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족형태 다양성 논의를 위한 사회적 기구 운영방안 연구

        홍승아(Hong, Seung-ah),최인희(Choi, In-hee),최진희(Choi, Jin-hee),유은경(Yoo, Eun-Kyu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16 No.-

        Ⅰ. 서론 □ 우리사회 가족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전형적인 가족모델로 생각되고 있는 부부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형태의 비중은 전체 가구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그 비율은 감소하고 있다. 동시에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족, 1인가구, 이혼 및 재혼가족, 비혼.동거가족 등 다양한 가족형태가 증가하고 있다. □ 가족가치와 가족관계에서도 다양한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가족의 구성과 형태에 있어서도 개인의 선택과 기획에 의한 삶의 방식으로 만들어나가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으며, 결혼은 더 이상 인생의 필수 과업으로 인식되지 않고 있다(Ⅱ장 참조). ○ 통계청 사회조사의 조사결과에 의하면, “결혼은 반드시 해야 한다” 에 대한 응답률이 1998년 33.6%에서 2014년 14.9%로 지난 16년 동안 무려 18.7%p 나 낮아져, 결혼의 당위성은 크게 감소하고 있다. 또한 이혼이나 재혼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도 수용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제결혼이나 동거 등에 대한 사회적 시선도 수용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 이에 기존의 표준가족모델, 보편적 가족모델에 기반한 고정된 가족개념과 가족정책의 틀을 넘어서서 가족정의와 가족정책의 틀을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부모가족, 다문화가족, 재혼가족, 입양가족, 국제결혼가족, 1인가구, 동거가족 등 다양한 유형의 가족들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인정하는 사회적 수용성을 확대하고 이들에 대한 편견 및 차별을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가족형태 다양성에 따른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사회적 논의의 장(場)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수행된다. 다양한 가족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 제고와 공감대 확산을 위한 사회적 논의기구를 설립하고 운영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가족변화와 가족형태 다양성의 증가 □ 우선, 가족의 형태별 분포 추이 및 전망을 보면 핵가족은 여전히 전체 가족의 일반적인 모습을 띠는 가운데 핵가족 내부 구성에서는 다양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다. 부부와 미성년 자녀로 구성된 가족형태의 비중은 여전히 전체 가구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만 크게 감소하고 있다. 이 비율은 1990년 58.0%에서 2010년 49.4%, 2020년 41.1%로 지속적으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통계청, 2012). 대신 부부가구의 비율이 1990년 9.3%에서 2015년 21.8%로 크게 증가하였고, 한부모와 미혼자녀로 구성된 가족도 1990년 8.7%에서 2015년 15.0%로 증가하였다(통계청, 2010, 홍승아 외, 2015a: 49∼55에서 재인용,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가족구성의 변화는 결혼과 출산에 대한 태도의 변화에서 중요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한편으로는 결혼을 통하여 가족을 구성하는 가족형성 시기가 지연되고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결혼이나 가족이라는 제도에 편입되지 않는 개인으로서의 삶의 방식을 선택하는 형태도 증가하고 있다. 즉 결혼이나 가족에 대한 가치가 절대적 가치에서 상대적 가치로 변화되고 있으며, 개인의 선택과 기획에 의한 삶의 방식으로 만들어나가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 우선, 결혼연령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2000년에는 평균 결혼연령이 남성 29.3세, 여성 26.5세였으나 이후 계속 증가하여 2015년 평균 결혼연령은 남성 32.6세, 여성 30.0세로, 남녀 모두 “30대 결혼” 연령시대로 접어들었다(통계청, 2015). □ 무엇보다 가장 큰 변화는1인가구의 증가 현상이다. 1인가구는 1980년에는 전체 가구 중 4.8%, 1990년 9.0%에 불과하였으나, 최근 급속도로 증가하여 2015년 전체 가구 중 27.2%를 구성하고 있으며 향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서(통계청, 2012, 통계청, 2016) 가족의 변화 중에서 주의 깊게 대응해야 할 정책적 대상이 되고 있다. □ 한부모가족은 지난 15년간 증가추세였으며, 향후 급속하게 증가하기보다는 현재의 비중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전체 가구 중 한부모가구의 비중은 2000년 7.8%에서 2010년 9.2%, 2020년 9.7%로 전망된다(통계청, 2012; 홍승아 외, 2015a: 52에서 재인용). □ 다문화가족수는 2007년 328,000명에서 2015년 818,000명으로 증가하였고, 전체 혼인건수 중 다문화가족 결혼의 비중은 2008년 11.2%에서 2010년까지 전체 혼인 중 10%를 유지하다 최근 들어 8.0%수준(2014년)으로 떨어졌다. 다문화가족의 출생자녀수도 2008년 2.9%에서 2014년 4.9%로 증가하였다(여성가족부, 2015). □ 한편, 국제결혼의 경우에는 1993년 전체 혼인 중 1.6%에 불과하였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5년 13.5%를 기록할 정도로 증가하였다. 이후 다시 감소하여 2015년 현재 전체 혼인 중 7.0%를 차지하고 있다(통계청 국가통계포털, 통계청, 2015). Families in Korean society are changing rapidly. A traditional family consisting of parents and their unmarried children still accounts for the largest part of households in Korea; yet, its percentage has rapidly been diminishing in recent years. Simultaneously, a new type of family has emerged in Korean society: single-parents, multicultural couples, single-person households, divorced people, remarried couples, and cohabiting couples. These circumstances have brought about issues regarding children of divorced, remarried, international, and unmarried couples as society, immersed into the ideology of “normal families”, still regards legally binding marriages and blood relationships as being “normal.” Thus, as society is ushered into an era of family diversity, it is imperative that society understands and embraces the new types of families for the growth and socialization process of children from aforementioned households. Family values on marriage, divorce, remarriage, international marriage, cohabitation, and a single-parent are rapidly changing.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re particularly more receptive to changing family values than the older generations. As the diversification of family seems to be accelerated in the future, it is inevitable for society and individuals to accept changing family values. The diversification of families urges society to extend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family-the standard family model and universal model, and to expand the range of family policies. Society should seek to respect and embrace new types of families including single-parents, multicultural and reconstituted households, adoptive families,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single-person households, and cohabiting couples, as well as to offer various programs to improve social inclusiveness such as social education, campaigns, and discussions.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intends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social discussions on responding strategies to family diversity, providing preliminary data to determine the optimal status of a social organization and to draw up specific plans to launch and manage the organization in order to increase social inclusiveness of new types of families and broaden the social consensus of diverse family structures. To this end, this research is preceded by case studies of Korea and France, and experts workshops on social organizations at home and abroad. The suggestions made by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wo ways of managing social organization should be considered: 1) by the government that can tap into its strong motivation and momentum and 2) by private sectors that can raise questions on a broad range of issues regarding rights and discriminations and seek solutions through comprehension and agreement. Second, two directions can be considered for social organization and its research: 1) focusing on the identification of discriminations and bias against new types of family structures as suggested in the title of this study and 2) paying attention to extensive family issues not only on new family types but also on overall changes in family structures to design new family policies and cultures. Third, social organization should consist of members of the government, experts, religious groups, media, and other concerned parties.

      • SCOPUSKCI등재

        실온과 $5^{\circ}C$ 냉장고 환경에서 흰쥐 Catecholamine 분비에 관한 연구

        홍승의,윤태영,김형석,Hong, Seyng-Eui,Yoon, Tai-Young,Kim, Hyung-Suk 대한예방의학회 1987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20 No.2

        Under the extreme change of the environment, animals react physiologically to adapt to the stress and secrete catecholamines. Cold exposure is a kind of the environmental stress. Author tried to determine the amount of catecholamines in rat urine as a parameter of physiological response to cold stress. Urinary catecholamine was measured by using HPLC with fluorescence detector, cation exchange column prepacked with Bio·Rex 70 and ammonium pentaborate as catecholamine eluent. The amount of dopaminc in normal state rat urine was 42.0 ng, but under the low temperature of $5^{\circ}C$, the dopamine amount was increased to 221.25 ng/5 ml. Above findings are suggesting that catecholamine secretion, especially dopamine, increases in the stressful condition such as cold exposure.

      • KCI등재후보

        연질 PVC 필름에 포장된 생육류의 지방함량, 두께, 저장온도와 기간에 따른 Di-(2-ethylhexyl) Adipate의 이행량

        홍승,이근택 한국축산식품학회 2003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23 No.2

        돼지고기와 쇠고기를 다양한 조건으로 PVC 랩 필름으로 포장하고 저장하였을 때 시료로 이행된 DEHA 가소제의 양을 조사하였다. 돼지고기 등심과 등지방을 조합하여 지방 함량을 5.9, 13.9와 29.6%로 각각 만들어 랩 포장하고 5$^{\circ}C$에서 2일간 저장한 결과 지방함량이 높을수록 이행량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돼지고기를 -2, 5와 1$0^{\circ}C$에서 각각 저장하였을 때 저장 기간이 연장되고 저장 온도가 상승할수록 이행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랩 포장된 돼지고기와 쇠고기 시료육에서 필름과 접촉된 표면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이행량은 낮게 나타났으며 2 cm 이상의 깊이에서는 DEHA가 검출되지 않았다. 돼지고기 삼겹살을 랩 포장 후 5$^{\circ}C$에서 3일간 저장하였을 때 한 겹보다는 두 겹으로 포장 시 이행량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2일 후 분쇄한 다음 새로 랩 포장하여 하루 더 저장하였던 시료에서는 앞의 두 시료들에서보다 이행량이 더 낮게 나타났다. 국내에는 DEHA 이행량에 대한 기준이 없지만 유럽연합의 기준치인 3 mg/d$m^2$ 또는 18 mg/kg에 근거하면 조사된 대부분의 시료들에서 이 기준치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 of fat content, thickness, and storage temperature and period of fresh meat samples on the migration of di-(2-ethylhexyl) adipate(DEHA) from plasticized PVC film was investigated. Pork samples were prepared to have different fat contents by mixing with pork loin and pork backfat and stored at 5$^{\circ}C$ for 2 d. The migration values of DEHA into the pork samples were increased with a high fat content. There was a gradual increase in the DEHA concentration as a function of prolonged exposure period and elevated storage temperature when the pork samples were stored at -2, 5 and l0$^{\circ}C$ for up to 7 d, respectively. The migration of DEHA into fresh pork and beef was limited only to a small depth under the meat surface($\leq$2 cm). The migration value was higher when the pork belly was wrapped double with plasticized PVC film compared to once after storage at 5$^{\circ}C$ for 3 d. However, when the samples was minced and repacked with new film after 2 d, and kept for a further 1 d, these showed lower migration value compared to the above two intact samples. Migration values exceeded in most cases the upper limit for DEHA migration proposed by the EU(18 mg/kg or 3 mg/d㎡), even though no limitation is currently set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