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aubechies 웨이블릿 필터를 사용한 볼륨 데이터 인코딩

        허영주,박상훈,Hur, Young-Ju,Park, Sang-H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3 No.7

        데이터 압축 기술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 요구되는 데이터의 용량이 커지고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도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특히 다양한 응용과학과 공학 분야에서 산출되는 볼륨 데이터는 컴퓨팅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그 용량이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본 논문에서는 Daubechies 웨이블릿 변환을 적용해서 볼륨 데이터를 압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구현된 D4 웨이블릿 필터 기반 압축 기법은 3차원 볼륨 데이터에 대한 손실 압축과 블록 단위의 무작위 추출 복원을 지원한다. 본 기법은 기존의 Harr 필터를 이용한 압축 방식에 비해 복원 데이터의 손실율이 낮기 때문에, 정밀한 복원 영상이 중요시되는 대용량 데이터의 압축 및 인터렉티브 가시화 응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ata compression technologies enable us to store and transfer large amount of data efficiently, and become more and more important due to increasing data size and the network traffic. Moreover, as a result of the increase of computing power, volumetric data produced from various applied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has been getting much larger. In this Paper, we present a volume compression scheme which exploits Daubeches wavelet transform. The proposed scheme basically supports lossy compression for 3D volume data, and provides unit-wise random accessibility. Since our scheme shows far lower error rates than the previous compression methods based on Haar filter, it could be used well for interactive visualization applications as well as large volume data compression requiring image fidelity.

      • KCI등재

        가족관계 친밀성이 청소년의 공동체의식 발달궤적에 미치는 영향 : 봉사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와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허영주 ( Hur Young-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KCYPS) 중1에서 고3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여 가족관계의 친밀성이 봉사활동 만족도를 매개로 하여 공동체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영향 관계가 남녀학생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통계적 방법으로 잠재성장모형과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관계의 친밀성, 봉사활동 만족도, 공동체의식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선형적으로 증가하며, 초기치와 변화율에 개인차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녀학생을 구분하지 않았을 경우, 봉사활동 만족도 초기값과 변화율은 각각 부분매개효과를 지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가족관계 친밀성 초기값은 봉사활동 만족도의 변화율이나 공동체의식의 변화율에 직ㆍ간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남녀학생을 구분하여 모형을 검증한 결과, 중학교 1학년 남학생의 경우는 부분매개모형이고 중학교 1학년 여학생은 완전매개모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1 이후부터 고3까지 남녀학생 모두 봉사활동 만족도 변화율이 가족관계 친밀성의 변화율과 공동체의식의 변화율을 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중1 남학생의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해서는 가족관계 친밀성과 봉사활동 만족도를 모두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여학생의 경우에는 가족관계 친밀성 향상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2부터 고3학년까지 매년 남학생은 가족관계 친밀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으며, 여학생은 가족관계친밀성과 별도로 봉사활동 만족도도 함께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the mediating effects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between family intimacy and sense of community of adolescents, and to test difference of this effect relation between gender. Longitudinal data set using six years data from 2010(1st) to 2015(6th) among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As a statistical method,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three variables this study was to rise linearly as school year, and had personal differences in initial status and change rate. Second, if not distinguish between male and female, the initial status and change rate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was the partially mediated effect between two variables. But initial status of family intimacy was not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change rate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and change rate of sense of community. Third, if distinguish between male and female, boys of first-year grade in middle school has the partially mediated effect model and girls has the perfectly mediated effect model. Also, change rate of family intimacy and sense of community of both boys and girls from 1st grade in middle school to 3 grade high school were no mediated by change rate of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o build sense of community of boys of first-year grade in middle school need to increase both family intimacy and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And to build sense of community of girls of first-year grade in middle school need to increase only family intimacy. Second, to build sense of community of boys from 1st grade in middle school to high school 3 grade need to increase family intimacy every year. To build sense of community of girls during this period need to increase not only family intimacy but also satisfaction with volunteer activities every year.

      • KCI등재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사용이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적 위축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

        허영주(Young Ju Hur) 교육종합연구원 2023 교육종합연구 Vol.2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사용이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적 위축의 순차적 이중매개를 통하여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종단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 데이터의 초등학생 4학년에서 6학년까지의 자료와 중학생 1학년에서 3학년까지의 자료를 활용하고 잠재성장모형을 통해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때는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사용이 학업열의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을 미치며,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적 위축 각각을 매개로 하여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부분적인 매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마트폰 과의존과 사회적 위축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영향을 미치는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의 학년이 올라가면서 학업열의를 감소시키는 비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 시기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사용과 스마트폰 과의존 정도였다. 반면, 각 변인들의 변화율은 학업열의의 감소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게임, TV/동영상 시청 등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지도를 진행할 뿐 아니라 사회적 위축 예방을 위한 대인관계 증진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스마트폰 과의존을 예방할 수 있도록 청소년과 가족들이 함께 참여하는 코칭과 상담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ngitudinally analyze the effect of leisure-oriented smartphone use on academic enthusiasm, through sequential dual mediation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ocial withdrawal, targeting uppe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To this end, data from 4th grade to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from 1st to 3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8 data were used,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variables was analyzed through the potential growth model.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it was found that the use of smartphones for leisure pursuits ha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academic enthusiasm, that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relationship that affect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ocial withdrawal as mediat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is double mediation effect that affects 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social withdrawal sequentially. Second, academic enthusiasm decrease as the grade goes up, and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decrease rate was the leisure-oriented smartphone use and smartphone over-dependence during the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 of middle school. On the other hand, the rate of change of each variables did not affect the rate of decrease in academic enthusias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was proposed to provide guidance for the leisure-oriented smartphone use such as games and TV/Videos watch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prevent social withdrawal, and coaching and counseling program in which adolescents and their families participate together to prevent smartphone over-dependence, to 4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1st graders in middle school.

      • KCI등재

        Lefebvre의 공간생산과 리듬분석이론이 교육공간 분석에 주는 의미

        허영주(Hur, Young-J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2

        이 연구는 Lefebvre의 공간생산과 리듬분석이론이 교육공간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드러내고 교육공간의 창조적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접근방법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지를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론적 고찰의 결과, 첫째, Lefebvre의 공간적 실천 분석, 교육적 공간 표상 분석, 체험적 공간 분석의 세 차원으로 이루어진 교육공간에 대한 분석틀은 교육과 관련된 제약과 모순을 보다 정교하면서도 종합적으로 파악하게 해 줄 수 있다. 둘째, Lefebvre의 리듬분석은 교육공간 속에서 일어나는 일상들의 과정적 변화 과정을 심층적인 연관성까지도 함께 조사할 수 있게 해준다. 셋째, Lefebvre의 차이생산이론은 이상적 상태의 제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생과 교사에게 더욱 의미 있는 교육공간을 창출할 수 있는 실천적 거점을 마련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육공간 분석의 새로운 관점으로 Lefebvre의 공간생산과 리듬분석이론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Lefebvre의 리듬에 관한 개념과 분석의철학을 반영한 절차적 과정을 정립하고 적용ㆍ검증하는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What is space in education? This study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the diagnosis of the educational space based on Lefebvre’s space production and rhythm analysis theory utilizing as approach could be exposed as its whole field and derived creative changes of its own space. Lefebvre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various academic fields by establishing his own theory of space through creatively developing the ideas of Marx. Results of this study is a three-point summary follows; Firstly, that analysis on three aspects of educational space, that is to say Lefebvre’s practical analysis, symbolic analysis, experiential and historical analysis could be elaborately, but at the same time totality grasp attribute of educational space. Second, Lefebvre’s rhythm analysis could be find in-depth interrelationship of these, as well as changing process of daily life of occurring within educational space. Finally, by Lefebvre’s differential space theory providing an ideal place for educational space, his theory can help that educational space should creatively produce a different space of learning and teaching on their won. So, this study proposed that Lefebvre’s space production and rhythm analysis theory to make use as alternative approach for diagnosis of the educational space. And this study proposed that elements and process of educational space analysis that best reflects the Lefebvre’s theory set up and will start practicing.

      • KCI등재

        보편성과 개체성의 통합으로서의 Badiou 진리론이 교육과정 구성에 주는 함의

        허영주(Hur Young j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5 敎育思想硏究 Vol.29 No.2

        이 연구는 Badiou의 진리론이 현재의 교육과정이론 및 교육과정 구성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 기존의 지식체가 결여하고 있는 다수의 진리가 존재한다는 Badiou의 진리론은 보편성을 강조하는 객관적 진리론과 개체성을 강조하는 구성적 진리론을 보완적으로 결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불안정하지만 공백의 일자화된 지식이 교육내용이 되어야 할뿐 아니라 주체가 확신을 가지고 해석적 개입과 충실한 탐색을 통해 진리가 면모를 갖추게 해야 한다는 Badiou의 관점은 내용지향적 교육과정이론과 과정지향적 교육과정 이론을 통합할 수 있음도 알 수 있었다. 나아가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먼저 교육목적은 충실한 진리생성의 주체를 양성하는 것에 두어야 한다. 다음으로 학습자들이 기존의 지식체계인 백과사전적 지식을 풍부하게 학습할 수 있도록, 그러나 예술, 과학, 정치, 사랑 등 사유 대상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교과목을 재편성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해야 한다. 나아가 학습자들이 새로운 진리를 생성할 수 있는 충실한 탐색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식을 비교ㆍ분석ㆍ평가ㆍ종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해야 하는데, 이는 학습자의 존재 자체의 변용에까지 이르러야 하고 이해관계에 휘둘리지 않는 무심한 태도를 지니도록 도와야 한다. 그러나 Badiou 진리론의 교육과정에의 적용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진리생성과정을 지지하고 돕는 또 다른 주체인 교사의 역할에 대한 보완적 논의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at Badiou’s true theory suggest to curriculum theory and curriculum desig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n curriculum studies, the theory of knowledge is one of the fundamental issues. Badiou’s truth theory as well as complementary connected up one is a viewpoint focusing on the universal and general aspects of knowledge and the other focusing on the individual and particular aspects of knowledge, also link up content-oriented approach and process-oriented approach of curriculum theory. Second, his true theory proposed changes to curriculum design as follows. Education’ purpose is to cultivate people that carry out one’s duties subjects of creation of truth faithfully. Contents is composed that knowledge of curriculum subject have a lot of existing pantology, and subject courses includes a five objects of thinking called art, science, politics, love. Also, aspect of method must be assisted that students possess explore abilities and disinterested attitude. But so as Badiou’s truth theory to applies curriculum design, is needed in-depth discussion about teacher’s role support that students carry out one’s duties subjects of creation of truth faithfully.

      • KCI등재

        개인적 변인과 평생교육 참여에 따른 노인 삶의 만족도 차이와 평생교육의 방향

        허영주 ( Hur Young-ju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2

        이 연구는 노인세대가 느끼고 있는 삶의 만족도를 파악하고 노인평생교육 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노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평생교육의 방향을 제언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2014년도에 실시한 ‘한국복지패널 9차년도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령대와 연간 경상소득, 건강상태는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반면, 상대적으로 거주지역과 성별에 따른 노인 삶의 만족도에는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연령대’와 ‘연간 경상소득’간에는 상호작용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생교육에 참여한 노인이 0.03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생활교육 중심의 노인평생교육은 여가생활, 가족관계, 사회적 관계 향상에 도움을 주었지만 취ㆍ창업교육은 취업 및 창업을 통한 수입 창출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노인 대상 평생교육의 일반화를 위해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제공할 것, 노인세대의 연령대와 소득수준 및 건강상태에 따라 차별화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것, 연령대와 소득수준을 복합적으로 고려한 평생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it changed of old people`s satisfaction in life through engaging in elderly lifelong education, and by figuring out how much degree of they have be satisfied their own feelings of life, gave direction to elderly lifelong education`s efforts for raise the old people`s life quality. First, age group, yearly ordinary income, one`s physical condition brings in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of old peoples, but as a result of residential quarter and sex didn`t exist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Second, old peoples engaged program of cultural & civilized contents make remarkable progress in life satisfaction of leisure, family relations, social closeness, degree of occupation and income satisfaction of old peoples engaged job training & entrepreneurship education not give rise. As follows is suggested on the conclusion, that must give positive aid to elderly lifelong education for old peoples, and that provide a differentiated program and contents based on age group, yearly ordinary income, one`s physical condition, specially what is better that these are interaction between age group and yearly ordinary income to be considered.

      • KCI등재

        통섭론의 비판적 이해를 통한 교육연구에서의 통섭 논의의 방향 탐색

        허영주(Hur, Young-j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1 敎育思想硏究 Vol.25 No.1

        이 글은 지금까지 제안된 다양한 통섭론을 비판적으로 이해하며, 이를 통해 교육에서의 통섭 논의에 적합한 통섭의 개념과 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통섭을 통섭(統攝)으로 개념화하고 이해하고 있는 세 관점과 통섭(通攝)으로 개념화하고 있는 세 관점을 비판적으로 이해함으로써, 통섭(統攝)은 창조적 통섭(統攝)으로, 통섭(通攝)은 비판적 통섭(通攝)으로 개념화해야 함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육에서의 통섭 논의는 통섭의 대상에 따라 차별화된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함을 논하였다. 교육학 기초학문분야 내의 통섭, 교육실천 학문분야의 통섭, 교과교육학을 위한 통섭, 교육이론과 실천의 통섭은 창조적 통섭(統攝)으로 방향을 잡아야 하며, 교육학 기초학문분야 간의 통섭, 교육학 기초학문분야와 실천학문분야의 통섭은 해석학적ㆍ비판적 통섭(通攝)으로 방향을 잡아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학과 타학문분야와의 통섭, 교과내용학의 통섭은 해석학적ㆍ비판적 통섭(通攝)과 창조적 통섭(統攝)의 두 차원에서 모두 접근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에서의 통섭을 위해서는 통섭 목적의 수립, 조심스러운 개인 간 통섭, 진정한 개인내 통섭의 순차적 과정을 밟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연의 확대와 함께 내연의 충실이 통섭성공의 조건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represent different perspectives and explanations on consilience, and to provide appropriate concept and theory for consilience in education studies. So, it is explored that consilience theory of Wilson, Wilber, Whitehead, Deleuze, Wonhyo, Park Younggun. And it is provided that consilience as integration of knowledge is same creative consilience, and consilience as communication of knowledge is same critical consilience. Also, and it is proposed that used different consilience concept and theory following target of consilience for education studies. Consilience for foundational area of education, practical area of education, subject-educatio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are oriented towards creative consilience as integration of knowledge. But consilience between foundational area of education, and consilience for foundational and practical area of education are oriented towards hermeneutical-critical consilience as communication of knowledge. Also, consilience education and various disciplinary, consilience of curriculum are oriented towards both hermeneutical-critical consilience and creative consilience. Finally, it is proposed that solve the questions in consecutive order as check consilience's purpose, consilience of interindividual and consilience of intrapersonal for consilience of education studies. Also, it is proposed that strive to secure and deep educational studies in company with consilience.

      • KCI등재후보

        초월지향적 대화의 전개절차 탐색

        허영주(Hur, Young-ju)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14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Noddings의 일상적 대화와 Hutchins의 위대한 대화를 초월지향적 대화로 활용했을 때의 장점과 한계점을 논리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초월지향적 대화가 어떤 절차로 진행되어야 할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실행되었다. 두 대화 유형은 각각의 장점과 한계점으로 인해, 초월지향적 대화를 위해 활용하기에는 부분적 적합성을 지니지만, 서로 보완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초월지향적 대화는 Noddings의 일상적 대화와 Hutchins의 위대한 대화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입장에서 세 단계로 진행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첫째, 교사는 위대한 저서들을 순차적으로 꼼꼼하게 읽으면서 위대한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학생들의 일상과 연결될 수 있는 일화를 재구성한다. 둘째, 교사가 추출해 낸 아이디어 또는 주제는 교사의 머릿속에 밑그림으로 존재하며, 교사와 학습자의 실제 대화는 일화를 중심으로 한 일상적 대화로 시작해야 한다. 셋째, 일화를 중심으로 일상적 대화로 진행되던 아이디어와 주제를 내면적 탐색과 이웃, 자연, 인류, 세계, 우주, 신에게로 확장한다. 마지막으로 초월지향적 대화는 교사의 자질적 측면에 전적으로 좌우되기 때문에, 교사들이 자신의 전공 영역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과 관련된 지성을 함양해야 할뿐 아니라, 지식을 조직, 표현, 전달하는 방법인 교양적 기술과 공감능력 및 상상력 등을 함양해야 함을 주장하였다. 나아가 교사 자신이 영적 탁월함을 지녀야 하므로 영성함양을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함도 제안하였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of Noddings’s ordinary conversation and Hutchins’s great conversation for transcendence-oriented conversation, and to relate it the how transcendence-oriented conversation are going that strengthen the strength and make up for the weakness of two type conversations. Two type conversation have a partial suitability due to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but find that they are the complement of each other. Therefore, I am proposed that transcendence-oriented conversation pass through three phases as follows. First, the teacher explore great ideas through read gradually and carefully ‘great books’, since then build stories around a student’s everyday life based on great ideas. Second, conversation i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begin talking ordinary conversation based on stories, under ideas and themes that teacher extract exist underdrawing in the brain. Third, conversation themes to diverge from ideas that told ordinary conversation based on stories, and to broaden ideas to oneself inside exploration and neighbors, nature, humankind, the whole world, the universe, god. Lastly, I am proposed that teacher not only have intelligence for major and various domain, cultural skills, empathic ability, imagination but also have spiritual excellence, in order that teacher successfully doing transcendence-oriented conversation.

      • KCI등재후보

        평생교육 평가방식의 문제와 홀리스틱 평가관의 도입

        허영주(Hur Young Ju)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2015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19 No.4

        이 연구는 홀리스틱 평가관이 평생교육의 목적과 특성에 부합하는 평가방식임을 논증함으로써 홀리스틱 평가관을 평생교육을 위한 대안적 평가방식으로 도입해야 함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평생교육의 성격과 특성에 부합하는 평가는 상황적 맥락까지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해야 하고 발달적 평가관에 기반을 둔 변용적 평가여야 하며,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참여시키는 다학문적 접근을 취해야 함을 살펴보았다. 둘째로, 현재 평생교육 평가를 주도하고 있는 기존의 접근방식은 성과중심의 양적 평가방식, 그리고 학습자와 전문가의 형식적 참여라는 문제로 인해 평생교육의 목적과 특성에 맞는 평가방식을 취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로 홀리스틱 평가관은 과정지향 평가, 양적 및 질적 평가 자료를 혼합 활용하는 평가, 환경적 맥락까지 고려한 평가, 전인적이고 영적인 측면까지 포함하는 평가, 발달적 평가관에 기반을 둔 평가, 다원적 상호의존적 평가를 특징으로 함으로써 평생교육 평가의 요구조건에 부합하는 평가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논증을 근거로 평생교육 평가의 대안적 관점으로 홀리스틱 평가관의 도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위해 홀리스틱 평가관의 도입에 필요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음도 제안하였다. This paper aims to suggest that holistic perspective can use as new approach in evaluation of lifelong education, as theoretically argue that it's nature match up aim and character of lifelong education in every detail.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is study, first I claim that evaluation to answer the aim and character of lifelong education ought to has nature that use variable evaluation's method grasp fully the diverse factor to include context of evaluation, must be transformative evaluation based on developmental view of assessment, needs to take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as various experts to participate. Second, I prove claim that these doesn't match up aim and character of lifelong education, because students satisfaction analysis and expert-oriented evaluation lately proposed as advanced methods as well as traditional approaches as standardized testing and performance monitoring has limitation. Third, I discuss that holistic evaluation do match up aim and character of lifelong education, because holistic evaluation has characteristics that process-oriented, mixed use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consideration until situational context, including whole and spiritual development of human, based on development evaluation, multi-dimensional and interdependent judgment. Consequentially, I propose the necessity for the adoption of holistic evaluation as alternative approach that make up for the weak points and limit of traditional evaluation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