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계층 부호화된 UHD 콘텐츠의 MMT PI 기반 장면구성 정보 설계 및 구현

        홍선영(Sunyoung Hong),백종호(Jongho Paik)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7 방송공학회논문지 Vol.22 No.5

        Recently as the studies on the combined delivery over multiple transmission media are progressed, studies using MMT which is next-generation multimedia transport standard are underway. They are about transmitting video data layered by SHVC through broadcasting network and communication network based on MMT. However, it is difficult to serve synchronized UHD contents in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based on MMT, because MMT standard doesnt fully specify the information to indic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Also, the service that we want to propose in this paper is a broadcasting-based service such as terrestrial broadcasting. Therefore the user must be able to watch various contents continuously. However, the MMT PI(Presentation Information) that controls the spatio-temporal layout of a content has been described as providing only one conten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tructure of MXD document and MMT PI to provide continuous UHD contents service based on heterogeneous network.

      • KCI등재

        섭식 지도에 관한 부모교육이 뇌성마비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

        홍선영(Seon Yeong Hong),김승미(Seung Mi Kim),이란(Ran Lee),이은주(Eun Ju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섭식에 어려움이 있는 2-3세 뇌성마비 아동의 주 양육자 7쌍을 대상으로 섭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섭식 환경, 구강 민감도, 구강기능운동성, 섭식 기능과 관련된 내용을 교육한 뒤 주 양육자가 뇌성마비 아동에게 직접 중재하였을 때 나타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부모교육 시작 전 사전검사를 1회 실시하고 5회기의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부모교육이 끝나고 2주 뒤에 사후평가 1회를 실시하였다. 섭식 환경, 구강 민감도 및 섭식 기능은 5점 척도로 평가하고 구강기능운동성은 6점 척도로 평가한 뒤 교육 전과 교육 후의 점수 차이를 살펴보았다. 결과: 섭식 지도에 관한 부모교육 이후 주 양육자가 뇌성마비 아동에게 직접 중재를 실시한 결과, 뇌성마비 아동의 네 가지 변인 점수가 모두 높아졌다. 연구에 참여한 뇌성마비 아동들의 섭식 환경은 개선되었고, 구강 민감도는 낮아졌으며, 구강기능운동성과 섭식 기능이 향상되면서 섭식에 도움이 되었다. 논의 및 결론: 임상에서 중증뇌성마비 아동의 섭식 중재 시 이를 적용한다면 구강기능운동성과 섭식 기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치료실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섭식 치료가 연계되어 치료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feeding guide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Methods: Seven pairs of parents and primary caregivers, with 2- to 3-year-old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who had difficul-ties in feeding, were provided with five sessions of feeding guide educa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before the education sessions began and 2 weeks after their comple-tion. Feeding assessments were made in the following categories: feeding environment, oral sensitivity, oral function, mobility, and feeding function. Results: After the parental ed-ucation the feeding environment improved but oral sensitivity oral sensitivity decreased. Oral function and mobility and the feeding functions of the children improved. Conclusion: The parental education used in this clinical practice is expected to help improve feeding functions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through the incorporation of feeding treatment at home.

      • KCI등재
      • 공공정보화사업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사업관리영역별 비교·분석 연구

        홍선영 ( Sunyoung Hong ),이석주 ( Seoukjoo Lee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공공정보화사업의 사업관리방안은 국가 및 공공기관의 정보화사업 담당자들이 실무에서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준이다. 이는 공공정보화 사업의 계획, 구축, 운영 등 각 단계별 추진시 반영되고 있고 실제 구축환경에서 프로젝트 성공을 위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관리방안만으로 SW프로젝트의 성공은 보장받기 어렵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각 사업관리방안이 SW프로젝트의 성공을 지원할 수 있는가를 연구하였고, 이를 위해 프로젝트관리 국제표준인 ISO 21500(Guidance on Project Management)의 지식 및 관리 영역과 산출물 등을 주요 사업 관리방안을 비교하였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일본문학에 나타난 ‘안중근’: 다니 조지(谷讓次)의 희곡 「안중근:14장면」을 중심으로

        홍선영 ( Hong Seun-young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7 翰林日本學 Vol.0 No.31

        일본문학에 등장하는 ‘안중근’ 관련 연극의 상연기록을 확인하고 일본 작가가 ‘안중근’을 어떻게 작품화하였는가라는 문제를 검토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니 조지의 희곡「안중근」을 주목하였다. 열네 개의 장면으로 이루어진 희곡의 구성상의 문제, ‘팬터마임’으로 연기하게 한 의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일본인에게 범접할 수 없는 타자로서 등장한 안중근의 문제를 조명해 볼 수 있었다. 이 희곡에는 주목할 만한 특징이 있다. 즉, 암살계획의 실행되기 직전에 끝나 있다. 1909년의 안중근과 그의 암살 계획을 둘러싼 상황을 극의 주요한 모티브로 설정하면서 계획이 실행되는 ‘15장’은 그리지 않았다. 이는 근대시기 일본 문학인들에 의해서 그려진 ‘안중근’ 표상은 동시대 일본인의 인식과 맞닿아 있었다. 안중근 사후 동시대 일본 작가들,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 등의 문학인에 의해 그려진 안중근 표상은 범접할 수 없는 타자로서 온전히 ‘공백’으로 남아 있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This paper examined the performance record of theater related to ‘ANJUNGGUN(安重根)’ appearing in Japanese literature and examined how Japanese writers used ‘ANJUNGGUN’ in works. It mainly focused on "ANJUNGGUN" which is the play of Tani Jouzi. I examined the problem appearing as others in Japanese. I was able to clarify the problem surrounding ANJUNGGUN appeared as a person not mentioned in Japanese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he play composed of 14 scenes and the intention of acting in "pantomime" This play has remarkable features, it is concludes just before the execution of the assassination plan. The main motif of the theater is the situation of 1909 planned by the person ANJUNGGUN and the plan of assassination, but the "15 chapter" in which the plan is being carried out is not portrayed to the end. It seems that the representation of ‘ANJUNGGUN’ drawn by Japanese modern literary writer is linked to the recognition of the Japanese of the same age. After ANJUNGGUN died, The representation to him is is likely to remain in "blank" completely in the sense that can not be depicted in other literary of contemporary Japanese writers such as Natsume Soseki

      • 한국인의 영어 음절과 강세 인지와 학습에 관한 연구

        홍선영 ( Sunyoung Hong ) 현대영미어문학회 2019 현대영미어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9 No.-

        The curr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perceptual errors in English syllables and stress by Korean learners of English. Fifty Korean learners of English participated in the perception experiment. They were asked to listen to the twenty English words and their corresponding reiterant speech uttered by an English native speaker and to respond to the given questions regarding the number of syllables and stress location. After the first perception test, they were provided with a session of prosodic training utilizing reiterant speech. The second perception test was conducted after the train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errors in English syllables and stress has been decreased in many participants, which suggests that the undemanding training method utilizing reiterant speech may help Korean learners of English perceive and produce English prosody correctly.

      • KCI등재

        1940년대 아쿠타가와 문학상 수상작과 도쿄문단: 외지문학의 중앙문단 진출과 "문화역류"의 의미

        홍선영 ( Seun Young Hong ) 고려대학교 일본학연구센터 2014 일본연구 Vol.22 No.-

        본 논문은 ``내지``의 중앙문단에 진출한 ``외지문학``에 한정시켜 외지문학의 중앙진출의 의미에 대해 검토했다· 신인 작가의 중앙문단 진출의 주된 회로가 되어 온 ``아쿠타가와 문학상``의 수상작가와 작품에 주목하여, ``외지 지향``이라는 문학 현상은 과연 존재했는지, 그 실체는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문단``이라는 제도의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한 아쿠타가와상은 기본적으로 당대 문학계의 신진대사이며, 문예 저널리즘에 의한 문학 재생산 시스템이었다· 1930년대부터 1940년대의 이른바 ``외지문학``이 왕성했던 시기에 설립된 초기 아쿠타가와상이라는 문학상이 ``외지문학의 융성``에 기여했다는 점은, 일견 타당하다· 이것은 기쿠치 간이라는 인물과 문예춘추사라는 출판사의 성격과도 관계가 있지만, 이른바 ``쇼와문학``의 한반도, 중국 대륙, 아시아에의 진출과 문학상 제도가 얽힌 양상이라는 점에서 그러하다· 이와 같이 일본 근대문학사 가운데 아쿠타가와상이 ``외지지향성``을 가진 것은 중요한 사건이며, 전쟁 시기에 중단 직전에까지 놓인 아쿠타가와상이 마치 만주문학, 몽강문학, 조선문학이라는 외지문학을 위한 문학상과도 같았다는 점은 주목해야 하는 문제일 것이다· 또 하나의 쟁점은 ``외지``를 그린 소설이 곧 ``시국소설``로서 인식되었다고 하는 점이다· 물론 ``외지`` 소재주의 문학을 국책에 부응한 문학계의 ``변질``이라고 지적한 것은 타당하다· 그러나 외지 문학이 ``내지문학``과 달리, 민족 간 갈등과 융화의 문제 등 외지문학에만 주어진 특수하고 지역적인 주제를 표방했기 때문이 아니라, 기존 연구에서는 이민족과 관계된 주제를 취급한 다수의 ``외지문학``이 특정시기에 집중적으로 등장한 것은 중앙 문단의 외지 ``지향``이라는 문학현상이라고 해석해 온 측면이 있다· 그러나 외지 문학의 ``내지``의 중앙문단 진출을 제국 일본의 문화적 확장으로서 해석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왜냐하면 제국주의 시대 ``근대문학``이 결코 외지문학의 ``타자성``에 대한 포용, 즉 ``외지지향``을 통해서 문학의 보편적 존재 의의를 확인하는 과정이었다고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결국, 중앙문단의 ``외지지향``으로 인정하기보다 오히려 외지문학을 생산한 외지의 일본인 작가들에 의한 ``중앙``에 대한 문제제기이자, 아쿠타가와상 수상과 중앙문단 진출을 위한 외지 작가들의 전략적 선택의 산물이라고 생각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the advancement of "overseas literature (literature written by Japanese writers living in Asian countries around the Japanese empire)" into the center of the Japanese literary world in the 1940s· Focusing on the writers who received the Akutagawa Literary Prize-a conventional route for aspiring writers to enter Japan`s mainstream literary circles-and Akutagawa Prize-winning works, this paper looks for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Did the literary phenomenon dubbed "overseas orientation" really existe? If so, what exactly was that phenomenon? The Akutagawa Literary Prize, which has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Japanese literary world, was responsible for metabolizing the Japanese literary circles and reproducing Japanese literature by way of literary journalism at the time· It is somewhat reasonable to say that the Akutagawa Prize, established at the peak of so-called "overseas literature" in the 1930s and 1940s, helped overseas literature to flourish in Japan· The reason for this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Kan Kikuchi and his publishing house Bungei Shunju, together with the advancement of "Showa literature (Japanese literature of the Showa period)" to Korea, China, and other Asian countries intertwined with Japan`s literary prize system· As such, the "overseas orientation" of the Akutagawa Prize is an important point in the history of modern Japanese literature·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kutagawa Prize was also regarded as the prize for overseas literature, which encompasses Manchrian literature, Mongolian literature, and Joseon literature· Another important point is that novels set in "overseas (Asian countries outside Japan)" were seen as novels to talk about current issues· We cannot deny the point that literary works about "overseas" are "degeneration" of the Japanese literary circles to correspond to Japan`s national policies·

      • KCI등재

        전시 하 국책연극과 ‘프로파간다'

        홍선영(Hong, Seun-Young, 洪善英) 일본어문학회 2010 일본어문학 Vol.50 No.-

        本稿は、三好十郎の戯曲寒駅を中心に戦時下の国策演劇とプロパガンダの問題を考察した。とくに、総動員体制における国策演劇の実体に注目し、戦時下日本新劇の戦争協力と抵抗の問題や、演劇とプロパガンダの問題を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単純に考えると、プロレタリア演劇の要素と国策演劇の要素は相反したものとして現われるべきである。しかし、国策演劇と しての寒駅の性格は明らかであるにもかかわらず、そのテくストにはプロレタリア演劇的方法論が共存していた。たとえば、戯曲の中で描き出された感動的な騒ぎと寂しい風景という異質の要素をどのように読みとるかという問題がテクストの本質に近づく糸口となった。国策演劇の場合、公演形態において移動性を追い求め、啓蒙性、健全性、時局性を主な要素とし、内 容的には道徳性、主題では国民愛を標榜する一方、プロレタリア演劇の場合、登場人物の主体性が仲仕、娼婦のような労働階級であること、堂々と明るく逞しい人物造形、またはっきりしたメッセージと連帯性を帯びることが主な要素としてあった。結局、寒駅というテクストは国策演劇の範疇を脱しなかったとはいえ、演劇のリアリズムを追い求めようとした点においてプ ロ演劇と国策演劇の膠着する領域があったといえよう。

      • KCI등재

        1920년대 일본문학과 3ㆍ1운동: 단 기요시(丹潔) 「엿장수(飴屋)」를 중심으로

        홍선영 ( Hong Seunyoung ) 경희대학교 글로벌인문학술원 2021 비교문화연구 Vol.64 No.-

        이 논문은 일본문학이 3ㆍ1운동의 상흔과 타자의 외침을 문학 안에 어떻게 녹여냈는가, 혹은 복잡한 자아의 갈등을 어떻게 그려냈는가 하는 점을 1920대의 작품을 통해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문학적 실천으로써 이화(異化)는 익숙한 일상적인 것을 낯설고 비일상적인 것으로 표현하는 ‘낯설게 하기’의 의미로 문학예술에서의 방법이다. 문학작품 「엿장수」와 「불령선인」은 1920년대 ‘타자’를 표현하는 문학으로서 선구적인 역할을 했을 가능성을 가늠하게 해준다. 즉, 일본문학이 ‘리얼리즘’을 향한 신앙과도 같은 강박관념을 버리고 ‘엿장수’라는 새로운 존재를 통해 시대정신으로 수용하며, 그에 관한 ‘비일상적인’ 문학 표현과 소재에 새로운 가치를 구하고자 했다. 이러한 모색은 텍스트에 나타나듯이 ‘3ㆍ1운동’과 일본문학이라는 이질적 요소들의 접점에 ‘타자’를 발견하고, 공감과 ‘낯설어함’ 사이에서 새로운 문학적 모티브가 창작되었고 등장인물이 만들어졌다. 또 이러한 시도는 일본문학의 ‘자기소급’적인 흐름이 주류인 가운데 지역과 국경을 넘어 창작 소재의 확장으로 나아갈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ains how Japanese literature reflects or depicts the March 1st Movement through literary works in the 1920s. The results revealed that literary practice made everyday things extraordinary. This motifs suggest the possibility of playing a pioneering role in literature expressing “others” in the 1920s. In addition, Japanese literature sought new values from unusual literary expressions and materials related to realism. The heterogeneous elements of the “March 1st Movement” and Japanese literature met to create rare Japanese literature that showed empathy for others. It can be said that these attempts have led to expansion of creative materials beyond the regional boundaries of Japanes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