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겨울철 염화칼슘(CaCl<sub>2</sub>) 처리에 따른 가로변 3가지 상록 관목류의 생육 및 생리반응 - 사철나무, 영산홍, 회양목을 중심으로 -

        주진희,박지연,허혜,이은엽,현경학,정종석,최은영,윤용한,Ju, Jin-Hee,Park, Ji-Yeon,Xu, Hui,Lee, Eun-Yeob,Hyun, Kyoung-Hak,Jung, Jong-Suk,Choi, Eun-Young,Yoon, Yong-Han 한국조경학회 2016 韓國造景學會誌 Vol.44 No.2

        본 연구는 도심 내에서 공원 및 가로수 주변에 식재된 대표적인 세 가지 상록 관목류인 사철나무(Euonymus japonica), 영산홍(Rhododendron indicum), 회양목(Buxus koreana) 등을 중심으로 겨울철 염화칼슘($CaCl_2$) 처리에 따른 생육 및 생리적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내염성 정도와 제설제 피해지역에 대한 내성수종을 선별하기 위한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염화칼슘을 각각 0%(대조구), 0.5%, 1.0%, 3.0%, 5.0% 처리한 실험구에 2014년 11월에 정식한 후 이듬해 이른 봄인 2015년 3월에 수고, 엽장, 엽폭, 엽형지수, 엽수, 생체중, 건조중, 건물률, R/T율, 엽록소함량, 엽록소형광반응, 광합성률, 기공전도도, 증산율 등의 생육 및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사철나무는 3.0% 이하, 영산홍과 회양목은 1.0% 이하의 처리구에서 생존이 가능하였으며, 사철나무가 영산홍과 회양목에 비해 생육적 감소율이 비교적 낮았다. 염화칼슘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대조구에 비해 생리적 반응들이 감소되는 것은 동일하나, 영산홍과 회양목은 감소세가 비교적 뚜렷한 반면, 사철나무가 완만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영산홍은 증산율을, 회양목은 광합성율과 기공전도도를 억제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철나무가 영산홍과 회양목에 비해 염해에 좀 덜 민감한 수종임을 알 수 있어 제설제 피해지역에 상록 관목류로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It is important to know the sensitivity of shrubs to de-icing salt in order to set guidelines for ecological tolerance of evergreen shrubs along road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icing salt, calcium chloride($CaCl_2$),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evergreen shrubs, Euonymus japonica, Rhododendron indicum, and Buxus koreana. Plants were exposed to calcium chloride at different concentrations(weight percentage, 0% as control, 1.0%, 3.0%, and 5.0%) through amended soil maintained from the start of the experiment in October of 2014 until termination in March of 2015. The survival rate,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leaf shape index, number of leaves, fresh weight, dry weight, dry matter, root/top ratio, chlorophyll contents, fluorescence,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 and transpiration rate were recorded. Elevated calcium chloride concentrations decreased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leaf shape index, fresh weight, dry weight, dry matter, and R/T ratio of the three shrubs. Root growth responded more sensitively than the top growth to salinity. However Euonymus japonica was more tolerant to salt stress than Rhododendron indicum and Buxus koreana. Their growths were totally inhibited by $CaCl_2$ above 3.0% and 1.0% concentrations, respectively. Chlorophyll content, fluorescence, photosynthesis, stomatal conduct, and transpiration rate of both Rhododendron indicum and Buxus koreana were reduced sharply, while Euonymus japonica exhibited mild reductions compared to plants grown in control when increasing calcium chloride was used. Especially, the transpiration rates of Rhododendron indicum, and the photosynthesis and stomatal conduct of Buxus koreana were suppressed as the concentrations of calcium chloride increased. Therefore, Euonymus japonica should be considered as an ecologically tolerant species with proven tolerance to de-icing salt.

      • KCI등재

        저관리 용기일체형 벽면녹화에서 황금줄사철과 송악의 초기활착에 미치는 친수성 중합체의 효용성

        주진희 ( Jin-hee Ju ),김혜란 ( Hea-ran Kim ),허혜 ( Hui-xu ),김원태 ( Won-tae Kim ),최은영 ( Eun-young Choi ),윤용한 ( Yong-han Yoon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 2016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19 No.3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 early stages of plant growth of Euonymus fortunei ``Emerald and Gold`` and Hedera japonica grown in fabric felt bag attached on vertical greenery system with the ratio of hydrophilic polymer to substrate, 0(referred as Control), 0.1, 0.2, or 0.4% (v/v), in order to effectively utilize rainfall for low maintenance. After rainfall, the increase in volumetric water content of substrate amended with the hydrophilic polymer was between 13% and 87%, compared to that in Control. During drought period, higher ratio of hydrophilic polymerto substrate slowly decreased the volumetric water content, and increased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ves, branch number, and stem diameter of both Euonymus fortunei ``Emerald and Gold`` and Hedera japonica with the highest fresh and dry weights of shoots or roots under the 0.1% ratio of hydrophilic polymer.

      • 녹지 배치형태 차이에 따른 음이온 발생 평가 모델

        오득균 ( Deuk-kyun Oh ),최원준 ( Won-jun Choi ),허혜 ( Hui Xu ),김원태 ( Won-tae Kim ),김정호 ( Jeong-ho Kim ),윤용한 ( Yong-han Yoo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도시에서의 환경은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인간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상황에 녹지의 확보는 다양한 도시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인간의 건강에 이로운 피톤치드, 음이온 등을 생성한다. 특히 음이온은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인간의 부교감신경을 자극하여 안정된 반응을 나타내는 등의 효과가 1960년대에서부터 꾸준히증명되어왔다. 현재에는 이러한 음이온의 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음이온 발생기 등의 인간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제품으로 상용화된 상황이다. 현재까지 음이온발생량 측정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수행되었으나, 음이온과 기상요소관계에 있어 연구자에 따라 그 결과가 각기 상이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음이온과 기상요소관계를 규명하고 음이온 발생의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녹지의 배치구조에 따른 음이온 발생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무궁화(Hibiscus syriacus)를 활용하여 녹지의 배치모형을 정방형으로 외부 테두리에녹지가 1m폭으로 조성된 유형(Type A), Type A에서 내부 1m2의 녹지가 조성되어있는 유형(Type B)으로 조성하였다. 측정시기는 2015년 06월부터 08월까지 약 3개월간 진행하였으며, 강우 등 연구의 목적에 맞지 않는 날의 경우 제외하였다. 측정시간은 식물의 광합성이 활발한 시간을 고려하여 오전 11시부터 16시까지 측정을 진행하였다. 음이온 측정의 경우, 컴퓨터를 활용한 자동측정 방식을 활용하였다. 기상요소의 경우 기온, 상대습도, 풍속, 일사량을 자동기상관측기기(AWS)를 활용하여 2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또한 분석에 있어 기상요소의 차이에 따른 음이온 발생량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동일한 기상상황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녹지배치유형의 차이에 따른 기상요소의 차이는 일평균기온은 녹지배치형태의 차이에 따라 그 차이가 현저하였으며, 기온은 Type A에서, 상대습도의 경우 Type B에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사량의 경우 녹지의 배치형태가 내부에 수목이 식재된 Type B에서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사량이 높은 유형에서 기온이 높았으며, 고온역에서는 저습역이 저온역에서는 고습역이 형성된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유형별 음이온 측정결과 Type A> Type B 의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측정시간에 따라 각기 상이한 결과 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사가 높은 시간인 11~13시의 경우 Type A > Type B 의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온이 높은 시간대인 13~15시의 경우, Type A > Type B의 순으로, 15~16시의 경우Type B > Type A의 순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각각의 녹지배치 형태에 따른 기상요소와 상관성 분석결과 Type A와Type B는 각각의 기상요소가 음이온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이 각기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선행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였다. 이러한 결과는 변수들에 대한 특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변수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경우 각기 상이한 결과가 일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녹지의 배치유형에 따라 음이온 발생량에 차이가 있으며, 배치형태 뿐만 아니라 시간의 차이에 따라서도 유형별 발생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음이온발생량 측정 연구에 있어 사용하는 변수에 대한 특성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공원 및 도시녹지 조성에 있어 녹지의 배치뿐만 아닌 도시민의 이용시간 등을 고려한 계획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옥상 내 저관리 도시농업에서 친수성 중합체 배합비에 따른 가지(Solanum melongena)의 생육반응

        주진희 ( Jin Hee Ju ),김원태 ( Won Tae Kim ),허혜 ( Hui Xu ),윤용한 ( Young Han Yoon ),최은영 ( Eun Young Choi ) 한국환경과학회 2016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5 No.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hydrophilic polymer (HP) mixture ratio (Control, 1.0%, 2.5%, 5.0%, and 10.0%) on growth of eggplant (Solanum melongena) for lower maintenance urban agriculture via green roofs. Although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substrate temperature was de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ere increased. High substrate water content (95%) was found consistently in growing media under elevated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at over 5% during the entire growing period. Substrate electronic conductivity was in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ere increased. Growth index was de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as increased. It was reduced about 1/3 and 1/5 compared to that of Control in HP5.0 and HP10.0 treatment plants, respectively. Number of leaves, leaf length, and leaf width were decreased in following order: Control> HP1.0> HP2.5> HP5.0> HP10.0 treatments. There number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HP5.0 and HP10.0 treatment plants. Dry weight of shoot and root were de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as increased. They were reduced by 1/4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treatment plants. In addition, visual value was decreased as hydrophilic polymer mixture ratio was increased. Plants grown in HP1.0, HP2.5, and HP5.0 treatments all survived. However, plants grown in the HP10.0 treatment had the lowest survival rate (56%) after 3 months of grow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dvantage of adding hydrophilic polymer to green roof growing media may greater during dry periods. However, the proper mixture proportion of hydrophilic polymer sh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growing media and plant spec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