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백곡처능(白谷處能)의 생애와 호법(護法)활동

        황인규(In-Gyu Hwang)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8 불교와 사회 Vol.10 No.2

        본고는 백곡처능의 생애와 활동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고, 그의 불교 수호와 불교계 보호를 다른 연구이다. 그의 성은 전씨로, 벽암각성의 제자 의현에게 출가하고 당대의 문인 신익성에게 유가사상을 4년간 사사하였다. 그런 후 벽암에게 입실하여 20여 년간그의 수제자로서 순천과 전주 송광사를 비롯해 화엄사, 해인사,법주사 등의 사찰에서 불사를 하면서 보조국사 지눌의 선풍을 현창하고 대둔산 안심사에서 가장 오래 머물면서 흥법을 일으키고자하였으며, 말년에 김제 금산사에서 산립법회를 연 후 입적하였다.백곡은 허응보우와 그에 의해 선발된 청허휴정의 불교수행서 등을 간행 보급하여 불교 수호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특히 스승벽암의 『석문의상초』 등의 불교 의례집을 간행하여 불교의례서를 보급하여 유교계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당시 척불시책이 강화되어 승니의 혁거, 불교 본산이었던 봉은사와 봉선사와 도성내 비구니원 인수원과 자수원의 철훼 시도가 전개되자 장문의 논리 정연한 상소를 올려 불교 호법과 불교계수호를 위해 정면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그 후 백곡은 그의 스승 벽암과 그의 제자 회은에 이어 남한산성도총섭으로 선정되었으나, 그의 사제와는 달리 잠시만 응했을 뿐 사의하였다. 벽암의 유지를 받들어 석가 진신사리가 봉안된 대둔산 안심사를 중심으로 흥법하고자 하였기 때문인 듯하다. 백곡은 부휴문파의 벽암각성의 수제자로 당대 유자들과 교유하면서 척불시책이 강화되는 시기에 불교호법과 불교계 수호를 위해 저항한 고승이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and activities of Baekgok-Cheoneung in a Buddhist monk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differs from his Buddhist guardian and Buddhist protections. His name was Jun, and he attended Uihyun, the student of Byukam-Gakseong in a Buddhist monk, and studied Confucianism for four years to Shin Ik-sung, a literary man of the time. Then he studied in Byukam-Gakseong for 20 years. While staying at temples in Suncheon and Jeonju Songgwangsa, Hwaeom Temple, Haeinsa, and Beopju Temple, he praised the prehistoric image of Jinul, an auxiliary Korean temple. He wanted to stay at Ansim temple for the longest time to revive Buddhism, and died in his later years after Sanrimbyubhoe at Geumsan Temple in Gimje. Baekgok tried to protect Buddhism by publishing the Buddhist scriptures of the Buddhist monk Huh Eung-bowu and his selection. He disseminated Buddhist rituals by publishing Buddhist books such as “Chunseokmunjeok” by his teacher, Byukam. At the time of the strengthened Buddhist oppression, there were the removal of monks, and the removal of the Buddhist temple, Bongeunsa and Bongseon Temple, and There was the abolition of the temple's water source and the water source, which were female monks' temple in Hanyang such as Insuwon temple and Jasuwon temple. To resist this, he tried to protect the Buddhist community by raising an appeal of GanPye-Seokgyo-so. He was the apprentice to the paraplegic family, Byukamgakseong, and was a prominent Buddhist monk who sought to protect the Buddhist community in times of interaction with overseas students.

      • KCI등재후보

        懶庵普雨와 조선 불교계의 고승

        황인규(Hwang In-Gyu) 보조사상연구원 2005 보조사상 Vol.24 No.-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a high Buddhist priests in the middle Chosun dynasty. The historical documents on Buddhist priests makes it easy for us to study on his religious thought as well as th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n examining their authors and the historical documents containing historical literature document. one may easily find that their activities were mainly connected with the Buddhism.   Successors of Naong(懶翁) in the first period of Chosun dynasty was contended against Confucianism, and often became such matryer as Naam-Bowoo(懶庵普雨,1515?~1565). Due to the policy of Buddhist revival of master Bowoo, various Buddhist projects were actively conducted during the 16th century. In support of Queen Munjeong(文定王后) the reconstruction of Buddhism brought the Sung-Ka(僧伽), the gift of Do-chup(度牒) to the Buddhist priest, with increased their social position, and the building of the old-grown temples in all countries.   Bowoo was appointed to Seonjongpansa(禪宗判事) and Bongeunsa(奉恩寺)"s Master. For less than 20 years, he deeply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Buddhism in the Chosun Dunasty.   Chowoo(祖遇) who was teacher of Bowoo, he was practiced religious austerities at Yongmoonsa(龍門寺). Bowoo"s disciples were Ssangsoon(雙淳), Taegyun(太均) and Shinmook(信默) etc. Especially Shinmook was a representative disciple and he was the favors of Samyoung-Yujeong(四溟惟政)‘s master in Heamsa(檜巖寺) and Bongeunsa(奉恩寺).   He made intercourse with such high-ranked Buddhist priest as Hebupsa(熙法師), Kyongseon-Illseon(慶聖一禪) and Booyong-Youngkwan(芙蓉靈觀), the favors of Byoksong-Jium(碧松智嚴)‘s master. Especially they had ardently pursued Naong-Haekeun(懶翁慧勤) and Moohakjaco(無學自超)"s religious feet except Booyong-Youngkwan(芙蓉靈觀). Subsequently so they was perhaps their disciples. Therefore the Buddhism was more powerful religion than Neo-Confucianism until the first period Chosun dynasty.

      • KCI등재

        고려후기 修禪社와 闍崛山門 - 高僧의 存在樣相과 그 動向을 중심으로 -

        황인규(Hwang In-gyu) 보조사상연구원 2007 보조사상 Vol.28 No.-

          사굴산문은 고려중기 迦智山門과 더불어 선종계의 사세를 진작시켰으나 무신집권기에 들어서면서 쇠락해 갔고 수선사가 그 명맥을 이어갔다. 사굴산문승인 宗暉를 스승으로 출가한 普照國師 知訥과 그의 제자 眞覺國師 慧諶이 ??山門 定慧社 근처 松廣寺에서 結社運動을 전개하면서 사굴산문 뿐만 아니라 고려후기 불교계의 주류를 이루어 갔던 것이다. 知訥은 특정산문에 소속되기 보다는 산문을 초월해 曹溪山 修禪社를 중심으로 활동하였으나 그의 의도와는 달리 수선사도 한 山門처럼 독자적인 사세를 이루어 갔다.<BR>  이러한 면모는 수선사의 사세를 크게 진작시켰던 수선사 10세 慧鑑國師 萬恒이나 수선사 13세인 覺眞國師 復丘에게도 찾아진다. 특히 복구는 白巖山 淨土寺에서 轉藏法會를 개최하면서 사굴산문의 전통을 재창조하려고 하였다. 이 전장법회에 참여한 인물들 가운데 戒松은 幻庵混修의 스승 繼松과 동일인물이었다고 추정된다. 그리고 고려말 息影淵鑑의 제자 가운데 굴산문 四選에서 수석으로 합격한 妙瓊이 찾아지고, 식영연감의 제자인 幻庵混修도 사굴산문선승으로 활동하며 懶翁慧勤의 법을 사사받기도 하였다.<BR>  그러나 고려말 松廣寺의 歷代 住持의 사례에서 보듯이 ??山門을 포함한 山門의 所屬傳統은 희미해지고 사상 내지 선풍은 동일성을 띄게 된다. 특히 사상적으로도 慧鑑國師 萬恒이나 圓明國師 ?鑑이 蒙山禪風을 수용하여 宗師印可를 중시하였지만 고려말에 이르러 그러한 산문적 전통은 단절되어 갔다. 그것은 바로 그간의 山門中心에서 門徒中心의 嗣法관계로의 변화였다. 이는 조선 세종대 宗派間 統廢合의 빌미를 주게 되었다고 생각되지만 한편으로는 조선불교의 전통이 되어 오늘에 이른다.   This study aims to trace on activities of buddhist Masters of Sakulsanmoon"s Budddhism sect(??山門) in the period of late Koryo dynasty.<BR>  These monks were as follows who were Jonghwi(宗暉), Jongheon(宗軒), Kyeongji(鏡智), Myogyeong(妙瓊), Hyeshik(惠湜), Honsoo(混修).<BR>  And because Master Chinul(知訥) became Jonghwi(宗暉)"s disciple, he was also Master of Sakulsanmoon(??山門).<BR>  After Bojo-seon was continued to be popular and he was supported by sixteen Kuksa(National Preceptor 國師) such as Sakulsanmoon(??山門)"s masters; Chingak Hyeshim(眞覺慧諶)? Cheonjin Mongyeo(淸眞蒙如)?Chinmyeong Honwon(眞明混元)? Wongam Choongji(圓鑑?止)?Hyegam Manhang(惠鑑萬恒)? Gakgin Pokgoo(覺眞復丘).<BR>  Specially among of them had been set store by tradition Sakulsanmoon(??山門)"s masters such as Cheonjin Mongyeo(淸眞蒙如)?Chinmyeong Honwon(眞明混元)?Wongam Choongji(圓鑑?止).<BR>  But Hyegam Manhang(慧鑑萬恒) and Gakgin Pokgoo(覺眞復丘) had pursued Master Chinul(知訥)-seon(知訥禪) as well as seon(禪) of Sakulsanmoon(??山門)"s Budddhism sect.<BR>  During the reign of King Kongmin, they were three main masters: Master Taego Bowoo(太古普愚)?Master Naong Hyeguen(懶翁惠勤)?Master Baekwoon Kyeonghan(白雲景閑). Their disciples were appointed the resident high priest of Suseon-Temple(修禪社) such as Hwanam Honsoo(幻庵混修)? Mohak Jacho(無學自超)?Gobong Byepjang(高峯法藏) who were Naong"s disciples. They had led to Buddhism in the period of late Koryo Dynasty and early Choseon Dynasty.<BR>  Finally, tradition of Sakulsanmoon(??山門)"s budddhist character was kept with activities of buddhist masters of the Sooseon-Temple(修禪社) in the period of late Koryo dynasty.

      • KCI등재

        조선전기 선종계 고승과 보조선

        황인규(Hwang In gyu)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4 No.-

        본 논문은 보조국사 자눌의 선풍이 조선전기 선종계 고승을 중심으로 불교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무신집권기초 보조국사 지눌과 그의 수제자 진각국사 혜심이후 13국사가 배출되어 지눌의 선풍인 보조선이 계승되었다. 조선초 나옹의 상수제자이자 무학자초의 동문인 고봉법장은 송광사를 중창하면서 지눌과 나옹의 선풍을 선양하였으며, 무학의 상수제자 함허기화는 『현정론』을 지어 정도전의 억불논리에 대응하였는데 정도전의 불씨잡변 가운데 지눌 관련 기록을 인용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지눌의 선풍이 조선초 선종계를 대표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조선초 숭유억불에 대응하는 논리에는 지눌의 선풍이 나름대로 그 역할을 한 것이 아닌가 한다. 함허의 손제자인 듯한 혜각존자 신미도 지눌의 『수심결』을 언해하는 등 지눌의 선풍의 영향을 받았다. 함허의 문손 홍준, 신미의 아우 김수온에게서 지눌의 선풍을 엿 볼 수 있다. 설잠 김시습도 華嚴禪을 주창하는 등 지눌의 선을 계승하였던 모습을 엿 볼수 있으며, 그와 교유한 순교승 雪峻도 송광사에서 머무는 등 지눌 선의 유풍을 엿 볼 수 있다. 한편 청허휴정과 그의 문도들에 의해 확립된 조계종 법통상의 고승인 태고보우의 제자 상총은 송광사의 ‘普照의 遺制’를 강조한 바 있으며, 벽계정심과 그의 제자 벽송지엄도 강원의 이력과정에 지눌의 저서를 포함시켰다. 지엄의 문도인 부용영관과 경성일선도 지눌의 선풍이라고 할 선교융합적 요소를 강조하였다. 또한 퇴계 이황의 문집에 의하면 소백산 일대에서 활동한 승려 宗粹의 경우, 지금은 전하고 있지 않은 『목우자시집』을 가지고 공부하였다고 하여 조선 전기 불교계에 보조선의 영향이 적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make clear the influence of Bojo Chinul(知訥)’s Seon Thought in the early period of Choseon Dynasty, through Buddhist master’s Seon thought. Bojo-seon(普照禪) continued the main streams with Successor of Naong(懶翁) and Taego(太古) in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it had effected the different kind buddhist sections and masters. They were Gobong(高峰), Sangchong(尙聰), Geehwa(己和), Sinmee(信眉), Jium(智嚴), Myogak(妙覺), Seoljoon(雪峻), Yeongkwan(靈觀), and Kinsiseub(金時習), Jongsoo(宗粹) etc. They leaded to the Budddhism in Successors of Naong and Taego with their Dharma lineage between the present & the middle Chosun dynasty. And so Bojo-Chinul, Bojo-Zen, the Zen thought in the later Choseon dynasty,

      • KCI등재

        나옹문도의 양평 용문산 불교 중흥

        황인규(Hwang, In-Gyu)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9 佛敎學報 Vol.0 No.87

        본고는 나옹 문도의 고려말 양평 용문산 불교 중흥에 대하여 처음으로 학술적인 천착을 한 연구이다. 태고보우는 용문산 사나사를 중심으로 불교를 흥성시켰으며, 이어 나옹의 문도들이 회암사와 신륵사, 묘향산의 안심사와 더불어 양평 용문산 불교를 중흥시켰다. 나옹은 왕사로 책봉되기 전에 지방을 유력하면서 양평 용문산에 머물러 있었다. 나옹의 상수제자인 무학자초도 양평 용문사에 머물렀다. 무학은 수선사 13세 사주 혜감국사 만항의 제자 소지선사의 지도로 양평 용문산 혜명국사 법장에게서 수행하였다. 무학과 그의 도반인 達空이 사사받았던 龍門藏公이 바로 혜명국사 법장이라고 추정된다. 달공은 무학과 함께 묘향산 안심사에서 나옹의 추념사업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이렇듯 무학과 달공을 비롯한 나옹의 문도는 전국에 걸쳐 나옹의 추념사업을 전개하였는데 양평 龍門山의 추념 사업도 나옹의 문도 志先이 담당하였다. 이와 같이 나옹의 입적후인 우왕대 용문산 불교의 불사는 나옹의 문도에 의하여 이루어졌다. 그리고 나옹의 문도는 나옹의 추념사업을 전개하면서 불사를 통해 양평 용문산 불교를 중흥하고자 하였다. 우왕대 覺照의 죽장암 중창(1377), 志安과 志守의 윤필암 중창(1378), 正智國師 智泉의 용문사의 대장경 봉안(1378) 등이 바로 그것이다. 즉, 覺照는 신륵사와 향산 안심사에서 나옹의 추념사업을 하였으며, 1377년 용문산 죽장암을 중창하였다. 또한 志安과 志守은 용문산 윤필암을 중창하였는데, 정안군 부인 비구니 妙德의 후원으로 이루어졌다. 무학의 도반인 지천은 양평 용문사에서 『대장경』을 봉안하는 등 양평 용문산 불교의 중흥에 앞장섰다. 이렇듯 나옹의 문도들은 나옹의 입적후 스승의 유지를 받들어 고려말에 양평 용문산 불교를 중흥시켰다. 이는 숭유억불기 여말삼사인 나옹의 문도들이 불교를 중흥시킨 중요 사례로서 주목되고 있다. This study is the first academic study by Naong-Hyegeuns student on the revival of Buddhism around Yongmunsan Mountain, located in Yangpyeong-gun, late Goryeo. Taego-bowoo developed Buddhism around Sanasa Temple in Yongmunsan Mountain, and then Naongs disciples re-enacted Buddhism and Buddhist Temples in Yongmun Mountain in Yangpyeong, along with Hoeyamsa Temple in Yangju, Sinreuksa Temple in Yeoju, and Ansimsa Temple in Myohyangsan Mountain. Naong once visited Yongmun Mountain in Yangpyeong, and stayed with his disciple. Muhak was taught by Hyemyung-Byupjang Guksa, who was staying at Yongmunsan Mountain in Yangpyeong at the recommendation of Haegam Guksa. Byupjang Guksa is assumed to be Yongmoon-ByupJang, he had tauht Mukhak and Dalgong. Mukhak and Dalgong held a memorial campaign for his teacher, Naong, in Ansimsa Temple. As such, the disciples of Nayong, including Muhak and Dalgong, conducted a nationwide campaign to commemorate their teacher, which was also in charge of Naongs memorial service in Yangpyeong-gun. But he wanted to revive the Buddhism of Yongmunsan Mountain. Gakjo a disciple of Naong, rebuilt Jukjangam Temple, and Yun Pil-am Temple was rebuilt by Jian and Jisoo In particular, Jicheon had built DaejangJeon at Yongmunsa Temple and was kept the Tripitaka Koreana. In the end, Naongs disciples tried to revive Buddhism around Yongmun Mountain, which is located in Yangpyeong-gun, in support of his teachers support after his death.

      •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 및 분장

        황인규(In-gyu Hwang)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21 불교와 사회 Vol.13 No.2

        본고는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 사실과 고려 및 조선 시대 진신사리의 이전 봉안, 그리고 임진왜란 무렵 통도사 진신사리의 분장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 연구이다. 자장은 귀국 후 통도사를 비롯하여 진신사리를 전국의 곳곳에 봉안하였다고 하는데, 그동안 제기문에 나타난 자장의 진신사리에 대하여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다루어진 바 없는 듯하다. 필자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문헌 기록에 나타난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 사찰은 16소에 이르고 있다. 5대 적멸보궁 또는 이를 포함한 8대 적멸보궁 외에도 『삼국유사』에 자장이 진신사리를 봉안하였다는 경주 황룡사와 울산 태화사, 조선중기 이후의 기문에 보이는 천안 광덕사 등의 사찰들에도 자장이 진신사리를 봉안하였다고 한다.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은 한국에서의 진신사리 봉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듯하며, 흥법에 매우 큰 기여를 하였다고 생각한다. 지금껏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 사실과 통도사 진신사리의 분장 및 이전 봉안 사실이 뒤섞여 이해되고 있다.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은 자장 당대뿐만 아니라, 조선중기 이후의 기문에서 보이는 경우도 적잖기 때문에 사료 비판을 통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고에서 특히 주목한 것은 제 기문에 나타나는 자장의 진신사리 봉안과 자장이 봉안한 통도사의 진신사리가 고려와 조선초에도 분장되거나 이전 봉안되었다는 사실이다. 이렇듯 고려말 임란시 통도사의 사리가 분장된 것은 홍건적이나 왜구의 침탈을 막기 위한 불교수호의 차원이었다. 자장이 진신사리를 봉안하였다는 사실은 자장 당대뿐만 아니라, 후대에 자장의 흥법을 계승 및 추념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the fact that monk Jajang's Jinsinsari(Sakyamuni's Buddhist ashes) was enshrined in the literature records, the previous enshrinement of monk Jajang's Jinsinsari during the Goryeo and Joseon Dynasty, and the makeup of Tongdosa Temple's Jinsinsari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t is said that monk Jajang enshrined Jinsinsari all over the country, including Tongdosa Temple after returning to Korea, but it seems that monk Jajang Jinsinsari, which appeared in my article, has not been comprehensively dealt with. According to my research, there are 16 temples in Jinsin-sa Temple in monk Jajang in the literature records. In addition to the five Jeokmyeolbogung Palace or the eight Jeokmyeolbogung Palace, it is recorded that monk Jajang enshrined Jinsinsari in the Samgukyusa, Gyeongju Hwangnyongsa Temple, Ulsan Taehwasa Temple, and Cheonan Gwangdeoksa Temple, which is seen in the post-Joseon Dynasty. enshrinement of Monk Jajang's Jinsinsari seems to occupy most of the Jinsinsari, and I think it has contributed very much to the expansion of Buddhism. Until now, it has been understood that monk Jajang's Jinsinsari enshrinement, Tongdosa Temple's costume, and previous enshrinement are mixed. Since monk Jajangsa Temple is often seen not only in monk Jajang but also in articles after the mid-Joseon Dynasty, critical understanding of historical records is needed. What is particularly noteworthy in this paper is that the Jinsinsari of Tongdosa Temple, which was enshrined by Jajang in th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y, was cremated or previously enshrined. In this way, the sari of Tongdosa Temple was dressed up as a Buddhist protection to prevent the invasion of orancae in the north-south.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ruth of Jinsinsari enshrined by monk Jajang was inherited and honored not only in monk Jajang period but also in the later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