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학력 변인과 유아 동화책 선정 요인과의 관계 분석

        황민선(Min-sun Hwang) 한국출판학회 2014 한국출판학연구 Vol.40 No.2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동화책 선정요인에 대해 살펴보고, 어머니의 학력 변인과 선정요인과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동화책의 내용 선정 요인은 언어·문학적 요인 및 인지적 요인을 고려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사회·정서적 요인과 예술성 요인은 상대적으로 고려 정도가 낮았다. 구체적인 동화책 선정 요인을 살펴보면 흥미성과 창의성에 대한 고려 정도가 가장 높았고 반면에 표지의 예술성은 고려 정도가 제일 낮게 나타났다. 또한 공감성, 그림 및 삽화의 예술성, 도덕성, 논리성, 표지의 예술성은 중간 점수 이하의 고려 정도를 보였고 반면에 이를 제외한 나머지 동화책 선정 요인은 모두 중간 이상의 고려 정도를 보였다. 둘째, 동화책 선정 요인과 어머니의 학력 변인간의 차이 검증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동화책 선정 요인 중 언어 및 문학성 발달에 대한 고려는 대학교 졸업 학력의 어머니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회․정서발달의 경우에는 어머니 학력이 낮을수록 고려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지적 발달의 경우에는 고등학교 졸업 또는 대학교 졸업이 고려 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예술성 발달의 경우에는 전문대 졸업 및 대학 중퇴 학력의 어머니의 고려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동화책 선정 요인과 어머니의 학력 변인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lection of a picture book with mothers having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considered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 of mother’s academic career an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selection. The results gained from this research can be summed up as below: First, regard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mother’s selection of contents of a picture book, they consider linguistic ․ cultural factors and cognitive factors significantly but regard social ․emotional factors and aesthetic factors to be relatively less important. About the detailed factors that influence their selection of a children’s book, they consider excitement and creativity the most but put the least emphasis on artistic value of the cover. And empathy, artistic value of the pictures and illustrations, morality, logicality, and artistic value of the cover received medium or lower points in terms of consideration; however, the rest factors to choose a picture book except for those all gained medium or higher points. Second, the study verified difference regarding the factors to choose a children’s book and the variable of mother’s academic career and then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among the factors to choose a children’s book, linguistic and literary development was considered the most by mothers with the academic career of university graduation, and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was considered more by mothers with less academic career. Also, cognitive development was considered to be important by those with the academic career of high school graduation or university graduation while artistic development was considered more by mothers with the academic career of junior college graduation or university dropou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factors to select a children’s book and the variable of mother’s academic career.

      • KCI등재후보

        출판물과 출판물을 원작으로 하는 영상물의 매체 특성 비교 연구

        황민선(Hwang Min-Sun) 한국출판학회 2005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48

        지금까지 문자매체는 인간의 사고와 문화를 압도적으로 지배하는 매체였다. 또한 문자매체가 지배적인 문화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커뮤니케이션 수단은 출판이었다. 그러나 정보통신 기술의 혁신에 바탕을 둔 디지털 문화는 생활 형태와 생산방식, 교육 방법 등 전 분야에 걸쳐 연쇄적이고 근원적인 변화를 불러왔으며 문화의 영역도 예외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디지털 문화에 있어 영상미디어가 주요 매체로 자리 잡게 된다. 현대의 디지털 문화에서는 미디어간의 경계선이 무너지고 개별 미디어의 독자성과 독립성이 약화되는 동시에, 또한 서로 다른 미디어간의 콘텐츠와 서비스가 통합되는 융합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와 같이 미디어의 경계가 무너지고 점점 융합하는 상황 속에서 출판물을 원작으로 하는 영상물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영상매체가 주도하는 이미지 문명이 현대 사회의 거대한 흐름을 형성하고 있음을 부정할수 없다면, 출판물과 출판물을 원작으로 하는 영상물에 대한 비교 연구는 분명 긴급하고 중요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출판물과 영상물이 근본적으로 서로 어떻게 다른지 그 특성을 밝혀 보았다. 출판물과 영상물은 우선, 서사성을 공유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반면에 출판물은 문자로, 영상물은 영상으로 서사를 묘사한다는 근본적인 차이점이 있다. 또한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제시해 볼 수 있다. 기호의 사용에 있어 영상물은 도상적 기호(iconic sign)를, 출판물은 상징적 기호를 더 용이하게 사용한다. 다시 말해서 영화의 상은 감각적ㆍ현실적인 상이며, 이와 달리 소설의 상은 관념적 심상이라 하겠다. 감상 형식에 있어서 독자의 역할을 살펴보면, 자유로운 재창조의 과정을 갖는 출판물의 독자와 달리 영상물의 관객은 피상적이고 수동적이라 할 수 있다. 매체적 속성에 있어 출판물을 원작으로 하는 영상물은 출판물에 비해 더 대중적이다. 영상물은 다수 익명의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그들의 정서와 성향, 즉 대중성을 의식해야 하고 또한 의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성향이 대중성으로 표방된다고 할 수 있다. 나타내고 있는 시제에 대해 살펴보면, 소설과 같은 출판물의 경우, 과거ㆍ현재ㆍ미래라는 세 가지 시제를 지니고 있지만 영화와 같은 영상물은 단지 현재라는 하나의 시제만을 지니고 있을 뿐이다. 출판물의 영역 중 인터넷 소설이 주로 영상화되는 주요인은 영상화하기에 쉬운 에피소드 위주의 내용 구성 즉 시각화하기 쉬운 구성, 대중성의 확보라는 차원에서 이해된다. 결국 출판물과 비교하여 보았을 때 영상물이 가지는 특성의 일부분을 인터넷 소설이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pecific character of medium between publication and visual image. Visual images as a kind of narrative art has similarity to publication. Visual images gets its materials from vivid reality of human life, reflects them, and recognizes them. However, these similar modes that ascertain the interchangeableness between publication and visual images don't explain the possibility of replacement of these two genres. It's because they the same mode as narrative art, but means for expression, namely, their languages are different. Publication deponds on written language which is an abstract sign, on the other hand, visual image is made up of visual language which is an iconic sign. Publication using the written language is based on logical thinking, and has reasonable characteristics. While visual imageusing visual language that can be possible to personally confirm what is on the screen, has a sensuous medium, indeed. The differences of these two language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two media are more definitely revealed by comparative analysis about creative aspect and acceptable one. On the part of acceptance, publication and visual image have their own different ways. Visual image proposes rather a completed form, for audience in order to confirm in person. On the other hand, publication provides for readers with some a letter or vocabulary. Accordingly, readers should input numerous abstract signs into their brains, shape some kinds of form, and reshape them by connecting these signs, to accept novel. The fundamental differences as narrative art between these two genres are generated from the different narrators. A narrator in a publication that carries a narrative is a speaker, but a narrator in a visual image is a camera.

      • KCI등재

        어린이도서관 Website의 Contents 및 Interface 분석

        황민선(Hwang, Min S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3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3 No.1

        이 논문은 서울 시내 어린이도서관 웹사이트의 contents 및 interface를 분석해본 논문이다. 분석결과 contents 제공 측면에 있어서, 정보 내용(독서지도, 추천 도서, 자료찾기, 전자책, 행사프로그램, 도서 예약 대출, 희망도서, 커뮤니티 등 총 8개의 항목)을 모두 제공하는 어린이도서관 website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어린이도서관 website의 main menu 개수는 6-7개로 구성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서울시내 어린이도서관 website는 상호작용적 contents는 비교적 잘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terface 디자인 측면에 있어서는 서울시내 어린이도서관 website는 계층적 구조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main page에서 contents까지의 depth는 대부분 1-2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내 어린이도서관 website의 layout은 변형된 3단 그리드를 제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on의 경우 text와 image를 같이 사용한 icon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Icon 디자인시 유의할 점은 icon의 크기는 어린이들이 마우스를 이용하여 클릭하기 쉬운 정도의 크기로 디자인되어야 하고, 어린이들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서울시내 어린이도서관 website의 경우 main page에 캐릭터 등을 사용한 경우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절한 캐릭터의 활용 및 멀티미디어 효과를 가미한 디자인적 구성이 요구된다. This paper analyzes the contents and interfaces or children’s libraries in Seou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shown that, in terms of the contents offered, there was no website of a children"s library that offered all the information contents. Most websites of children"s libraries in Seoul had 6~7 main menus. On the websites of children’s libraries in Seoul, interactive contents are shown to have been relatively well operated. With regard to interface design, it was determined that all the websites of children"s libraries in Seoul use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the depth from the main menu to the contents was found to be 1~2 steps in most cases. Also it was determined that the layout of the websites of children’s libraries in Seoul used most frequently a transformed 3-tier grid. Regarding icons, in most cases the websites were shown to use icons that use both text and an image. Also, the size of an icon should be designed is such a way that children can easily click on it with a mouse, and it should be able to gain their interest.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websites of children’s libraries in Seoul rarely used characters on the main screen. For the utilization of a character suitable for a main screen,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well-designed composition with an added visual effect.

      • KCI등재

        광주(光州) 풍영정(風詠亭) 차운시(次韻詩) 고찰

        황민선 ( Min Sun Hwang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8

        風詠亭은 16세기 漆溪金彦据(1503~1584)가 지은 정자로 광주, 나주, 장성을 잇는 길목에 있는 위치상의 특징과 김언거의 교유 인물들이 갖는 명성 등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찾는 명소로서 오랫동안 기능하였다. 이런 수많은 사람들의 왕래는 누정의 특성상 자연스럽게 많은 차운시를 낳게 했고 이런 차운시는 이 시기에 지어진 여타의 누정들과 비교해 보았을 때 압도적으로 많은 분량으로 풍영정을 대표하는 특징이자 또 하나의 경관이 되었다. 누정은 그 공간상의 특수성으로 인해 수많은 문학작품을 남기고, 문학작품은 시판의 형태로 누정에 걸려 또 다른 절경을 낳는다. 이런 누정 작품들은 누정에 대한 또 다른 문학적 공간이 되어 누정을 직접 향유하지 않아도 문학적 경치로서 또 다른 누정문학을 양산케 하는 기능을 하기도 한다. 즉 누정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또 하나의 실경이자 문학적 경치가 되는 누정문학은 누정공간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학작품 특히 누정시에 나타난 누정 공간 특성을 본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보면 대체로 누정연작제영을 중심으로 많은 연구를 해왔다. 누정연작제영은 누정 공간을 구성함에 있어 빠질 수 없는 혹은 뛰어난 경관을 설정한다는 그 특성상 설정된 공간은 각각의 누정들을 특징지을 수 있는 대표공간이 되는 한편, 누정을 향유하는 향유자들의 누정 공간의식 그리고 더 나아가 그들이 지향하는 산수미학을 자연스럽게 드러내기 때문이다. 그러나 누정시에 있어서 누정연작제영 보다 압도적인 수를 차지하는 누정제영을 보지 않고는 집경에 치중하는 누정연작제영만을 가지고 누정공간을 이해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특히 풍영정은 180편이 넘는 동시기 다른 누정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수의 차운시를 보유하고 있다. 풍영정 공간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위해서는 풍영정의 차운시에 대한 접근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이런 차운시를 중심으로 풍영정의 공간 특징을 歸田, 시름, 회상과 같은 세 가지 키워드를 가지고 분석하였다. Pungyoungjeong(風詠亭) built by Un Guh, Kim(金彦거, 1503~1584) in 16th century had performed a function of people`s attraction due to not only a good reputation of Un Guh, Kim(金彦거, 1503~1584) and his colleagues but a location of Pungyoungjeong(風詠亭) connecting Gwangju, Naju and Jangseong. A volume of rhyme-borrowing poems were naturally produced because of many people`s comings and goings to Pungyoungjeong(風詠亭). And in comparison to other pavilions of this time, especially in respect of their number, they became a peculiarity of Pungyoungjeong(風詠亭), a great landscape. A spatial character of a pavilion produced a large number of literary works that created unparalleled grandeur as they were placed on the top of a pavilion in a form of a wooden board. Such a kind of Nujung literatures brought a motive of the other Nujung literatures. They were inspiring people to create literary works even though they never enjoyed time in a pavilion. Therefore, Nujung literatures that provided an actual and a literary scene have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a place, a pavilion. The previous studies that researched spatial figures of pavilions through Nujung poems were generally based on Nujungyeonjakjeyoung(樓亭連作題 詠). Because it essentially has a nature of setting a great view for composing a place, a pavilion, the comprised space became a typical place where not only represented each of pavilions but expressed enjoyers` consciousness of a pavilion and scenic aesthetics. However, it is limited to grasp the place, a pavilion with Nujungyeonjakjeyoung(樓亭連 作題詠) focusing on collecting sceneries. Accordingly, we need to examine Nujungjeyoung(樓亭題詠) taking much portion of Nujung poems. Pungyoungjeong(風詠亭) has a vast majority of rhyme-borrowing poems, approximately over 180 in comparison to other pavilions in the same period. To understand the place of Pungyoungjeong(風詠亭) in depth, approaching to rhyme-borrowing poems of Pungyoungjeong(風詠亭) is indispensible. This manuscript, therefore, mainly discussing about rhyme-borrowing poems of Pungyoungjeong(風詠亭), analyzed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ngyoungjeong(風詠亭) with three keywords, vision, apprehension and longing for the past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신념에 따른 그림책 선정 요인 분석

        황민선(Hwang, Min sun),김미애(Kim, Mi Ae) 한국출판학회 2017 한국출판학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그림책 선정 요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그림책 선정 요인의 경향은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그림책 선정 요인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신념의 경향은 어머니들은 지적성취보다는 인성을, 성숙주의보다는 환경주의를, 개인보다는 전체를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그림책 선정요인에 있어 어머니들은 언어·문학적 요인 및 인지적 요인을 고려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신념과 그림책 선정 요인과의 관계는 어머니의 양육신념에 따라 일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general trends in mother’s beliefs in parenting and factors in the selection of picture books and to analyze their relationship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complish such purposes are as follows. Firstly, what are the general trends in mother’s beliefs in parenting and factors in the selection of picture books? Secondl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beliefs in parenting and factors in the selection of picture book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general trends in beliefs in parenting focused on character over academic achievements, the environment over growth, and a group over individuals. The general trends in factors in the selection of picture books revealed a high tendency to consider linguistic, literary, and cognitive factors.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beliefs in parenting for children and factors in the selection of picture book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 KCI등재후보

        Cyberspace의 문화적 특징과 연계해 살펴본 Parody 양상 연구

        황민선(Hwang Min Sun),남석순(Nam Seok Soon)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7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7 No.3

        본연구에서는 사이버스페이스의 문화적 특징과 연계하여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보여지는 패러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보여지는 문화적 특징은 개인의 정체성을 숨길 수 있는 익명성 사용자들의 주체적 정보 생산과 소비성 사용자들의 정보에 대한 개입 가능성과 참여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버스페이스의 문화적 특성은 패러디물의 생산과 소비가 기하급수적으로 확장되는 토양을 마련해주고 있다. 원작을 변형해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패러디 개념도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는데 현대에 이르러 패러디는 예술 전반 뿐만 아니라 사이버스페이스 공간에서 많이 창작 소비되고 있다. 패러디의 기본 조건은 원작의 이미지를 노출하여야 하고 최소한 원작의 이미지를 추론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연유로 이성보다는 재미와 감성이 대두되는 사이버스 페이스 공간에서는 영화포스터와 같은 대중에게 잘 알려진 소재를 택하여 패러디화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사이버스페이스에서 대중이 스스로 만들어내는 패러디 이미지는 크게 두 개의 양상으로 전개된다. 즉 정치·시사참여 패러디와 유희 패러디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치·시사 참여 패러디는 단지 보는 사람에게 웃음을 준다는 것을 넘어서 우리의 삶과는 요원하게만 느껴졌던 정치권의 인사나 사회적 문제를 적나라하게 비판하는 통쾌함을 제공하는 순기능이 있다. 두 번째 양상으로는 유희 또는 놀이로서의 패러디가 존재하게 된다. 이와 같은 패러디물은 만드는 사람이 재미로 만들고 보는 사람들도 재미를 느끼게 하고자하는데 목적이 있고 동시에 본인의 패러디 실력을 과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만들어진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패러디물의 범람은 대중 스스로 이미지의 창작자가 된다는 점에서 또 대중 스스로 비평가가 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면도 있으나 그 질적인 측면에서는 아직 미흡하고 조잡한 점이 많이 보이고 있다는데 아쉬움이 남는다. This study examines parody types in cyberspace in connection with characteristics of cyberspace. Cultural features displayed in cyberspace include anonymity making it possible for users to hide their identity and involve and participate in information. These cultural features of cyberspace have paved the way for exponential increas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parody. Parody which generates a new image by modifying the original is being created and consumed extensively in cyberspace as well as across the arts at large theses days. A fundamental condition of parody is that it has to allow inference of the original image at least. Therefore in cyberspace where fun and emotion are important rather than reasoning parody is made by means of the items familiar with the public like movie posters. Parody images directly created by the public in cyberspace take two forms in general; parody about political and current issues and parody for fun. The former has a positive function to provide thrilling feelings by criticizing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without reserve. The second type of parody is for fun as play. This type of parody aims to give pleasure both to the creator and the audience. The growth of parody in cyberspace raises questions in that it is still lacking and coarse in quality despite its positive aspect that the general public become a creator of an image and a critic at the same time as stated above.

      • KCI등재후보

        디지털 시대에 보여지는 문자문화의 변화에 대한 연구

        황민선(Hwang Min-Sun) 한국출판학회 2006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0

        인간문화사에서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역사적 단계는 최초의 구술문화에서 쓰기를 보편화한 문자문화로 그리고 이제 전자기술이 기반이 된 디지털 문화로 변화해가고 있다. 그럼 디지털 문화 시대에 문자 문화에 보여지는 변화는 무엇인가하는 의문에서 본 논문은 출발한다. 이와 같은 주제를 고찰해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를 상정해보았다. 첫째, 구술문화와 문자문화는 어떤 차이를 가지는가? 둘째, 디지털 텍스트인 하이퍼텍스트가 가지는 특성은 무엇인가? 셋째, 디지털 시대에 나타난 문자 문화의 변화는 어떤 모습을 띠는가하는 것이다. 구술문화와 문자문화의 차이는 구술문화가 감각적, 공동체적, 감정이입적인데 비해 문자문화는 이성적, 객관적, 추상적 특성을 띰을 알 수 있었다. 디지털 텍스트인 하이퍼텍스트의 특징으로는 직관과 영상을 중시하는 점, 그래픽을 위시한 멀티미디어적 성격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하이퍼텍스트와 더불어 디지털 시대의 문자 문화는 변화의 중심에 놓여 있다. 이모티콘과 같은 도상문자의 등장과 문자언어의 변형이 그것이다. 이모티콘과 같은 도상문자의 등장은 쓰기를 기반으로 하는 문자를 좀더 구술에 가깝게 가기 위한 표현의 발로라 할 수 있다. 본래 문자는 대화를 위한 것이 아니었다. 그러나 디지털 환경의 컴퓨터상에서 실시간으로 대화를 함으로 인해 문자는 언어 사용자의 구술의 맥락, 즉 대화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즉 여기서 디지털 문화의 구술성이란 측면이 보여지게 된다. 그럼 이와 같은 이모티콘과 문자 언어의 변형이 유독 디지털 환경하에서 생겨나고 사용하게 된 원인은 무엇인가? 첫째 감정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문자만으로는 표현할 수 없는 미세한 감정을 이모티콘을 통해 전달하려는 것이다. 두 번째 이유로는 경제성의 문제이다. 디지털 환경하의 문자언어는 구어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자판을 이용하여 문자로 대화하기 때문에 아무리 빨리 타자를 친다 할지라도 구어를 따라갈 수 없다. 따라서 빠른 시간에 많은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비문법적인 언어의 형태로 문장 안의 단어를 최대한 줄여서 쓰는 축약이나, 생략, 또는 소리나는 대로 적기 등의 문자의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또다른 이유로는 심리적 동기를 들 수 있다. 디지털문화 공간 내에서 변용된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 사람들과 다른 독특한 개성을 나타내며, 같은 공동체의 일원이라는 의식이 형성된다고 느끼는 심리적인 의도가 들어있는 것이다. 디지털문화시대에 있어 문자문화는 시각화, 구술화 경향을 점점 띠게 됨을 고찰할 수 있었다. The historical step of communication media in human culture is evolving from text culture that popularized the writing first in oral culture, to electronic technology-based digital culture. Now, I am going to start this thesis from questioning what kind of change is shown to text culture in this digital cultural era. In order to review this topic, I posed questions as follows in this thesis. First, how is oral culture different from text culture? Second, what are the features of a hypertext, which is a digital text? Third, how does text culture appear in the digital era?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oral culture and text culture, it was proven that text culture was featured to be rational, objective, and abstract whereas oral culture was sensual, communistic, and empathetic. As for the features of a hypertext, which is a digital text, a hypertext weighed intuition and image more and seemed more like multimedia headed by its graphic figures. Along with the hypertext like this, the text in this digital era is placed on the center of the change. The appearance of a diagrammatic text such as emotic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ext language prove the change. The advent of a diagrammatic text such as emoticon is like an expression of making texts, which is grounded on writing, and looks more like oral statement. Originally, a text was not for conversation. However, it is now used in a context of oral statement of language users, that is, it is used for conversation when people converse with each other in real-time on a computer which is a digital environment. In other words, we are living in oral-oriented digital culture. The reason for emoticon and the transformation of text language appearing under the digital environment is probably because people want faster communication and smoother transfer of emotion, and want to share a community spirit with other people who use the same transformed language by using such transformed language. Likewise, it was also proven that text culture becomes more visualized and orally expressed in this electronic technology-based digital cultural era.

      • KCI등재

        경회(景晦) 금영근(金永根) 한시의 전원인식 -전원을 표현한 시어(詩語) 사용을 중심으로-

        황민선 ( Min Sun Hwang ) 한민족어문학회 2016 韓民族語文學 Vol.0 No.72

        한시에서 전원은 대체로 자연에 순응하는 인간의 삶이 영위되는 공간으로, 작자의 상황, 심경에 따라 전원적 흥취유발의 공간으로, 은거의 공간으로 또는 노동의 공간 등으로 표현된다. 이런 전원의 모습은 작자의 심경에 영향을 주는 시대적, 사회적, 개인적 상황에 의해 변주된다. 일제강점기의 유학자로 평생을 강진에서 살았던 景晦 金永根의 한시에서도 이런 면이 보인다. 그는 무장독립투쟁을 꿈꾸었으나 좌절된 위정척사의 학자로, 입신을 포기하고 전원을 선택한 가난한 선비로 평생을 보냈고, 1,000여 편이 되는 한시는 이 때문에 다수가 전원을 배경으로 한다. 본고는 이에 주목하여 경회 한시에서 나타나는 전원인식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전원을 표현한 시어를 사용한 한시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본고는 경회 한시에서 전원시들을 모두 파악하지 못하고 전원을 표현한 시어를 사용한 한시를 중심으로 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그러나 현재 경회한시에 대한 연구가 미진한 것도 사실이다. 이런 경회 한시의 전원인식에 대한 연구는 20세기 초 향촌에서 살았던 유학자들의 삶과 그들이 삶의 공간을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알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Sino.Korean poems, the country is a space in which people lead a life compliant with nature, and depending on the poet’s context and mental attitude, it is configured as a space of idyllic charm, a space of retirement, or a space of labor. Because the image of the country is influenced by the writer’s context and mental attitude, it reflects his historical, social, and personal situations. This pattern is also observed in the Sino.Korean poems of Gyeonghoi Kim Yeong.geun who spent his whole life in Gangjin as a Confucian scholar during the late Yi Dynasty and the perio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s a learned man who adhered to Confucian doctrines and rejected Western thoughts and dreamed of military campaigns for independence but was frustrated, Gyeonghoi gave up rising in the world and chose to be a poor scholar in a rural village, and many of over 1000 Sino. Korean poems composed by him have his rural life as their background. Taking note of this fact, this study purposed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the country observed in Gyeonghoi’s Sino.Korean poems. For this purpose, his Sino.Korean poems using poetic words for depicting the country were analyzed and discuss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in his poems, the country was perceived as a space of idyllic charm for a recluse’s quiet and peaceful life along with well.to.do farmhouses, a space to which the poet attempted to retire from the mundane life but not successfully, a space in which ideal retirement could not be achieved, and a ground of life with the toils of experiential labor and the consequent observance of moral duties.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did not cover all of Gyeonghoi’s Sino. Korean poems with rural background, but was focused on his Sino.Korean poems using poetic words to depict the country. In the current situation that research has been insufficient on Gyeonghoi’s Sino.Korean poems, however, this study on the perception of the country in Gyeonghoi’s Sino.Korean poems is expected to provide clues to understanding the lives of Confucian scholars at rural villages in the early 20th century and how they perceived the spaces of their lives.

      • 유아전집 수학 동화에 나타난 수학 영역 분석 연구

        황민선 ( Min-Sun Hwang )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 2013 한국고등직업교육학회논문집 Vol.14 No.1

        This study analyzed the mathematical area shown in a total of 280 books composing the collection of mathematical stories for younger childre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mathematical stories for children related to numbers and calculations were found to be 97 books (34.6%), which is the greatest in number. Meanwhile, children’s stories related to diagrams and space totaled 63 books (22.5%) and children’s stories about measurement numbered 56 books (20%). Also, children’s stories regarding data collection and summarization totaled 33 books (11.8%) and, lastly, children’s stories about patterns numbered 31 books (11.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