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문화산업과 문화융합디자인 순환구조 연구

        현은정 ( Hyun Eun-jeong ),권기제 ( Kwon Ki-je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5 한국디자인포럼 Vol.47 No.-

        경상북도는 창조경제의 핵심동력을 문화콘텐츠로 강조하며, 강·산·해와 한(韓) 문화가 어우러진 문화관광지대 실현을 목적으로 `3대문화권 사업`을 추진하였다. 잠재적 역사문화자원과 친환경 생태자원을 바탕으로 지역 문화산업의 르네상스 시대를 열고자하는 측면에서 문화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영남대학교의 문화융합디자인 생태계 조성사업은 현재 진행 중인 3대문화권사업의 방향성을 되짚어보고, 시설물 건축에 집중된 사업 구조를 보완할 수 있는 문화산업의 생태구조에 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경상북도 문화산업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 문화산업과 융합디자인의 순환구조에 대해 분석하고, 유·무형의 역사문화자원이 21세기 창조경제시대의 패러다임에 맞는 고부가가치 문화산업으로 재창조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지역 문화산업이 자생적 발전방향을 갖추기 위해 마련되어야 할 산업 생태환경 구축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교육, 산업, 경제의 상호교류에 의한 시너지효과를 점진적으로 극대화하는 선순환구조를 완성함으로써 `문화융합디자인 교육특성화를 통한 창의적 문화융합 인재 양성`, `문화융합디자인 산업생태계 육성을 기반으로 지역 문화융합 디자인 르네상스`, `독창적 문화융합 디자인 생태계 조성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긍정적 효과를 창출하였다. Gyeongsangbuk-do has emphasized its cultural contents as its focal momentum for creative economy and prosecuted its `Three Great Cultural Sphere Project` to realize its cultural tour zone melting rivers, mountains, the sun and Korean culture together. Based on its potential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and eco-friendly resources, it has prosecuted cultural projects with the goal of opening the door to renaissance era of local cultural industries. At this juncture of time, Yongnam University`s Culturally Convergent Design Ecology Composition Project has reviewed directionality of the currently on-going Three Great Cultural Sphere Project,` and tried to maximize effects of Gyeongsangbuk-do`s cultural industry by conducting researches on ecological structures of the cultural industry able to supplement its project structure so far centered on building facilities. This thesis analyzes the cycling structure of the local cultural industry and convergence design, and presents the directionality of building industrial ecology environment that should be prepared for local cultural industries to have their voluntary direction on their own in a pursuit after plans to recreate visible/invisible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into high value-producing cultural industry fit for the paradigm of the 21st century`s creative economy era. Conclusively, in that this study has completed a virtuous circulation of synergy effects by means of mutual exchange of education, industry and economy, it has produced a positive effect on creating jobs via composing `local cultural convergence design renaissance` and `creative cultural convergence design ecology composition` on the basis of `bringing up creative culturally convergent talent` and `culturally convergent design industrial ecology` via `cultural convergence design education specialization

      • KCI등재

        상업영화 공동제작 네트워크 내재성(Network Embeddedness)과 흥행 성과 간 역 U자형 관계 탐구

        현은정(Eun-jung Hyun) 한국문화경제학회 2023 문화경제연구 Vol.26 No.3

        본 연구는 영화 산업 내 공동제작 네트워크 내재성(co-production network embeddedness)이 영화의 상업적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은 대중문화 산업, 특히 영화 산업에서 성공이 공급자 네트워크의 특성에 기인하는지를 조명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 이론과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영화 제작사 간 네트워크 내의 구조적 내재성과 박스오피스 성과 사이의 관계에 대한 일련의 가설을 제시한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IMDB에서 미국 박스오피스에서 상영된 장편영화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수집하여 총 2,752편의 영화 데이터셋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내재성의 지표로는 네트워크 제약도(network constraint)를 활용하였고, OLS회귀 분석을 활용해 가설에서 제시한 대로 네트워크 제약도와 박스오피스 수입 간 역 U자형 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러나 작품성이 높거나 다양한 장르를 포함하거나, 대규모 제작 예산을 가진 영화의 경우 역 U자형 관계 패턴이 완화되는 패턴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네트워크 내재성이 적당한 수준에서는 영화 제작사에게 자원과 정보 접근의 용이성을 제공하지만, 과도한 경우 창의적 다양성과 혁신을 저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문화예술 산업의 건강한 발전과 지속 가능성을 위해 공급자 네트워크의 균형과 다양성 유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impact of embeddedness in co-production networks within the film industry on the commercial success of movies. We aim to determine whether the success in the popular culture industry, particularly in the film industry, is attributable to the network characteristics of suppliers. To this end, drawing on insights from network theory and related prior research, we propose a set of hypothes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al embeddedness within the network among film production companies and their box office performance. To test these arguments, we collected detailed information on feature films shown in US box offices from IMDB, resulting in a dataset of 2,752 movies for analysis. We utilized network constraint as an indicator of network embeddedness, Employing OLS regression analysis, we confirmed an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constraint and box office revenue, as hypothesized. However, we also found that this relationship vari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ie. In the case of movies with high artistic quality, multiple genres, or large production budgets, we observed a mitigation in the pattern of the inverted U-shaped relationship. The results of our study indicate that while network embeddedness at a moderate level provides movie production companies with ease of access to resources and information, excessive embeddedness can hinder creative diversity and innovation. Our research offers valuable insight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balance and diversity in supplier networks for the healthy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of the cultural and arts industry.

      • KCI등재

        재난 정보디자인의 매체별 시각요소 분석 -인쇄, 컴퓨터, 모바일 매체를 중심으로-

        현은정 ( Eun-jeong Hyun ),임경호 ( Kyung-ho L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6 한국디자인포럼 Vol.51 No.-

        연구배경 본 연구는 재난 정보를 위험사회에서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게 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수단으로 인식함에 따라 재난 정보의 효과적인 정보 시각화를 위해 재난 정보디자인의 매체별 시각요소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대국민 재난 정보 서비스를 토대로 인쇄 매체의 매뉴얼, 컴퓨터 매체의 웹 사이트, 모바일 매체의 어플리케이션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정보 시각화의 필수요건인 자크 베르텡의 그래픽 요소와 타이포그래피의 표현요소가 갖는 주요 시각요소를 색채, 형태, 크기, 위치와 방향으로 도출하였다. 그리고 조형원리에 근거한 정보디자인의 시각적 효과를 분석기준으로 국내·외 재난 정보디자인의 매체별 시각요소를 비교분석하여 국내 재난 정보디자인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재난 정보디자인은 정보의 양은 많으나 정보의 위계나 구분을 나타내는 시각요소 간의 차이가 작고, 여백은 부족하고 불규칙하였다. 그리고 색채의 사용량은 많았으며 텍스트의 가독성은 뛰어나지만, 자간과 행간, 글자의 크기와 무게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재난 정보는 정보전달자 중심으로 제작되어 사용자가 정보습득에 대한 실효성이 낮고, 매체별 통일성이 없는 정보디자인으로 사용성에 혼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효과적인 재난 정보디자인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는 정보설계와 시각요소 간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조화롭게 구성해야 하며, 정보의 위계 및 구분을 명확히 하여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해야 한다. 또한, 구상적 이미지와 최소한의 텍스트를 사용하여 공간의 효율성과 정보전달력을 높여야 하며, 재난 정보디자인의 통합 가이드라인을 구축하여 효과적인 재난 정보전달체계를 형성해야 한다.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isual factors of disaster information design demonstrated by mass media since disaster information is considered to be essential to live a safe life in current society. Methods manuals, websites of computer media, mobile applications a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In addition, graphic factors proposed by Jacques Bertin, the essential factors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and visual factors of typographic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into colors, forms, size, location and design based on the analysis standards of information design by moudling principles. In this way, visual factors of disaster information design in domestic·overseas media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opose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disaster information design in Korea. Result disaster information design in Korea has excessive amount of information less difference in visual factors indicating hierarchy and classification of the information and irregular and insufficient margin. Furthermore, the usage of colors was excessive and the consideration of the font size and weight was insufficient while text readability was superior. As such, it has been found that disaster information in Korea was created focusing on the information communicator thus the users cannot receive the information properly and the information causes confusion to the users due to information design lacking unity. Conclusion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s and create effective disaster information design, the design should consider linkage between information design and visual factors while clarifying information hierarchy and classification to maximize visual effects. Also, concrete image and minimum texts should be used to improve space efficiency and information delivery. In this sense, integrative guidelines regarding disaster inform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form a disaster information delivery system.

      • KCI등재

        A Structural Topic Modeling Approach to Exploring E-Commerce and Online Startups during COVID-19

        현은정(Eunjung Hyun),김태석(Brian Taeseok Kim)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23 전자무역연구 Vol.21 No.1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 토픽모델링(Structural Topic Modeling) 기법을 사용해 COVID-19 대유행 기간 동안 특히 많은 주목을 받은 전자 상거래와 온라인 비즈니스 부문 스타트업을 분석한다. 논문구성/논리: STM은 자연어 처리(NLP) 알고리즘을 활용해 대용량 텍스트 데이터의 패턴과 추세를 식별하는 통계 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Crunchbase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8년부터 2021년 사이에 설립된 7,933개 스타트업의 사업 설명 텍스트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우선 STM로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추가 분석들을 실시하였다. 결과: STM 분석에 따르면 금융 기술(핀테크), 교육 기술(edtech), 이벤트 관리 및 소셜 플랫폼과 같은 섹터가 COVID-19 대유행 기간 동안 특히 많은 주목을 받은 전자 상거래, 온라인 비즈니스 부문으로 밝혀졌다. 이 현상에 대한 보다 면밀한 분석을 위해 스타트업 자금 지원 데이터와 구글 커뮤니티 이동성 보고서를 활용하였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 결과는 COVID 팬데믹 기간 동안 이뤄진 사회적 거리두기 및 이동 제한의 영향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는데서 기회를 포착한 금융 기술(핀테크), 교육 기술(edtech), 이벤트 관리 및 소셜 플랫폼과 같은 섹터에서의 스타트업들이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의 관심을 받았다는 점을 실증 분석을 통해 상세히 보여 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는 데 성공한 기업가정신과 전자상거래, 온라인 창업의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하는 데 시사점을 제공한다. Purpose: In this article, we investigate the emergence and success of start-ups in the e-commerce and online business sect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Composition/Logic: STM is a statistical technique that utilize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to identify patterns and trends in large text data. We analyzed business description text data from 7,933 start-ups founded between 2018 and 2021, sourced from the Crunchbase database. Findings: Our STM analysis identified four sectors—financial technology (fintech), educational technology (edtech), event planning, and social platforms—that we term the “COVID hot sectors,” which experienced significant growth during the pandemic. To further explore these findings, we conducted supplementary analyses using start-up funding data and the Google Community Mobility Report. Originality/Value: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rise of the COVID hot sectors may have been influenced by social distancing and mobility restrictions during the pandemic and that start-ups in these sectors attracted increased attention from investors and stakeholders after the outbreak.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entrepreneurship during times of crisis and the business models of e-commerce and online start-ups.

      • KCI등재

        문제해결 탐색으로서의 ESG 투자 : 동일 지역 출신 경쟁사 제품 리콜이 자동차 제조사 ESG 투자에 미치는 영향

        현은정(Eunjung Hyun),윤나라(Nara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3

        본 논문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과 관련한 투자 행위를 기업행동이론관점(the behavioral theory of the firm)에서 이론화한다. 기업의 환경(Enviornment), 사회(Society), 지배구조(Governance) 부문에 대한 투자(이하 ESG 투자) 부문에 대한 투자를 조직 내 의사결정자들이 외부 환경을 모니터하는 과정에서 인지하게 되는 위험요인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취하는 일종의 원거리 탐색(distant search)일 수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며, 특히, 제품 시장에서 유사 속성을 지닌 경쟁사들에게 부정적 사건의 여파(negative spillover)를 기업의 의사결정권자들이 주목하는 위험요인 중 하나로 규정한다. 해당 기업은 이러한 부정적 여파를 완화하고자 ESG와 같은 비 시장(non-market)영역에서의 투자에 보다 적극적일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고, 더불어 이러한 성향이 기업평판(corporate reputation)과 같은 조직수준의 특성과, 경제 주체가 미디어에 갖는 영향력과 같은 해당 시장 제도 환경적 요인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 예측한다. 연구 모델을 검증하기 위한 실증 연구를 위해 14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이 미국, 한국, 일본을 비롯한 8개 국가에서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수행한 영업활동, 재무실적에 대한 세부 정보와 제품 결함에 따른 리콜 내역, 그리고 이들 제조사에 대한 외부기관 ESG 평가 점수 등, 다양한 출처로부터 종단데이터를 구축하여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가설의 주장대로 동일 지역 출신 경쟁사에 의한 리콜이 많이 발생한 상황에 처해 있는 제조사들이 그렇지 않은 제조사들에 비해 ESG 투자에 더 적극적이라는 증거를 발견하였으며, 이러한 연관성은 기업평판(제품에 대한 소비자 신뢰도, 광고 지출 규모)이 높은 제조사들에게서는 약하게 나타난 반면, 기업평판이 낮은 이들에게서는 강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제조사가 경제 주체들에 대해 친화적인 미디어 여건 속에서 영업활동을 영위하는 경우 이 효과가 약해지는 반면, 반친화적 미디어 환경에서 활동하는 경우 효과가 강해지는 패턴이 발견되었다. Extending the behavioral perspective on organizations and their decision-makers, this paper seeks to shed further light on the rationale behind CSR investment by firms. We view CSR-promoting ESG investment as a form of distant search triggered by reputational risks originating in the product market and carried out in a bid to react to such risks. Specifically, we suggest that negative spillover risks arising from negative events attributable to a neighboring organization (i.e. product market competitors with some shared attribute) can prompt firms to engage in ESG investment more aggressively because they perceive the need to contain these negative spillover risks. Further, we examine the moderating roles of the focal firm’s reputation and the media’s attitude toward business espoused in a given market. Analyzing the data on global automakers’ product recall events and their third-party evaluated ESG ratings from 2007 to 2016, we find support for our hypotheses. We find that, when competitors linked by parent-country ties carried out more recalls, thus posing a serious negative spillover risk, a focal firm tends to engage in more CSR-promoting ESG investment. Our findings also show that such relationships are amplified for weaker-reputation firms while attenuating for those exposed to an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which business actors maintain significant clout over the media.

      • KCI등재

        버내큘러 디자인 특성을 반영한 전통시장 간판의 표현 전략

        현은정 ( Eunjeong Hyun ),임경호 ( Kyungho Li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4 한국디자인포럼 Vol.43 No.-

        시대적 흐름의 양상으로 `우리 것을 통하여 세계로 나아가자`의 의미를 가진 글로벌리즘(globalism)과 로컬리즘(localism)이 결합한 용어인 글로컬리즘(glocalism)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탄생시켰다. 세계화와 지역화라는 양립적인 이분법을 극복하는 글로컬리즘은 세계화와 상응을 이루면서, 지역화로서의 고유한 문화 정체성을 보존하는 것을 의미한다. 연구자는 세계적 흐름에 발맞추어 지역적, 시대적, 문화적 가치가 축적된 대표 상업공간인 전통시장과 버내큘러 디자인을 글로컬리즘에 부합하는 산물로 여기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였다. 전통시장의 버내큘러 디자인 간판 사례를 파악하여 경쟁력을 분석하고, 버내큘러 디자인 특성을 반영한 전통시장 간판의 표현 전략을 수립하였다. 전통시장 간판의 차별화 방법을 지역 방언의 활용, 구어적 의사소통, 캘리그라피, 소재의 다양화로 바라보았다. 이러한 표현 방법은 정부의 간판개선사업으로 천편일률적으로 동질화 · 획일화되어가고 있는 전통시장의 문화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시장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특색 있는 거리 분위기를 조성해 전통시장이 지역 주민들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해본다. New concept, Glocalism which combined Globalism symbolizing `Let`s go out into the world with ours.` with Localism was born. As Glocalism which overcame compatible dichotomy responds to Globalism, it means to preserve unique and original culture identity, as Localism. Following global trend, researchers regarded traditional markets which are representative commercial spaces with accumulated regional, periodical, and cultural values and vernacular designs as products which correspond to Glocalism and tried to create new values. Therefore, identifying the signboard cases with vernacular designs in traditional markets, competitiveness was analyzed. The expression strategies of traditional market`s signboard reflecting the features of vernacular designs were established. The differentiation methods of traditional market signboards were reviewed by local dialect application, colloquial communication, calligraphy, and diversification of materials. These expressions are considered helpful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of traditional market which is becoming assimilated and standardized groovily.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identify of traditional market is established and reborn as a community space for the local citizense by creating and building unique and original street atmosphere.

      • KCI등재

        유연근무시간제 확산의 제도적 동인과 사회적 파급효과

        현은정(Eun-Jung Hyun) 한국전략경영학회 2021 전략경영연구 Vol.24 No.3

        본 논문은 유연근무시간제(flexible working hours, FWH) 확산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전 세계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증연구를 통해 조명한다. 기업의 FWH 도입을 촉진하는 거시 환경 요인과 조직 내부 요인에 대한 연구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34개 OECD 국가 출신 2,641개 상장기업을 2005년부터 2017년까지 추적하여 이들의 FWH 도입 시기에 대한 이산적 생존분석(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이 여성권익에 대한 정치․사회 제도적 보장 수준이 높은 국가 출신인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FWH를 더 빠르게 도입할 확률이 높았다. 둘째, FWH 확산 과정에서 기업들에게 동종 국가, 동종 산업 기업들로 구성된 준거집단(reference group)의 선제적 도입에 영향을 받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었는데 이는 신제도주의이론(new institutionalism)에서 주장하는 바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셋째, 여성 사외이사 비율이 높거나 경영진에 대한 ESG 성과 보상제도가 마련되어 있는 기업들에게서 FWH 도입이 더 활발히 일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앞서 밝힌 조직 내․외부 요인들 간 상호 관계(interaction relationship)를 탐색한 결과, 동종 국가 출신 기업들의 선제적 FWH 도입이 미치는 영향은 여성권익지수가 높은 국가에서, 여성 사외이사 비율의 영향은 여성권익지수가 낮은 국가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FWH의 사회적 파급효과를 알아보고자 기업의 FWH 도입이 구성원 지역사회 봉사활동 참여에 끼치는 영향을 고정효과 로짓모형(fixed-effect logit model)을 통해 추정하였다. 여기서 두 변수 사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발견되었다. 본 논문은 최근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유연근무제가 어떤 조직 내·외부 요인들에 의해 채택되어 확산되고 있는지, 또한 그 과정에서 어떤 사회적 파급 효과가 창출될 수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ESG 관련 문헌에서 상대적으로 덜 주목 받아온 근로자 관련 제도의 정착 과정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돕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는 기업 경영진들의 내부 구성원 관련 ESG 경영과 정부의 근로자 관련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되는 실증적 기반을 제공하리라 기대한다. It has been increasingly documented that flexible working arrangements allow employees to perform their best and sustain work and life balance. Despite much interest in flexible working hours (FWH) as a viable workplace practice that helps better the well-being and productivity of employees in organizations, we know relatively little about how FWH has been institutionalized across the globe. In an attempt to fill this lacuna in the literature, we combine theoretical insights from new institutionalism and corporate governance research to shed light on the external and internal contexts under which firms decide (not) to adopt FWH practice. Our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estimated using complementary log-log model) of 2,641 ESG-rated firms across 34 OECD countries (excluding North American countries) during 2005~2017 reveal that FWH adoption was more likely when the focal firm operates in countries with a higher level of woman socio-political emancipation. FWH adoption rate is also higher when there are more prior adopters among the firm’s country- and industry-peers. We also find that firms with ESG performance incentives for top management and more women outside board members were more likely to adopt FWH than their counterparts. Interestingly, the effect of prior adoptions among reference group members (i.e., country-peers) on FWH adoption was amplified in countries with a higher level of woman socio-political emancipation, whereas the effect of female directors alleviates in countries with a higher level of woman socio-political emancipation. Finally, we provide evidence of positive social spillovers of FWH. Our result suggests that voluntary community engagement of employees is more likely among FWH adopters than among FWH non-adopters.

      • KCI등재

        제도적 환경 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으로서의 자사주 매입: 한국의 기업집단(재벌)을 중심으로

        현은정 ( Eun-jung Hyun ),이승윤 ( Seung-yoon Rhee ) KNU기업경영연구소 2021 기업경영리뷰 Vol.12 No.1

        본 연구는 제도적 환경의 변화 속에 자사주 매입이 활성화되어 온 현상에 대해 기존 관점과는 차별화된 제도화 이론 접근법을 제시한다. 즉, 자사주 매입은 정보 비대칭성과 대리인 비용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재무적 도구일 뿐만 아니라 기업 내부의 권력자가 외부로부터 오는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한 전략적 도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기업 지배구조 개선을 위한 포괄적인 제도적 규칙으로서 자사주 매입이 행해지지만, 자사주 매입제도의 도입과 실행이 지배구조에 실질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데는 한계가 있음을 본 연구의 이론적 논의를 통해 제안하였다. 한국의 기업집단(재벌) 문헌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1) 유사한 제도적 압력에 처해 있는 기업들의 다양한 전략적 반응을 결정짓는 요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2) 기업 지배구조를 근본적으로 개선하도록 압력을 받는 기업들에 있어 자사주 매입을 통한 외부압력에 대한 완충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았다. 기업의 자사주 매입 결정 동기에 대한 제도적 관점에서의 접근을 통해, 제도적 환경 변화 하에 기업의 전략적 반응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alternative view on the prevalence of stock repurchase and the changing institutional environment. We argue that the adoption of stock repurchase should be considered not only as a financial device to address information asymmetry and agency cost but also as a strategic device that powerful actors inside the firm use to mitigate outside pressure. The primary implication of this view is that, although the practice of stock repurchase is within the broad institutional rules prescribed to discipline firms toward practicing better corporate governance, the adoption and implementation of the plan itself does not prompt firms to make tangible changes in their governance structures. Drawing on the behavior of group-affiliated firms in Korea, we address two questions: (1) what determines the variation of strategic responses across firms that operate under similar institutional pressure? and (2) to what extent does the adoption of stock repurchase plan buffer firms from pressures for fundamental changes in their corporate governance? Our attempt to offer an alternative explanation for the motives underlying firms’ decisions to buy back stock from an institutional angle deepens our understanding on the way by which organizations respond to changes in their specific institutional environments.

      • KCI등재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의 지역 차등적 리콜 결정 요인 : 전략적 순응으로서의 글로벌 기업 소비자 안전 이슈 대응

        현은정(Eunjung Hyun),윤우진(Woojin Yoon) 한국인사조직학회 2020 인사조직연구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안전에 위협이 되는 제품 결함에 대한 글로벌 제조사들의 대응이 지역별로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 이유를 탐색해 본다. 구체적으로, 심각한 제품 결함 발생 시, 이에 대한 리콜이 조속히 시행되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지역도 있다는 인식, 이른바 글로벌 제조사들에 의한 ‘지역 차등적 리콜’ 논란의 실체를 글로벌 자동차 시장 리콜에 대한 실증 연구를 통해 들여다본다. 본 연구의 출발점은, 글로벌 기업들의 경우 소비자 안전 이슈와 같은 문제에 대응하는 데 있어 활동 지역별 여건에 따라, 다소 제한적이지만, 나름 전략적 유불리 여부를 따져가며 행동할 것이라는 시각이다. 이러한 시각은 글로벌 기업들의 경영 방식과 정책이, 가장 선진화된 제도 환경에서 습득한 것에 수렴될 거라는 일각의 기대와는 차이가 있으며, 이들을 ‘전략적 순응(strategic compliance)’의 주체라 보는 관점에 더 근접하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시장 의존도에 따라 해당 기업이 인식하는 전략적 중요도, 그리고 지속가능 경제·사회 관련 거버넌스와 분쟁 해결 관련 법제도, 이 두 가지 측면에서 지역별 차이에 주목하며, 이런 요인들이 소비자 안전 이슈 관련 글로벌 기업 대응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그 타이밍(신속 대응 혹은 늑장 대응)에 초점을 두어 살핀다. 이와 더불어, 해당 기업이 보유한 제품 브랜드 평판이 이 과정에서 미치는 조절 영향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총 8개국에 걸친 14개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 리콜 데이터(2007-2016) 분석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에 대한 증거를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실제 논란이 된 사건 이면에 숨겨져 있는 행위자들의 미시적 동기와 거시적 맥락을 함께 탐색하고, 이를 제도론 관점과 전략적 관점을 잇는 ‘전략적 순응’이라는 개념을 통해 조망해 봄으로써, 관련 이론과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는데 공헌한다. 또한, 글로벌 기업과 지역별 제도 환경 간 복잡한 상호관계를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지속가능 경제·사회 관련 정책 수립에도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rationales behind different responses by global automakers when dealing with consumer safety issues across different regions, and examines region-specific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y reach such decisions. We argue that the strategic importance of a given region and it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pertaining to the governance of consumer safety issues are two important but under-explored factors that might trigger different recall responses by global firms across different regions. Specifically, we hypothesize that the likelihood that a given global firm will respond to consumer safety issues without delay will be higher in regions of greater strategic importance, while the likelihood of responding to such issues with delay will be higher in regions of lower strategic importance. We also predict that this relationship might be amplified for firms with higher brand reputations. Further, we contend that institutional stringency (vs. laxity) will likely affect the timing of recall responses by global firms across different regions. Our claims are tested with a unique dataset of engine and brake-defect recalls carried out by global automakers across eight countries from 2007 to 2016. Our findings show that early recall responses to severe product defects tend to be more common in countries in which a given global firm’s market dependency is greater and in locations characterized by higher institutional stringency. In contrast, late recall responses are more often found in countries where a given global firm has lower market dependency and in locations marked by higher institutional laxity.

      •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대수적 추론 문제해결능력과 문제해결과정 분석

        김성경,현은정,김지연,Kim, Seong Kyeong,Hyun, Eun Jung,Kim, Ji Yeon 영남수학회 2015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to go about teaching and learning secondary school algebra by analyz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problem-solving process through algebraic reasoning. In doing this, 393 students' data were thoroughly analyzed after setting up the exam questions and analytic standards. As with the test conducted with technical school students, the students scored low achievement in the algebraic reasoning test and even worse the majority tried to answer the questions by substituting arbitrary numbers. The students with high problem-solving abilities tended to utilize conceptual strategies as well as procedural strategies, whereas those with low problem-solving abilities were more keen on utilizing procedural strategies. All the subject groups mentioned above frequently utilized equations in solving the questions, and when that utilization failed they were left with the unanswered questions. When solving algebraic reasoning questions, students need to be guided to utilize both strategies based on the ques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