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럽의회 내 정당응집성 측정에 대한 비교제도학적 연구

        한정훈(Han JeongHun) 한국정치학회 2008 한국정치학회보 Vol.42 No.3

        본 논문은 유럽의회 내 정당제도의 특수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유럽의회 내 국가정당의 응집성을 적실히 측정할 수 있는 대안적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럽의회 내 정당제도를 개별회원국 수준의 정당체제와 유럽연합 수준의 정당체제가 공존하고 있는 이중위정당제로 정의한다. 또 그 제도적 특성 가운데 하나를 유럽연합 수준의 정당체제를 구성하는 정당연합이 개별의원들의 투표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을 통해 국가정당의 응집성을 심각하게 저해한다는 점에서 찾는다. 방법론적으로는 간단한 공간모델을 적용하여 위와 같은 제도적 특성을 반영한 국가정당의 응집성 측정의 이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다음으로 1999-2001년 기간 동안의 유럽의회 내 기명투표기록을 이용하여 개별의원들의 최대선호점을 추정하고 그 결과물을 이용하여 국가정당의 응집성을 측정한 대안적 지표를 개발한다. 기존의 라이스 지표와 합의지표를 통한 국가정당 응집성 측정방안과 비교하였을 때 본 논문에서 개발한 지표는 국가정당의 다수 입장에서 이탈하는 개별의원들의 투표행위를 정당연합 지지를 위한 정책방향으로 이탈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로 구별해내고 국가정당의 응집성에 더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전자를 응집성 측정값에 적실히 반영하는 장점을 지닌다. 또한 이 지표는 정당응집성 측정의 관찰등가성 뿐 아니라 내용타당화 및 구성타당화에 부합함으로써 측정의 타당성 역시 만족시킨다. 새롭게 개발된 이 지표는 의회 내 정당활동에 대한 비교연구의 외연을 유럽의회에까지 넓히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article aims to develop a new measure of national party cohesion in the European Parliament(EP) by examining institutional features of its party system. After defining the party system inside the EP as a two-level party system consisting of parties at the national level and those at the European level, it points out that parties at the European level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both legislative voting behavior of their individual members and the affiliated national party cohesion. A simple spatial model is used to show such influence and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developing a new measure of national party cohesion. Also, by applying a method of ideal point estimation to roll call data of the 5th EP between 1999 and 2001, this article produces a new indicator of the measure. Compared to previous Rice Index or Agreement Index, the newly developed measure of national party cohesion performs better in terms that it derives from the consideration of institutional features of the two-level party system. In addition, it satisfies observational equivalence, as well as the validity requirement through content/construct valid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new measure extends the range of comparative analysis about parties’ legislative performance into the EP.

      • KCI등재

        정당의 명칭변경에 대한 한국 유권자의 인식과 정당일체감

        한정훈 ( Jeonghun Han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9 한국과 국제정치 Vol.35 No.2

        본 연구는 정당일체감이 한국 사회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정당의 명칭변경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특히 정당일체감과 명칭변경 전후의 정당에 대한 유권자 인식 간의 내생성을 반복모형(recursive model)에 반영하고 경험적으로 검증한다. 2017년 대통령 선거 직전에 이루어진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한 분석결과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정당일체감이 명칭변경 이전의 새정치민주연합과 더불어민주당을 동일한 또는 상이한 정당으로 인식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 유권자의 정당일체감이 서구와 달리 특정 정당에 대해 일관되고 지속적인 평가를 위한 기제로 작용하지 않을 가능성을 제기한다. 또한 한국 정당들의 빈번한 명칭 변경이 정당일체감의 안정적 유지를 방해하는 부정적 요인이 될 수 있음을 함의한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impact of the party identification on how voters perceive party label change. In particular, it considers the potential endogeneity problem existing between the party identification and voters’ perception on party label change. Relying on a recursive bivariate probit model to deal with the endogeneity problem, it analyzes how the party identification to the Minju party affects the voters’ evaluation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 Politics Alliance for Democracy and the Minju party. Results show that party identification to the Minju party does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voters’ perception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parties. This suggests that party identification in Korea might not be stable enough to develop a consistent understanding of political parties. It also implies that Korean political parties whose labels have been frequently changed over time might prevent the development of stable party identification among Korean voters.

      • KCI등재

        유럽연합의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논의와 유럽의회 내 정치적 갈등

        한정훈(JeongHun Han) 한국유럽학회 2021 유럽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을 두고 유럽연합이 겪고 있는 정치적 갈등을 분석한다. 특히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안건을 두고 이루어진 유럽의회 의원들의 논의 및 표결에 초점을 맞춰 회원국 수준의 갈등과 초국가적 수준의 갈등 구조 및 특징을 규명하고자 한다. 유럽의회가 자체적인 결의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진행한 일련의 표결기록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의 세 가지 흥미로운 사실을 보여준다. 첫째,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에 대한 유럽연합 회원국들의 합의 수준은 매우 높다는 것이다. 둘째,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과정은 초국가적 수준의 좌/우 이념진영 간 대립이 지배하고 있다는 점이다. 셋째, 탄소국경조정제도의 정책적 방향성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혁신유럽연합(Renew)이 중추적 역할을 관찰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결과는 집행위원회가 발의한 탄소국경조정제도의 실질적인 사회, 경제적 효과에 대한 예측과 한국 사회가 정책적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함의하는 바가 클 것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political competitions in the EU over the establishment of 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CBAM). In particular, it aims to identify the dominant features of both intergovernmental competitions and supranational competitions by analyzing the debates and voting behavior inside the EP with the issue of CBAM. The analysis of voting records over a series of amendment produces three interesting findings. First, there is a strong agreement between member state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BAM in the EU. Second, preferences among the members of the EP on the issue of the CABM are dominantly divided along the supranational ideological confrontation. Third, the Renew Group inside the EP performs a pivotal role in determining the institutional direction of the CBAM. These findings may contribute to developing a proper expectation on the potential impact of the CBAM on international society and economy and providing a firm basis for the appropriate preparation in Korean society.

      • 고려시대 강진지역 교통입지와 청자 유통

        한정훈(Han, Jeonghun) 연세대학교 강진다산실학연구원 2016 다산과현대 Vol.9 No.-

        The study examined land and water transportation networks in Gangjin area and transportation of Gangjin celadon porcelain through the transportation networks. Land and water transportation networks in Gangjin area were blocked by ‘MyeongRyangHang(鳴梁項)’ which is tough place in the sea and mountain areas in Wolchool(月出) mountain. So for sea route, besides Tamjin(耽津) and Mipo (彌浦) in Gangjin bay, Jodongpo(潮東浦) in Yeongam was actively used as an alternative harbor to avoid MyeongRyangHang(鳴梁項). In existing studies, it was understood that nearby Jangheungchang(長興倉) warehouse, one of Jochang(漕倉) is a main transit for transportation of Gangjin celadon porcelain and transportation activity actively used personal and physical basis of Jochang warehouse. But in the aspect of transportation history, it was identified that ship for Gangjin celadon porcelain for tribute started at Jochang warehouse and maybe could start in Mipo(彌浦) near Daeguso(大口所) as well. For Gangjin celadon porcelain, characteristic of celadon porcelain and transportation volume became main elements to decide departure place. Like Taean ship(태안선), large cargo of celadon porcelain preferred Mipo though burden to pass through MyeongRyangHang. Like Mado ship No.1(마도1호선), small cargo of celadon porcelain started in Jodongpo in Yeongam over uphill pass. Thus, at the Daeguso(大口所) which was the largest producer of celadon porcelain in Goryeo, using work force of Bugokmin(部曲民), Gangjin celadon porcelain was transported at not only Jochang warehouse but also Mipo. This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Gangjin Daeguso(大口所) different from Buan area which is another production place of celadon porcelain.

      • KCI우수등재

        유튜브 정치채널 시청의 결정요인과 표본선택편향

        한정훈(Han, JeongHun) 한국정치학회 2021 한국정치학회보 Vol.55 No.5

        본 연구는 유튜브 정치채널을 시청하는 이유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유튜브 정치채널 시청여부의 결정은 표본선택편향의 문제를 유의하면서 분석할 필요성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이는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에 관한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유튜브를 통한 정치정보 획득에 대한 연구가 빈약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 것이다. 선택프로빗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유튜브 이용 및 유튜브 정치채널 시청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존재한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또한 정치관심도, 기성 미디어의 뉴스 신뢰도, 웹정보를 타인과의 소통에 활용하는 수준 등이 유튜브 정치채널 시청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임을 밝혔다. 반면, 연령은 유튜브 이용과는 무관하였으나 유튜브 정치채널은 나이가 들수록 시청확률이 높았다. 흥미롭게도 학력이 높을수록 유튜브는 물론 유튜브 정치채널을 시청하지 않는 경향이 강했다. 이러한 결과는 실질적인 채널수를 추정하기 어려울 정도로 다양한 정치채널 각각의 성격을 규명하기 어려운 현실 아래서 정치정보의 소비자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소셜미디어 이용행태와 관련된 기존의 다양한 논의를 유튜브 이용행태로 확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users of YouTube political news channels. In addition, it claims that the analysis of social media users should avoid the sample selection bias. In so doing, it addresses the lack of research on YouTube users and the problems of biased estimation often produced by existing literatur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a probit model with sample selection show that the choice of YouTube use is closely related to the choice of the use of YouTube political channels. Also, users’ age, political interests and the level of communications with the information acquired by online media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use of YouTube political news channels. Meanwhile, well educated users with strong trust on traditional news media are less likely to choose YouTube political channels. These findings, although they are produced by focusing on consumers’ aspects without considering the providers’ aspects, may extend existing discussion over the behaviour of social media users.

      • KCI등재

        한국 지방선거와 정책투표의 가능성

        한정훈(JeongHun Han)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5 평화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2014년 한국 지방선거를 통해 정책투표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후보자의 정책적 입장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을 각 정당 내 정책적 동질성에 대한 인식과 경쟁정당 간 정책적 차별성에 대한 인식으로 구분하고, 이들 유권자 인식이 정책투표의 가능성을 증대하는 방향으로 수렴하는지를 모색하였다. 또한 한국 선거에서 지배적인 영향력을 지녀온 지역이 이와 같은 유권자 인식의 발전과 지닌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두 가지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한국 유권자들이 평균적으로 각 정당이 내적으로 정책적 동질성을 지닐 뿐 아니라 경쟁정당 간 정책적 차이가 있다는 인식을 발전시키고 있는 경향이 관찰된다. 둘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인식은 지역별 차이가 있을 뿐 아니라 정책투표에 유리한 방향으로 수렴하고 있지 않다. 이와 같은 발견은 한국선거에서 정책투표는 지역간 차별성의 극복 및 일관되고 차별적인 정당정책의 개발에 달려있음을 함의한다.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the 2014 Korean local elections satisfies a condition for policy voting at the voters" perceptional aspect. In particular, it explores whether voters" perceptions over both the policy closeness between candidates of a same party and the policy distance between candidates of different parties converge to lead the policy voting in Korea. Also, it analyzes the regional variations on those voters" perceptions. Empirical results show two interesting points. First, Korean votes, to a certain degree, have developed their understanding of candidates based on policies. Second, the regional variations on such a perceptional development, however, do not tell that voters" perception converge to the point conducive to the policy voting. Policy voting in Korea may depend on both how the regional effect in Korean election can be overcome and how parties can build policy preferences which are consistent and differentiating each other.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군의 베트남전 참전에 대한 베트남의 인식: 베트남 언론보도내용을 중심으로, 1976~2018

        한정훈(Han, JeongHun),응오지엠홍아(Ngo, D. Hong Nga)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21 국제정치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베트남전에 참전한 한국군에 대한 베트남인들의 인식을 분석한다. 한국군의 베트남 참전의 과거는 그동안 국제관계 시각에서 연구되는 경향이 강한 반면, 한국과 베트남 양 국민이 서로 적대적 관계에서 치른 전쟁에 대해 어떤 인식을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의 간극을 메우기 위해 그동안 한국 사회 내에서 전혀 주목받지 않은 베트남인들이 한국군에 대해 지닌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방법론적으로 베트남 내 주요 2개 신문의 보도내용을 통해 베트남전 종전과 베트남 통일 직후인 1976년부터 최근까지 베트남 전쟁 참전 한국군에 대한 베트남 내 인식의 변화를 추적하는 질적연구를 시도한다. 두 가지 흥미로운 분석결과는 첫째, 한-베트남 국가 간 교류협력의 긴밀화과정은 베트남인들이 한국군에 대해 지닌 인식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없다. 둘째, 오히려 국제사회에서 베트남의 정치, 경제적 지위향상 및 두 국가 간 힘의 동학이 한국군에 대한 활발한 재평가를 촉발하는 경향이 관찰된다. 이러한 발견은 한-베트남 간 우호적 관계를 지속하기 위해 한국과 베트남 양국이 고려해야 할 과거청산의 방법에 함의하는 바가 클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examines Vietnamese’ perception on Korean Army in Vietnam War. Unlike the large amount of literature on Vietnam war in Korea and emerging interests in the perception of South Korean public on the past behaviors of Korean Army in Vietnam war,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issue of how the Vietnamese’ public has perceived them. To fill in this research gap, this article conducts a qualitative analysis over the long-term media report on Korean Army in Vietnam war, which covers the articles from 1976 to 2018. We find two interesting characteristics from this analysis. First, the closer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Vietnam is not a main factor influencing the development of Viertnamese’ perception on the behaviors of Korean Army in Vietnam war. Second, it is rather the changes in the status of Vietnam in international society and the dynamics of power that affects it. These findings my have implications on finding a constructive way of liquidating the past of the Vietnam war between two countri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제6회 지방선거의 투표율과 후보자들의 정책공약

        한정훈(HAN Jeonghun) 한국정치학회 2014 한국정치학회보 Vol.48 No.5

        본 연구는 기초단체장 선거구별로 지방선거 후보자들의 선거공약적 특성이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다. 특히 제6회 지방선거의 서울경기지역 56개 선거구를 대상으로 후보자들이 선거공약을 통해 동일정당 후보와의 정책적 연합을 꾀하는 강도와 경쟁정당 후보와의 정책적 대결의 강도에 따른 투표율의 변화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각 후보자의 선거공보에 대한 내용분석을 시도하고, 그 결과물을 활용하여 선거구별 후보자 간 선거공약이 공유되는 정도를 측정한다. 분석결과는 각 선거구의 후보자들이 동일정당에 소속된 광역단체장 후보와 선거공약을 공유하는 강도가 높을수록 해당 선거구의 투표율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반면, 각 선거구에서 경쟁하는 후보들이 선거공약을 공유하는 강도가 높을수록 투표율이 상승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 선거분석에서 미진한 후보자의 정책과 투표율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를 보강하는 의미를 지닌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effect of electoral commitments on turnout rates at 56 districts of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the 2014 Korean local elections. After conducting a content analysis with election campaign booklets of each candidate, it develops the empirical indicators measuring respectively the levels of similarity of policy commitments at each district resulting from two different candidate"s strategies: using similar policy commitments with her party member who competes at the higher level of electoral district and competing at her district with distinct policy commitments from her competitors.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as candidates in a district are more likely to share policy commitments with her party member competing at the higher level of electoral district, turnout rate of the district is likely to be lower. In contrast, the more policy commitments are shared between competitors at a district, the higher the turnout rate is. These findings would extend our understanding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urnout and policy commitment at Korean el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