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Real time 초음파 분석에 의한 절박유산의 예후에 관한 연구 ( 제 l보 )

        서병희(BH Suh),허주엽(CY Huh),오보훈(BH Oh),이재현(J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6 No.7

        1981년 12월부터 1983년 4월까지 1년 5개월 동안 산과외래에서 자각적으로 부정기적인 성기출혈과 하복부 긴장감 및 하복통, 자궁경부외 블완전소실의 소견을 보이는 절박유산에 real time 초음과법을 응용하여 태아의 심장박동 및 태낭의 크기, 위치, 모양, 수 등을 관찰하여 임신지속에 나쁜 예후가 예상되는 초음파소견의 기준을 설정하여 이것과 비교하고 또 절박유산의 예후와 유산의 잠재성을 Scoring System으로 나타낸 소견과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절박유산의 임상적 증후는 유산에 대한 잠재성이 높은 경우에 더 잘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저위험군 이 24.3%, 고위험군이 73%). 2. 표 5의 기준에 해당 사항이 없고 임상증후만 있는 경우는 92%에서 임신이 계속되었고 8%에서 유산되었다. 3. 계속 임신된 경우의 초음파소견의 기준은 1예만 제외하고 단독기준을 갖고 있었으며 유산된 경우에서의 단독기준은 36.8%, 그 외는 모두 둘 이상의 복한기준을 갖고 있었다. 4. 표 5의 기준 1은 계속형 유산으로 간주되고 곧 소파술이 시행되었으나 1예에서 만삭까지 임신이 진행 되었다. 5. 계속 임신된 군은 10예에서 만삭까지 임신이 진행되어 7 이상의 Apgar score와 정상체중을 가진 정상 아를 분만하였는데 이중 전치태반이 동반된 2예는 둔위전진 및 횡위전진으로 제왕절개술을 시행받았고 현재 4예가 임신중기, 5예가 임신 3기에서 특별한 문제가 없이 진행되고 있다. 6. 절박유산의 임상적 증후가 나타난 임신주수는 유산이 된 군은 11.8주, 계속 임신이 된 군은 9.7주로 후자에서 2주정도 빨리 증상이 나타났고 평균, Periabortal score는 계속 임신이 된 군이 3.3으로 더 적은 점 수를 보였으며 복합적으로 관련된 된초음파 소견의 기준은 계속 임신이 된 경우에서 1.1, 유산이 된 경우가 2. 4로 후자에서 더 많은 복합적 관련성이 관계되고 있었다. 7. 표 5의 기준 5에 해당되는 이중태낭을 가진 경우 2예는 모두 유산되었고 huperemesis가 심했던 2예는 임신이 계속되고 있다. Sonar is a precise and exciting way of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the fetus and placenta and is at present the only, visual means of doing so during the first trimester. Until the introduction of ultrasound the assessment of an early pregnancy, especially in cases of threatened abortion, proved a difficult problem as clinical examination and immunological urine testing in such cases is often unhelpful and may even be misleading. Uterine bleeding in the first trimester of pregnancy is a sign of treatened abortion. Ultrasound examinations can differentiate completed abortions from incomplete abortions and can confirm the presence of a gestational sac. Furthermore, the outcome for the pregnancy can be predicted from the appearance of the gestational sac. This immediate evaluation of the uterus allows prompt treatment, with resultant reduction in expectant management. Less bedrest is required and the patient experiences less anxiety. Chances of unexpected massive hemorrhages are minimized. Before 20th weeks of pregnancy, retrospectively studied 37 patients with a clinical diagnosis of threatened abortion were examined ultrasonically to determine whether ultrasound was an accurate aid to clinical diagnosis and to be most helpful in prediction of abortion, and in recognizing a normally developing pregnancy at the dept. of Obstet. in Kyung Hee University Hospital from December 1981 to April 1983. 1. Threatened abortion c clinic evidence was more occurred in cases of having highly associated abortal factor. (Occurrence of 24.3% in low risk, 73% in high risk of periabortal scoring system) 2. 92% of threatened abortion patients whose pregnancy continued had normal ultrasound examination and only clinical evidence. 3. All except one of continued pregnancy had single Donalds ultrasonic critetria and 73.2% of threatened abortion patient who did abort had 2 more criteria. 4. When fetal heart movement ,in gestational sac older than 8 weeks was not shown, authors regarded it as missed abortion and performed Dilatation & Curr

      • KCI등재

        Lipple Loop 삽입중 발생한 자궁외임신 2례

        서병희(BH Suh),허주엽(CY Huh),김승보(SB Kim),이원기(WK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7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0 No.12

        본원 산부인과에서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일시적 피임방법중 피임효과가 우수하고 편리하며 부작용이 비교적 적다고 알려진 Lippes loop의 희유한 합병증 중 하나인 자궁외임신 2예를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Two cases of tubal pregnancy associated with use of a loop are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concerned.

      • KCI등재

        Lippes Loop 시술후 속발한 골반방선균증 1 례

        진영길 ( YK Jin ),허주엽 ( CY Huh ),이재현 ( Jh Lee ),이주희 ( JH Lee ),이중달 ( JD Lee ) 대한산부인과학회 1986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9 No.3

        저자들은 12년전에 Lippes loop를 시술받은 후 수차 자궁내막염 및 골반염으로 치료받았던 39세된 기혼여성에서 골반방선균증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elvic actinomycosis is a rare but well-documented entity. A case of pelvic actinomycosis was confirmed by pathologic examination of resected specimen in a thirtynine old woman complained of palpable mass on left lower quadrant and constipation for one month. This case was inserted into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 during past 12yrs. We have discussed with relationship between prolonged insertion of intrauterine contraceptive device and pelvic actinomycosis and is presented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쌍태중 정상아와 동반된 무뇌아 1 례

        고영호(YH Koh),이선경(SK Lee),허주엽(CY Huh),이재현(JH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2

        저자들은 쌍태아에서는 매우 드물게 볼 수 있는 무뇌아를 임신 42주인 31세 초산부에서, 일측에는 정상아, 다른 일측에는 무뇌아인 일란성 쌍태아 일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1. 발생원인은 불확실하나, 문헌에 보고되어 있는 여러 발생요인들과 결부시켜 보면, 도시에서 생활한 점, 또한 저소득층이라는 점 등을 들어 환경적 요인,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되는 병인을 발견할 수 있었다. 2. 여아에서 무뇌아 발생이 더 많다는 문헌 상의 보고와 같이 본 경우에서도 두명의 쌍태아 모두 여아였다. 3. 계절적으로는, 문헌에-2월에서 4월에 수정될 때, 가장 높은 발생빈도를 보인다-고 보고 되었듯이 최종월경일이 1월 21일로 수태일은 2월이었다. 4. 산과적 합병증으로 많이 보고되어 있는 양수과다증, 비정상위 등은 본 경우에서는 동반되지 않았다. 5. 본 31세의 초산부는 임신 40주에 본원을 처음 방문하여 쌍태아가 의심되어 초음파 촬영을 시행한 결과 제 2아가 무뇌아임이 발견되었고, 쌍태아 둘 다 두위였고, 크기가 작아 질식분만을 결정, 임신 41주에 질식분만을 시도하여 제 1아는 정상여아(2.42kg), 제 2아는 무뇌여아(1.7kg)가 분만되었다. 6. 무뇌아에서 흔히 동반되는 안구돌출, 무두개증, 뇌실질 결손은 볼 수 있었으나 근골격계, 소화기계, 호흡기계 등의 다른 기형은 볼 수 없었다. 7. 산후 특별한 합병증은 없었으며, 10분 만에 사망하였다. 8. 우리나라에서 최근 20년 동안 보고된 「쌍태아 중 정상아와 동반된 무뇌아」의 5 경우에 이어, 저자들의 금번 보고는 6번째가 되며, 6 경우 중 5경우에서는 두명의 쌍태아가 모두 여아였고, 1경우에서만 둘 다 남아였다. A case of anencephaly combined with twin pregnancy, in which vaginal delivery was preformed at 42 weeks of gestation, is presented with brief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복강경반흔에 발생한 자궁내막증 1 례

        이한수(HS Lee),이선경(SK Lee),허주엽(CY Huh),목정은(JE Mok) 대한산부인과학회 198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0 No.1

        복강경반흔에 발생한 자궁내막증 Endometriosis of the surgical scar is a well-known entity It occurs most commonly after operations on the uterus and tubes The first case of encometriosis in abdominal scar following laparoscopic tubal ligation in Korea was reported with a brief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임신과 합병하여 재발한 피부근염 1 예

        허주엽,정순자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5

        피부근염은 비교적 흔치않은 질환으로 임신과 동반된 경우는 매두 드물어서 이 질환이 임신 에 미치는 영향은 잘 알려져 있지않다. 지금까지 보고된 case들을 통해 분석한 결과 임신과 동반된 경우 약 1/4은 질병이 호전되고 1/4는 악화되고 나머지 절반은 별 변화가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 (Arthur et al 1986).임신중에 adrenal androgen 및 progesterone 생성 증가가 이질환을 악화시킬 것이라는 추론도 있고, 반대로 임신으로 인해 corticoid의 증가로 증상완 화 및 질병의 약화를 가져올 것이라는 설도 있다. 임신결과는 건강한 아기를 출산하는 경우 에서 태아성장부진, 미숙아 출산, 자연유산 등 다양하며, 태아 사망율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되어있다. 특히 임신시 질병의 활동성 여부가 태아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가능한 질병 이 완화된 후에 임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임신중 질병의 활동성 여부를 주의깊게 모니 터해야만 할 것이다. 앞으로 이에 대한 더많은 연구가 있어야겠고, 이 보고가 환자의 진료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바란다. Dermatomyositis is rare disease complicating pregnancy. Although pregnancy loss may arise when dermatomyositis complicates pregnancy, successful therapy will permit a satisfactory result. Optimal pregnancy success can be anticipated when pregnancy is undertaken with disease in remission and propective maternal and fetal evaluation is undertaken. A case is reported here of a primipara in whom dermatomyositis recurred during gestation. Both the mother and her infant have since been doing well.

      • KCI등재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으로 와전관해를 보인 상피성난소암 환자에서 발생한 뇌전이 1 례

        허주엽,방남철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3

        Cerebral metastses secondary to primary epithelial ovarian carcinoma are unusual. The incidence was estimated under 1%, but some authors reported higher incidence than previously reported data.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cerebral metastasis secondary to primary epithelial ovarian cancer. We present this case with review of brief related literatures.

      • KCI등재

        악성 난소종양의 임상병리학적 고찰과 항암화학요법

        허주엽,홍진기,김창남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8

        1987년 11월부터 1994년 6월까지 만 6년 8개월간 경희대학교 부속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하여 수술을 시행받은 환자중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인된 악성난소종양 77예를 대상으로 임상 및 병리학적 고찰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환자의 연령분포는 40-49세군이 20.8%로 가장 빈도가 높았고 평균연령은 46.5세이었다. 2. 환자중 무경산군은 27.2%였고 원발성불임율은 4.6%였다. 3. 사춘기 이전군 1.3%와 폐경기 여성군 36.4%에 비해 생식기 연령군은 62.3%로 월등히 높 았고 생식기 연령군 중 불규칙한 월경력을 보인 예는 25.0%이었다. 4. 자각증상은 하복부동통(35.0%) 복부종괴촉지(24.7%)복부팽만(20.8%)순이었으며 무증상을 나타낸 경우는 9.1%이었고, 증상 지속기간은 6개월이내가 75.3%이었다. 5. 복수 및 세척세포진검사 양성율은 복수가 있었던 36예중 12예(33.3%) 와 복수가 없었던 20예에서는 단지 1예(5.0%)에서 암세포가 관찰되었는데 전체 세포진검사상 23.2%에서 양성 율을 보였다. 6. 주위조직으로 전이율은 대망 28.6% 복막 35.3% 대동맥주위 임파절 12.5% 골반임파절 13.0% 자궁방조직 8.2% 난관의 6.6%에서 관찰되었다. 7. 육안적 혹은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인된 난소의 양측성은 22.1%이었다. 8. 병리조직학적 분류는 상피성 난소암(70.1%), 악성 생식세포종양(15.6%) 성기삭간질성종양 (13.0%) 전이된 종양(1.3%) 순이었으며 상피성 난소암중 점액성 난소암의 빈도는 59.3%로 제 일 많았으며 다음은 장액성 난소암(31.5%) 자궁내막양난소암(7.4%) 미분화암(1.8%)순이였다. 9. FIGO에 따른 임상적 분류에 의함 제 1기 69.8%, 제 2기 2.6%, 제 3기 18.4%, 제 4기 9.2%이었다. 10. 수술 전 암표지물질 양성율은 CA-125는 악성난소종양의 66.7%, CA 19-9는 47.4%, CEA는 점액성난소암의 29.4%와 악성 생식세포종양의 40.0%에서 양성이었으며, AFP는 생식세포종양의 60.0%와 hCG는 악성 생식세포종양의 25.0%에서 양성이다. 11. 수술방법으로 전자궁출술과 양측 난소난관절제술을 시행한 예는 58.4%로 가장 많았으며 이중 대망막절제술은 68.9%에서 시행했으며 전체 77예중 대망막절제술은 42예(54.5%)에서 시행하였다. 12. Krukenberg tumor 1예와 원발성 악성난소종양의 42예(55.8%)에서 복합화학요법을 시행한 바 CAP(47.9%), CP(18.8%), CC(14.6%), BEP(12.5%), VBP(6.2%) 순이었으며, 상피성 난소암의 59.3%, 악성 생식세포종양의 66.7%, 정기삭간질성종양의 20.0%에서 시행하였으며, 임상기 별로는 1기 호나자의 41.4%, 제 2기의 50%, 제 3기의 85.7%와 7명의 제 4기 환자 모두에서 복합화학요법을 사용하였다. 13. 화학요법의 관해율은 CAP 69.2%, CP 75.0%에서 관해율을 보였고, BEP는 germ cell tumor 4예중 3에와 sex cord stormal tumor 1예 즉, 5예 중 4예(80.0%)에서 완전관해를 경험하였다. A clinico-pathological study was made on a series of 77 maligant ovarian tumors which were operated and confirmed by postoperative histopathologic study at Obsterics and Gynec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during a period of 6 years and 8 months from November 1987 and June 1994. The result were obtain as follows; 1. Age distribution of malignant ovarian tumors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5th decade and the average age was 43.2 years old. 2. The frequency of nulliparity was 27.2% and the primary infertility rate was 4.6%. 3. Previous menstraul cycles of menstruating group has been abnormal in 25.0%, postmenopause in 36.4% and prepuberty in 1.3%. 4. As the subjective symptoms of all malignant ovarian tumors, lower abdominal pain in 35.0%, palpable abdominal mass in 24.7% abdominal distension in 20.8% and 9.1% of patients was not complained. The interval from onset of symptoms of diagnosis was 75.3% in 6 months or less 5. Positive cytology of ascites or peritoneal washing fluind was seen in 23.2% and sensitivity of ascites in 33.3% and specificity in 95.0% 6. Metastasis of omentum was 31.0%, 35.3% for peritoneum , 13.0% for pelvic lymphnode, 12.5% for paraaortic lymph node, 8.2% for parametrium and 6.6% for salpinx. 7. Bilaterality was noted in 22.1% by gross or microscopic examination. 8. Histologic incidence was as follows ; malignant epithelial tumors in 70.1% germ cell turmors in 15.6% sex cord stromal tumors in 13.0% and metastatic tumors in 1.3% and of malignant epithelial tumors, mucinous carcinoma in 59.3% serous carcinoma in 31.5% endometrioid carcinoma in 7.4% and undifferentiated carcinoma in 1.8%. 9. According to FIGO staging of primary ovarian tumor, stage I(69.8%)m stage II(2.6%) stage III(18.4%) and stage IV(9.2%). 10. Tumor markes of CA-125, CA 19-9, CEA, AFP and B-hCG were increased in 66.7%, 47.4%, 17.5%, 27.3% and 12.5% of the selected patients, respectivity. 11. Of 77 cases,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with bialteral salpingo-oophorectomy was performed in 58.4% and omentectomy in 54.5%. 12. Combination chemotherapy was performed on 43 cases(55.8%), and of 43 cases, 59.3% for epithelial tumors, 66.7% for germ cell tumors, 20.2% for sex cord stromal tumors and 100% for metastatic tumor. 13. Response rate by combination chemotherapy were 69.2% by CAP regimen 62.5% by CP regimen, 75.0% by CC regimen and 80.0% by BEP regimen.

      • KCI등재

        미분화세포종을 동반한 고환퇴행증후군중 Swyer씨증후군 1 예

        허주엽,이선,이주희,용창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7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0 No.2

        Dysgenetic streak gonads were removed laparoscopically from a phenotypic female with Swyer syndrome(ie, XY karyotype, sexual infantalism, primary amenorrhea, and Mullerian structures). Pathologic examination revealed a dysgerminoma in one of her gonads. We report a case of dysgerminoma with 46,XY Swyer syndrome and review of literature.

      • KCI등재

        BEP 복합화학요법후 완전관해가 확실시되는 난소의 미성숙기형종 1 례

        허주엽,용창임 대한산부인과학회 1995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8 No.7

        본 저자들은 최근 34세 여자에서 발생한 1례를 경험하여 이에 대해 수술후 3차에 걸쳐 BEP 복합화학요법을 실시한 후 지금까지 11개월째 매달 외래에서 추적 관찰중이며 현재 질병의 완전관해가 관찰되어 있어, 미성숙세포종 및 이에 대한 최근에 복합요법 동향과 추적관찰에 대해 간단한 문헌고찰과 더불어 보고하는 바이다. The immature teratoma is a type of malignant germ cell tumor, comprising less than 1% of ovarian tumor and 20% of malignant germ cell tumors, It has a specific age incidence, occuring most commonly in the first two decades of life and being almost none after menopause. We had experienced a case of the immature teratoma of 34 year old woman who was treated by operation and postoperative adjucvant chemotherapy (BEP regimen).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 concerned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