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실행 방안 - 부산 영도 지역 조선(造船) 노동 아카이브 구축을 위하여

        현문수,전보배,이동현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2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a model for developing participatory laborarchives for shipbuilding labor archives in young-do, Busan, and to findpossibilities of building digital labor archives as participatory ones. Themethodology of locality documentation has been applied, and localityarchives accepting participation of people with experiences from shipbuildingindustry have been examined. Omeka was applied because it is anopen-source software and provides additional functions which supportvarious user participations and web-publishing. Following the the model,firstly,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and research of participatoryagents and records was proceeded. Secondly, it collected and describedinformation of the agents and records by institutions with records andprovenance. Thirdly, it developed archival contents specific to events,persons and workplaces in association with archival information. For thefollow-up study, plugins were installed and tested to apply for furtherexperiment with participation. 이 연구는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을 부산 영도 지역의 주요 산업인 조선 산업을 대상으로 한 디지털 노동 아카이브구축에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참여형 기능을 갖춘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록 수집에서부터 아카이브 구축까지 기본적인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론을 적용하면서도특정 공간과 공간에서의 산업 경험을 공유한 주체들의 참여를 수용할 수 있는 아카이브 구축을 실험하고자 하였다. 아카이브 구축 실험에 사용한 도구는 오메카(omeka)이며, 개방형 소프트웨어이면서도 참여 기능을 다양하게 지원할 뿐 아니라 디지털 공간에서 기록을 다각적으로 연계한 콘텐츠 구축이 가능하다는 강점을지니고 있어 실험에 적용하였다.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이 제시하는 절차에 따라, 선정된 대상을 중심으로 예비 조사를 거쳐 참여 주체와 맥락 및 기록을 조사하고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기록은 소장처와 출처를 중심으로 집합을 구성한 후 기술하였다. 다음으로 아카이브에 축적된 기록 및 기술정보를 연계 활용하여 사건, 인물, 사업장별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후속연구로진행될 참여 실험을 위해 오메카 추가 기능 중 참여를 지원하는기능을 추가 설치하고 그 기능사용을 실험해보았다. 마지막으로구축 실험의 의미와 한계를 밝혔다.

      • KCI등재

        지역사 인물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 : 박기종 사례를 중심으로

        현문수,김동철 한국기록학회 2013 기록학연구 Vol.0 No.36

        Locality documentation and archival contents development cover local historical characters that are mirrors reflecting localities. The study is to propose a methodology of designing archival contents for documenting a local historical character representing the locality based on his/her records. By the methodology, sample archival contents, Park Ki-jong contents is designed because he i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e locality of Busan between the late 1800 and the early 1900. Firstly, it asks a question on how it chooses a character representing the target locality. After the character is selected, his/her life and context is analysed. Based on the analysis, it set up the coverage of developing the contents and identifies relevant records and materials. Finally, the archival content for a local historical character is designed. It is important that the study proposes a method of developing archival contents which can be applied to a character-oriented archival contents development. For reviewing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it is expected of further practical uses in character-oriented archival contents development representing the localities. 인물은 지역의 로컬리티를 바라볼 수 있는 거울이며, 지역사 인물의 기록화와 콘텐츠 개발은 로컬리티 기록화 및 콘텐츠 개발 시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지역의 로컬리티를 대표할 인물을 선정하고 그가 생산했거나 그에 대해 생산된 기록을 바탕으로 증거에 기반하여 지역사 인물 콘텐츠를 개발하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방법을 사용하여 개항기 부산의 로컬리티를 대표하는 인물인 박기종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사례 구축해보았다. 이를 위해 우선 로컬리티를 재현해줄 수 있는 인물을 어떻게 선정해야 하는가에 대한 질문을 시작으로, 로컬리티가 투영된 인물을 선정하였으며, 그에 대한 맥락 조사를 실시하였다. 맥락 조사를 바탕으로 최종 콘텐츠 설계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이 범위에 해당하는 기록과 자료를 조사하여 기록 중심의 지역사 인물 콘텐츠를 설계하였다. 아직 지역의 로컬리티를 재현할 수 있는 인물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구축하기 위한 방법론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현실에서, 이 연구는 일반적인 로컬리티 기록화 방법과 인물 기록화 방법을 바탕으로 지역사 인물을 기록화하고 이에 기반을 둔 콘텐츠 개발 방법을 제안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제안한 지역사 인물 기록화 및 콘텐츠 개발 방법을 활용하여 지역 고유의 로컬리티를 확인하고 이를 투영할 수 있는 인물을 선정함으로써, 특정 시기 특정 공간의 정체성이 투영된 지역사 인물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 KCI등재

        국가기록평가의 권한과 책임 분석: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 중앙 및 연방정부 기록의 평가를 중심으로

        현문수,Hyun, Moonsoo 한국기록관리학회 2019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9 No.4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distribution of authorities and responsibilities (ARs) to appraise public records, especially between national archives and central or federal government institutions. For this study, archives acts and policies of Britain, the USA, Canada, and Australia were selected for analysis. After attempts in reviewing the laws and policies governing ARs of appraisal and disposition, their level of concentration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analysis shows that the ARs to determine and approve which records have archival value and what are to be transferred to archives are mainly located in the national archives. In comparison, it is common that the national archives and government institutions share ARs in identifying the public records and in preparing and approving the disposal authorities. Furthermore, it identifies that the ARs can be distinguished by individual appraisal activities and expects to be used to discuss the ARs to appraise public records in Korea. 이 연구의 목적은 국가기록평가의 권한과 책임의 분배를 기록보존기관과 기록생산기관의 두 주체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영국, 미국, 캐나다, 호주의 법규와 정책의 내용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두 주체의 권한 책임을 다루는 항목을 분석한 후, 각국의 국립기록청이나 생산기관 한쪽에 권한이 집중되는 유형과 양 주체에 권한이 분배되는 분산형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구보존기록을 결정하고 아카이브 이관을 승인하는 권한은 주로 국립기록청 집중형에 가깝게 나타났다. 이와 비교하면, 개별 기관의 공공기록을 식별하고 처분일정표를 작성 및 승인함에 대해서는 국립기록청과 생산기관이 역할과 책임을 나누는 분산형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나아가, 국가기록의 평가 행위별로 권한과 책임이 구분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가기록원 및 생산기관이 각각 어떠한 평가 과정에 더 집중할 수 있을지를 논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데이터형 전자기록을 위한 출처 개념 모델 개발 방향

        현문수 한국기록학회 2024 기록학연구 Vol.- No.79

        이 연구는 디지털 환경에서 데이터가 중심이 되는 전자기록의 출처에 새롭게 접근하기 위해, 데이터 출처 개념과 출처 모델을 검토하고수용하여, 어떻게 전자기록을 대상으로 새롭게 출처 개념을 적용할 수있을지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데이터 중심의 전자기록을 대상으로 한 출처 표현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기초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소급형 출처와 전망형 출처 개념으로 전환할 것과, 기록관리 메타데이터와는 별개의 모델을 통해 출처를 표현하고 기록과 연결할 수있는 모델을 개발할 것을 제안하였다. 기록과 동적 관계를 맺으면서도독립적으로 출처를 표현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할 수 있다면, 오히려기록의 유동성을 보장할 수 있으면서도, 기록의 속성과 이를 지원할출처의 역할을 더 충실히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이 연구가 제안한 기본적인 모델 개발 방향을 수용하는 출처 모델은 기록의 고정성과 활동의 재현성, 재현의 신빙성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이며, 디지털환경에서 적합한 출처 모델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a new approach to developing the provenance concept to electronic records in the data-driven digital environments by reviewing and adopting data provenance concepts and models. It then conducted basic literature review to develop a ground for a model representing the provenance of data-driven electronic records. In particular, it proposed to embrace to the concepts of retrospective and prospective provenance, and to develop a different model for representing provenance from records management metadata. If the model can be developed that can represent provenance independently while maintaining a dynamic relationship with records, it can be ensure the fluidity of records and even support to secure the record’s attributes and play the roles of provenance. Eventually, it proposed the direction to develop the provenance model which can support the fixity of records, the reproducibility of activities, and the trustworthiness of representations. It is expected to be a fit provenance model in the data-driven digital environment.

      • KCI등재

        로컬리티 아카이브로서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 설계

        현문수 한국기록학회 2014 기록학연구 Vol.0 No.41

        이 연구는 로컬리티 아카이브의 한 유형으로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 개발 모형을 원칙적인 측면에서 제안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문헌 연구와 전문가 면담을 진행하면서 노동아카이브 구축에 있어 참여 기능의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특히 산업 노동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참여 대상과 참여유형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 국내외 노동 아카이브 운영 사례를통해 각각의 참여 방식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근거하여,지역 산업과 연관된 참여형 노동 아카이브를 개발하기 위한 원칙과 절차와 함께, 절차의 각 단계별 참여 방식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model for developing participatory laborarchives as locality ones. First, it proceeded the literature reviews andexpert interviews, so that revealed the needs for participations in buildinglabor archives, participating agents/agencies and the type of participation,especially in industrial labor archives. After examining domestic and foreignlabor archives, the way of participation was analysed. Based on theanalysis the model for developing participatory labor archives in terms ofthe principles, the procedure and the participation methods were proposed.

      • KCI등재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 개정을 위한 면담 연구

        현문수,정상희,박민영,황진현,이소연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1

        이 연구는 기록관리 실무자와 연구자로부터 현행 기록물관리법의 문제를 확인하고 향후 법령 개정을 위한 논의를 시작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가장 직접적인 이해관계자 그룹 중 중앙행정기관과 광역지방자치단체, 교육청의 기록물관리 전문요원 및 교육·연구자와 면담을 진행하며 법령 개정을 대한 의견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향후 법령 개정을 위한 본격적인 논의를 시작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법령개정을 대상으로 현장의 의견을 폭넓게 드러내기 위해 별도의 표준화된질문지를 구성하지 않고 “현행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령의 개정 의견이 있으십니까? 있다면 무엇입니까”를 화두로 삼아 면담을 진행하였다. 피면담자와는 전화, 이메일, 대면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이 끝난 후, 모든연구자가 한 자리에 모여 분석틀로 사용할 범주에 대해 논의하였다. 면담내용을 함께 검토한 결과를 반영하여 분석 범주를 구성하였으며, 연구자가각각 주요 범주를 맡아 면담내용을 분석하고 집필을 분담하였다. 이 연구는 구체적으로 현행 법령을 개정하기 위한 특정 방향이나 법령안을 제안하는 것에 앞서, 기록학 공동체 내의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모여 법령 개정전반에 대한 논의를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 이후 향후 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확인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를 시작으로 현행 공공기록물 관리 법령과 이의 실행 경험에 대한 다양한 층위, 다양한 측면의 의견이 공동의 장에서 교환되어야 할 것이다. 기록학 공동체의 민주적 합의 과정을 통한 법령 개정을기대해본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issues with regard to practicing the current Korean Archives Law and, by doing so, to boost a community-wide discussion for revising it. Five researchers collaboratively interviewed five groups of stake-holders. Each group was consisted of practitioners in central government agencies, provincial governments, and educational district offices, as well as instructors of archival education programs. To uncover diverse issues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interview was initiated by a common question: “Do you have any idea in terms of revising the current law?” After all interview sessions were completed, the researchers discussed among themselves and established a framework for analysis. The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starting point for the Korean archival community to reinvent the law so that the archival culture and practice in Korea could open a new era.

      • KCI등재

        공공 전자기록관리의 경제성 분석을 위한 연구

        현문수 한국기록학회 2016 기록학연구 Vol.0 No.47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비용 연구를 바탕으로 공공기관이전자기록을 자체적으로 관리하거나 민간 기록관리기관에 그 저장과 보존을 위탁하고자 하는 결정을 내릴 때 관리 비용을 비교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MMPER 비용 모형을 기본 틀로 선정하였으며, 자체관리와 위탁관리에 적용할 수있도록 일부 영역과 요소, 요인을 수정하여 M-CoMMPER를 구성하였다. 모형 수정을 위해 문헌연구를 진행하여 공공 전자기록의위탁 관리 시 추가로 고려해야할 영역과 요소를 배치하고, 범용요인 리스트를 제안하여 공공기관이나 민간 기록관리기관이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범용 비용 요인을 포함하여 수정된 CoMMPER 모형을 공공기관이 자체관리와 민간 위탁관리의경우를 나누어 적용해보면서 그 경제성을 분석할 때에 고려해야할 지점을 드러냈다.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tool for a comparison of public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in a public institution and a private records management facility and to reveal the considerations prior to decisions on the way of management. For developing a tool, it chooses CoMMPER as a basic model and modifies it after reviewing existing cost models, because only CoMMPER can over public records management. Modified-CoMMPER is added a new cost area[Aquisition], and is modified and extended cost elements and generic cost factors for the comparison. Public institutions which consider whether commission the management of public electronic records can use Modified-CoMMPER for comparing economic impacts in terms of long-term preservation. To make a rational decision on the way of management based on the economic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3 main task. Fist, the scope of the activities has to be defined, second, the cost-effectiveness has to be estimated base on the cost model, for example Modified-CoMMPER, third, policy-making for the management of public electronic records must be proceeded based on the various researches on the cost of records management.

      • KCI등재

        공공 기록의 처분 동결 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현문수 한국기록학회 2017 기록학연구 Vol.0 No.53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system of records disposal freeze and to draw tasks and propose measure to establish it in the public sector in Korea. First of all, it reviewed the korean regulations and practices related to disposal freeze and suggestions in research paper. While analysing the disposal freeze systems of US and Australia, it identified that the systems were principally run by the National Archives. Thus, 2 cases analysis were conducted in each country. Based on these, this paper studied what should be considered and what could be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of records disposal freeze in terms of the regulation, implementations, standard notice statement as well as procedures for korean public records. 이 연구는 공공 기록을 대상으로 한 처분 동결 이행 가능성을 살펴보고공공 기록관리 영역에 처분 동결 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과제와 방안을 탐구하였다. 우선 제도 도입의 필요성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처분 동결 관련 논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향후 제도 도입 및 이행 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미국과 호주를 중심으로 처분 동결 제도 및 사례를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미국과 호주가 국립기록관리기관(national archives) 주도의 처분 동결 제도를 운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 역시 두 국가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공공기록을 대상으로 처분 동결 제도를 도입하기 위한 과제와 방안을 법제 개정, 이행 체계 설계, 표준적 처분 동결 고시의 구성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추가적으로 이 연구가 제안하는 방안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는 처분동결 이행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이행 절차의 사례를 제공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