혁우(Lee, Hyukwoo),임동완(Lim, Dongwan) 한국공공관리학회 2015 한국공공관리학보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역대 대통령들의 연설문이 어떤 유형(type)으로, 어떤 분야(where)에서, 어떤 주제(what)를 중심으로, 그리고 어느 시점(time)에 활발하게 생성되어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연설문의 유형별로는 전두환 대통령과 김영삼 대통령, 그리고 노무현 대통령은 치사 유형의 연설문이 가장 많이 생성되었으며, 노태우 대통령은 성명/담화문, 김대중 대통령은 기념사 유형의 연설문이 가장 많이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설문이 주로 생성되는 정책분야로는 외교통상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경제, 정치사회, 행정 분야에서 연설문이 활발하게 생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제별로는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주제의 대통령 연설이 생성되기도 하며, 대통령별로 특정사건이나 국가의 중대사와 관련하여 연설을 해야하는 경우가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설문이 활발하게 생성된 시점으로는 집권 초반이나 후반보다는 주로 집권 중반에 대통령 연설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3,500여개의 역대 대통령 연설문을 통계적인 방법론 보다 내용분석을 통한 좀 더 사실적이고 현실적으로 다가올 수 있는 서술적 방식을 바탕으로 역대 대통령 연설문의 유형과 경향, 그리고 특징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ype and characteristics-related Presidential Speeches. Particularly, this study surveys characteristics-related type and subject of Presidential Speeches, as well as field and timing of occurrence. There are several findings in this study. First, the type of speech in President Chun Doo-Hwan and Kim Young Sam, and Roh Moo-hyun was the most created the praise speech of type while President Roh Tae-Woo and President Kim Dae Jung showed that the most produced commemorative speech of type. Second, the policy area of presidential speeches are mainly produced by diplomacy & trade sector and the industrial economy, political society, administrative sector. Thirdly, the subject of presidential speeches are mainly created speeches with regard to a particular case or the fate of the country. Fourth, the timing of Presidential Speeches to be mainly focused on the early and mid-ruling rather than later. This study indicates that more sophisticated analyses of type and characteristics-related Presidential Speeches need to be pursued beyond simple identification of problems and solutions.

      • KCI등재

        근전도 트리거 손목 재활 훈련 시스템 개발

        김영훈,리두이콴,지영준,안경관,황창호,Kim, Younghoon,Le, DuyKhoa,Chee, Youngjoon,Ahn, Kyoungkwan,Hwang, Changho 대한의용생체공학회 2013 의공학회지 Vol.34 No.3

        This study i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wrist rehabilitation system for the patient who has limited capability of movement after stroke. Electromyography triggered training system (ETTS) can play the role between complete passive training and patient activating training system. Surface EMG was measured on pronator teres muscle and biceps brachii muscle for wrist pronation and supination. Our system detects whether the subject makes muscular effort for pronation or supination or nothing in every 50 ms. When the effort level exceeds the preset percentage of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the motor rotates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intention of the subject. EMG triggers the motor rotation for the wrist rehabilitation training until the preset angle. To evaluate its performance, the 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level was measured for 4 subjects at first. With the audio-visual instruction to rotate the wrist (pronation or supination) the subjects made effort to follow the instruction. After calculating root mean square (RMS) for 50 ms,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re was muscular effort to rotate while holding the motor. When there was an effort to rotate, the controller rotates the motor 0.8 degree. By comparing the RMS values from two channels of EMG, the controller determines the rotational direction. The onset delay is $0.76{\pm}0.24$ s and offset delay is $0.65{\pm}0.22$ s for pronation. For supination the onset delay is $1.24{\pm}0.41$ s and offset delay is $0.77{\pm}0.22$ s. The system responded fast enough to be used for rehabilitation training. The controller perceived the direction of rotation 100% correctly for the pronation and 97.5% correctly for supination. ETTS was developed and the fundamental functions were validated for normal subjects. The clinical validation should be done with patients for real world application. With ETTS, the subjects can train voluntarily over the limitation of the range of motion which increases the effectiveness of the rehabilitation training.

      • KCI등재

        부처별 재난안전 R&D 성과의 관리요인: 조직의 제도적 기반, 자원, 전문기관을 중심으로

        유은지 ( Eun Ji Yoo ),황창호 ( Jungsook Kim ),김정숙 ( Changho Hwang ) 중앙대학교 국가정책연구소 2018 국가정책연구 Vol.32 No.4

        최근 재난이 점차 대형화ㆍ복잡화ㆍ다양화됨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끊임없이 발생하는 재난을 사전에 어떻게 효율적으로 대처하고 관리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중요하게 부각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과학기술의 급격한 성장과 발전에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연구개발(Research and Development; R&D)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이에 대한 정부투자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규모 피해를 동반하는 각종 재난 및 안전사고가 증가하고 있어 정부 대책의 실효성의 대한 의문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특히 각 부처별로 안전사회를 조성하기 위하여 많은 예산과 인적자원을 투입하고 있으나, 이러한 노력이 성과로 이어지고 있는지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즉, 정부 지원하고 있는 막대한 재정에 견주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고 있는지와 재난안전 R&D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실증적으로 확인할 필요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 R&D 성과의 관리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법제도, 자원, 전문기관의 분석틀을 재난 안전 R&D를 추진하고 있는 중앙행정기관에 적용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합동 최소자승법과 퍼지셋 결합요인분석을 통해 영향요인과 결합요인을 확인하였다. 합동 최소자승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연구성과, 과학성과, 경제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법제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성과와 기술성과가 2차적 성과인 경제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기술성과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퍼지셋 결합요인 분석결과, 연구성과, 과학성과, 경제성과 모두에 필요한 조건으로는 법제도와 전문기관인 것으로 나타났다. 충분조건을 만족시키는 경우는 경제성과에만 해당하며, 법률이 마련되어 있고, 자원이 적으며, 연구관리 전문기관이 있는 경우이다. 본 연구의 주제는 재난환경이 급격히 변화하고, 다양한 위험요소로부터의 안전과 관련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시의적절하다. 또한, 재난에 대한 예방, 대응 및 복구 방안을 장기적인 관점에서 마련하는데 있어 조직의 관리적 노력, 즉,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고, 자원을 확보하여 적절히 배분하고, 사업단위로 적절히 관리하는 역량이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함의를 지닌다. As the government's disaster safety policy becomes more important, the need for research on ways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disaster safety R & D has also increased.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joint least squares method and fuzzy set combining factors by using analysis framework of legal system, resources, and professional organizations to identify the managerial factors of disaster safety R & D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using the joint least squares method, it was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both research achievement, scientific achievement and economic performance were the legal system. In addition, the results of research and technological achievem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economic performance, which is a secondary outcome. As a result of the fuzzy set-associative factor analysis, it was found that both the research result, the science achievement, and the economic condition were legal and professional. When satisfying a sufficient condition, it is only economic performance, law is prepared, resources are low, and research institute is specialized.

      • KCI등재

        협력적 거버넌스 내 중간지원조직 역할 비교 연구 : 4개 사례를 중심으로

        김정숙 ( Kim Jungsook ),이재용 ( Jaeyong Lee ),황창호 ( Changho Hwang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1 地方行政硏究 Vol.35 No.4

        이 연구는 협력적 거버넌스 구성요소에 따라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의 내용과 범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파악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4개의 사례를 선정하여 사업별 유형과 협력적 거버넌스의 구성요소인 사업 특성, 제도, 활동, 중간지원조직의 현재 역할의 내용과 범위 등을 비교ㆍ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 기획에서 지방주도형인 건강증진 거버넌스와 중앙주도형인 공공보건의료 거버넌스를 제외하면, 나머지는 중앙주도형과 지방주도형이 공존하였으나, 사업 수행은 모두 지방주도형이었다. 둘째, 공공보건의료와 건강증진사업 거버넌스는 다른 사례에 비해 전문성이 높은 수준이며, 도시재생 거버넌스와 건강증진사업 거버넌스는 다른 사례에 비해 연계성이 높은 수준이다. 셋째, 제도적 측면에서는 법적 근거와 의사결정구조를 살펴본 결과 대다수 사업 내용이나 기능 및 역할이 제도적으로 명시된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프로세스의 경우 사업 내용 및 특성과 관련되어 대개 3~5단계에 걸친 사업수행과정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사업의 특성, 제도, 프로세스의 결과로서 중간지원조직의 설치수준, 역할 내용 및 범위는 4개 사례 모두 차이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업의 특성에 따라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역할을 제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범위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는가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중간지원조직의 안정성과 상시성을 보장하기 위해 법ㆍ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향후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해 정책을 집행하게 될 때, 중간지원조직이 수행할 역할은 사업 특성과 제도적 근거에 따른다는 점을 감안하여 거버넌스 체계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ntent and scope of the role of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components of cooperative governance. To this end, four cases were selected and the contents and scope of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institutions, activities, and roles of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which are components of cooperative governa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ch cas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xpertise and connec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gal basis and decision-making structure, which are institutional aspects, it can be seen that most business contents, functions, and roles are institutionally specified. Third, in the case of the process, it usually includes 3~5 stages of project execution in relation to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Finally, as a resul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the system, and the process, it can be seen that the installation level, role content and scope of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 are different in all four case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role of the intermediary organiza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so it is necessary to present the role accordingly. In addition, since the scope of the role of the interim support organization is affected by whether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has been establish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legal and institutional basis to ensure the stability and permanence of th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In the future, when policies are implemented through cooperative governance,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governance system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role that the interim support organization will play depend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siness and the institutional basis.

      • KCI등재

        스포츠 팀워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검증

        오은광 ( Eungwang Oh ),권혁주 ( Hyukjoo Kwon ),이상우 ( Sangwoo Lee ),김학범 ( Hakbeom Kim ),황창호 ( Changho Hwang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4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팀워크 개념 구조를 탐색하고 이를 토대로 스포츠 팀워크 척도(KATS)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방법: 실업팀과 대학 운동부에 소속된 단체 종목 성인선수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조사와 척도를 활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귀납적 내용분석을 활용한 전문가 협의를 통해서 개방형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고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개념 구조를 탐색하고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척도의 요인 구조를 파악하였고 개념신뢰도, 크론바흐 알파, 평균분산추출 분석, 차이 검증, 상관분석을 통해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개방형 설문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9개의 범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서 목표설정, 경기분석, 수행준비, 협동, 팀 정체성, 대인관계 요인을 포함한 6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 기준을 충족하였고 구성타당도와 공인타당도, 신뢰도 검사 결과 적합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나타냈다. 집단차이 분석에서 실업팀은 대학팀보다 목표설정, 경기분석, 수행준비, 팀 정체성에서 높은 팀워크 수준을 보고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스포츠 팀워크측정 도구는 스포츠 현장에서 팀워크를 평가하기 위한 실용적인 도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Korean version of Assessment of Teamwork(KATS) based on a conceptual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o verify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Methods: Athletes recruited from varsities and professional sports teams completed semi-structured open-ended questions and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through experts’ meetings utilizing inductive content analysis, which led to establishment of a conceptual model.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model. A factor structure was identifi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indices of construct reliability, Cronbach’s alpha, average variance extracted, group differences and correlations were examined. Results: Nine factors were emergent from preliminary data. Six factors including goal setting, game analysis, preparation, cooperation, team ident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extracted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from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n adequate model fit. Concurrent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demonstrated. The KATS were correlated with collective efficacy and cohesion;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goal setting, game analysis, preparation and team identity at the function of a league level. Conclusion: The KAT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practical tool to assess teamwork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