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허주,(Hur Ju)김갑성(Kim Kaps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역량교육 실천에 있어서의 교사 역할을 기능주의적 관점이 아닌 상징적 상호작용론의 관점에서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교사니까 해야 하는 일로 교사의 역할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학생, 교사-학부모, 교사-교사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교사 역할과 역할이 수행되는 조건을 탐색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방법 이 연구에서는 역량교육을 실천하는 고등학교 교사 3명을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역할 수행자(교사)가 인식하는 역량교육 실천을 위한 역할 및 학생, 학부모, 동료교사와의 관계와 맥락을 탐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분석(constant comparative method)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결과 도출된 고등학교 교사의 역할은 크게 두 가지로 지원과 소통이었다. 그리고 교사와 학생, 교사와 학부모, 동료교사와의 관계적 맥락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의 관계에서는 학생의 특성과 교사의 연령대가 영향을 주었으며, 학교의 지리적 특성 또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둘째, 교사와 학부모의 관계에는 대학입시가 크게 영향을 주었고, 특히 학교의 최근 대학입시 성과가 크게 작용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는 교사들 간의 세대 격차가 영향을 주었고, 학년부 중심의 교무실 사용이 동료교사와의 긍정적 관계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역량교육 실천에 있어서의 교사 역할을 학교 구성원의 관계적 맥락 및 역할 수행의 조건에서 이해해야 함을 강조하고, 그 맥락과 조건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 roles in a competence education setting through a symbolic interaction theory. Specifically, providing understandings of teacher roles based on teacher-student, teacher-parent, and teacher-teacher relationship was the main focus. Methods The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 focus-group interview with three high school teachers. The focus of FGI was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roles in competence education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students, parents, and fellow teachers. Data was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The data showed two major roles of teachers in a competence education setting, which are support and communication. Within the symbolic interaction perspective, this finding shows that first,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eacher age as well as school’s remote location influence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econd, in teacher-parent relationship, college admission was a big factor, and recent results of the school’s college admission was affecting teacher-parent relationship. Finally, teacher-teacher relationship was influenced by the age gap among teachers, and using office space based on grade level affected the relationship positively.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discussions of teacher roles in a competence education setting and school members’ relationship as well as the conditions for teachers’ role taking are presented.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수급 관련 쟁점 : 학생의 교과목 수요를 중심으로
허주(Hur Ju),김갑성(Kim Kapsung),최수진(Choi Su-Jin),이승호(Lee Seung-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scussion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from teachers’ perspective. Specifically, this study provide directions for teacher supply based on analysis of students’ subject choice, and suggestions for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the credit system. Data was collected from 29,046 students from 400 high schools, which were randomly sampled, and analyzed in 4 cases with differentiated teacher classroom time and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Results showed, first, with 15.1 hours of teacher classroom time and 24.5 students per class, major subject area had more teachers than students’ need, but in most other subjects more teachers were needed. Second, with 15.1 hours of teacher classroom time and 14 students per class, most subject areas showed lack of teachers, and finally, with 12.0 hours of teacher classroom time and 24.5 and 14 students per class also showed shortage in number of teachers. These findings imply that current number of high school teachers are not sufficiently enough for the credit system. Additionally, with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matter of teacher supply is not simply about the number of teachers, but a realistic approach in terms of satisfying students’ need as well as reducing teacher classroom time should be considered. Finall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policy implication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are suggested.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와 관련하여, 교육과정, 학생평가, 학사운영 등에 논의가 집중되어 있는 한계를 넘어 교사의 관점에서 고교학점제 관련 논의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학생의 교과목 수요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교원수급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교사의 관점에서 고교학점제 관련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400개 고등학교의 학생 29,046명을 대상으로 교과목 수요를 조사하고, 교사의 주당 수업시수와 학급당 학생 수를 달리 적용하여 각각의 경우에서 필요 교원 수를 추산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주당 수업시수 15.1시간, 학급당 학생 수 24.5명을 적용하였을 시, 주요 교과목에서는 학생 수요에 비해 교사의 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의 교과목에서는 교사 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당수업시수 15.1시간, 학급당 학생 수 14명을 적용한 경우, 거의 모든 교과목에서 교사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주당수업시수 12.0시간, 학급당 학생 수를 각각 24.5명과 14명으로 적용한 경우에도 거의 모든 교과목에서 교사 수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의 고등학교 교수 인력으로는 고교학점제 시행이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고교학점제에서 교원수급의 쟁점은 단순히 몇 명의 교사가 더 필요하다는 논의가 아닌, 적정한 교사의 평균 수업시수 및 학급당 학생 수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앞선 내용을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의 도입과 안정적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허주(Hur, Ju) 한국신약학회 2015 신약논단 Vol.22 No.2
이 글은 누가-행전의 성령을 서사적 접근을 통해 ‘등장인물’로 분석한 시도이다. 이를 위해 나는 먼저 ‘인물’과 ‘인물구성’에 대한 문학적 이론을 소개한 후 누가-행전의 성령이 왜 ‘인물’로 간주될 수 있는 지를 밝혔고 이어 인물구성의 한 요소인 ‘간접묘사’ 방식을 적용하여 성령의 발화, 행동, 외양, 환경을 살펴보았다. 이때 누가-행전의 ‘성령’을 구약성경 칠십인 역에서 나타나는 ‘하나님/주의 영’과도 틈틈이 비교하였다. 아울러 각주를 중심으로 서구 및 국내 신약학자들의 인물화 분석 경향과 더불어 누가 성령론에 대한 견해들을 소개하고 평가하였다. 이런 관찰에 기초하여 글의 마지막 단락에서 누가-행전의 서사적 의미-기능과 신학적 함의를 네 가지로 제안하였다. (1) 신뢰성 표지로서 성령, (2) 발화와 행동하는 인물로서 ‘보내는 자’ 성령, (3) 예수의 능력과 임재로서 성령, (4) 선교 감독자 및 다문화/타문화 공동체 연합의 선구자로서 성령. 이런 학문적 시도는 누가-행전의 성령을 서사적 인물로 분석하는 해석적 유용성과 가치를 보여주는데 일조함으로써 성경의 여러 인물들을 학문적이고도 실제적으로 분석하는데 좋은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본다. This paper delineates the Lukan Holy Spirit as a literary character in terms of narrative criticism. After briefly introducing some theories of both ‘character’ and ‘characterization,’ I proposes why the Holy Spirit in Luke-Acts can be regarded as a character and then examines the Spirit in light of ‘speech,’ ‘action,’ ‘external appearance,’ and ‘environment’ as for ‘indirect presentation’ as an essential part of characterization. Within this analysis the Lukan Holy Spirit is also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comparison with the Spirit of the Lord/God in the Old Testament and/or the LXX. Based on this observation, I have suggested four traits of the Holy Spirit in Luke-Acts as narrative significance and function along with theological implications. (1) The Holy Spirit as literary mark of reliability, (2) the Spirit as ‘sender’ by its speech and action, (3) the Spirit as characterizing the power and the presence of the exalted Jesus, (4) the Spirit as both mission-director and pioneer unifying some multiethnic cultural communities. Overall this academic attempt of analyzing the Lukan Spirit as narrative character provides some hermeneutic effectiveness and value, and this approach in so doing challenges readers/interpreters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o revisit the significance of many biblical figures of OT and NT narratives as research topics.
허주 ( Ju Hur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ACTS 신학저널 Vol.19 No.-
This article has critically reviewed the major Western New Testament scholars’ opinions on the Holy Spirit in Luke-Acts since 1970s. I have presented three representative scholars’ understandings of Lukan pneumatology, particularly on the meaning of receiving the Spirit along with other related issues: (1) J. D. G. Dunn, (2) R. P. Menzies, and (3) M. M. B. Turner. According to Dunn, the reception of the Holy Spirit in Luke-Acts is the matrix of Christian life in a manner similar to that found in John and Paul. In contrast, examining both Luke-Acts and the Jewish intertestamental literature, Menzies argued that Jesus and his disciples received the Spirit not as the Spirit of sonship or of new age or covenant, but as a prophetic donum superadditum (i.e., additional gift after being saved) which enables them to accomplish successfully their appointed tasks. In other words, the Spirit in Luke-Acts can be considered the typical Jewish ‘Spirit of prophecy.’ Interestingly enough (but not convincing to me at least) Menzies distinguished three developments of the concept of the Spirit in the early Church to persuade his position. First, Pauline ‘soteriological pneumatology’ possibly influenced by 1QH and Wisdom literature. Second, ‘charismatic pneumatology’ found in the primitive community as for Mark, Matthew, and Q, which took up the Jewish concept of the ‘Spirit of prophecy,’ yet including miracles of healing and exorcism. Third, ‘prophetic pneumatology’ as the typical Jewish concept of the ‘Spirit of prophecy’ irrespective of miracle function, which was found in the Urgemeinde of the non-Pauline early Church inclusive of Luke-Acts. In many respects, Menzies’ basic thesis reminds me of E. Schweizer’s interpretations. Menzies’ sharp analysis of the typical Jewish concept of the Spirit and its development in early Christianity, however, has been severly questioned by Turner. Turner unlike both Schweizer and Menzies maintained that the Jewish ‘Spirit of prophecy’ was associated with miracles, yet was not related to the power of preaching, a perception later developed in Hellenistic-Jewish Christian circles. Thus, Luke, according to Turner, not only adopted the Jewish Spirit of prophecy, but also modified it. As a result, Luke in light of Turner’s perspective understood that receiving the gift of the Spirit was not a donum superadditum in Christian life. Rather it was the sine qua non (i.e., essential condition) of Christian existence. While agreeing that previous scholarship has meaningfully contributed to Lukan pneumatology, I have also noted that their interpretative methodologies were limited to historical criticism, especially redaction criticism. From this point onwards, critical and responsible readers are called to re-visit this ongoing Lukan subject matter for more nuanced and dynamic understanding. By the way, I as a Korean researcher have provided some major contemporary Korean NT scholars’ viewpoints on Lukanpneumatology in footnotes of this paper.
교사전문성에 대한 재고: 교직특성 및 교사의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허주(Hur Ju) 한국교원교육학회 2019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6 No.1
근래의 교육개혁 담론과 교육정책에서 교사와 교사전문성은 정책의 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과 방법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한 전문가로서 교사에 대한 신뢰 문제가 제기되고 교사의 탈전문화 문제도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교사전문성의 개념과 의미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성의 개념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교직특성 및 탈전문화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통해 교사전문성의 개념은 어떻게 형성되는지, 교사는 교사전문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교사전문성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교사전문성을 특성론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것은 부분적이고 제한적이며, 교사전문성은 이해관계자의 역할과 관계를 함께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들은 교직의 전문적 특성이 가치체계의 형성과 유지 및 발전의 기능이 있다고 인식하나, 이러한 기능이 제대로 작동되고 있지 못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전문성 개념이 위로부터의 전문성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해관계자인 정부, 교사, 학생 및 학부모의 관계가 균형적이지 못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전문성에 대한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교사가 전문성에 대해 이념적 의미부여를 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균형적 관계를 위해서는 교사 자율성이 있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사전문성을 관계성(relation)의 측면에서 이해해야 함을 의미한다. 즉, 교사전문성에 대한 역할과 책임이 교사에게만 있는 것이 아니라 정부, 학생 및 학부모, 연구자 등의 교육 관련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있는 것이다. Recent discussions and policy regarding education reform treat teachers and teacher professionalism as methods and tools for achieving the policy goals. With an emphasis on teacher professionalism and interlocking with efficiency of education and accountability of teachers, teachers are forced to reach specific targets and evaluated. Behind this is the disciplinary mechanism of professionalism which could cause deprofessionalization of teachers.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of professionalism, and based on teachers’ perception of teacher trait and deprofessionalization tempted to identify how teachers conceptualize professionalism, how teachers understand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and what the concept means.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rait theory based understanding of teacher professionalism is limited and partial, and in knowledge-based society teacher professionalism needs to be conceptualized by understanding the roles and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of education and teacher professionalism.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survey show that Korean teachers conceptualize the function of professionalism as stability and developing of social system, but recognize that it malfunctions. Moreover, it is found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is formed primarily from above(externally) and the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are imbalanced. This is partly because teachers connotate ideological meaning to professionalism and mostly because limited teacher autonomy which is the key for balanced relations among the stakeholders. These results imply that teacher professionalism needs to be understood and dealt from a relations approach. In other words,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eacher professionalism is not only with the teachers but also shared by stakeholders of education, such as government, students and parents, and researchers.
신학교육기관으로서 ACTS가 지향해야 할 신약학 분과의 성격과 목적에 대한 제언
허주 ( Hur Ju )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ACTS 신학연구소 2018 ACTS 신학저널 Vol.38 No.-
이 글은 신본주의와 복음주의라는 교육이념의 토대 위에 아세아 및 세계복음화를 목적으로 1974년에 설립된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ACTS)의 신학-신앙운동의 일환으로 집필된 것이다. 특히 신학교육기관으로서 ACTS의 신약학 분과가 지향해야 할 가치와 방향을 재조명한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신학계에서 활용하고 있는 신학적 용어들을 살펴보았다. 아울러 해석학적 방법론에 비추어 신약학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조망하였다. 이를 통해 ACTS 신학-신앙운동과 ACTS 신약학을 위한 제언과 사명을 다섯 가지로 제시해 보았다. 무엇보다 ACTS 신약학은 복음주의 성경신학적 틀 안에서 연구하고 발전시켜야 할 신학분야임을 주지하면서, 이론-실천적 항목들이 상호 연계적으로 나타나야 할 것을 제안한다. 이것은 아래와 같다. (1) 바른 성경관에 기초한 성경주해 중심의 신약성경신학, (2) 교향곡적 신약성경신 학, (3)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 나라 및 구원론 중심적 신약성경신학, (4) 통 합적이면서도 연계학문적인 신약성경신학, (5) 종말론적이며 선교적 일상 생활을 섬기는 신약성경신학. 이 운동은 일차적으로 ACTS 성경신학 교수 들 및 모든 교수진이 함께 해야 할 연합운동이다. 동시에 ACTS에서 공부하 고 있는 재학생들, 특히 석박사과정 중에 있는 한국 학생들 및 외국인 학생 들을 통해 발휘되기를 기대한다. ACTS 출판부는 ACTS가 추구하는 신학-선 교적 사상과 비전을 현실화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도구로 기능을 다하도록 고려해야 한다. This paper has been designed in terms of the theological-religious movement of ACTS which was established in 1974 for the purpose of evangelization of Asia and the world based on theocentricism and evangelicalism as her educational value. It aims to elaborat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goals of the New Testament Studies Department (NTSD) of ACTS as a theological institution. I, first of all, will define several theological terms such as ‘theology’, ‘Christian theology’, ‘biblical studies’ and ‘biblical theology.’ Then I also briefly sketch with some comments the New Testament studies past, present and future in light of their hermeneutical methods. After doing so, I propose five suggestions as tasks for NTSD of ACTS as part of ACTS’ theological-religious movement. Considering that NTSD of ACTS should be organized and developed within the reformed-evangelical biblical theology, the paper claims these theoretical-practical elements are to be presented in an inter-relational academic framework. These elements are as follows: (1) the Bible exegesis centered on NT biblical theology based on the sound doctrine of the Scripture, (2) the symphonic NT biblical theology, (3) the NT biblical theology focusing on such themes of Christology, the Kingdom of God and salvation, (4) the NT biblical theology as an integrated and interdisciplinary department and (5) the NT biblical theology which serves eschatological and missional life in everyday situation. This academic movement is driven by both the ACTS’ biblical theology professors and other members of ACTS’ faculty. In a similar vein, this is to be well actualized in ACTS’ Korean and international students, particularly those who are engaged in ThM and PhD programs. One way for this academic movement to be practically promoted is through the ACTS Press in a series of publication, which can be considered a vital and effective tool in making the ACTS theological-religious thoughts and vision realized.
회개 - 한국교회 갱신을 위한 단초; 사도행전과 평양대부흥운동에 근거하여
허주 ( Ju Hur )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5 No.-
해외 개신교 선교사로부터 복음이 전해진 1885년 이래 한국 기독교는 하나님의 축복과 은혜를 크게 입었다. 그럼에도 안타까운 현실은 한국 개신교, 특히 개혁신학을 표방하는 한국 장로교에 적지 않은 분열이 있었다는 사실이다. 한국교회의 갱신과 회복을 위한 해법은 몇 가지가 있겠지만 나는 사도행전과 평양대부흥운동에 기초한 성경적-교회사적 전거를 따라 참된 회개 개념에 대한 깨달음과 삶의 적용이 한국교회에 가장절실한 것임을 드러내고자 했다. 사도행전의 회개 문맥은 아래의 다섯가지 요소가 두드러졌으며, 이것들은 평양대부흥운동에서 나타난 역사적 보도에서도 동일 내지 유사한 함의가 있음을 보여준다. (1) 회개는 죄사함과 성령의 나타남 가운데 진행되는 구원의 중요 과정이다. (2) 회개는 예수의 죽음과 부활 그리고/또는 하나님의 말씀(성경)을 인용-해석하여 풀어줄 때 나타난 열매이다. (3) 회개는 복음을 받은 사람들의 예수/하나님/성령 중심적 사고와 함께 행위/삶의 새로운 결단과 헌신으로 나타난다. (4) 회개는 모든 인종(유대인과 이방인; 한국인과 일본인 등)에 게 필요한 신앙적 체험이며 인종-문화-지리적 장벽을 넘어서 선교를 발생시키는 동인이 된다. (5) 회개는 하나님의 뜻/계획 가운데 일어나는 일이며, 회개 선포 자체가 하나님의 뜻/계획을 세우는 일이다. 삼위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로 나타나는 회개는 또한 인간의 철저한 인격적 반응(입술 고백과 삶의 변화)으로 나타나는 회심(구원)의 첫 단계이자 그리스도인의 계속적인 성화된 삶의 표식(고후 7:5-16 참조)이다. 이런 점에서 오늘의 한국교회 성도는 무엇보다 바른 회개 개념을 회복함으로써 하나님 나라를 누리고 선포하는 특권과 책임을 이 땅 가운데 온전히 드러내야 한다. It is no doubt that the blessings and grace of God have made the Korean Church richly flourished since 1885. In spite of this, the schism of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which strongly claims to have ``reformed theology`` is not a trivial but a critical matter nowadays. There might be several ways of solution to it, but I have presented a biblical and historical clue to the renewal of the Korean Church in crisis, that is, an urgent call to repentance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cts of the Apostles and the Pyongyang Great Revival Movement. This means that the Korean Church needs to reappraise the essential concept of repentance based on the Holy Bible and to faithfully put this understanding into practice in life. According to the Acts of the Apostles, I have suggested the following fiv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meaning of repentance. (1) Repentance is the major part of salvation process along with forgiveness of sins and the work of the Holy Spirit. (2) Repentance is made as a spiritual fruit in a way which Jesus` witnesses proclaim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and/or preach the word of God. (3) Repentance demands people to lead the God-Christ-Spirit oriented life and commitment to the Gospel. (4) Repentance is found as a spiritual common ground between the Jews and the Gentiles who accept Jesus as Christ. It is also a basic motivation that drives an active evangelism/mission beyond the barriers of race, culture, and geography. (5) Repentance is after all God`s divine business which occurs in the plan/will of God. In summary, repentance is, on the one hand, set by the triune God`s sovereign work and is, on the other hand, a first meaningful step of human beings as to the Christ event, that is,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Christ. This biblical concept of repentance has been more supported and elaborated by the historical and religious testimonies of the 1907 Pyongyang Great Revival Movement called as the Korean Pentecost. In so doing, I have called the Korean Church (and any reader) into attention to the well-balanced understanding of repentance as major part of salvation in order to be restored and rekindled as a dynamic Spirit-led Church today.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한 혁신학교 성과와 한계의 구조적 탐색
박세준(Seijoon Park),허주(Ju Hur),이승호(Seung-Ho Lee)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2
본 연구에서는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혁신학교 운영에 관한 36편의 질적 사례 연구를 분석하여 혁신학교의 성과와 한계를 구조적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민주적 학교 운영(학교장, 교사, 학생), 교사학습공동체, 창의적 교육과정, 학부모 및 지역사회 연계로 분석 기준을 설정하고 각각의 영역별로 성과와 한계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각 영역 간 결합(pairing)을 통해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여 혁신학교 성과와 한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혁신학교 운영에서 성과와 한계가 공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영역별 성과와 한계의 주요내용들을 확인하였다. 둘째, 혁신학교 운영에서 성과와 한계의 각 영역 간 상호관련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창의적 교육과정 운영은 민주적 학교 운영(학교장, 교사, 학생), 교사학습 공동체, 학부모 및 지역사회 연계와 상호관련성이 높았으며, 민주적 학교운영의 학교장 성과(권한위임, 분산적 리더십 등)는 교사의 소통 및 공동체 형성과 긍정적 관계를 가졌으나, 갈등 및 소외 등의 부정적 관계 또한 있었다. 교사학습공동체 영역에서는 교사의 전문성 향상이 민주적 학교 운영을 통한 교사와 학생의 성과와 결합되어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한계를 제언하였다. Using qualitative meta-synthesis,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of Innovation Schools. A total of 36 qualitative case studies regarding Innovation Schools were analyzed using criteria divided into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of principal, of teacher, of studen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reative curriculum, and parent and community ties for its’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Additionally,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of Innovation Schools were analyzed by pairing among the areas to identify inter-relevanc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first, accomplishments and limitations coexisted in Innovative Schools, and the main contents of them in each area were identified. Second, inter-relevance among the areas was recognized. Specifically, creative curriculum was highly correlated with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of principal, of teacher, of student),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nd parent and community ties. In addition, to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studies identified that school principals’ authority delegation and distributed leadership were positively related to communication with teachers and being a community, but separately, negatively linked with occurrences of teachers’ conflict and alienation. Furthermore, studies recognized that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ism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ombined to act with accomplishments factors of teacher and of student in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qualitative meta-synthesis research are discussed.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ing)을 활용한 혁신학교의 지속 요인 분석
권순형(Kwon Soonhyong),허주(Hur 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이 연구는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ing)을 활용하여 혁신학교의 지속 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으며, 혁신학교의 지속성은 혁신학교 철학과 관점을 공유하는 교원이 중요하다는 판단 아래, 어떠한 정책적 조건이 갖추어진 경우에 교원이 혁신학교를 선택하는가를 분석하였다. 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Model of school choice with information asymmetries’ Netlogo 6.1.1의 행위자기반모형 코드를 활용하여 ‘교원전보 행위자기반모형’을 개발하였고, 총 24가지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산출하였다. 결과 산출된 24가지의 시뮬레이션 결과 중에서 세 개의 시나리오 분석 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혁신학교의 양적인 증가 및 관련한 정책적 유인가는 혁신학교의 지속에 긍정적 영향을 주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성의 핵심적인 요인으로 교원이 가진 필요 충족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마지막으로 교원의 혁신학교 선택과 혁신학교의 지속을 위해서는 교원이 갖는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혁신학교의 지속을 위해 보다 중⋅장기적 관점에서 학교 구성원의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함을 논의하였으며, 교육학 분야에서의 행위자기반모형 활용에 관한 논의를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analyze factors of Innovation Schools’ sustainability through Agent Based Modeling (ABM). Specifically, focusing on findings from previous research that sharing value of Innovation School among teachers is on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sustaining, this study investigated on what policy conditions motivate teachers to choose Innovation School. Methods ABM was programed based on ‘Model of school choice information asymmetries’, entitled ‘Teacher-Transfer ABM Netlogo 6.1.4’, and a total of 24 scenario simulations were analyzed with different policy variables. Results Among 24 analyzed scenarios, scenario 3 is reported in detail, which showed that increasing number nor expanding valence of Innovation Schools do not have positive affect in attracting teachers to the Innovation Schools. The results, however, showed, that fulfilling teachers’ need increase the number teachers who choose Innovation School as well as teachers’ innovative valu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olicies regarding Innovation School need to consider school members’ need in a more long-term perspective in order to enhance sustainability of the Innovation Schools. In addition, ABM could be applied to educational research.
MZ세대와 기성세대 초등교사 간 가치관, 수업활동, 직무만족 및 소진 차이
김민규(Min Kyu Kim),허주(Ju Hur)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2
이 연구는 한국초등교원종단연구 2차년도(2022년) 자료 분석을 통해 최근에 입직한 MZ세대 교사들의 사고방식이나 행동양식 등을 기성세대와 비교하여 살펴봄으로써 세대 간 이해의 폭을 확장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교사들의 가치관(교육관, 학생관, 교직관), 수업활동(교육과정 재구성, 수업방법, 학생평가), 직무만족(직무만족도, 소진)과 관련한 상당수의 문항에서 MZ세대 교사와 기성세대 교사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일정한 패턴을 갖고 나타난 차이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사의 가치관 중 학생관과 관련하여 MZ세대 교사들은 기성세대에 비해 후천적 교육적 변화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미래 학교교육에서 교사가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하였다. 둘째, 교육과정의 재구성 및 수업방법 측면에서는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학생평가의 영역에서는 MZ세대 교사가 기성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들에게 더 적극적인 평가 피드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Z세대 교사들은 기성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직무만족도를 갖고 있으며, 높은 수준의 소진을 경험하고 있었다. 만족요인에 관한 분석에서도 수업활동, 학생지도 및 학급경영, 학생들의 성장에 기여, 사회의 발전에 기여, 보수 수준에 대해서 기성세대에 비해 낮은 응답평균을 나타냈으며, 유일하게 ‘시간적인 여유’만이 상대적으로 높은 응답평균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교사 세대를 대상으로 하는 일련의 후속 연구의 필요성과 함께 MZ세대 교사의 만족도 제고 및 소진 완화에 대한 정책적 대응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range of understanding between generations and derive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thinking and behavioral styles of MZ generation teachers who recently joined the company through data analysis in the second year of the Korean Teacher Longitudinal Study(2022). However, in the area of student evaluation, MZ generation teachers and older generation teacher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 large number of questions related to teachers' values (educational, student, and teaching), class activities (curriculum reorganization, teaching method, student evaluation), an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he differences with a certain pattern we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student relations among teachers' values, MZ generation teachers were more positively aware of the possibility of acquired educational change than the older generation, and it was expected that teachers would play a central role in future school education.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in terms of curriculum restructuring and teaching methods. However, in the area of student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MZ generation teachers gave relatively more active evaluation feedback to students than the older generation. Third, MZ generation teachers had relatively low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older generation and were experiencing a high level of burnout. In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factors, the response average was lower than that of the older generation in terms of class activities, student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students' growth, social development, and remuneration levels, and only 'time margin' showed a relatively high response average. Based on these findings, a series of follow-up studies targeting the new generation of teachers were needed, and policy responses to the improvement of satisfaction and burnout mitigation of MZ generation teachers were prop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