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전읽기와 토론>강좌에서의 읽기모형 개선 방안

        허남영,정인모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6

        <Reading Classics of Great Literature>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as received evaluations that are similar in content and nature of thinking in other cultural subjects intended to enhance the expressiveness. The identity of the lecture has been constantly debated. And teaching model was proposed and established in the classic reading that revealed each had an independent personality. It will be a limit on the activity for each step in the classical convergence. In this paper, in order to provide a progressive alternative to the <Reading Classics of Great Literature> course contents and operating based on of the reflection and discussion would complement operations. Specifically, it was conducted on the 'take satisfaction' surveys with a focus on students and instructors, and applied the result to the reading model. Dealing with the classics should move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convergence thinking, and not be in the purpose of cultivating professional career. So newly proposed model of classical reading that should be converted into a direction that is consistent with cultivating thinking abilities and convergence talents. Thus in this paper, tried to convert the model of classical reading for the purpose of placing the consilience Talents by thinking more deeply about an issue to solve a variety of problems.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고전읽기와 토론>류의 과목은 사고력과 표현력의 향상을 의도하는 다른 교양과목들과 그 내용 및 성격에서 유사한 면이 있다는 평가를 받아 오면서, 다소 강좌의 정체성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 그리고 고전읽기를 개설하면서 제안되었던 수업모형은 각 단계별 활동이 고전에 수렴되기에 각각 독립적 성격을 가졌다는 한계를 드러내면서 수업에서 읽기모형의 개조가 제기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부산대학교에서 교양과목으로 개설하고 있는 <고전읽기와 토론>강좌 운영을 위한 발전적 대안으로 읽기모형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학생과 교수자를 중심으로 ‘수강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읽기모형 개선에 적용했다. 고전을 다룬다는 것은 융합적 사고를 기르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며, 전문적 직업 지식인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에 두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새롭게 제안되는 고전읽기 모형은 사고력 배양과 융합적 인재상에 부합되는 방향으로 개조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에서도 어떤 문제에 대해 더 깊게 사고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통섭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두어 고전읽기의 모형을 개조하고자 했다.

      • KCI등재

        Deutsche Welle를 활용한 독일어 교수-학습 모형

        허남영,성지혜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8 독일언어문학 Vol.0 No.82

        In dieser Arbeit geht es um die Möglichkeit der Verwendung der Nachrichten im Deutschunterricht unter dem Aspekt des integrierten Lehren-Lernens. In der Tat finden sich jede Funktionen der Sprache nicht unabhängig, sondern voneinander abhängig. Die Nachrichtentexte könnten ein effektvolles Lernmittel sein, das den integrativen Unterricht ermöglicht. Das Unterrichtsmodell ist schriftlich und mündlich nicht abgeteilt, sondern Hörverstehen, Leseverstehen, Grammatik, schriftlicher und mündlicher Ausdruck werden miteinander interaktiv zusammengestellt. Im Verfahren des Verstehens wird das Grammatik- bzw. Satzanbau-Lernen hauptsächlich eingeschlossen. Dadurch werden der Wortschatz und das Textstruktur-Lernen für die Stufe des Lese- und Hörverstehens bedeutungsvoll. Die Stufen des Verstehens (Lesen1-Hören+ Schreiben1-Lesen2+Grammatik) und des Ausdruckes (Grammatik+Schreiben2-Schreiben3- Sprechen) werden verteilt, um durch Originalsprache das Verstehen und die Erweiterung des Ausdrucks zu ermöglichen. Das Niveau der Zielgruppe ist A2+ und B1. Die lebendige Interaktion zwischen Lehrenden und Lernenden müsste doch besonders vorausgesetzt werden. In dieser Arbeit sind das Lese- und Hörverstehen für das Grammatik- und Satzanbau-Lernen vorausgesetzt. Anschließend ist die Entwicklung der Deutschkenntnisse durch das Schreiben und das Sprechen Ziel des Unterrichts. 본고에서는 독일어 수업에서 보도 텍스트의 활용 가능성을 통합적 교수-학습 차원에서 다루고자 한다. 실제 외국어 수업에서 언어의 각 기능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서로유기적인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도 텍스트는 통합 교육을 가능하게 해주는매체로서 효과적일 수 있다고 보았다. 구체적으로 수업 모형을 ‘이해’(읽기①-듣기+쓰기①-읽기②+문법)와 ‘표현’(문법+쓰기②, 쓰기③, 말하기)으로 구분함으로써 이해에서 표현으로의 단계별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학습자 수준은 A2+, B1로 설정하였으며,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을중요한 요소로 두었다. 수업 모형에서는 구어와 문어를 구분하지 않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문법(구문)’을 상호보완적으로 구성하였다. 특히 ‘문법(구문) 학습’을 이해과정의 주요 단계로 설정하여 어휘와 문장구조를 학습하게 함으로써 읽기와 듣기 과정이 쓰기 과정으로 잘 이행될 수 있도록 하였다. 무엇보다 본고에서는 듣기와 읽기를 문법(구문) 학습을 위한 전제로 두고 말하기와 쓰기를 통해서 학습자의 독일어 능력을 통합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효과적인 단기 학습 과정의 설계 : 일본인 초급 단기 한국어 과정을 중심으로

        허남영 한국어문화교육학회 2007 한국어문화교육 Vol.1 No.1

        본 논문은 일반적인 한국어 교육프로그램과 단기 한국어 연수과정이 그 목표와 교수법에서 달라야 한다는 점을 기초한다. 이를 위해 교수자의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한 학습자의 요구 조사 및 관련 이론들을 참고하였고, 한국어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의 문화를 익히려는 학습자들을 위해 효과적인 교재와 학습프로그램을 소개한다. 본문에서는 실제 수업을 기반으로 구성한 교재와 교수법을 제시하고 학습자들이 지속적으로 한국어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 수업을 통해서 교재와 교수법의 유용성 및 한계가 조금씩 들어났으며, 학습자의 요구와 학습목표를 수용하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함을 분명히 한다. 계속된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학습자 요구와 목표에 따른 특화된 교재와 교수법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is based on the theory that there should be a difference in the goal and in the teaching method between the general Korean program and the short-team Korean program. This thesis referred to the data of research on the learners' demand and other related theories based on the field experience. This thesis suggests effective teaching materials, study models and teaching methods, which were researched during the real curriculum, for the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Korean culture as well as Korean language, so that they can continue their learning afterward. During the curriculum, it was found out that there were the strength and the weakness in the suggested teach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 methods;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ver the weak point of the teaching materials and to meet the learners' demand and their goals. Through this process, it is expected to find out the proper teaching materials and the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learners' demands and the goals, that can boost learning.

      • KCI등재

        「아담과 에블린」을 통해 바라본 이주 서사와 실존 문제

        허남영,원윤희 한국독일어문학회 2020 독일어문학 Vol.89 No.-

        Die vorliegende Arbeit behandelt das Problem der „wahren Existenz“ in IngoSchulzes Adam und Evelyn. Das Geschehen des Romans ist in Ostdeutschlandkurz vor der Wiedervereinigung angesiedelt. Die Hauptfiguren Adam und Evelynhaben unterschiedliche Wünsche – während sie nach Westdeutschland fliehenwill, möchte er gerne in der DDR bleiben. Schulzes Roman lässt sich als „Migrationsgeschichte“ lesen. Die Schwierigkeiten,die Adam und Evelyn nach ihrem Aufbruch erleiden, werfen Grundfragen auf. Adam gelingt es nicht, ein Zugehörigkeitsgefühl zu Westdeutschland aufzubauen,was seine Identität bedroht und ihn zurück nach Ostdeutschland gehen lässt. Doch dieses hat sich verändert. Für Adam, so scheint es, gibt es kein Paradies mehr. Entsprechend ihres Namens tritt Evelyn (hebräisch: hawa) als Verführerin inErscheinung. Sie veranlasst Adam dazu, das vertraute Leben in Ostdeutschlandaufzugeben. Für sie verheißt Westdeutschland Freiheiten wie ein Studium derKunstgeschichte und eine nach eigenen Gutdünken gestaltbare Zukunft mit neuenFreunden. Das Thema der Migration ist in Schulzes Roman eng an die Frage gebunden,wie Individuen sich eine für sie passende Existenz aufbauen können. Daskonfliktbeladene Ringen der Hauptfiguren zeigt, wie schwierig es ist, dieseSehnsucht zu erfüllen. 본 논문은 잉고 슐체의 아담과 에블린 속 ‘이주’로 촉발된 ‘실존’의 문제를 다루었다. 이 소설은 냉전 시대의 마지막을 살아낸 평범한 독일인들의 초상을 담고 있다. 통일 직전 동독을 배경으로 동독에 머무르려는 아담과 서독으로 떠나려는 에블린의 이야기는 한편의 ‘이주 서사’로 읽혀진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그들이 낯선 환경에서 겪는 어려움은 ‘실존’의 문제를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에블린은 「아담과 하와」에서 ‘하와’처럼 아담을 서쪽 세상으로 이주하도록 유도했다. 동독생활에 만족했던 아담과 달리 동독 세계에서 자유를 원했던 에블린은 이제 모든 것을 새롭게 시작할 기회를 얻는다. 이주를 통해 행복을 누릴 준비가 된 에블린은 곧 대학에서 예술사와 로만어학을 전공할 예정이며 자유와 물질의 풍요가 넘치는 곳에서 새 친구들과 행복한 미래를 꿈꾸고 있다. 하지만 아담은 낙원을 잃고 방황하는 불행한 낙오자가 되었다. 아담에게 낙원은 이제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아담은 이주를 통해 마주한 새로운 공간인 서독에서 소속감을 가질 수 없었고 자신의 정체성을 찾을 수 없었다. 두 사람의 이주는 이렇듯 다른 이유에서 촉발되었고 이주의 과정에서 그들이 느끼는 정체성 인식 또한 달라 상이한 결말로 이어진다. 새로운 공간과 사회로의 이주는 오랫동안형성된 관습적 태도, 인성과 맞물리면서 충돌을 일으켰다.

      • KCI등재

        외국인 학부생을 위한 학술적 글쓰기 모형 연구

        허남영(Heo, Nam-Young),김명순(Kim, Myoung-Soo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21 한국민족문화 Vol.79 No.-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의 학술적 글쓰기에서 다중 텍스트 읽기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둔다. 외국인 학부생들의 대학 수학 능력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일 때가 많고, 그들 대부분이 학술적 텍스트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인 학부생들의 능숙한 과제 수행을 위해서는 그들에게 과제와 관련된 다양한 주제와 유형의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여 내용을 확장, 재생산하는 과정이 학습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중 텍스트 읽기를 글쓰기 수업의 필수 요소로 전제하였으며, 텍스트 읽기 과정을 개인적 차원과 상호활동으로 구분하여 학생들의 텍스트 생산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하였다. 글쓰기 모형에서 읽기를 통한 ‘이해’, ‘확장’의 과정을 글쓰기 ‘생성’을 위한 선행단계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다중 텍스트 읽기를 활용한 학술적 글쓰기 모형은 외국인 학부생들이 주체적이고 상호 소통적인 텍스트를 작성해 내는 데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teaching and learning model is planned based on using the Multi-Text Reading in writing of foreign students. According to this model, foreign students not only read and understand texts which include a wide variety of topics, types and genres, but also expand and reproduce contents of the texts. In this context, teachers consider reading, especially multi-text reading as the essential element for the successful academic writing. Text reading process in the class is divided to individual and interactive activity. Students produce their own texts in this process. Producing texts is an individual task, but it is important to interact with colleague students for deepening and extending the meaning of the texts. Understanding of the texts trough this reading process is the premise for ‘production’. The model for the academic writing in this study looks forward for students to produce their own texts both independently and interactively.

      • KCI등재

        독일과 한국의 노년영화 비교 연구 - <아무르>(2012)와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2014)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을 중심으로

        허남영 ( Heo Nam-young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8 독일언어문학 Vol.0 No.80

        ‘노년’은 독일과 한국의 노년영화에서 ‘늙음, 죽음 인식’, ‘사랑과 성’, ‘세대 간의 갈등’, ‘노년의 새로운 도전’, ‘난민의 위기’라는 문제 속에서 새롭게 재현되고 있다. 이렇듯 노년에 대한 다양한 소재적 지향은 고령화로 인한 노년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전지구적으로 확산되었으며 다양한 문제로 촉구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또한, 노년영화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규정하여 ‘노년’이라는 소재가 전지구적인 문화적 콘텐츠로 호명되었음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 문학, 연극, 영화의 수용양상은 한 개인의 가치관 차이나 사회 혹은 집단이 형성하는 윤리 및 이념적 차이에서 차별화된다. 그리고 노년을 조망하는 시선은 수용자 및 수용 방식의 차이에서 노인에 대한 이미지가 차별화되고 다양한 문화 산물이 새롭게 해석된다. 예컨대 한국과 독일 사회는 노인에 대해 다른 이미지를 견지한다. 독일영화 <아무르>와 한국영화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는 노년의 사랑 속에서 죽음이라는 문제를 진지하게 성찰하지만, 그 시선은 차별적이다. 즉 독일이 죽음을 앞둔 노인들의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통해서 노인의 삶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제시한다면, 한국은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노인상을 통해 노인의 삶에 대해 공감을 이끄는 경향을 보인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에서 독일과 한국의 노년영화에 재현된 ‘늙음과 죽음’이라는 문제에 대응하여 각국이 주지하는 노년에 대한 차별적 시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Die Filme zum Alter und zum Altern in Korea und Deutschland stellen das Thema in Hinblick auf verschiedene Aspekte dar: Sterben und Tod, Liebe und Alter(n), Generationenbeziehungen, Aufbruch und Neubeginn, Fluchtlingskrise etc. Dies zeigt, dass Verstandnis und Interesse am Alter(n) weltweit zunehmen und dass man das Problem mit dem Alter(n) heutzutage nicht mehr unberucksichtigt lassen kann. Anschließend musste der Altersfilm definiert und bestatigt werden, das Thema ‘Alter’ wurde zu einem globalen kulturellen Inhalt. Insbesondere hangen die Akzeptanzmuster der Literatur, des Dramas und des Films von individuellen Werten, Ethik und ideologischen Unterschieden, die in der Gesellschaft oder in Gruppen gebildet werden. Das Bild vom alten Menschen und die Einstellung zum ist von Kultur zu Kultur verschieden. Die verschiedenen kulturellen Produkte werden hinsichtlich des Unterschieds zwischen dem Publikum und der Akzeptanzmethode neu interpretiert. Man kann schon die unterschiedlichen Ansichten uber die alten Menschen in der koreanischen und deutschen Gesellschaft beobachten. Im koreanischen Film “My Love, Don’t Cross That River”(2014) und in der deutschen Ko-Produktion “Amour”(2012) geht es ernsthaft um die Frage nach dem Tod in der Liebe des Alters. Aber die zwei Blicke unterscheiden sich voneinander. Der koreanische Film fuhrt einen Konsens uber das Leben der alten Menschen durch aktive und subjektive Szenen. Auf der anderen Seite neigt die deutsche Ko-Produktion dazu, philosophische Gedanken uber das Leben der alten Menschen durch eine ernsthafte Reflexion uber das Leben der alten Menschen, die kurz vor dem Tod stehen, zu prasentieren. In dieser Hinsicht wird das Thema ‘Altern und Tod’ untersucht und werden die Aspekte des Todes im koreanischen und deutschen Altersfilm verglichen.

      • KCI등재

        영화 < 카프카의 굴 Kafkas der Bau >에 나타난 현대인의 실존 문제

        허남영 ( Heo Namyoung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017 독일언어문학 Vol.0 No.75

        <카프카의 굴>은 프란츠 카프카의 단편 굴 이 처음으로 영화화된 작품으로, 이전에 영화화된 카프카의 작품들과는 달리 카프카의 언어가 그대로 인용되고 있다. 카프카는 굴 에서 동물로 형상화된 1인칭 화자를 통해 외부의 위협에 대해서 이야기 하면서, 독자들을 편집증적 관점에 몰입시켰다. 그리고 영화는 프란츠라는 인물을 통해 편협하고 비사회적인 세계에 놓인 인간의 실존 문제로 원작을 변용하고 있다. 영화의 주인공 프란츠는 요새 같은 아파트 단지에 살고 있으며, 자신의 이웃에 위협을 느낀다. 감독은 불안증에 사로잡힌 프란츠를 감시카메라의 푸른색 이미지에 삽입 시키고, 셀프카메라를 통해 독백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셀프카메라는 소통의 장치이자 고립의 장치로 작용하며, 프란츠의 일상을 기록한다. 프란츠는 스스로 변화를 만들며 자신을 파멸로 이끌고, 폐허가 된 세상과 함께 모든 것을 잃는다. 그러나 프란츠는 영화의 종반부에서 셀프카메라를 던지며 자신을 가두었던 세계에서 해방되게 된다. 감독은 영화에서 매우 높은 건물과 시각적으로 강렬한 색을 통해 `굴`을 재현하였으며, 밀실 공포증의 이미지를 통해 현대인의 외로움과 불안증을 보여준다. 우리 존재의 불안한 부분은 어둠 속에 남아 있고, 우리는 일상에 스포트라이트를 비추어 이 문제들을 다룬다. 이것은 곧 카프카 주제이기도 하다. 영화는 부유한 서구 시민의 집단 무의식에 질문을 던지고 그 속에 존재하는 불안증과 실존문제를 다루면서 우리시대의 고립, 두려움과 외로움에 주목한다. Kafkas Der Bau ist ein deutscher Kinofilm von Jochen Alexander Freydank. Es ist die erste Verfilmung der Erzahlung Der Bau von Franz Kafka. Dieser Film verwendet - anders als Adaptionen anderer Kafka-Stoffe - die Originalsprache Franz Kafkas. In Kafkas Der Bau berichtet ein tierahnlicher Ich-Erzahler uber seine Bemuhungen einer allumfassenden Abwehr von außeren Gefahren. Es gibt wohl keinen Text in der Literaturgeschichte, der den Leser in solcher subtilen Art und Weise immer tiefer in eine paranoide Gedankenwelt eintauchen lasst. Kafkas Der Bau ist die Geschichte des Ich-Erzahlers, der von der Vorstellung beherrscht wird, sich gegen das Eindringen eines unbekannten Feindes schutzen zu mussen. Der Film erzahlt die Geschichte der Verwandlung eines Menschen in einer sich rapide verandernden und zunehmend abgeschotteten und unsozialeren Welt. Ein Mann(Franz) lebt in einem festungsartigen Wohnkomplex. Franz fuhlt sich von seinem Nachbarn bedroht. Freydank beginnt, grunliche Bilder einzufugen, die wir von Uberwachungskameras kennen. Und Franz hat nur ein Gegenuber, dem er sich mitteilt: seinen Camcorder, mit dem er sich selbst aufnimmt. Kafkas Monolog, in einen Apparat gesprochen, der ihn verschluckt und auf dem uppigen Breitwandbildschirm in seiner labyrinthischen Wohnung wieder ausspuckt. Die Welt um Franz herum verandert sich. Er selbst verandert sich. Der Film endet in einer bildgewaltigen, postapokalyptischen Welt, in der Franz zwar alles verloren hat, aber auch befreit ist von seinen Angsten. Kafkas Erzahlung handelt von einem Tier, das sich in seinem Bau fur die Zukunft sichern will. Freydank hat daraus eine hochst aktuelle, bildstarke Parabel gemacht. Dafur schrieb Freydank ein Drehbuch: ein Mensch statt des Tiers, die Verlegung von Kafkas Geschichte ins 21. Jahrhundert und das Entlocken einer uberraschenden Aktualitat. Freydank zeigt eine griffige und packende Metapher fur die Einsamkeit und die Verlorenheit des modernen Menschen, in kuhlen, klaustrophobischen Bildern. Das Unheimliche unserer Existenz bleibt im Dunkeln. Wir versuchen Sie mit dem Scheinwerfer unserer Tagesvernunft auszuleuchten. Es ist das Kafka-Thema. Der Film ist bemerkenswert. Er ermoglicht einen Blick ins kollektive Unterbewusstsein des westlichen Wohlstandsburgers und offenbart dabei auf lauter Angste und Aggressionen. Kafkas Der Bau ist ein Film uber Isolation, Angst und Einsamkeit in unserer Zeit.

      • KCI등재

        과제 수행 중심 말하기 모델로서의 ‘한국어 마을’ 사례 연구

        허남영(Heo, Nam-Young),원윤희(Won, Yun-Hee)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8 한국민족문화 Vol.67 No.-

        본 논문에서는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적합한 과제 수행 중심의 학습활동으로 ‘한국어 마을’을 제안하고자 했다. 말하기의 가장 큰 어려움은 의사소통의 상호작용 특성을 이해하고 학습하는 일이며, 상대방이 무엇을, 언제, 어떻게 말하고 누구와 대화를 나누는지가 언어수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초급 과정의 말하기는 패턴 중심의 모방, 연습이 주를 이루지만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말하기는 실제 중심의 활동으로 수업에서의 말하기와 차별화된다. 따라서 학습자는 실제 의사소통 상황을 가정한 모델을 통해 직접 한국어 활용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으며,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흥미를 가졌다. 실제로 학습자는 짧은 기간 동안 배운 내용을 가지고 듣고 말할 수 있는 데 크게 만족했다. 그리고 이후 한국어 발화에 적극적이고 학습에 긍정적 동기를 부여 받았다. 물론 요즘 각 대학들이 글로벌 존을 구축하여 유학생들이 한국인들과 한국어로 말하게 하고 의사소통하는 기회를 증대시키고 있지만,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실질적인 의사소통에는 분명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한국어 마을’은 새로운 과제 수행 모델의 하나로 유용하다고 본다. This study suggests ‘Korean Village’ as a task-Based Speaking Model that is proper i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Understanding and learning the feature of interaction of communication is the most difficult part of speaking. It is because that linguistic performance is affected by what to speak, when to speak, how to speak, and with whom to speak. The existing speaking activities in beginning level are mostly copying certain patterns and exercising them. Korean Village is one of a new try to design a real activity centered class. This study modeled communicative situation in Korea and let learners perform the task through role play. Learners showed interest by having chance of speaking in Korean and by exercising what they have learnt in the class. Learners were satisfied with listening and speaking in Korean they have learnt for a short time. These students tend to try speaking in Korean actively. This way can be effective as one of new task performances. These days many universities set global zone that foreign students can speak in Korean, and Korean students can speak in foreign language. However, it is just for language exchange and there is limitation to understand and use the learning contents. If there is no information about the learner, meaningful communication is not available any more. Intermediate learners can speak fluently up to the situation, but beginning learners cannot. Thus, we need to develop an activity that fits to beginning learners. Korean Village that this study suggests is efficient as a new model for task performance.

      • KCI등재
      • KCI등재

        독일 난민/이민문학의 흐름과 특징 - 독일 망명문학과 난민/이민문학의 비교

        허남영 ( Heo Namyoung ),정인모 ( Jeong Inmo ),원윤희 ( Won Yunhee ) 한국독일어문학회 2019 독일어문학 Vol.85 No.-

        본 연구는 최근 독일의 난민/이민문학에 나타난 특징을 제국주의 시절 독일이 겪었던 망명문학과 비교하여 설명하였다. 나치 치하에서 여러 가지 이유로 독일을 떠나야 했던 망명 작가들과 어려운 정치 상황 하에서 독일로 와야 했던 이민 작가들 사이에는 분명한 공통점이 있었다. 독일 망명 작가들은 나치당이 정권을 잡은 후 독일을 떠나서 외국에서 작품 활동을 했던 작가들이다. 그들은 망명지에서 잘 적응하며 지내기도 했지만 이문화와의 충돌로 인한, 정체성 혼란, 언어의 상이함에서 오는 소통 부재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망명 작가들에게만 해당되는 문제가 아니라, 최근 독일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난민/이민 작가들에게서도 발견되는 문제이다. 따라서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럼이 넓은 이민문학 중에서 정치적 이민에 초점을 맞추어 과거 독일의 망명문학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망명문학과 난민/이민문학은 그 태생에서부터 차이가 있지만, 결국 낯선 환경에서의 ‘실존’이라는 문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다룬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있었다. 다만, 그들이 다루는 실존 상황이 상이한 관점을 견지하는 것은 정치, 사회, 경제적인 상황의 변화에 따른 요인으로 분석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부상하고 있는 난민/이민문학의 정체성을 재고하기 위해서 망명문학과의 비교는 가장 유의미했다. Die Studie erklärt die Merkmale der Flucht- und Migrationsliteratur im Vergleich zur Exilliteratur der imperialistischen Zeit in Deutschland. Zwischen den aus dem Nationalsozialistischen Regime gefluchteten Emigrantenautoren und den aus politischen Grunden nach Deutschland eingewanderten Autoren fand sich die klare Gleichheit. Nachdem die Nationalsozialistische Deutsche Arbeiterpartei an die Macht gekommen war, fluchteten die deutschen Emigrantenautoren ins Ausland und schufen dort ihr Werk. Im Exil passten sich sie meistens problemlos dem Fremden an. Aber sie hatten mehrere Probleme, z.B. Konfusion der Identität aus dem Konflikt mit der heterogen Kultur, Abwesenheit des guten Verständnisses wegen der sprachlichen Differenz. Dieses Phänomen betrifft nicht nur die Emigrantenautoren, sondern auch die heutigen gefluchteten und zugewanderten Autoren, sie haben genauso das gleiche Problem. Daher konzentiert sich dieser Aufsatz hauptsächlich auf die politischen Migration in der umfangreichen Migrationsliteratur und vergleicht mit der fruheren deutschen Exilliteratur. Die Exilliteratur und die Migrationsliteratur sind ursprunglich voneinander verschieden. Aber schließlich haben sie die Gleichheit, nämlich handeln sie in verschiedener Hinsicht von ‘Existenz’ in der fremden Umgebung. Sie halten jedoch unterschiedliche Stellungnahme zum Existenzstand fest, weil sich der politische, gesellschaftliche, und ökonomische Stand verändert. Dennoch war der Vergleich zur Exilliteratur am bemerkenswurdigsten, um die Identität der heutzutage beachtenswerten Migrationsliteratur herauszufind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