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수선사 16국사의 위상과 추념

        황인규(Hwang In-gyu)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본 논문은 송광사의 僧寶宗刹로서의 위상과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송광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삼보종찰 가운데 16國師를 배출하였다고 하여 승보종찰로 불려지고 있으나 그 연원이나 설정 시기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려진 바 없는 듯하다. 따라서 고려후기 修禪社16社主의 위상이 어떠하였는가, 그리고 언제부터 16국사로 숭앙ㆍ추념되고 송광사가 승보종찰이 되었는가에 대하여 천착하고자 하였다. 송광사는 고려중엽 지눌이 신앙결사운동을 전개하면서 사세가 진작되었고 그의 제자 혜심과 몽여 등 문도들이 사주가 되어 결사정신을 선양하면서 그의 문손을 포함하여 15사주가 고려후기 불교계를 주도하였다. 하지만 당대에 왕사로 책봉된 인물은 2인에 지나지 않았고 입적 후에 국사에 추증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부의 사주는 행적조차 알 수 없는 경우도 있으며, 조선초 송광사 주지였던 고봉법장은 국사로 추증된 적이 없다. 이미 국사․왕사제도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필자가 아는 한, 기록에 의하면 송광사 16사주가 국사로 추념되기 시작한 것은, 조선중기 1621년 벽암각성의 동문인 代價希玉이 쓴 「十六國師眞影記」부터가 아닐까 한다. 그리고 고려말의 고승 나옹과 무학도 16국사에 버금가는 고승으로 추념되어 송광사 18주지로 설정되었다. 이는 송광사의 정체성을 찾고자 한 趙宗著(1631∼1690)의 「昇平曹溪山松廣寺嗣院事蹟碑」에서 찾아 볼 수 있다. 그리고 송광사가 승보종찰로 설정된 것은, 필자가 아는 한, 조선후기 1832년(순조 28) 문인 淵泉洪奭周(1774~1842)가 지은 「淵泉翁遊山錄」이다. 앞으로 더 정치한 연구를 통해 승보종찰로서의 설정과 그 의의가 좀 더 명확히 밝혀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the Songgwang temple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Among the three treasure temples in Korea, the Songgwang temple has been called the sangha treasure temple, because it produced the sixteen national monks. However, its origins and when it was designated was not known accurate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tatus of the sixteen master monks of the Sooseon temple (the present Songgwang temple) in the late Goryeo Dynasty and how long they have been cherished as national monks, also when the Songgwang temple was designated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The Songgwang temple developed after Jinul had established an integration movement of Buddhism in the middle Goryeo Dynasty. Then, Jinul’s disciples such as Hyesim and Mongyeo enhanced the spirit of the movement as a chief leader, and the sixteen master monks including Jinul’s disciples led the Buddhist circle in the late Goryeo Dynasty. However, only two monks were designated as king’s adviser at that time and designation of national monk was bestowed after they entered nirvana. Moreover, in case of some chief monks, even their performance was not known. A chief monk of the Songgwang temp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obong Beopjang was not designated as a national monk, because the system of a king’s adviser and a national monk had been abolished. It is thought that the sixteen chief monks at the Songgwang temple have been cherished as national monks in the ‘Ship-youk-guk-sa-jin-young-gi (十六國師眞影記)’ written in 1621 during the middle Joseon Dynasty by Daega Heeok (代價希玉), Byeokam Gakseong’s fellow disciple. Naong and Muhak in the late Goryeo Dynasty were also esteemed as high priests comparable to the sixteen national monks and designated as among the eighteen chief monks of the Songgwang temple. This is described in the ‘Seung-pyung-jo-gye-san-song-gwang-sa-sa-won-sa-jeok-bi (昇平曹溪山松廣寺嗣院事蹟碑)’ written by Jo Jong-jeo (趙宗著, 1631-1690) who tried to find the identity of the Songgwang temple. Also, the fact that the Songgwang temple was designated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can be found in the ‘Yeon-cheon-ong-you-san-rok (淵泉翁遊山錄)’ written in 1832 (the eighth year of King Soonjo) by Hong Seok-ju (洪奭周, 1774-1842), a writer in the late Joseon Dyansty. I hope that more specific findings about its designation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and significance will be produced by thorough research in the future.

      • 고려후기 백련결사 정신의 변질과 계승

        황인규 ( Hwang In-gyu ) 성철사상연구원 2000 백련불교논집 Vol.10 No.-

        白蓮社結社精神的變質是出身於趙仁規一門的義璇和其弟子熙菴·懶菴元公等所主導的. 他們繼承天台宗的敎勢, 同時把開始出現的天台禪風的新潁面貌敎於弟子. 他們的弟子當中休上人主張華嚴和法華的一致, 了圓可能是撰述『法華靈驗傳』的普解, 妙慧出版『法華靈驗傳』. 他們傳播白蓮社原來的爲了庶民的佛敎. 他們皆與水原萬義寺有過直接或間接關係, 進而出現可能與他們有密切關係的嚮往改革的天台宗和尙神照和祖丘而領導麗末鮮初的天台宗. 神照就與無學自超携手以參與李成桂的建朝事業, 進而主席水原萬義寺同時開辦華嚴三昧懺儀法會以繼承白蓮社的結社精神. 祖丘是與神照同樣性格的高僧, 他集解『慈悲道場懺法』以勞力嚮往民衆的佛敎. 朝鮮建朝後, 他就與曹溪宗王師無學自超被封爲國師以領導朝鮮初期的佛敎界. 結論而言, 天台宗也與恭愍王朝前後所出現的佛敎界全盤的自淨運動一致, 在這過程中天台宗妙蓮寺系統分爲疏字宗系和萬義寺系統的法事宗系, 結果與義天的天台宗成爲3個派系. 在麗末鮮初的抑佛運動過程中, 佛敎界的命脈依靠他們而維持, 進而諒了世所採納的戒環解的『法華經』成爲韓國佛敎界代表經典之一, 結果使韓國佛敎具有與中國和日本的佛敎不同的獨特性格.

      • KCI등재

        부동산 민사신탁의 과세에 대한 연구 - 유언대용신탁을 중심으로 -

        황인규(Hwang, In Gyu) 중앙법학회 2021 中央法學 Vol.23 No.1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신탁은 고령화에 대비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고, 특히 민사신탁(가족신탁)이 그러하다. 그런데 신탁법이 2011년 전면적으로 개정된 후 10년이 지났지만, 민사신탁은 좀처럼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민사신탁이란 신탁법상의 신탁 중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의 신탁업자가 아닌 수탁자가 운영하는 신탁이다. 우리보다 앞서 신탁법을 개정한 일본은 민사신탁을 활발하게 활용하여 고령화에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민사신탁이 좀처럼 활용되지 않고 있는데, 그 이유로는 민사신탁이 이용자들에게 친숙하지 않은 제도라는 점과, 민사신탁을 활용할 때 어떻게 과세될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부동산은 매우 중요한 자산이다. 따라서 신탁법 개정 이후 부동산신탁은 널리 이용되었고, 다수의 연구가 축적되었다. 부동산 신탁의 수탁고는 300조원을 넘어 전체 신탁 수탁고의 1/3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종합부동산세를 회피하기 위해 다수의 관리신탁이 새로 설정되는가 하면, 지방세법과 종합부동산세법의 개정으로 종합부동산세의 부과대상인 부동산 신탁의 납세의무자가 수탁자에서 위탁자로 변경되기도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세의 예측가능성이 높아진 부동산 신탁의 세제를 민사신탁에 접목하여, 단순한 유언대용신탁의 설정으로부터 종료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과세가 될 것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법원의 감독기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2. 단순한 유언대용신탁의 운용에 있어 현행 세제상 신탁 설정 전과 후에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된다. 3. 이는 이번 세제 개정을 통해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조세의 형평성이 높아진 것으로서 높게 평가할 수 있다. 4. 그러나 전체 세제의 체계성과 합리성을 제고해야 하고, 5. 고령화에 대응하는 수단으로서 민사신탁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추가적인 조치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Korea is rapidly aging. Trust, especially Personal Trust(Family Trust), is a system that may be used to prepare for an aging society. However, Personal Trust is yet to be fully utilized, even though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Trust Act was completely revised in 2011. Among various trusts under the Trust Act, Personal Trust is one that is operated by a trustee, and not by a trust business entity under the Act on Capital Markets and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Japan, having revised the trust law before Korea, is responding to the aging society by actively using Personal Trust. However, in Korea, Personal Trust is rarely used and the reasons that can be accounted for are that Personal Trust is a new system that users are not familiar with, and that there is a large uncertainty about how Personal Trust will be taxed. Real estate is a very important asset in Korea. Therefore, after the revision of the Trust Act, use of Real Estate Trust has increased widely, along with accumulation of relevant studies. The trust deposits of Real Estate Trust exceed 300 trillion Korean Won, accounting for one-third of the total trust deposits. Recently, a number of management trusts have been newly established to avoid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and due to the amendment of the Local Tax Act and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Act, the taxpayer of Real Estate Trust subject to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has been changed from the trustee to the granto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axation system for Real Estate Trust, which is more predictable, was applied to Personal Trust for a step-by-step analysis on how Personal Trust would be taxed, from establishment to termination of a simple model of Trust as Will Substitute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urt should be more involved in supervising. 2. Under the current tax system, no significant changes are expected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simple model of trust as will substitutes. 3. This suggests that the recent revision in the taxation system may be highly appraised, as it resolved uncertainty and increased equity in tax. 4. However, the systemacity and rationality of the whole tax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and 5. additional measures should be considered to promote use of Personal Trust as a means to cope with the aging society.

      • KCI등재

        조선전기 선종계 고승과 보조선

        황인규(Hwang In gyu)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4 No.-

        본 논문은 보조국사 자눌의 선풍이 조선전기 선종계 고승을 중심으로 불교계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하여 살펴본 연구이다. 무신집권기초 보조국사 지눌과 그의 수제자 진각국사 혜심이후 13국사가 배출되어 지눌의 선풍인 보조선이 계승되었다. 조선초 나옹의 상수제자이자 무학자초의 동문인 고봉법장은 송광사를 중창하면서 지눌과 나옹의 선풍을 선양하였으며, 무학의 상수제자 함허기화는 『현정론』을 지어 정도전의 억불논리에 대응하였는데 정도전의 불씨잡변 가운데 지눌 관련 기록을 인용한 사실로 미루어 보아 지눌의 선풍이 조선초 선종계를 대표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조선초 숭유억불에 대응하는 논리에는 지눌의 선풍이 나름대로 그 역할을 한 것이 아닌가 한다. 함허의 손제자인 듯한 혜각존자 신미도 지눌의 『수심결』을 언해하는 등 지눌의 선풍의 영향을 받았다. 함허의 문손 홍준, 신미의 아우 김수온에게서 지눌의 선풍을 엿 볼 수 있다. 설잠 김시습도 華嚴禪을 주창하는 등 지눌의 선을 계승하였던 모습을 엿 볼수 있으며, 그와 교유한 순교승 雪峻도 송광사에서 머무는 등 지눌 선의 유풍을 엿 볼 수 있다. 한편 청허휴정과 그의 문도들에 의해 확립된 조계종 법통상의 고승인 태고보우의 제자 상총은 송광사의 ‘普照의 遺制’를 강조한 바 있으며, 벽계정심과 그의 제자 벽송지엄도 강원의 이력과정에 지눌의 저서를 포함시켰다. 지엄의 문도인 부용영관과 경성일선도 지눌의 선풍이라고 할 선교융합적 요소를 강조하였다. 또한 퇴계 이황의 문집에 의하면 소백산 일대에서 활동한 승려 宗粹의 경우, 지금은 전하고 있지 않은 『목우자시집』을 가지고 공부하였다고 하여 조선 전기 불교계에 보조선의 영향이 적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make clear the influence of Bojo Chinul(知訥)’s Seon Thought in the early period of Choseon Dynasty, through Buddhist master’s Seon thought. Bojo-seon(普照禪) continued the main streams with Successor of Naong(懶翁) and Taego(太古) in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it had effected the different kind buddhist sections and masters. They were Gobong(高峰), Sangchong(尙聰), Geehwa(己和), Sinmee(信眉), Jium(智嚴), Myogak(妙覺), Seoljoon(雪峻), Yeongkwan(靈觀), and Kinsiseub(金時習), Jongsoo(宗粹) etc. They leaded to the Budddhism in Successors of Naong and Taego with their Dharma lineage between the present & the middle Chosun dynasty. And so Bojo-Chinul, Bojo-Zen, the Zen thought in the later Choseon dynasty,

      • KCI등재후보

        조선 전기 불교계 고승과 목우자 선풍 -조계종 법통상의 고승을 중심으로-

        황인규(Hwang In-Gyu) 보조사상연구원 2004 보조사상 Vol.21 No.-

        The purpose of study i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Bojo Chinul(知訥)'s Seon Thought in the early period of Choseon Dynasty, through Buddhist master's Seon thought. Meanwhile the lack of historical documents on Buddhist master's makes it difficult for us to study on their religious activity and thought. On examining the historical documents available regarding them, one may easily find the head priests of Chogye School(曹溪宗). Bojo-seon(普照禪) continued the main streams with Successor of Naong in the early Chosun dynasty and it had effected the different kind buddhist sections and masters ; Successors of Taego. they were Honsoo(混修), Gakoon(覺雲) Jeongshim(정심), Jium(智嚴), Myogak(妙覺), Yeongkwan(靈觀), Illseon(一禪) etc. This was knowed that Chogye School leaded to the Budddhism in Successors of Taego(太古) with their Dharma lineage between the present & the middle Chosun dynasty. And so the popularity of Bojo-seon has continued right up until the present day.

      • KCI등재

        고려후기 조선초 장성 백양사의 역사와 고승

        황인규 ( Hwang In Gyu ) 한국사상사학회 2020 韓國思想史學 Vol.0 No.65

        본 논문은 지금까지 거의 다루지 않은 기록들을 활용하여 고려후기 조선초의 백양사의 역사와 고승에 대해서 살펴본 연구이다. 백양사는 무신집권기 초반 명종대 승려 중연이 수선사와 교류하면서 전각을 중창하였다. 그 이후 백양사는 수선사 제13세 사주 복구가 호남권 일대의 사찰들의 고승을 동참케 하여 백양사에서 전장법회를 개최하였고, 이어 수선사 제14세 사주 복암 정혜가 계승하였다. 복구는 수선사 제4세 사주 진명국사 혼원이래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수선사 사주로서 생존시 왕사에 책봉되었다. 복구는 백양사및 불갑사에서 머물렀으며, 중앙불교계에 나서지 않았다. 고려말 백양사 중흥 불사에는 복구의 문도 뿐만 아니라 사굴산문 수선사계 나옹의 문도와 가지산문 태고의 문도도 함께 하였다. 고려말 송광사 역대 주지에 나옹과 태고의 문도들이 재임한 사실과 유사하다. 그만큼 고려말 백양사는 동방제일도량이라 일컬은 송광사의 사세에 버금갔던 듯하다. 그 후 복구의 조카이자 문도인 승려 청수 조징은 복구의 뜻을 받들어 쌍계루를 중창하였다. 쌍계루 중창시 신진 사류인 이색과 정도전 등과, 청수의 문도인 절간 익륜과 무열 죽간 굉연, 각원, 환암 혼수와 그의 시자 중곡 경관 등이 직·간접적으로 관여하여 백양사의 사세를 진작시켰다. 조선 건국후 백양사의 고성 이씨 가문의 내외 문손인 승려 회당 중호와 승려 송은 학몽과 문도 도암, 도암의 문도 수이 등은 조선초 역사상 최대의 억불시책이 펼쳐지는 가운데에서도 불교 본산인 흥천사 등 중앙불교계를 진출하면서 백양사의 사세를 진작시켰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y and ancient monks of Baekyangsa Temple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This paper has utilized records that have so far been rarely covered. Baekyangsa Temple was composed of monk Yeo Hwan, monk Muyeol Jukgan, and monk Ikryun, who were disciples of the restoration of Buddhist monks, and monk Muyeol Jukgan, and monk Jeokryun, who were involved in the restoration, participated in the exchange of monk Jungyeon and Suseonsaengsa Temple at the beginning of the period. They are not only the gateways of Restoration, but also the gateways of Monk Taego and disciples of Monk Naong. After that, Qingsu Jojing, a disciple of monk restoration, reconstructed Ssanggyeru. At this time, the followers of Naong, a Buddhist monk, are also. After the founding of the Joseon Dynasty, Buddhist monks from the Yi Clan family of Goseong, Jung Ho, and others joined the central Buddhist community, including Heungcheonsa Temple, which was the center of Buddhism, following the late Goryeo Dynasty.

      • 백곡처능(白谷處能)의 생애와 호법(護法)활동

        황인규(In-Gyu Hwang)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8 불교와 사회 Vol.10 No.2

        본고는 백곡처능의 생애와 활동을 본격적으로 검토하고, 그의 불교 수호와 불교계 보호를 다른 연구이다. 그의 성은 전씨로, 벽암각성의 제자 의현에게 출가하고 당대의 문인 신익성에게 유가사상을 4년간 사사하였다. 그런 후 벽암에게 입실하여 20여 년간그의 수제자로서 순천과 전주 송광사를 비롯해 화엄사, 해인사,법주사 등의 사찰에서 불사를 하면서 보조국사 지눌의 선풍을 현창하고 대둔산 안심사에서 가장 오래 머물면서 흥법을 일으키고자하였으며, 말년에 김제 금산사에서 산립법회를 연 후 입적하였다.백곡은 허응보우와 그에 의해 선발된 청허휴정의 불교수행서 등을 간행 보급하여 불교 수호를 위해 노력하였으며, 특히 스승벽암의 『석문의상초』 등의 불교 의례집을 간행하여 불교의례서를 보급하여 유교계에 대응하고자 하였다. 당시 척불시책이 강화되어 승니의 혁거, 불교 본산이었던 봉은사와 봉선사와 도성내 비구니원 인수원과 자수원의 철훼 시도가 전개되자 장문의 논리 정연한 상소를 올려 불교 호법과 불교계수호를 위해 정면으로 적극적으로 대응하였다. 그 후 백곡은 그의 스승 벽암과 그의 제자 회은에 이어 남한산성도총섭으로 선정되었으나, 그의 사제와는 달리 잠시만 응했을 뿐 사의하였다. 벽암의 유지를 받들어 석가 진신사리가 봉안된 대둔산 안심사를 중심으로 흥법하고자 하였기 때문인 듯하다. 백곡은 부휴문파의 벽암각성의 수제자로 당대 유자들과 교유하면서 척불시책이 강화되는 시기에 불교호법과 불교계 수호를 위해 저항한 고승이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and activities of Baekgok-Cheoneung in a Buddhist monk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differs from his Buddhist guardian and Buddhist protections. His name was Jun, and he attended Uihyun, the student of Byukam-Gakseong in a Buddhist monk, and studied Confucianism for four years to Shin Ik-sung, a literary man of the time. Then he studied in Byukam-Gakseong for 20 years. While staying at temples in Suncheon and Jeonju Songgwangsa, Hwaeom Temple, Haeinsa, and Beopju Temple, he praised the prehistoric image of Jinul, an auxiliary Korean temple. He wanted to stay at Ansim temple for the longest time to revive Buddhism, and died in his later years after Sanrimbyubhoe at Geumsan Temple in Gimje. Baekgok tried to protect Buddhism by publishing the Buddhist scriptures of the Buddhist monk Huh Eung-bowu and his selection. He disseminated Buddhist rituals by publishing Buddhist books such as “Chunseokmunjeok” by his teacher, Byukam. At the time of the strengthened Buddhist oppression, there were the removal of monks, and the removal of the Buddhist temple, Bongeunsa and Bongseon Temple, and There was the abolition of the temple's water source and the water source, which were female monks' temple in Hanyang such as Insuwon temple and Jasuwon temple. To resist this, he tried to protect the Buddhist community by raising an appeal of GanPye-Seokgyo-so. He was the apprentice to the paraplegic family, Byukamgakseong, and was a prominent Buddhist monk who sought to protect the Buddhist community in times of interaction with overseas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