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기로 제강 슬래그에서 자력선별에 의한 지금의 회수

        현종영,김형석,신강호,조동성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1997 資源 리싸이클링 Vol.6 No.3

        I사의 전기로 제강 슬래그(이하 슬래그)는 상당량의 금속철(metal Fe)과 wustite(FeO), magnetite(Fe$_3$O$_4$), gehlenite(${CaAl}_{2}{SiO}_{7}$) 및 monticellite(CaMgSiO$_4$)등으로 구성된다. 슬래그에 함유된 금속철(Fe 품위: 95%이상)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금속철을 단ㄱ체로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매립으로 활용할 수밖에 없는 슬래그를 단계적으로 파쇄하면 대부분의 금속철은 구상의 단체로 분리된다. 구상의 단체인 금속철의 크기에 따라 흡인되는 자장의 세기를 측정하면 금속철이 흡인되는 최소 자장의 세기는 약 100G로 거의 일정하다. 다단계로 파쇄한 슬래그를 100G의 자장에서 회수한 산물은 95%이상의 철분이 함유된 금속철이었으나, 자장의 세기를 증가시키면 철의 산화물 및 알칼리 토금속류의 화합물등도 함께 회수되므로 품위가 저하된다. 따라서 매립되는 슬래그를 다단계로 파쇠하고, 각 입도에서 100G로 자선하면 파쇄된 슬래그에 함유된 대부분의 금속철을 회수할 수 있다. I사에서 매립하는 35만톤의 슬래그를 다단계로 파쇄하는 경우에, 30~4.7mm의 입도에서는 매립되는 전체 슬래그중의 약 0.73%인 2천 5백톤 정도의 금속철이 100G의 자장에서 회수될 수 있고, 4.7~0.3mm서도 약 1.2%인 4천 2백톤 정도가 회수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력선별로 회수할 수 있는 금속철은 매립되는 슬래그중의 약 1.9%인 6천 7백톤 정도가 된다. The EA.F. sleelmaking slag (slag that follow) of a cnmvany 1 Co.. containzd a simple substance of a metal, wustlte (FeO), magnetite (Fe,O,), gehlenite (CaAl,SiO,), monlicellite (CaMgSiO,), dc. To recovere a metal (Fe grade . t95%) in the slag, it is desirable that the particles of a metal are isolated from thc slag and madc for a liberated subslance. Then, the liberaled melal is easlly recoveled by a magnetic separation. If thc rcclarnalcd slag, the sizc of which ranges under 40 nun, have a mulli-stage crushing, the most of a metal in thc slag is simply isolaled as a liberated subslance. If the mad, lhat is a liberated subslance and a sphere, is recovered by a magnetic field intensity. the minimum intensity, at which a metal is attracted, is approximately IOOG and did no1 dcpcnd on the particle size of a metad in the same particles. TIe recovered material. that contdined a iron (Fe) over 95% is a metal which is crushed slag by l00G in the multi-stage. If the magnetic field intcns~ty increase, the recovery mcrcasc, but the concentration grade decrease Bewusc thc concentration eams more and more impurities, iron oxide and the coml~ound of alkali earth element. 'll~ercforc If the rccla~nated slag have the multi-stage crushing, the metal is almostly recovered in the crushed slag by lO0G on each particles. If the slag, used as a rcclamatian lhat is a amount of 350,000 tan from I Co., was undcr the multistage crushing and then separaled by 100gauss, it is possible to recova a metal approximately 2.500 Ion, lhat is 0.73% of n ~eclamated slag. in 304.7 mm particles and to recover 4.200 tan in 0.3-1.7 mm particles , that is 1.2% nf a rcclamated slag, in a year. Therefore, ihe told recoverable meld is 6,700 ton, that is 19% of a reclmated slag, in a year, too.

      • KCI등재후보

        물리적 처리에 의한 폐 컴퓨터 기판으로부터 유가금속의 분리선별 특성 연구

        현종영,채용배,정수복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2 資源 리싸이클링 Vol.11 No.1

        Printed wiring boards(PWBs) of the obsolete computers are composed of various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s well as metals and alloys. As convinced that the valuable metals obtained from the PWBs are effectively utilized as secondary resources when recovered by economical methods, in this study, an investigation for characterizing the physical separation techniques is conducted. For the recovery of them, the sockets and chips dismantled from PWBs by scraping and residual resin boards are subjected to the appropriate separation processes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each part. In the case of crushed socket scraps size ranged from -2.36 mm to +1.18 mm, approximately 97 wt% of the product obtained by magnetic separation consists of metallic compounds. In the case of chip scraps, 97% of Fe-Ni alloy and 95% of Cu metal are recovered by the combined process of air classification and dry magnetic separation in the size range from -2.36 mm to +0.15 mm. Ball milling is adopted in order to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thin-printed metallic materials on the residual resin boards and approximately 77% of Cu metal is recovered by zigzag separation after ball milling. 폐 컴퓨터 기판(Printed Wiring Boards, PWBs)은 다양한 종류의 금속 및 합금류, 각종의 유기 및 무기화합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폐 기판에 포함된 유가물을 경제적인 방법으로 분리 회수하면 2차 자원으로써 활용가치가 매우 클 것으로 판단되어, 물리적인 선별기술에 의하여 유가금속을 분리 회수하는 데에 따른 특성 연구를 행하였다. 본 연구에는 폐 컴퓨터 기판에 탑재된 소켓류와 칩류를 탈리한 다음 소켓류, 칩류 및 보드류로 분리하여 각각의 산출물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물리적 분리선별 기술을 적용하였다. 소켓류를 파쇄하여 입자크기를 -2.36 mm/+1.18 mm 범위로 조절한 다음 건식 자력선별을 실시하였을 때, 자성산물의 약 97 wt%가 금속류였다. 칩류의 경우에는 -2.36 mm1+0.15 nun의 크기로 분쇄하고 공기분급 및 건 식 자력선별을 행하여 Fe-Ni 97%, Cu 95%를 각각 회수할 수 있었다. 보드류의 경우에는 금속류가 얇게 프린트 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능한 단체분리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ball mill로 분쇄하였으며, 공기 분급기에 의한 정밀 분급을 행하여 Cu 77%를 회수할 수 있었다.

      • KCI등재

        排煙脫黃石膏로부터 無水石膏 製造 및 適用 特性

        현종영,정수복,채영배,김병수,Hyun, Jong-Yeong,Jeong, Soo-Bok,Chae, Young-Bae,Kim, Byung-Su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 資源 리싸이클링 Vol.14 No.2

        화력발전소의 배연탈황공정에서 발생된 탈황석고의 용도확대 및 천연 무수석고의 대체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탈황석고로부터 건식 열처리법에 의한 무수석고의 제조특성 및 탈황 무수석고에 대하여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 제품으로의 적용 특성을 조사하였다. 탈황석고로부터 Ⅱ형 무수석고의 상전이는 700$^{\circ}C$ 부근에서 완전히 종료되었고, 이러한 Ⅱ형 무수석고의 상전이 과정에서 입자크기의 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천연 무수석고와 탈황 이수석고로부터 제조된 무수석고는 화학성분 조성, 입자크기, 열적특성 등의 물성이 유사하였다. 무수석고를 시멘트나 콘크리트 2차 제품에 적용시킬 때 부식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황산기(SO$_4^{2-}$)의 용출실험 결과, 700$^{\circ}C$에서 1시간 열처리로 제조된 탈황 무수석고는 천연 무수석고에 비하여 황산기의 용출량이 약 50 wt.%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소석회(Ca(OH)$_2$) 3 wt.%의 첨가에 의해 황산기의 용출량이 천연 무수석고에 비하여 약 70 wt.% 감소시킬 수 있었다. 탈황 무수석고를 시멘트 및 콘크리트 2차 제품에 적용시킨 결과, 압축강도 등의 물성이 천연무수석고에 비하여 동등 또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manufacture property of anhydrous calcium sulfate (anhydrite Ⅱ) from flue gas desulfurization (FGD) gypsum discharged from domestic thermoelectric power plants to apply as an auxiliary material of cement and concrete by high temperature treatment were investigated. The FGD gypsum was completely converted to anhydrite Ⅱ at the temperature of 700$^{\circ}C$ and the retention time of 1 hr. In the phase transformation process, particle size was also changed. The chemical composition, particle size and heat property of anhydrite Ⅱ made from the FGD gypsum were similar to them of natural gypsum. In the leaching test of sulfate ion (SO$_4^{2-}$) at the temperature of 90$^{\circ}C$ and the retention time of 1 hr, the amount of leached SO$_4^{2-}$ for the anhydrite Ⅱ that was sintered at 700$^{\circ}C$ for 1 hr was about 50 wt.% based on that of natural gypsum. In addition, the amount of leached SO$_4^{2-}$ for the anhydrite Ⅱ by adding the slaked lime of 3 wt.% decreased about 70 wt.% comparing with that of natural gypsum. In the application tes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and concrete manufactured by using the anhydrite Ⅱ as an auxiliary material were similar or superior compared with them of cement and concrete done by natural gypsum as an auxiliary material.

      • KCI등재

        안정화 처리를 위한 전기로 제강분진의 물성

        현종영,조동성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1998 資源 리싸이클링 Vol.7 No.5

        전기로 제강분진의 물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분진의 성분, 형상, 입도, 자성, 비중, 공극율 및 용출에 관한 성질을 조사하였다. 분진의 대부분은 서브 마이크론에서 수십 마이크론에 이르는 다양한 크기의 구형입자들이 서로 응집된 상태이고, 큰 입자에는 철분이 그리고 작은 입자에는 아연이 주로 농집되며, XRD 분석으로는 franklinite(${ZnFe}_{2}{O}_{4}$), magnetite(${Fe}_{3}{O}_{4}$), zincite(ZnO) 등의 결정이 확인된다. 분진을 습식으로 체가름하였을 때에 +200 mesh의 입단은 1.5% 정도이고 magnetite와 quartz의 결정을 함유하며, 200∼500 mesh는 magnetite, franklinite, zincite가 혼재되고, 분진의 약 82%를 차지하는 -500 mesh에는 franklinite와 zincite의 결정이 혼재한다. 공극율이 78% 정도인 분진을 약 1㎪로 압착하면 공극율은 68% 정도가 되고, 약 13㎪로 압착하면 53% 정도로 된다. 제강분진을 폐기물 처리공정 시험방법에 따라 용출시켰을 때에 허용기준치를 초과한 중금속은 카드뮴, 납, 수은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of the E.A.F. steel-making dusts for stabilization processing. The properties are related to mincral composition, shape, particle size, magnetism, density, porosity and leaching characteristic. the dust particles, the size of which ranges from sub-micron to tens-micron, were mainly spherical like balls that were agglomerated each other: the large particles were generally Fe-rich and the small particles were spherical like balls that were agglomerated each other: the large particles were franklinite (ZnFe$_{2}O_{4}$), magnetite (Fe$_{3}O_{4}$) and zincite (ZnO) by XRD analysis. When the dusts were sieved by a wet process, the particle fraction over 200 mesh had 1.5 wt.% with magnetite and quartz. The particles in the size range of 200-500 mesh consisted of magnetite, franklinite. The 82 wt.% of the steel-making dusts were occupied by the particles finer than 500 mesh and contained franklinite and zincite as main mineralogical compositions. When the dusts of around 78% porosity compressed under the load of approximately 1 KPa, the porosity decreased to 68% and to 535 under around 13 KPa. When the E.A.F. dusts were leached according to the Korea standard leaching procedure on the waster, the heavy metals exceeding the leaching criteria were cadmium, lead and mercury.

      • KCI등재

        점토벽돌 원료로서 선탄폐석의 활용

        현종영,정수복,채영배,Hyun Jong-Yeong,Jeong Soo-Bok,Chae Young-Bae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5 資源 리싸이클링 Vol.14 No.4

        석란광산에서 발생되는 선탄폐석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세라믹스 원료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석탄폐석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성 시험편의 소성수축률이 저하되고, 압축강도는 약간 감소하는 등의 효과와 선탄페석에 함유되어 없는 탄소분의 연소에 의한 기공의 증가로 제품의 경량화도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선탄폐석의 첨가량을 변화시켜 $1,150^{\circ}C$ 이상에서 소성한 경우 흡수율은 $10\;wt\%$ 이하를 나타내었고, 압축강도는 모두 21MPa이상으로 KS L 4201에서 규정한 1종 점토벽돌의 기준에 모두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utilization possibility of coal-preparation refuse emitted from Hwasun coal mine in Korea as a raw material for ceramic body was investigated. The firing shrinkage ratio of ceramic specimen made from the coal-preparation refuse was reduced with increasing the addition amounts of that, while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slightly decreased. The weight of ceramic body was also reduced because carbon contained in the coal-preparation refuse was burn by fring. The water adsorption ratio of the ceramic specimen was under 10 wt%,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at was over 21 MPa at over $1,150^{\circ}C$ for 2 hr. Therefore, it was possible to make the 1st garde clay brick of KS L 4201 from the coal-preparation refuse.

      • KCI우수등재

        도시공원시설의 이용자 만족 인과모형 -대구시 두류도시공원의 사 례연구-

        현종영,박찬용 한국조경학회 1992 韓國造景學會誌 Vol.20 No.3

        This research suggest a causal model to investigate factors and variables which significant effects on user satisfaction with city park recreational facilities in Duryu city park in Taegu, and thereby identifying implications for planning and development of urban parks and open space.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gathered by self-adminstered questionnares from 993 households selected by the multi-stage probability sampling method. The analysis of the data consists of two phases. The first involv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draw meaningful factors from the data. Three factors were indentified. The second phase test the causal model of this research employing LISREL methodology. On the base of the analysis results, important implications for planning of city park and open space are recommended.

      • KCI등재

        The Report on the Taxonomic Characters, Ecological Risk and Weed Risk Assessment of Putative Invasive Alien Plants which are Designated in Law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as Environmentally Harmful Species (II)

        현종영,윤창영,김주환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 한국자원식물학회지 Vol.33 No.3

        We performed taxonomic reviews and habitat circumstances survey for 41 un-introduced environmentallyharmful plants (as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in 2016). For this purpose, we investigated plantspecimens from several herbaria and performed a field survey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United States. Base on theresult, we presented the most comprehensive results of weed risk evaluation and taxonomic description up to now as well asclassification keys for 11 species to apply the regulation management of putative invasive alien species – Centaureamaculosa Lam., Centaurea diffusa Lam., Mikania micrantha Kunth. (Asteraceae), Cenchrus echinatus L., Neyraudiareynaudiana (Kunth) Keng ex Hitchcock, Brachiaria mutica (Forsskål) Stapf, Vulpia bromoides (L.) Gray, Loliumpersicum Boissier & Hohennacker, Setaria palmifolia (J. Konig) Stapf (Poaceae), Prosopis glandulosa Torr. (Fabaceae),Fallopia baldschuanica (Regel) Hobub. (Polygonaceae).

      • KCI등재후보

        폐 산화철촉매로부터 마그네타이트의 자력선별에 관한 연구

        현종영,이효숙,이우철,채영배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02 資源 리싸이클링 Vol.11 No.3

        스틸렌 모노머 합성반응에서 발생하는 폐산화철 촉매로부터 마그네타이트의 품위향상을 위하여 5oo gauss와 1800 gauss에서 습식자력선별을 행하였다. 폐산화철 촉매는 주로 마그네타이트($Fe_3$$O_4$)와 세리아($CeO_2$) 및 가용성염($K_2$O, $MoO_3$)으로 이루어졌다. 습식자력선별에 의한 폐촉매중 자력산물의 회수율은 99% 이상이었으며, 마그네타이트 품위는 자력선별 전 70%에서 80%로 향상되었다. 이는 자력선별의 효과보다는 수세효과에 의한 가용성분인 K, Mo 염이 제거되었기 때문이다 자력산물 중 불순물은 주로 미세한 세리아이며 마그네타이트와 단체분리가 되지 않았다. Magnetic separation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mprove the magnetite grade of the spent iron oxide catalyst, that was composed with magnetite, ceria and soluble alkaline salt. The recovery of magnetite from the spent iron oxide catalyst was over 99%, and the magnetite contents was upgraded to about 80% from 70% via wet type magnetic separation at 500 Gauss. This improvement was due to the removal of alkaline salt by water instead of the magnetic sepa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