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돈황학의 성립과 오리엔탈리즘

        황순일(Soon Il Hw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佛敎學報 Vol.0 No.55

        근대 돈황학의 성립은 오럴 스타인이 돈황 천불동 장경굴에서 발견된 불교 고문헌과 미술품을 영국으로 옮기고 전 세계에 알리면서 시작되었다. 물론 돈황학이 서구의 여러 박물관과 도서관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많은 학문적인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 사건은 20세기 초반 근대 아시아가 겪어야 했었던 슬픈 약탈의 역사를 대변하고 있다. 사실 우리나라 또한 오따니 콜랙션이란 이름으로 본의 아니게 돈황 유물의 일부를 보존하고 있는 국가가 되어버렸다. 이 논문은 근대 돈황학의 성립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오럴 스타인을 중심으로 그의 성장기와 실크로드 탐험의 동기 그리고 그가 지니고 있었던 오리엔탈리즘적 경향들을 살펴보려고 한다. 그리고 가능하다면 스타인의 돈황까지 탐험을 하게 된 계기와 돈황에서 발견된 문헌과 미술품을 서구로 밀반출하는 배후에 그 당시 유럽의 학계에 만연했었던 오리엔탈리즘적 경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을 밝히려 한다. Modern Dunhuang Studies have started when Aurel Stein brought old Buddhist manuscripts and paintings to England from one of the thousand Buddha Caves in Dunhunag and made known of them to the Western world. Although there has been academic progress under the name of Dunhuang Studies in the museums and libraries in the West, it actually symbolized one of the sad histories of plunder Asia had to undergo under the name of modernization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South Korea unintentionally becomes one of the countries in which Dunhuang manuscripts and paintings are preserved under the name of Otani Collection in the National Museum. This paper will look at Aurel Stein, a central figure in the establishment of modern Dunhunag Studies. It observes his life, his motive for exploring Chinese Turkestan and his Oreintalist attitudes. If possible, it will try to clarify that Orientalism spreading throughout European scholarship could take an important role in Stein`s expedition all the way to Dunhuang, the eastern end of Chinese Turkestan, and in his decision to bring all those manuscripts and paintings to the Western world.

      • KCI등재

        발표 논문 : 초기 부파불교에서의 비유와 열반 -upadi 또는 upadhi 개념을 중심으로-

        황순일 ( Soon Il Hwang )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8

        인도적인 사유에서 비유는 논리적이고 철학적인 문헌들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인도 인식논리학에서는 논증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명재의 참 거짓을 판단하는 기준이 된다. 하지만 비유는 개념정의에 바탕한 설명에 비해서 명료하지 못하고 논자 또는 화자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 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초기불교 경전들은 기본적으로 다의적인 용어들을 많이 사용하며 많은 부분들에 있어서 개념적인 설명보다는 비유적인 맥락에 의존하고 있다. 특히 모든 불교인들의 목표라고 할 수 있는 열반조차도 `세 가지 불의 소멸`이란 비유적인 맥락을 통해서 설명되고 있으며, 그 연장선상에서 유여열반과 무여열반이라는 두 가지 열반이론의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빨리어 upadi 불교혼성범어 upadhi란 용어가 가지는 주관적인 의미와 객관적인 의미를 바탕으로 초기경전의 비유적인 설명이 아비달마의 개념적인 설명을 선호하는 환경 하에서 어떤 문제점들을 노출시켰는지를 살펴보고 초기경전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내용적인 전후 맥락을 이해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지적한다. One of the special features of the early canon could be its intense use of words with diverse meanings and of metaphor and simile. It caused a lot of problems when the early canon was analysed and classified by the masters of the abhidharma. They preferred definitive explanation to ambiguous symbolism. In fact nirvana, the ultimate liberation, is of a cardinal importance within the Buddhism doctrinal system. Its interpretation, yet, has been the area where numerous problems occur due to its historical and metaphorical contexts. Mainly because this concept originally uses the image of a fire extinguished. Within the early canon, nirvana was used as part of an extended metaphorical structure which embraces Enlightenment and its opposite, the final liberation. However its metaphorical contexts had been forgotten early in its doctrinal development. Literally diverse terms related to nirvana then seem to have been interpreted differently in the abhidharma tradition and in the treatises which belong to specific Buddhist schools, in order to support their own soteriological views on nirvana. Due to these metaphorical and historical contexts, so many exegetical problems occurred. Much depends on how one interprets the word upadi in Pali, or upadhi in Sanskrit, in the context of the two nirvana theory. If we take it to refer to `attachment`, we may interpret the two nirvanas not as nirvana during life and at death but as non-returner (anagmin) and saint (arahant). This paper could be one of the case studies to show how complicate and how delicate the words used in the early canon and to suggest ways to tackle this kind of problems.

      • KCI우수등재

        와이쉐시까(Vaiśeṣika) 학파와의 논쟁을 통해 본 경량부 세친(Vasubandhu)의 정신(manas)

        황순일(Hwang Soon-il)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5 No.-

          There has been a dispute on the character of Vasubandhu when he was writing the Abhiharmako?abh??ya. Such scholars as Robert Kritzer insisted that he was already influenced by the Yog?c?rins. There are scholars who regard Vasubandhu working under the name of the Sautr?ntikas not as a h?nay?na but as a mah?y?na scholar. Although he can be understood in this say from the some aspects of his writing, there are indications to show he still is in the field of the traditional Buddhist Institution. In this paper I will deal with this problem though his interpretation of mentality (manas), especially in the argument against the Vai?e?ika school.<BR>  As you may well aware, there is no difference in their reference in the mind (citta), mentality (manas), and consciousness (vij??na) within the Northern Buddhist schools, such as the Sarv?stiv?dins and the Sautr?ntikas. However, they become the 8th ?layavij??na, the 7th manas and the 6th manovij??na respectively in the depth psychology of the Vij?aptim?tra-Yog?c?rins. While the 8th ?layavij??na was a fresh concept introduced, the 7th consciousness, manas, was the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concept. Thus, how Vasubandhu understood manas could be a kind of yardstick to decide his character during the time of the Abhidharmako?abh??ya.<BR>  The second chapter deals with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he mind (citta), mentality (manas), and consciousness (vij??na) from the scattered passages of the Abhidharmako?abh??ya. The third chapter studies the Vai?e?ika understanding of manas. For them it is the inner faculty to link between faculties and self (?tman) and is the size of an atom. The forth chapter deals with the refutation of the Vai?e?ika manas seen in the ninth chapter of the Abhidharmako?abh??ya. In the fifth chapter, I will discuss the later development of the inner faculty (manas) within one of the Hindu philosophical schools, the M?m?msa. In the Bha??a school of the M?m?msa, the working of manas between faculties and self (?tman) was reduced to almost nothing.

      • KCI등재

        대학 체육시설 서비스품질이 만족도 및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인선(In Sun Hwang),유현순(Hyun Soon Yu),이현정(Hyun Jung Lee),이상일(Sang Il Lee),이세호(Se Ho Lee) 한국체육교육학회 2013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체육시설 서비스품질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지역 S여대, K대, K대, Y대 체육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지 총 220부를 배포하였으며, 200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서비스 품질은 시스템적 서비스품질(시간, 홍보, 가격), 인적 서비스, 물리적 서비스로 3개요인, 만족도는 서비스만족, 시설만족, 직원만족, 이용료만족, 프로그램만족도로 5개 요인, 재이용의사는 단일요인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데이터는 SPSS(ver. 18.0) 및 LISREL(ver. 8.52)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체육시설의 서비스품질은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품질은 재이용의사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만족도를 통해 재이용의사에 간접적인 영향은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는 재이용의사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service quality of university sport center influences on satisfaction of the members and their intention to reuse. 2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S (intial of Univ) women`s, K, K` and Y univ in Seoul were targeted for this study.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were carried out through SPSS(ver. 18.0) and LISREL(ver. 8.52).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rvice quality influenced on satisfaction. Secondly, service quality didn`t influence on intention to reuse but it indirectly did on intention to reuse through satisfaction. Thirdly, satisfaction influenced on intention to reuse.

      • KCI등재

        Mahakapi Jataka의 변천- 동물우화에서 인간적 합리적 이야기로-

        황순일 ( Soon Il Hwang ) 인도철학회 2013 印度哲學 Vol.0 No.38

        아하까비자따까(Mahakapijataka)는 기본적으로 영웅적인 자기희생을 한 원숭이 왕을 주제로 한 동물우화였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인도인들에게 많은 종교적인 영감과 감성을 느끼게 했으며, 초기 인도불교 유적제에서 폭넓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불교우화로 성장했다. 하지만 마하까비자따가는 인도를 떠나면서 점차적으로 인간적인 측면이 강조되고 현재생과 과거생의 복잡한 관계들이 반영되면서 변형되고 특유의 역동성을 상실하게 되면서 점차적으로 잊히게 된다.본 논문에서는 자기희생이란 인욕(ksanti)적 측면이 강했던 원숭이 왕 이야기가 복잡한 과정을 거치면서 오히려 정진(virya)적 측면이 강한 것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이러한 지나친 합리화가 오히려 이야기 자체의 역동성을 상실하게 만들어서 동아시아에서 더 이상 종교적 감성을 자극하는 이야기로 받아들여지지 못하게 되었다는 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설명한다. From the remaining stone reliefs in Barhut and Sanchi as well as a mural painting survived in the cave 17 in Ajanta, the Mahakapijataka seems to have been very popu-lar among Indian Buddhists from the 1st century BCE to the 3rd or 4th century CE. The story of this great monkey king has been preserved in the Jataka in the Pali canon in-cluding the exegetical explanation from the Theravada Buddhist perspective. Fortunately, this story was also adapted as an elaborate and polished morality tale, stylis-tically similar to the Pancatantra and the Hitopadesa in Hindu tradition, by Arya Sura in his Jatakamala. This col-lection of Buddhist morality tales becomes popular later both in Tibet and in Mongolia as well. In this paper, I am going to analyz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different versions: the verses in the Pali Jataka, the core of the story, the Theravada exe-getical explanation, popular in Southern Buddhism, and the Arya Sura`s stylistic adaptation, spreading around Northern India, Tibet and Mongolia. In this process I hope to show how the simple storyline focusing on leadership and self-sacrifice becomes complex religious and morality tales appeared in the Theravada exegetical tradition and the Arya Sura`s Jatakamala.

      • KCI등재

        연기법송, 아리야 운율, 그리고 빨리 율장대품

        황순일 ( Soon Il Hwang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2

        ye dhamma formular로 알려진 연기법송(pratityasamutpadagatha)은 빨리 3장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지 않는 아리야(arya) 운율을 체용하고 있다. 불교학의 초창기에 빨리 율장대품에 나타난 아리야(arya) 게송들은 빨리 율장의 연대를 아쇼까왕 이전으로 비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근거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이 문제는 아리야 운율의 존재여부 만으로 쉽게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사실상 이 문제는 아리야 운율이 채용된 연기법송이 나타나는 사리뿟따와 목갈라나의 불교전향 에피소드의 맥락을 전체적으로 검토하는 과정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 논문은 율장과 불전문학작품을 중심으로 연기법송(pratityasamutpadagatha)이 점차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빨리 율장대품의 한 측면을 파악하도록 한다. Pratityasamutpadagatha which is known in the Southern Buddhist world as ye dhamma formular is one of the best known stanzas in the Buddhist world. It in fact is using arya metre which has been known not as Sanskrit metre but as Prakrit metre. The use of arya metre in the Mahavagga in the Pali Vinaya led early Western Buddhist scholars to determine the date of the Pali Canon before the time of Great King Ashoka. However, it is not easy at all to confirm such important date only according to the use of arya metre. In this paper I am investigating the status of pratityasamutpadagatha within Buddhist literary tradition centered about various Vinaya literatures as well as diverse Life stories of the Buddha. With this research we can come close to one of the key features of the Pali Vinay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