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문장편 고전소설 <조씨삼대록> 속 노년의 모습과 그 함의-노년의 ‘신체’와 ‘감정’에 주목한 서술을 중심으로-

        허순우 한국고전연구학회 2018 한국고전연구 Vol.0 No.40

        This study about Korean Classical long Novel <Chossisamdaerok> examines on its portrait of elderly people, especially focusing on the description on their bodies and emotions, thus investigates an aspect of the cognizance of the aged the novel carries. In oriental way of thinking, the meaning of aging tends to be sought from our minds first. But body and emotion can’t be overlooked to fully understand the aged. Korean Classical long Novel ls have been commonly understood to support an ideal and normative image of the aged that is mentally mature, while an examination on the description of <Chossisamdaerok> on them confirms that its view on the aged is not entirely normative. To understand its cognizance of the aged, this study concentrated upon its mentions of bodies of the aged which are described more healthy and vigorous than those of the young, and upon the frank description of the uncontrollable emotions of the aged. As the result, it can be said that in physical aspect, the novel sees the aged as vigorous ― instead of impuissant ―, and realistic beings who can preferentially follow bodily desires, and are as mentally immature as red-blooded youth. It can be also confirmed that it doesn’t entirely devaluate the experience and age of the aged just because they are unfinished beings who can’t meet the ideal expectation. Image of the aged in <Chossisamdaerok> as seen in physical aspect represents much as a vigilance against the understanding that fixates an ideal image of the aged and use it as a measure to evaluate and alienate them. It also has a significant meaning as a proof of the overall characteristic of <Chossisamdaerok> as a novel that is concerned about human nature and matters of individuals. 본 연구는 국문장편 고전소설 <조씨삼대록>이 그리고 있는 노년의 모습 중, 노년의 몸, 즉 노년의 신체와 노년의 감정을 서술한 부분에 주목하여 <조씨삼대록>이 담지 하였던 노년에 대한 인식의 일면을 살펴본 것이다. 동양적 사유에서는 나이 듦의 의미를 정신에서 우선적으로 찾으려는 경향이 있지만, 노년을 온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신체와 감정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국문장편 고전소설은 정신적으로 원숙한, 이상적이며 규범적인 노년상을 지지하는 것으로 그간 분석되었는데, 노년의 몸에 관한 <조씨삼대록>의 서술을 검토해본 결과 노년을 바라보는 시각이 온전히 규범적이지만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씨삼대록>의 노년인식을 이해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젊은이보다 건강하고 왕성하게 묘사되는 노년의 신체에 대한 언급과, 억제되지 않는 노년의 감정을 진솔하게 서술한 내용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이 작품은 몸의 층위에서 노년을 이해하는 경우, 그들을 무기력한 존재가 아닌 활력적인 존재로 바라보고 있으며, 혈기가 미정한 젊은이들과 다를 바 없이 정신적으로 미성숙한 부분이 있기도 하고 몸의 욕망을 우선적으로 따를 수도 있는 현실적인 존재들로 이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노년의 인물들이 이상적인 기대와 달리 미완의 존재들이라는 점을 확인했다고 하여 노년의 경험이나 연륜을 전적으로 부정하지는 않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몸의 문제에 주목하여 본 <조씨삼대록> 속 노년의 모습은 이상적인 노년상을 정해두고 그것을 잣대 삼아 노년을 평가하고 타자화하려는 인식에 대한 경계로서 의미가 있으며, 인간의 본성과 개인의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던 <조씨삼대록> 전반의 특징을 뒷받침해주는 하나의 증거로서도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국문장편 고전소설 감상사전」 ‘인물 편(人物篇)’의 구성 방식과 의의

        허순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1 한국문화연구 Vol.21 No.-

        Out of the five items,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focus on the characters and to propose an effective, descriptive and meaningful character part in cyclopedia to serve as a reference for Korean classic novels. However, compiling such a general cyclopedia can be very subjective and is no easy task. Despite this, the goal was to compile a cyclopedia that both experts in the field and newcomers could use. Since dictionaries are usually a resource that requires objectivity, and a cyclopedia would be subjective, it would be of great importance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two. Especially in the chase of a character part of cyclopedia, on one hand there is the case of first-time readers and the need to connect them with the material but, on the other hand, the material cannot be too opinionated or subjective. In addition, extracting material from Korean classic novels in more than twenty volumes to form a database of themes, entries and headwords is a daunting task. After considering these problems it was necessary to first look into the structure of existing and published material of literature and character dictionaries. In conclusion, the character part of this cyclopedia will concern itself with 1) family lineage, 2) character introductions, 3) character and plot relationship, 4) the four main plot themes usually tied to characters and those plots then further broken down into sub-plots. Between family lineage and character introduction, objective description is possible, between 3) and 4) a researcher’s subjective judgments should be supported with information that has precedence and analyzed results. The problem of 3) and 4)’s subjective material should be supported with objective analysis. In addition, as pertaining to 3) the cyclopedia should clearly show relationships having to do with (1) father-son and mother-son relationships, (2) daughter-in-law and mother-in-law relationships, (3) uncle-nephew relationships, (4) sovereeign-subject relationships, (5) teacher-student and other vertical relationships along with (1) married, (2) concubine/mistress, (3) sibling, (4) non-blood relations and other horizontal relationships. The relationships should be outlined clearly while expressing the hidden meaning. With respect to 4), it is necessary to choose many subjective functions so as to enhance the enjoyment and readability of the novel, to emphasize the originality of said works and to incorporate all these items into a ‘character part in cyclopedia’. In conclusion, the role of the ‘character part in cyclopedia’ would be to lay out the themes and meaning behind the work with discretion to the reader and the various tastes readers might have. While taking these things into consideration and introducing the general parts of a formal story, the ‘character part in cyclopedia’ focuses on the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s a setting and to help the reader immerse themselves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that other cultural texts may not have been able to do. 본 논문의 목표는 「국문장편 고전소설 감상사전」을 구성하는 인물, 역사, 공간·지리, 생활·문화, 문학·지식의 다섯 개의 하위 항목 중 ‘인물 편(人物篇)’에 초점을 맞춰 해당 편의 구성 방식을 제안하고, 해당 편이 갖는 감상사전으로서의 의의 혹은 기대 효과를 예상해보는 데 있다. 감상사전 편찬을 기획하는 단계에서 문학작품 독서 과정에 ‘감상사전’이 어느 정도 개입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있었다. 그 결과 국문장편 고전소설에 관심이 있는 대학원생 이상을 주된 독자로 하되, 문학 전공자와 비전공자 모두 읽을 수 있는 ‘사전(事典)’을 편찬하기로 방향을 잡았다. 비교적 객관적인 정보만을 서술하는 사전(辭典)에 비해 사전(事典) 집필은 주관적인 서술과 객관적인 서술 간의 균형을 맞추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실질적인 집필에 앞서 서술 방향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인물 편’의 경우 한 편의 작품을 읽지 않은 독자도 사전을 통해 소설 전반의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자는 사전 편찬의 취지를 살리면서 사전으로서의 기본 성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하위 항목 설정이 세심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 평균 20여 권 이상의 분량으로 된 국문장편 고전소설 작품 속에서 어떤 것들을 뽑아 주제화 하고 표제어로 삼을 것인가에 대해서도 고민해보아야 한다. 이러한 문제들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인물 편’ 구성과 서술을 위해 먼저 기존에 간행된 다양한 종류의 인물·문학 사전들을 검토하고 그 결과 ‘인물 편’을 1) 주요 가문 가계도, 2) 등장인물 소개, 3) 인물 관계와 사건, 4) 테마별로 묶어보는 인물과 사건의 네 개 항목으로 나누고, 다시 각 항목 안에 하위 항목을 두어 서술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1)과 2) 항목은 비교적 객관적인 서술이 가능한 것이고, 3)과 4)는 연구자들의 주관적인 판단이 개입할 수밖에 없는 형태의 것이다. 3)과 4) 항목의 주관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하위 항목 설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선행 연구 성과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 3) 항목에서는 다시 (1) 부자·모자 (2) 고부·옹서(시아버지와 며느리·사위와 장모) (3) 숙질 (4) 군신·주종 (5) 사제 등의 수직적 관계와 (1) 부부 (2) 처처·처첩 (3) 형제·남매 (4) 사돈 (5) 붕우 등의 수평적 관계를 기준으로 각 관계 안에서 벌어지는 사건과 그것이 함의하는 것을 하위 항목에서 서술할 것을 제안하였다. 4) 항목의 경우 개별 작품마다 상이한 묶음들이 도출될 수 있는 부분으로서 작품 감상의 흥미를 높이고 작품의 독자성을 확인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므로, 연구자의 주관이 많이 개입하는 항목임에도 불구하고 ‘인물 편’을 구성하는 한 부분으로 설정하였다. 끝으로 감상사전 ‘인물 편’의 역할 및 의의를 작품의 주제와 향유층의 취향을 보여주는 새로운 형식의 소설론, 국문장편 고전소설의 유형성과 개별성을 확인할 수 있는 전문사전, 국문장편 고전소설과 조선의 사회 문화를 조망할 수 있게 하는 문화텍스트의 측면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 KCI등재

        국문장편소설 <소현성록>을 통해 본 17세기 후반 놀이 문화의 일면

        허순우,Hur,Soon-woo 한국고전연구학회 2015 한국고전연구 Vol.0 No.31

        고전문학과 예술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진행한 ‘놀이 문화’에 관한 연구, 그 중에서도 ‘유흥 문화’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18세기 이후의 양상과 의미를 살피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많은 연구들이 18세기 이후의 놀이 문화가 앞선 시기보다 ‘상대적’, 혹은 ‘본격적’으로 발달했다는 표현을 사용하고 있는 만큼, 과연 그보다 앞선 시기인 17세기 중후반의 놀이는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지 의문이 든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임진왜란, 병자호란 이후부터 18세기 이전까지에 해당하는 17세기 중후반이 ‘본격적인 조선 후기’로 가는 “전환기”에 해당한다면 그 시기 사람들이 인식했던 놀이 문화의 양상과 그것이 내포하는 의미는 무엇인지를 17세기 국문장편소설 <소현성록>을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작품에 서술된 놀이나 취미 등이 당대의 놀이 문화를 그대로 재현한 것임을 확인하는 것에 목표를 두지 않았다. 대신 다양한 놀이나 취미들을 작품에 등장하는 것과 같은 형태로 상상하거나 수용하고 묘사할 수 있는 문화적 성향, 기호들이 존재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그 양상은 어떠하며 그것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에 초점을 맞춰 논의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작품에 서술된 놀이 문화의 양상을 “집 안팎에서 벌이는 소비적 놀이”와 “사치품들을 수집하고 기르는 취미”라는 두 항목으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3장에서는 2장의 내용을 근거로 하여, <소현성록> 속 놀이문화는, 작품 내적으로는 이념의 이면에 존재하는 세속적 욕망과 취향을 강하게 노출함으로써 작품의 결을 다양하게 형성하는 기능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작품 외적으로는 18세기 이후가 되어서야 조선사회가 사치와 향락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기존의 논의와 달리, 17세기 중후반의 상층 구성원들 또한 숭검(崇儉)의 절대적 가치에 얽매이지 않고 사치와 향락을 누리고 즐기려는 욕망을 지녔음을 보여주기 때문에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Most of existing studies about entertainment culture -- especially adult entertainment culture -- which take classic literature and works of art as their subject are focusing on their appearance and significance since 18th century. However, as many of them describe the culture to have developed more ‘relatively’ and ‘earnestly’ than precedent era, the question arises that what was the development of entertainment of mid-late 17th century like.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entertainment culture perceived by people of mid-late 17th century -- for it was the ‘transition period’ to ‘late Choseon Dynasty true to the name’, betwee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Second Manchu war of 1636 and 18th century -- and what can be understood through the culture, as Sohyeonseong-rok, a 17th century's Korean classical long Novel, its subject. Not only aiming to confirm that the games and hobbies reproduce the entertainment culture of the time, but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e appearance and significance of the fact that there existed cultural tendencies and preferences with which various plays and hobbies could be imagined, accepted, and described in the same forms as in the novel. In chapter 2, the appearance of entertainment culture from the work is examined with division into two categories of ‘consumptive leisure activities inside and outside the house’ and ‘hobbies of collecting and growing luxury items’. And in chapter 3, based on what was dealt with in chapter 2, entertainment culture from Sohyeonseongrok is understood to be significant, owing to its internal function which gives various colors by strongly exposing worldly desire and taste at the back of ideology. With an external focus on the work, unlike existing arguments that interest in extravagance and pleasure raised its head only after 18th century in Choseon society, the novel gets its significance from the fact that it clearly shows the desire of upper classes of mid-late 17th century to enjoy extravagance and pleasure without being bound to frugality.

      • KCI등재
      • KCI등재

        전환기 문학 「샛별전」의 글쓰기 특징과 의의

        허순우 이화어문학회 2021 이화어문논집 Vol.55 No.-

        이 논문은 선교사 애니 베어드(Annie Laurie Adames Baird, 1864-1916)가 쓴 「샛별전」을 대상으로 하여 작품이 전환기 문학으로서 내포하고 있는 특징을 글쓰기 측면에 초점 맞춰 살펴본 것이다. 「샛별전」을 연구 대상으로 선택한 까닭은 외국인 선교사가 한글로 창작한 작품이며 19세기 말 조선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담고 있어서, 글쓰기 측면에서 전환기 문학이 갖는 특징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이다. 본문에서는 「샛별전」 글쓰기의 특징과 의의를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고전소설과 선교문서 형식이 융합되고 서사시간의 단축과 당대성의 강화가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정리하였다. 고전소설과 선교문서 형식의 융합을 다룬 장에서는 고전소설로부터 차용한 외형적인 요소들과 1890년대를 전후하여 출간된 선교문서로부터 받은 구조적인 영향과 의미를 살펴보았다. 또 서사시간의 단축과 당대성의 강화를 다룬 장에서는 서사시간의 단축으로 인해 이야기가 일화적 성격을 보이는 면을 살폈고, 당대성의 강화와 관련하여서는 작가가 주목한 19세기 말 조선의 사건과 현상 등에 대해 검토했다. 이를 통해 「샛별전」은 기독교 초심자를 독자로 삼아, 형식과 내용 양 면에서 익숙한 것과 낯선 것, 독자들이 겪은 현실의 문제와 기독교적 메시지를 조화시켜 선교문서로서의 역할과 시대에 조응하는 문학으로서의 역할을 감당하고 있다고 보았다. 또 근대문학적 징후들이 신소설보다 앞서 창작된 「샛별전」과 같은 작품에서부터 싹트고 있었음을 보여주기 때문에도 의미가 있다고 정리했다. This paper examines the unique pattern of writing in literature writte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al period, by focusing on SaitPyuljeon, written by Annie Baird. As a literary work written in Hangeul by an American missionary, it makes a good case study, as it captures the life and landscape of the Joseon kingdom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main part analyzes the writing style of the text and its implications in two aspects: formality and content. I begin by looking into its format, combining both classical novel and mission pamphlet. Specifically, the story borrows the elements of a classical novel externally, while its structure resembles that of mission pamphlets published around the 1890s. Next, I point out that the plot is mostly episodic in character, because the narrative is condensed. As for the strong contemporary character, I look into where the author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events and phenomena in late 19th century Joseon. In conclusion, I appreciate the significance of SaitPyuljeon both as a mission pamphlet and a contemporary literary work, because the story seamlessly binds the unfamiliar with the familiar, and combines Christian messages with daily issues of the time. Also, elements previously considered hallmarks of the modern in literary works are also found in this story, suggesting that the transition to modernity was budding earlier than commonly thought. Literature

      • KCI등재

        근대 전환기 개신교 선교문서 속 ‘죽음’ 이야기의 양상과 그 의미 - 애니 베어드의 선교문서를 중심으로 -

        허순우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22 한국학연구 Vol.82 No.-

        죽음과 그것을 둘러싼 문제들은 시대를 초월한 인류의 관심사이다. 사람들은 합리적, 과학적 사고가 발달하면 죽음에 대한 이해가 선명해져 그에 대한 불안이 감소할 것이라 기대했다. 그러나 과학기술의 발달로 오히려 인간의 유한성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된 오늘날 다시금 종교적 사고를 통해 죽음의 의미를 생각하고, 그것이 삶의 총체적 의미 획득에 기여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들이 들린다. 과학은 인간의 죽음을 물질화, 파편화하여 이해하도록 하지만 인간은 죽음과 그 이후를 포함한 자신의 전 생애가 총체성을 갖길 기대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미국인 선교사 애니 베어드의 선교문서 <고영규전> 등에 나타난 ‘죽음’ 관련 이야기들을 통해, 합리성, 과학, 계몽 등이 핵심어로 제시되기 시작하던 근대 전환기 당시, 개신교 선교사가 조선인들에게 설파한 기독교적인 죽음관과 영생관의 일면을 살펴보았다. 애니 베어드는 육체적 죽음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명확한 선악관을 가지고 내세에 의미를 두며 오늘을 윤리적으로 살아간다면 죽음은 단절이 아니라 새로운 삶으로 나아가는 ‘과정’으로서, ‘영생의 문’으로 의미화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고, 그것을 피 전도인들에게 전하려 했다. 생의 끝을 죽음이라 생각하고 살면 매일이 허무한 것을 향해 가는 것처럼 보이지만, 육체적 죽음 이후의 영생을 목표로 삼는다면 현세에서의 삶과 내세에서의 삶이 통합되기 때문에 더 이상 죽음은 허무한 것도, 또 두려운 것도 아닌 희망적인 ‘과정’이 된다는 점을 역설한 것이다. 애니 베어드는 ‘죽음’의 이러한 속성과 의미를 대중적인 언어와 형식을 빌려 선교문서로 표현함으로써, 근대 전환기 조선 사람들의 죽음관 변화에 영향을 끼쳤다 하겠다.

      • KCI등재

        Minnette E. Norton의 선교 활동과 번역 우화집 <유몽긔담>

        허순우 한국고전연구학회 2022 한국고전연구 Vol.- No.56

        본 연구는 미네트 노튼의 선교 활동과 그가 번역한 책 〈유몽긔담〉을 소개하는 데 목표가 있다. 그의 번역집 중 〈님군의새옷과다른니야기〉는 아동문학 형성기 동화집으로 몇 차례 언급되었지만, 그보다 앞서 출간된 〈유몽긔담〉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 한국에서의 그의 선교 활동도 그간 알려지지 않아서 본 연구를 통해 기초적인 정보를 정리해보려 했다. 검토 결과 선교사인 남편 아서 노튼과 함께 20세기 초에 한국을 방문한 미네트 노튼은 감리교 감독교회 ‘여성회의’에 소속되어 약 20여 년 동안 황해도 해주와 서울 등에서 아동, 여학생,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활동을 진행하였고, 또 의료 위원과 출판위원으로 활동했음을 알 수 있었다. 선교 후반기인 1923-1925년 사이에 미네트 노튼은 〈유몽긔담〉, 〈님군의새옷과다른니야기〉, 〈절름발이 친왕〉 등 적어도 세 편의 작품을 번역하여 간행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가운데 〈유몽긔담〉은 이솝우화를 비롯하여 영국과 미국 등 서구의 옛이야기들을 엮은 우화 번역집이다. 〈유몽긔담〉은 〈님군의새옷과다른니야기〉에 비해 읽기 쉽게 번역된 것으로 보아, 상대적으로 더 어린 독자들을 대상으로 출간된 책일 가능성이 있어 보였다. 한국에서는 19세기 후반부터 이솝우화가 교과서에 게재되었으며, 20세기를 전후한 당시, 이솝우화는 계몽·자강 등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교육 자료로 활용되었다. 이런 흐름에 맞춰, 기독교 선교 위원인 미네트 노튼은 이솝우화를 비롯한 서구의 옛이야기들을 엮어 정직, 성실, 봉사 등 당시 기독교 선교단체가 학생들에게 가르치고자 했던 가치들을 쉽고 명확하게 담아내는 방향으로 번역을 시도했다 하겠다.

      • KCI등재

        순암의 편지에 나타난 글쓰기 방식 연구

        허순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5 한국문화연구 Vol.9 No.-

        Soon-Am exchanged idea and knowledge with writers through letter. The letters Soon-Am sent out to writers may not be an artistic one but, they contain a lot of information about Soon-Am's character, how Soon-Am lived, spent time n learning, and his sincerity was shown in his own way of writing. Therefore, observing his life, his character appeared in many records and his way of writing appeared in his letters, I tried to understand what he concentrated while writing the letters and what was his purpose of writing letters. Soon-Am's letter was mainly concentrated in seeking truth. His letters are materials for widening topic of letters and at the same time good materials for us to understand his writing, passion for life, greed and what kind of person he was. His letters also shows his characteristics and those writers who studied together with him. Ay that time, short essay was popular and even letters was considered as literature. so, those letters they exchanged humorous and strange stories in 18 century will be a good material to analyze the conservative writers' way of writing. Analyzing their way of writing will be a good way to confirm how those writers express facts as Gyeong-Se-Chi-Yong(經世致用) Sil-Sa-Gu Si(實事求是) sect. 순암은 성호, 혹은 성호 문인들과 편지를 통해 사상적, 학문적 교류를 했다. 순암이 문인들에게 보낸 편지는 비록 문예미적으로 뛰어난 성과를 내포한 것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 글 속에 순암이라는 인물에 대한 많은 정보들이 있고 또한 삶과 학업에 대한 그의 진지함이 나름의 글쓰기 방식으로 강렬하게 표현되어 있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순암의 생애와 여러 기록들에 나타나는 그의 성품, 그리고 그의 편지에 나타난 글쓰기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그에게 있어 편지글 쓰기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 작업이었는지, 또 그가 편지를 쓰면서 가장 집중한 문제 혹은 목적은 무엇이었는지를 이해하려 했다. 진리탐구라는 목적에 충실했던 순암의 편지는, 편지 장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는 대상이면서 동시에 그의 글쓰기를 이해하게 하는 자료고 그의 삶 속의 열정, 욕심 등을 드러내주는 작가이해의 자료로서 의미가 있다. 또한그의 글쓰기 방식은 그 개인의 특성인 동시에 그가 함께 공부하고 교류하였던 문인들의 특성을 드러내주는 자료로 확대 해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소품문이 유행하고, 편지글도 하나의 문예문으로서 인식하고 희문, 기문을 주고받기 시작하던 18세기에 보수적인 학풍을 지닌 순암과 성호 문인들의 글쓰기 방식에 관한 특성 연구는 '경세치용(經世致用)'과 실사구시(實事求是)'라는 실학에 대한 학파적 차이를 간접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자료인 동시에 '실사구시'적 학풍을 지닌 순암을 비롯한 성호문인들의 문학관도 확인하게 되는 계기이기도 하다.

      • KCI등재

        대속과 구원의 메시지를 담은 전도지 <장자노인론>

        허순우 동아시아고대학회 2021 동아시아고대학 Vol.- No.62

        본 연구는 미국 북장로회 소속 선교사 애니 베어드의 작품 <장자노인론>을 대 상으로 하였다. <장자노인론>에 관한 개별 작품론은 찾아보기 어려운데, 19세기 말에 창작된 이 작품을 살펴보는 작업은, 애니 베어드의 초기 선교사역을 탐색하 고 우리 소설사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작품 분석에 앞서 2장에서는 <장자노인론>의 출간 시기와 창작 여부에 대해서 검토했다. 선행연구들이 언급한 작품의 창작 시기와 창작 여부에 대한 입장이 상 이하여 다소 혼란스러운 면이 있는데, “The Korean Repository” 등의 기록을 근거 로 하여 볼 때, 이 작품은 1897년에는 이미 존재하고 있었으며, 당시에도 애니 베 어드의 창작 작품으로 여겨지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장자노인론> 창작에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성경 구절들을 검토했다. 그 결과 선행연구에서 언급되었던 <마태복음> 22장(‘혼인 잔치의 비유’)뿐 아니라 <누가복음>, <요한계시록>, <창세기> 등에 수록된 구절들과의 관련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4장에서는 <장자노인론>의 주제와 관련하여, ‘아들의 옷을 입는 것’(예복)과 ‘장 자의 집에 들어가는 것’(잔치 참여)이라는 두 가지 행위에 초점을 맞춰 생각해보았 다. 그 결과 이 작품은 여러 성경 구절들을 활용하면서도 ‘대속’과 ‘구원’이라는 기 독교의 핵심 메시지를 우화 형식의 본 이야기와 설교문 형식의 해설을 활용하여 선명하게 전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장자노인론>은 비록 소설적 구성력이나 흥미 요소를 부각하는 측면은 약하지 만, 작가의 상상력이 아닌, 성경의 구절들에 기반을 두면서도 교리를 일방적으로 나열하는 설교문과는 변별되는 이야기 형식의 전도지를 구상하고 실현했다는 점 에서 의미가 있는 작품이다. 이처럼 이야기의 큰 틀을 세운 후 성경의 다양한 구절 들을 직간접적으로 활용하여 한 편의 이야기를 채우는 창작 방식은 그의 또 다른 작품 <샛별전>에서도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애니 베어드가 선교문서를 창작하 는 글쓰기 방식의 한 유형을 보여주기 때문에도 의미가 있다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ory of Old Chang,” written by Annie Laurie Adams Baird (1864–1916) for a missionary work booklet. As no literary review so far has dealt exclusively with this work, this study contributes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Baird's early efforts at proselytizing and the literary history around the transition to modern times. Before analyzing this work, chapter 2 examines the time of publication and the originality of “The Story of Old Chang,” on which there is no consensus in the literature. Historical records, including The Korean Repository, suggest that the work was already in existence as early as 1897 and was considered an original story by Baird. Chapter 3 examines the basis of this story to reveal that it is related to phrases found in the Gospel of Luke, the Book of Revelation, and the Genesis, in addition to those already mentioned in earlierstudies, such as the Parable of the Wedding Feast in Matthew 22:1–14. Chapter 4 analyzes the themes of the story by studying two actions: putting on a formal at tire by dressing in the son's garment and stepping into Old Chang's house to join the feast. It is confirmed that this work, by combining a parable and a sermon, conveys the key messages of Christianity clearly, which are Atonement and Redempt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ory of Old Chang” lies in the fact that it represents a new form of a proselytization booklet, which does not merely convey biblical knowledge but borrows motives from the Holy Bible. “Saitpyuljeon,” another fictional work by Baird, also uses the same method, where the originalcentralplot is fleshed out with references or allusions to Biblical episodes. This study therefore elucidates up on one of the writing styles employed by Annie Baird to create texts for missionary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