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포지방 초하와 초추의 기온관계

        홍성근 한국수산학회 1968 한국수산과학회지 Vol.1 No.1

        The relation of air temperature between early summer and early autumn from 1916 to 1966 was investigated. The data are brought by the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purpose of the long range weather forecas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ir temperature in early autumn at Mokpo is largely influenced by that of early summer. That is, when the air temperature in early summer is higher than the average, the temperature in early autumn has the possibility of being higher temperature in early autumn than average, the possibility being as much as 60%. On the contrary, when the former is lower, the latter has a possibility of becoming 74% below the normal year. 2. The monthly ranges of forcastable mean air temperature in early autumn will be computed by the types of total variation in early summer and the standard deviation in early autumn.

      • 울도군수 심흥택의 치적과 ‘독도 보고서’의 법·역사적 의미

        홍성근 한국이사부학회 2020 이사부와 동해 Vol.16 No.-

        1906년 3월 울도군수 심흥택은 ‘본군 소속 독도’라고 시작되는 보고서(이하 독도 보고서)를 내부(內部)와 강원도 관찰사에 상신하였다. 이 보고서는 우리 문헌 중 ‘독도’라는 지명을 가장 처음 사용했다는 것과, 1905년 일본의 독도 영토편입 사실을 가정 먼저 인지하고 대응했다는 것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글에서는 울도군수 심흥택의 치적과 당시 울릉도의 사회상, 그리고 독도 보고서의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독도 보고서가 갖고 있는 두가지 사항의 법・역사적 의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심흥택 군수의 보고서를 통해 독도라는 지명이 1906년 공식 행정지명으로 사용되었다는 것과, 그 당시 울릉도 한인들 사이에서는 통용되고 정착된 지명이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심군수가 일본 측의 독도 영토편입 주장에 즉각 대응조치를 취한 것은 독도가 자신의 관할 영토임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또한 그의 보고서를 계기로 대한제국 내부에서는 훈령을 내려 울릉도 현황을 조사하여 보고할 것을 지시하고 일본 통감부에서도 내부에 울릉도에 소속된 섬과 울도군 설치의 내력에 대해 묻기도 하였던 것이다. 심흥택 군수는 울릉도의 어려운 생활환경 하에서 약 4년 2개월이라는 장기간 울도군수로 재임하면서 설군(設郡) 초기 울도군의 행정 체제를 정비하고 기울어가는 국가적 판세 속에서도 지방관리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감당하였다. In March 1906, Shim Heungtaek, the governor of Uldo-county, submitted a report beginning with “Dokdo belonging to this county” (hereafter referred to as the Dokdo Report) to the department of the interior and to the Gangwon-do provincial governor. This repor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e fact that it was the first use of the name, ‘Dokdo’ in the Korean literature in line with its first awareness of and response to Japan's annexation of Dokdo in 1905.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legal and historical aspects of the Dokdo Report by reviewing the achievements of Uldo-county governor Shim Heungtaek, the Ullengdo’s social situation of his time, and the contents of the Dokdo Report. The report can confirm that ‘Dokdo’ was officially used as an administrative place name in 1906, and that the name was commonly used among the Korean people in Ulleungdo at that time. In addition, the governor Shim’s immediate countermeasures against Japan's claim to annex the territory of Dokdo can show that he clearly recognized Dokdo as part of his jurisdiction. Moreover, based on the governor Shim’s report, the Korean Empire issued an order to investigate and report the situation of Ulleungdo, and the Japanese resident-general also inquired about the history of the establishment of Uldo-county and the islands belonging to Ulleungdo. Shim Heungtaek, despite the difficult living conditions of Ulleungdo, served as the Uldo governor for a long period of about four years and two months, reorganizing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Uldo-county and faithfully fulfilling his role as a local official during the country’s decline.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북한의 독도 연구 및 저술 현황 분석

        홍성근 동국대학교 북한학연구소 2018 북한학연구 Vol.14 No.2

        2000년 6·15공동선언 이후 독도 관련 남북 공동행사가 활발하게 추진되었으나, 2009년 이후 거의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런데 2018년 세 차례(4월 27일, 5월 26일, 9월 18일)의 남북 정상회담을 거치면서 독도 관련 남북 협력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가 새롭게 높아지고 있다. 독도에 대한 북한의 인식이 어떠한지에 대한 국내 학자들의 연구는 1996년 이후 최근까지 간간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북한의 학술지를 비롯하여 연속간행물이나 단행본 등 독도 관련 연구 및 저술 전반에 걸친 현황 조사는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글에서는 북한에서 출판된 연속간행물, 학술논문집 및 단행본, 학술회의 발표문 등 북한의 독도 연구 및 저술 전반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이미 상당한 정도로 파악된 ꡔ로동신문ꡕ의 독도 관련 기사 현황에 대한 분석은 제외하였다. 이 글에서 분석 대상으로 삼은 자료는 통일부 북한자료센터 소장 자료 중에서 열람이 가능한 1970년대 말에서 2016년 사이에 출판된 연속간행물, 학술논문집, 단행본 등이다. 이 글에서 밝히고자 한 것은 북한의 독도 관련 연구나 저술 현황이 어떠한가, 그리고 북한 내에서 독도에 관한 연구나 활동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한편, 독도에 관한 남북 협력사업은 독도 영유권 논거 강화 및 일본의 독도 도발에 대한 대응능력 강화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향과 내용으로 추진되어 할 것이다. 이 글이 그러한 방향과 내용을 모색하는데 이바지 할 수 있길 바란다. Dokdo related joint events organized by North and South Korea were actively promoted after the 6.15 Joint Declaration in 2000. However, between 2009 and 2018 these events had not taken place. As the inter-Korean summit meetings was held for three times in 2018 (April 27, May 26, and September 18), the expectations for the inter-Korean cooperation related to Dokdo have been rising. Scholarly research on the North Korea’s understanding of Dokdo have been steadily progressing since 1996, yet there has been no comprehensive research analyzing the overall state of North Korea’s Dokdo related studies and publications in North Korean academic and general journals, and books. Taking this point into consideration, this article seek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North Korean Dokdo related studies and publications as a whole, including general periodicals, academic journals, books and conference proceedings published in North Korea. However, the analysis on the current state of Dokdo related articles in the newspaper ‘Rodong Sinmun’ is not included since it has been already subjected to numerous studies. Data used in this article is from periodicals, papers of academic journals, and books published between late 1970s and 2016, which can be accessed through the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run by the Korean Ministry of Unification. This articles firstly aims to show the North Korea’s current status of Dokdo related studies and publications and how their studies and activities have been conducted. The inter-Korean cooperation projects on Dokdo should be organized in the directions and contents which will substantially strengthen our position and argument on Dokdo as well as our effective response to Japan’s provocations on Dokdo. In this regard, this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inding the substantial direction and contents.

      • KCI등재후보

        평화선 선언과 독도 폭격 연습지 지정에 대한 법·정책적 이해

        홍성근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5 독도연구 Vol.- No.18

        This paper deals with two incidents of 1952, concerned with Dokdo, and involving Korea and Japan, when Dokdo became the first diplomatic issue between the two countries. One of them is the Korean Proclamation of the Peace Line on January 18, 1952, and the other is the Japanese designation of Dokdo as a bombing range on July 19, 1952. Japan's Ministry of Foreign Affairs lays out nine claims, in its official website, as the basis for its sovereignty over Dokdo. The case of Korean Proclamation of Peace Line is enlisted as the 8th and Japanese designation of Dokdo as a bombing range as the 7th among them. The one is to claim that Korea's control over Dokdo is unlawful, and the other is to claim that Dokdo is a part of Japan. This paper examines two incidents focusing on the international law and diplomatic policy. First of all, it examines the validities of Japanese claims on two issues in the perspectives of international law. It also examines Korean and Japanese policies on Dokdo around 1952 and analyzes what diplomatic stance the United States took as a third party at that time. The two issues have been dealt with separately. This paper analyzes the two incidents together in one context, because they happened in the same year of 1952 for the same object of sovereignty over Dokdo. This approach helps us understand the legal and historical implications of two issues comprehensively and find out the invalidity of Japanese claims of the sovereignty over Dokdo. 이 글은 독도와 관련된 사항이 처음으로 한일 양국간 외교문제로 떠오른 1952년의 독도 관련 사건을 다룬다. 1952년의 독도 관련 사건이라고 하면, 1952년 1월 한국의 평화선 선언과 그해 7월 일본의 독도 폭격 연습지 지정이다.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에는 독도 영유권 주장과 관련하여 9가지 논거를 제시하고 있다. 그 중 7번째와 8번째의 내용이 독도 폭격 연습지 지정과 평화선 선언에 관한 것이다. 독도 폭격 연습지 지정은 ‘독도가 일본의 영토’라는 주장의 근거로 제시한 것이고, 평화선 선언은 ‘한국의 독도 불법점거’ 주장과 관련하여 제기한 것이다. 이 글에서는 두 사건을 법적 측면과 정책적 측면에서 검토한다. 우선 국제법적 측면에서 두 사건을 둘러싼 한일 양국 주장의 법적 타당성을 검토한다. 아울러 정책적 측면에서는 1952년에 한일 양국이 독도문제에 대해 어떠한 정책을 취했는지, 또 관련 사건에 있어서 제3의 이해 당사국인 미국은 어떠한 입장을 취하였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대개 개별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이 글에서는 두 사건을 하나의 맥락에서 함께 다루고자 한다. 이러한 접근은 두 사건이 가지는 법적, 역사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독도 영유권에 대한 일본 주장의 부당성을 확인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1953~1954년 독도를 둘러싼 한일 간 물리적 대립 현황 분석

        홍성근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1 독도연구 Vol.- No.31

        This article aims to accurately examine the facts of cases regarding Japan's invasion of Dokdo and Korea's response in 1953~1954. Through this, we aim to understand the trend of Japan's provocation of Dokdo at that period 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management of Dokdo. According to the materials of the two countries that have been revealed so far, there are cases where the facts of each case are different. Therefore, by comparatively examin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documents from both sides of Korea and Japan, I attempt to approach the substantive truth of the incidents more closely. The Japanese invasion of Dokdo began in earnest after Dokdo was lifted from the bombing range in May 1953. After that, between 1953 and 1954, there were 26 to 37 Japanese invasions of Dokdo. This article reviewed the 17 cases from 1953 and 9 cases from 1954 among Japanese invasions of Dokdo . During this period, almost all intrusions by Japan were carried out by Japanese patrol ships or local government ships, except for one by high school training ships. Meanwhile, Korea which possessed Dokdo, blocked Japan's invasion of Dokdo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이 글의 목적은 1953~1954년 일본의 독도 침범행위와 그에 대한 한국의 대응에 관한 사건별 사실관계를 보다 명확히 정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그 시기 일본의 독도 도발 동향과 한국의 독도 이용 관리 현황을 파악해보고자 한다. 지금까지 밝혀진 한일 양국의 자료에 따르면 사건별 사실관계가 서로 다른 경우도 있다. 그래서 한일 양측의 1, 2차 자료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사건의 실체적 진실에 좀 더 가까이 접근해보고자 한다. 일본 측의 독도 침범행위는 1953년 5월 독도가 폭격연습지에서 해제가 공시된 후 본격화되었다. 그후 1953~1954년간에 있었던 일본의 독도 침범행위는 26~37건에 이른다. 이 글에서는 일본의 독도 침범행위 중 1953년에 있은 17건, 1954년에 있은 9건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기간 일본의 침범행위는 고등학교 실습선에 의한 1건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침범행위가 일본 순시선이나 관공선에 의해 이루어졌다. 한편 독도를 영유하고 있던 한국 측에서는 정부와 민간의 협력을 통해 일본의 독도 침범행위를 차단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