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활성단층으로부터의 안전거리 결정과 규제: 해외사례의 고찰을 바탕으로 한 제언

        홍예지(Yeji Hong),김영석(Young-Seog Kim) 대한지질학회 2021 대한지질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0

        최근 우리나라에 두 차례의 중규모 지진(2016년 경주지진, ML=5.8; 2017년 포항지진, MW=5.4)이 발생하면서 피해지진이 발생할 수 있는 활성단층에 대한 조사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지진이 발생하면 지진동, 액상화, 지표파열 등 여러 가지 지진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데, 그 중 지표파열에 의한 재해는 현재까지의 내진기술로는 막을 수 없으며, 좁은 지역에 큰 에너지가 집중되어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지표파열은 주로 기존 활성단층의 재활성화로 인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새로운 단층과 단열의 생성은 재활성화된 기존 단층의 근처로만 국한되므로 활성단층지도 제작을 통해 기존 활성단층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활성단층지도가 제작된다 하더라도 확실한 기준이나 근거가 없다면 국가에서 실제적으로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건축물의 건축규제 등에 적용할 것인가 하는 것은 매우 어렵고 민감한 문제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활성단층지도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이 논문에서는 활성단층지도가 제작된 이후 활성단층 주변의 규제구역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해 해외사례를 바탕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는 주로 지질학적 관점에서의 안전성을 고려한 규제거리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안전거리 설정을 위해서는 야외 조사, 단층 종류, 주변 암석의 종류, 예상 지진 규모 등 지표파열 범위 설정을 위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한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지진 발생 주기가 길고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이러한 사례가 부족하여 미국, 뉴질랜드, 이탈리아 등 지진재해연구 선진국들의 사례를 바탕으로 고찰하여 지표파열재해로부터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우리나라에 적합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해외의 규정을 참고하면 단층자취로부터 양쪽이 대칭이라고 가정할 경우 지표파열이 발생할 수 있는 거리는 단층으로부터 최소 60~200 m, 후퇴거리는 15~20 m를 고려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규정이 대부분 지진의 활동성이 높은 지역을 바탕으로 헸다는 것을 고려하면 우리나라에서는 지표파열이 발생할 수 있는 거리를 약 60 m로 하고 이에 대해서는 내진보강과 지질조사를 권고하고, 원전시설을 제외한 신규 건축물의 실질적인 규제에는 안전거리 15 m를 최소한의 거리로 확보하도록 하여 적용할 것을 제안한다. 그러나 실질적인 규정의 적용에 있어서는 건물의 중요도가 높을수록 단층으로부터 더 멀리 위치시키거나 내진기준을 강화하여 건축물의 성격에 따라 탄력적인 적용을 하는 것이 국민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안전을 확보하는 현실적인 방안일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청소년의 휴대전화의존도, 우울의 변화 궤적 및 자기조절학습 능력 간의 구조적 관계

        홍예지 ( Yea-ji Hong ) 대한가정학회 2021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Vol.5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dolescents’mobile phone dependency, trajectories of depress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To achieve these goa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3rd, 5th and 7th wave of the data on 4th graders taken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indicates that depression in 6th through 10th grade has increased. Second,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at 6th grad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on. Also, the initial value and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on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mobile phone dependency at 10th grade. Moreover, both increased levels of mobile phone dependency and the rate of change in depression significantly influence adolescents’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at 10th grade. Based on a longitudinal data set,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Korean adolescents’trajectories of depression and their mobile phone dependency. The findings also provide a comprehensive framework with implications for adolescents’development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s’depression and mobile phone dependency, which impact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ies.

      • KCI우수등재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방식, 휴대전화의존도 발달 궤적 및 자기조절학습 간의 관계

        홍예지(Yea-ji Hong),이순형(Soon-hyung Yi),이수현(Su Hyun Lee),조혜림(Hye Rhim Cho) 한국아동학회 2015 아동학회지 Vol.36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Korean early adolescents’ perceived negative parenting practices, trajectories of mobile phone dependency(MPD), and self-regulated learning(SRL), while taking into account gender differences. Early adolescents are required to acquire self-regulation in Korean cultural contexts of a strong emphasi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recent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e study made use of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KCYPS), and three waves of data collected from 1,953 adolescents in 7<sup>th</sup>, 8<sup>th</sup> and 9<sup>th</sup> grade were analyz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Growth-curve longitudinal analysis indicates that their initial value of MPD through 7<sup>th</sup> to 9<sup>th</sup> grade had increased, but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Furthermore, the results of multiple group analysis revealed that some path weights appeared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For male students, the rate of change in MPD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ither SRL in 7<sup>th</sup> or 9<sup>th</sup> grade, whereas for female students, it predicted the existence of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m.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생 자녀를 둔 취업모의 일-가정 균형의 잠재전이분석: 일-가정 균형의 유형 및 유형 간 전이의 예측요인 검증을 중심으로

        홍예지 ( Yea-ji Hong ) 대한가정학회 2021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9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pply latent transition analysis to the work-family balance of working mothers with a child in elementary school by focusing on the effect of antecedents on both work-family balance typology and the transition between typologies. Data from 400 working mo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ighth and eleventh waves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 analysis of working mothers whose children were in the first grade classified the work-family balance types as ‘contradictory’ or ‘beneficial’ and of working mothers whose children were in the fourth grade as ‘conflictual’, ‘contradictory’, ‘high beneficial’, ‘low beneficial’ or ‘beneficial’. Second, working mothers whose work-family balance was ‘contradictory’ or ‘beneficial’ when their children were in the first grade mostly had, respectively, a ‘low beneficial’ or a ‘high beneficial’ balance when their children were in the fourth grade. Third,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into each type differed according to subjective happiness and marital conflict in the first grade, and mari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in the fourth grade. Moreover, marital conflict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 in the transition between the types of work-family balance. The study showed that the types of work-family balance differed for each time point for individual working mothers. The study also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parenting-related personal, family and social factors in determining the work-family balance type and transition between types.

      • KCI우수등재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학교적응 유형화 및 어머니의 교육참여 예측요인 검증

        홍예지(Yea-Ji Hong),장유진(Yujin Jang),이강이(Kangyi Lee) 한국아동학회 2021 아동학회지 Vol.42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in the first grade an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mothers’ educational involvement on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type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4 pairs of mothers and teachers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Parent Educational Involvement (PSKPEI) in 2018. Preliminary analyses were examin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urthermore, a latent profile analysis and a three-step approach using the Mplus program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typology of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and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mothers’ educational involvement.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profiles of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mild adjustment difficulties, adequate adjustment, and high-level adjustment). Second,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into each type differed according to parenting efficacy,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and teacher-mother relationships among mothers’ educational involvement. In particular, first graders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high-level adjustment group compared to those in the mild adjustment difficulties group when mothers have high levels of parenting efficacy, there are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and there are positive teacher-mother relationships. Conclusion: These findings empirically confirmed individual differences in first graders’ school adjustment, and suggest the importance of mothers’ educational involvement on their children’s adjustment in their first year at school.

      • 아두이노 기반의 실내외 미세먼지 파악 서비스 연구

        홍예지 ( Yeji Hong ),박동희 ( Donghee Park ),공민정 ( Minjeong Ko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9 No.2

        인체의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미세먼지와 건강 영향에 대한 인과 관계가 입증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기침, 재채기, 심혈관 질환, 폐암 등 가벼운 증상부터 심각한 질병까지 인체의 건강에 다양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세먼지는 2000 년 초부터 꾸준히 높은 농도를 보여왔지만, 사람들이 실제로 미세먼지를 위험 물질로 인식하기 시작한 것은 10 년이 채 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실외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실제로 위치한 실내 미세먼지 농도까지 함께 제공하여 미세먼지에 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