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고등학생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

        이문수,정유숙,홍성도,고영훈,김승현,조숙행,정인과,김린,이헌정,Lee, Moon-Soo,Joung, Yoo-Sook,Hong, Sung-do-David,Ko, Young-Hoon,Kim, Seung-Hyun,Joe, Sook-Haeng,Jung, In-Kwa,Kim, Leen,Lee, Heon-Jeong 대한수면의학회 2005 수면·정신생리 Vol.12 No.2

        목 적:기분과 행동에서의 계절적 변동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여러 국가에서 시행되었으며 한국에서도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있었지만 아직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한 결과는 보고되지 않았었다. 본 연구의 목표는 한국의 고등학생들에서 기분과 행동의 계절적 변동의 빈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방 법:서울의 남동쪽 지역에 거주하는 656명의 남녀공학 고등학교 학생들이 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계절성 양상 평가 설문지(SPAQ)의 한국어 번역판을 통하여 응답하였다. 이들에게서 계절성 정동장애(SAD)와 아임상성 계절성 정동장애(S-SAD)의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서는 Kasper가 제시한 기준에 따랐다. 결 과:결측치가 발생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전체 565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에 참여한 이들의 평균 연령은 16.73(SD=0.65)세였다. 이들에서의 전반적 계절성 점수의 평균은 5.88(SD=4.72)이었다. 응답자의 73.1%는 자신들이 계절성의 변화가 생활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전체 SAD의 유병률은 13.6%, S-SAD의 유병률은 10.8%로 나타났다. 이 중 여름철 SAD는 5.1%, 여름철 S-SAD는 3.2%였으며, 겨울철 SAD는 0.5%, 겨울철 S-SAD는 1.1%로 조사되었다. 결 론:여름철 SAD 및 S-SAD의 유병률이 겨울철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다른 아시아 국가인 중국이나 일본의 결과와 유사한 것이다. 여름 동안의 고온 다습한 날씨에서 오는 불쾌감이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는 SPAQ의 적용에 있어서 동아시아 국가의 기후 특성에 맞는 계절성 정동장애를 위한 새로운 기준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Objectives: Although many reports have been written on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in foreign countries, few reports have dealt with Korean adolescents, except medical students.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frequency of seasonal variations in mood and behavior among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ethods: A total of 656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southeaster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investigated with the Korean translated version of the Seasonal Pattern Assessment Questionnaire (SPAQ), and their responses were evaluated for seasonal patterns in mood and behavior change according to Kasper's criteria to make SAD (seasonal affective disorder) or SSAD (subclinical seasonal affective disorder) diagnosis. Results: A total of 565 subjec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and the responses (M:F=324:241) were collected and used for analysis. The mean age was 16.73 (SD=0.65) years, and mean global seasonality score 5.88 (SD=4.72). Of the respondents, 413 (73.1%) reported problems related with seasonal changes. Total prevalence rates were 13.6% for SAD, 10.8% for S-SAD. The estimated frequencies were 5.1% for summer SAD, 3.2% for summer S-SAD, 0.5% for winter SAD and 1.1% for winter S-SAD. The prevalence rate of summer SAD or S-SAD was higher than winter SAD or S-SAD. Conclusion: The subjects showed a higher prevalence rate of summer type than winter type in SAD or S-SAD.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studies carried out in East Asian countries. However, the unpleasant feelings resulting from high temperature and humidity in summer rather than depression may have influenced the resul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new SAD criteria of the SPAQ suitable for East Asian countr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