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인섭의 아동문학 연구

        한정호 ( Han Jeong-ho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9

        정인섭(鄭寅燮, 1905-1983)은 우리 근대문학사에서 다채로운 활동을 보여준 문학인가운데 한 사람이다. 그는 1920년대부터 다양한 분야와 여러 갈래에 걸쳐 문학적 역량을 보여주었다. 그는 아동문학가, 시인, 수필가, 문학평론가, 번안작가, 민속학자, 영문학자, 한글운동가, 그리고 어린이운동가로서 크게 활약했다. 특히 그는 우리나라의 초창기 아동문학 분야에서 중심적 역할을 했고, 아동문학의 여러 갈래를 넘나들며 많은 작품을 남겼으며, 아동문화운동에도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따라서 이 글은 정인섭의 삶과 문학 가운데서도 초창기에 열정을 쏟았던 아동문학가로서의 면모를 살피는 데 목표를 두었다. 이에 글쓴이는 정인섭의 문학살이와 어린이문화운동에 대해 우선적으로 짚어보았다. 특히 그의 삶과 어린이문화운동 가운데 중요한 것은 색동회의 활동이라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인섭은 암울한 시대현실에서도 계몽과 교육을 통해 어린이들에게 꿈과 의망을 불어넣고자 했던 것이다. 그런 다음, 글쓴이는 정인섭의 아동문학 작품을 동요, 동화, 동극, 동수필로 나눠 아동문학적 특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정인섭의 동시는 애상적이고 낙천적인 어린이들의 자연친화적 정서와 그들의 해맑은 순수 동심을 노래하고 있다. 또한 나라 잃은시기의 현실에 대한 어린이들의 구체생활이나 미래지향적 경향의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정인섭은 전래동화의 현대화 작업과 외국 설화의 번안동화, 그리고 자신의 순수 창작동화 등을 적고 있다. 이는 어린이문화운동과 초창기 아동문학의 기틀을 갖추기 위한 선각자적 각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아울러 그는 창작동화에도 큰 관심을 보여주고 있는데, 이는 당시 어린이들에게 읽을거리는 물론 교훈과 계몽을 주기 위한 방안이었던 셈이다. 정인섭의 동극은 교훈적 측면에서 전래동화나 외국동화 등의 이야기를 무대화하기도 하고, 예술교육의 측면에서 춤과 노래 등의 동요를 활용하여 상상력을 확장시켜 예술적 경험을 하게 하였으며, 계몽적 측면에서 어린이들이 성장해가는 데 필요한 삶의 덕목을 강조하고 있다. 아울러 정인섭은 자신의 유년 체험과 여행 체험을 중심으로 당대 어린이들의 정서함양, 그리고 전통과 현실에 대한 지식 전파를 위해 교육적 차원에서 동수필을 적고 있다. 그런 점에서 그의 동수필은 그의 아동관과 문학사적 행보를 살펴보는 데 유용한 자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이렇듯 정인섭은 1920년대 우리 아동문학을 자리매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맡았다. 많은 동극을 창작하여 우리나라 동극의 터전을 닦았고, 우리 겨레의 민족성을 어린이들의 마음속에 심어주고자 노력했다. 그런 점에서 그의 아동문학은 우리나라 근대 어린이문화운동과 맥락을 같이하며, 여러 갈래에 걸쳐 값진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Jeong In-seop(1905-1983) is one of literary man showed a variety of activities in our modern literature. He showed literary skills across various sectors and branches since the 1920s. He was a large activity as a children`s literature, poet, essayist, literary critic, writer adaptation, folklorist, english scholars, and Hangul activists. In particular, he had a central role in the country`s early children`s literature field and left a number of works across the various branches of children`s culture and also played an active workout of children`s literary movement. This author is also aimed to appearance of aspect as a children`s literature a early passion for literature among life and literature of the jeong In-seop. First of all, this writer first saw point out literature about children`s movement and cultural age of Jeong In-seop. Especially, It is important that saekdonghoe(stripes of many colors) was activity among in his life and children`s culture movement. Through this fact, He put their dreams and hope to children through enlightenment and education in grim reality era. Next, his children`s literature divided into fairy tales, nursery rhymes and fairy essay. I investigated on specifics about children`s literature characteristics. He shows an angel childlike and realism childlike in his children`s world. His fairy-tale world announced the adapted fairy tales, fairy tales and creation of modernization and foreign legends of fairy tales. It derives from the pioneering awakening to equip children with the groundwork of the early cultural and children`s literature movement.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istics of nursery rhymes of Jeong In-seop is that it is creative with a live performance in mind. So his nursery rhymes world is unfolding as in life childlike through song and dance. Eventually, Jeong in seop have greater merit as a pioneer nursery rhymes as a means of children cultural movement in the 1920s. His essays usually put out his own childhood home candid experience and travel experience. Also he writed many essay in terms of education for the children`s knowledge propagation and cultivation emotion to the children. As such, Jeong in seop has played a major role in becoming our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20s. He brushed the grounds of the country nursery rhymes with creation of many nursery rhymes and tried to instill our countrymen ethnicity in the minds of the children. In this regard, his children`s literature is in context with a country of modern children`s cultural movement and shows the valuable achievements across multiple branches. Future, it will have to be more active to research on the overall life and activities of Jeong Iin-seop. For instance, the meticulous research on Korean linguistics and folklore work as well as cultural activity of poems, essays, criticism, literary translation work will be followed. To do so, the complete works of his life and activities will have to be published. Only then, this place become and full value for it be followed.

      • KCI등재

        관용구의 문법범주

        한정한 ( Jeong Han Han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1

        이 글의 목적은 체언형 관용구와 용언형 관용구가 실제 문장에서 실현될 때 나타나는 문형 정보를 살펴보고, 이를 통하여 체언형 관용구와 용언형 관용구는 관용구(XP)가 굳어져 그대로 어휘부에 저장된 [XP] 형 단어(어휘적 단어)라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 경우 관용구의 내부 성분은 의미가 없어서 관형어나 부사어에 의한 수식은 가능하지 않다. 3장에서는 체언형 관용구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통사적 내부구조와 격틀구조를 살펴보고 있다. 체언형 관용구 중에는 ‘낙동강 오리알’(NN 형 관용구)처럼 합성명사로 보아야 할 구조도 있고, ‘제 눈에 안경’(N에 N), ‘가난이 원수’(N이 N), ‘가재는 게편’(N는 N) 형 관용구처럼 조사가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처럼 행동하는 경우도 있음을 보였다. 그리고 ‘강 건너 불구경’(VPN) 형 관용구도 부사절(VP)이 주절과 결합하지 않고 바로 명사(‘불구경’)와 결합한다는 점에서 정상적인 통사구조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특이한 구조이다. 4장에서는 체언형 관용구가 실제 문장에서 실현될 때 나타나는 격틀 정보를 살펴보고, 이들이 직설표현으로 쓰였을 때와는 다른 격틀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지적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체언형 관용구와 용언형 관용구를 어휘적 단어로 취급할 수 있는 증거 중 하나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5장에서는 3, 4장의 논의를 기본으로 하여, 체언형 관용구와 용언형 관용구의 문법 범주를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여기서는 어휘적 단어의 개념을 소개하고, 체언형 관용구와 용언형 관용구가 어휘적 단어의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음을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논증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irst to classify as many sentence patterns of Nominal Idiomatic Phrases (NIP) and Verbal Idiomatic Phrases (VIP) as possible on the basis of the Contemporary Corpus of the 21 Century Sejong Electronic Dictionary, and second, to claim that both NIPs and VIPs are lexically stored XPs that are stored in the lexicon as they are, that is, as XPs. Because of that, the inner syntactic structure of a idiomatic phrase is closed to other syntactic constituents so that an adnominal and adverbial modification for one of the inner constituent of the idiomatic phrase are not possible. In Chapter 3, we have examined the syntactic structures and sentence patterns of the NIP. Among many we find some extraordinary syntactic structures which are not the cases in normal syntactic structures. There is a case of NN type NIP as `Nakdongkang Orial`, which we may treat as a compound word. And also there are cases where the case markers as -ey, -i, -nun are combined with one constituent of a phrase resulting in a NIP. And there is a case in which an adverbial phrase is directly combined with a noun instead of a main clause, which is not the case in a normal syntactic structure. In Chapter 4, we have classified the syntactic patterns of the NIPs, when they are realized in an actual sentence. And we have made clear the fact that a NIP has different syntactic pattern as contrast to a non-idiomatic expression has. In addition, we have claimed that, due to the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NIPs as well as VIPs must be treated as lexical words which are stored in the lexicon. In Chapter 5, based on the preceding chapters, we have intensively investigated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the NIPs and VIPs. We have introduced in detail the notion of lexical word and its conditions to be. Finally we have shown 11 different reasons, why we the NIPs and VIP must see as lexical words in Korean.

      • KCI등재

        편지글 읽기에 나타난 한국어 모음 /오/-/우/의 세대간 차이

        한정임(Han, Jeong-Im),강현숙(Kang, Hyunsook),김주연(Kim, Joo-Yeon) 한국음성학회 2013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5 No.4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of Han and Kang (2013) and Kang and Han (2013) which examined cross-generational changes in the Korean vowels /o/ and /u/ using acoustic analyses of the vowel formants of these two vowels, their Euclidean distances and the overlap fraction values generated in SOAM 2D (Wassink, 2006). Their results showed an on-going approximation of /o/ and /u/, more evident in female speakers and non-initial vowels. However, these studies employed non-words in a frame sentence. To see the extent to which these two vowels are merged in real words in spontaneous speech, we conducted an acoustic analysis of the formants of /o/ and /u/ produced by two age groups of female speakers while reading a letter sampl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1) the younger speakers employed mostly F2 but not F1 differences in the production of /o/ and /u/; 2) the Euclidean distance of these two vowels was shorter in non-initial than initial positio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Euclidean distance between the two age groups (20’s vs. 40-50’s); 3) overall, /o/ and /u/ were more overlapped in non-initial than initial position, but in non-initial position, younger speakers showed more congested distribution of the vowels than in older speakers.

      • KCI우수등재

        기후변화에 따른 도시하천의 야생조류 서식환경 변화 연구 - 탄천 생태·경관보전지역를 사례로 -

        한정,봉호,곽정인,Han, Jeong-Hyeon,Han, Bong-Ho,Kwak, Jeong-In 한국조경학회 2024 韓國造景學會誌 Vol.5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nges in the habitat of wild birds caused by climate change in urban rivers and protected areas that greatly require ecological functions. In the future, this study can be used as a management index to protect the urban river ecosystem and maintain the health of sustainable urban rivers, thereby ensuring biodiversity. The Tancheo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selected as a target site, has been affected by climate change. The four seasons of Korea have a distinct temperate climate, but the average annual temperature in Seoul has risen by 2.4-2.8℃ over the last 40 years. Winter temperatures tended to gradually increase. Precipitation, which was concentrated from June to August, is now changing into localized torrential rain and a uniform precipitation pattern of several months. Climate change causes irregular and unforeseen features. Climate change has been shown to have various effects on urban river ecosystems. The decrease in the area of water surface and sedimentary land impacted river shape change and has led to large-scale terrestrialization. Plants showed disturbance, and the vegetation was simplified. The emergence of national climate change indicator species, the development of foreign herbaceous plants, the change of dry land native herbaceous species, and wet intelligence vegetation were developed. Wild birds appeared in the territory of winter-summer migratory. In addition, species change and the populations of migratory birds also occurred. It was judged that fluctuations in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nd non-predictive characteristics affect the hydrological environment, plant ecology, and wild birds connecting with the river eco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how climate change affects the habitat of wild birds and to develop a management index for river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wher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unctions in cities operate.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c study at the level of ecosystem services to improve the health of urban rivers and create a foundation for biodiversity.

      • KCI등재

        On the development of anticipatory coarticulation in Korean/English interlanguage

        Jeong-Im Han(한정임) 한국음운론학회 2006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Vol.12 No.1

          The present study probes the question of various developmental patterns of anticipatory coarticulation, through CV vs. V-to-V coarticulations in L2 sound acquisition, based on the previous claims that these two types of coarticulations may follow different development patterns (Repp 1986), and that phonetic implementation becomes automatic through long period of learning (Kingston and Diehl 1994). Five repetitions of the CV in a carrier sentence ‘I like the ___,’ where C=/t/ or /s/, and V=/i, æ, u/ were recorded by three different groups such as native Korean speakers with a low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NK), and native Korean speakers with a higher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bilinguals) as well as native English speakers (NE), and the VOT values of /t/, the fricative noise of /s/, and F1/F2 values of the schwa in "the"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 that 1) in the CV context, VOT durations, not fricative noise, were significantly shorter before /i/ than /æ/, in the production of Korean natives with a higher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bilinguals) and native English speakers (NE), but native Korean subjects with a low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NK)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2) in the VCV context, the F1 values were higher before /æ/ than /i/ or /u/ for bilinguals and NE, while there was no such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NK. The results for the F2 values showed similar patterns between NK vs. bilinguals and NE. These findings show that even the CV as well as V-to-V coarticulations cam be learned. The present study only partly supports Repp (1986) by showing that both CV and V-to-V coarticulations are acquired through learning, but it directly supports Kingston and Diehl (1994) in that even low-level phonetic details such as CV coarticulation are learned.

      • KCI등재후보

        이극로의 "고투 40년" 문학살이 연구 -시가(詩歌) 작품을 중심으로

        한정호 ( Jeong Ho Han ) 영주어문학회 2015 영주어문 Vol.30 No.-

        이극로(李克魯, 1893-1978)는 나라사랑과 한글사랑을 실천했던 독립운동가이자 한글학자였다. 특히 그는 나라잃은시기와 광복기를 거치면서 조국독립과 수호에 앞장섰으며, 굳은 신념으로 한글 보급과 연구에 헌신했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이극로의 생애와 활동에 관한 전반적 연구, 특히 한글활동과 어문운동, 민족교육 내지 독립운동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하게 펼쳐졌던 그의 문학 활동에 대해서는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글쓴이는 문학적 측면에서 그의 초창기 삶과작품들을 대상으로 나라사랑과 문학실천의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했다. 사실 그는 한글 또는 독립운동 못지않게 문학에도 큰 관심을 보여주면서 많은 작품을 이극로(李克魯, 1893-1978)는 나라사랑과 한글사랑을 실천했던 독립운동가이자 한글학자였다. 특히 그는 나라잃은시기와 광복기를 거치면서 조국독립과 수호에 앞장섰으며, 굳은 신념으로 한글 보급과 연구에 헌신했다. 따라서 학계에서 는 이극로의 생애와 활동에 관한 전반적 연구, 특히 한글활동과 어문운동, 민족교육 내지 독립운동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하게 펼쳐졌던 그의 문학 활동에 대해서는 그동안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글쓴이는 문학적 측면에서 그의 초창기 삶과작품들을 대상으로 나라사랑과 문학실천의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했다. 사실 그는 한글 또는 독립운동 못지않게 문학에도 큰 관심을 보여주면서 많은 작품을 남기고 있다. 이를테면 한시, 시와 시조, 노래가사, 수필, 비평 등이 그것이다. 먼저, 이극로는 어릴 적부터 한시를 통해 자신의 시재(詩才)를 보여주었다. 그는 자신의 기행 체험을 한시로 형상화했다. 특히 여러 나라와 특정 공간에서 느끼는 감회를 읊고 있는 것이다. 그가 남긴 한시로는 「백두산」, 「애급금자탑상감음」, 「음라마교황청」, 「음라마시」, 「함흥 형무소에서」, 「마니산에올라서」, 「정해제석시」 등 7편을 찾을 수 있었다. 이들 한시를 통해 그는 자신의 장소 탐방뿐 아니라 감옥살이, 그리고 대종교 활동의 고투 체험을 다각도로 표현했다. 다음으로, 이극로는 시와 시조 창작에도 관심을 보였다. 그의 시는 대개 장소에 대한 서정을 노래하고 있는데, 이는 한시의 기행 체험과 맞닿아 있다고 하겠다. 이를테면 그의 시는 낙동강, 백두산, 금강산, 한강, 한양, 충렬사 등을 글감으로 삼고 있다. 그는 이들 작품을 통해 장소가 갖는 의미와 자신의 정서를 형상화했다. 그러한 장소감은 그의 나라사랑과 문학실천의 염원을 고스란히 담아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극로는 특정 단체의 노래가사를 작사했다. 이를테면 대종교의 「한얼노래」, 조선어학회의 「한글노래」, 조선유도연맹의 「조선연무가」가 그것이다. 이극로의 노래가사는 그의 세계관과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이는 구체 적으로 대종교 사상, 한글사랑, 그리고 체육 계몽의 실천의지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그의 노래가사에서는 나라잃은시기의 현실인식과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려는 노력이 돋보였다. 결국 그는 노래가사를 통해 우리의 자주독립과 민족의식을 일깨우고자 했던 것이다. 이렇듯 이극로의 초창기 삶은 나라잃은시기와 광복기에 걸친 우리나라의 ‘고투 40년’, 곧 근대 지식인의 전형으로 설정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각별한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의 문학살이는 독립운동가이자 한글학자로 널리 알려진 명성과 이력을 더욱 풍성하게 만들어준다. 그런 점에서 그의 작품 활동은 근대 지식인의 나라사랑과 문학실천의 방향을 일러준 값진 업적이라 하겠다. Lee Geuk-ro was leader of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Hangeul scholar in practicing the country and Hangeul love. In particular, he dedicated to research and to the Hangeul alphabet dissemination with firm beliefs passing by the lost time of country and the liberation of the independence and he leads the way in country independent and guardian. Therefore, the life and activity of him has been made the discussion of the overall research, particularly Hangeul alphabet and linguistics movement, ethnic education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academic community. But his literary activity to various unfold over the long term did not on studies in the meantime. I recollected the meaning of country love and literary practice about works and his early of the life in literary aspects. In fact, he was leaving a lot of work no less showing great interest in the literature than the Hangul, or independence movement. In other words, they were Chiness poetry, poetry, Sijo, song lyrics, essays and criticism. First of all, Lee Geuk-ro appeared in his poetry-gift through Chinese poetry from childhood. He was the embodiment of Chinese poetry about experience of his eccentricity. In particular, there was in anything cite feel from many countries and a certain space. Though these Chinese poems, Lee Geuk-Ro expressed From various angles about the prison and the struggle experience of the Daejonggyo activities as well as explore his place. Next, Lee Geuk-ro was interested in a poetry and Sijo creation. his poetry is usually for lyric song in place, this is bordered on eccentricity experience of Hangeul poetry. He was symbolizing means having a place and his emotions though these Hangeul poetry. a sense of such place have put into the pot with aspirations the country love and the literary practice. Finally, he wrote words of song for specific groups. in other words. This was a song of his world view and ideology as Lee Geuk-ro based on, which was showing specifically the Daejonggyo thoughts, Hangeul love and a willingness to practice of physical education. Therefore, words for his song lyrics looked up the effort in order to raise awareness the reality and ethnic consciousness for time lost korea. Eventually, he evoke a sense of independence and ethnic consciousness through words for song. As such, In the early days of life of Lee Geuk-ro, It will be able to grant a particular meaning that the epitome of the modern intellectuals can be set in that time the country lost over forty years for liberation struggle. Also, his literary life made the prestige and history to enrich by more popularly known as the leader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Hangeul scholars. in that sense, his work activities gave valuable achievements in direction to country love and literary practice of the modern intellectuals.

      • KCI등재

        유배문학의 산실, 남해도(南海島) -김구, 김만중, 류의양을 중심으로-

        한정호 ( Jeong Ho Han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1 No.-

        남해도는 유배객들이 남긴 유배문학의 산실로서 상징적이며 대표적인 지역이 되었다. 그런 점에서 유배문학은 남해군의 역사·문화적 보물 가운데 하나라고 하겠다. 글쓴이는 오래 전부터 고향인 남해도의 유배문학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지금껏 남해 유배객에 대한 개별적 연구, 이를테면 작가·작품론은 더러 찾아지지만, 남해 유배문학에 대한 전반적 조망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무엇보다 아쉽다. 이 글은 남해도의 유배문학 전통과 자산을 살피는 데 있다. 사실 우리 문학사에서 잘 알려져 있는 남해의 유배문학인으로 김구, 김만중, 류의양, 남구만, 이이명, 권도 등을 꼽을 수 있다. 이에 글쓴이는 김구의 「화전별곡」, 김만중의 「구운몽」과 「사씨남정기」, 그리고 류의양의 「남해문견록」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남해도가 시가문학, 소설 문학, 기록문학 전반을 아우르는 유배문학의 산실임을 입증하고자 했다. 한편, 남해도에 유배 온 많은 유배객들이 한시 작품을 남기고 있다. 이에 글쓴이는 앞서 대상으로 삼았던 김구, 김만중, 류의양의 한시를 살펴봄으로써 남해 유배문학의 위상과 그 의미를 거듭 확인하고자 했다. 이들 유배객들은 남해도의 명소와 풍광, 그리고 자신의 체험을 작품 속에 끌어들이고 있다. 물론 남해도를 소재한 한 문학적 자취는 고대에서 근대까지 더러 남아 있다. 비록 그것이 ‘과차문학’의 입장을 지니고 있다고 하지만, 그 또한 남해도라는 장소를 배경으로 일구어진 것들임에는 틀림없다. 이렇듯 역사의 질곡 속에서 그나마 남해도가 문인들의 작품에 모습을 드러내게 된 것은 값진 성과이며 자랑이라 할 것이다. Exile literature meant to literary works made in a place of exile. That is to say, It were the works to figure as literature, the world of spirit that are faced by direct experience, emotional contents and exile situation of exile man at the Goryeo Joseon Dynasty period. Namhae Island became symbolic and representative region as repository of exile literature from exile man. That`s, I thought that exile literature was one of historical cultural treasure in Namhae County. The writer was concerned about exile literature for years. So far, Individual study on Namhae exile man, so to speak, Author-work thesis seek for sometimes, but, I missed that was not made to overall view about Namhae exile literature. This paper took a good look to generally trade and value exile literature of Namhae Island. In fact, It was well known that the exile literature man of Namhae were kim Gu, Kim Man-Jung, Loo Yei-Yaong and Nam Kuman, in history of literature. For this fact, the writer was willing to call in question over property of exile literature around of them. and then, I would like to see regional image of Namhae Island and the poetic figuration about objection to the exile Chinese poem of them. Therefore, the writer examined the character of kim Ku 「Hwajeonbyeulkog(화전별곡)」, Kim Man-Jung 「Kuunmong(구운몽)」 and 「Sassinamjeongki(사씨남정기)」, Loo Yei-Yaong 「Namhaemoonkyeunlog( 남해문견록)」. Through These, It proved to be the cradle of exile literature that Namhae Island was harmonized generally on poetry, novel and documentary literature. Meanwhile, An exile from exile of Namhae Island reserved a work of Chinese poem. However, the writer made certain again status and it`s meaning the exile literature of Namhae Island by looking into Chinese poem of kim Gu, Kim Man Jung, Loo Yei Yaong, earlier mention. These exile are attracting their experience in works, attractions and scenery of Namhae Island. Of course, there was some left, literature vestige to the material of Namhae Island, from ancient to modern. Even if it were standpoint of passing literature, In any case, also, Namhae Island must be background of place. Like this, in the fettlers of history, even so, It was valuable result and boast that Namhae Island was exposed by the works of literary man. In fact, This paper was put to inconvenienced depth handle. looking generally tradition and valuation of exile literature of Namhae Island, I was put to inconvenienced in depth untanned about the work and individual writer. A study on the expansion of such author thesis, the form of exile literature and rhetoric expression left next subject. Together, In consider collection of works about an exile of Namhae, It was the remainder of assignment that life and thought of an exile, the world of literature depth studied on influence in effect of Namhae culture.

      • KCI등재

        국어의 주어를 어떻게 정의해야 하는가?

        한정한(Han Jeong Han) 한국어학회 2013 한국어학 Vol.60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ine Korean subject in terms of linguistic typology, especially based on predicate type-centered definition. It is well acknowledged among Korean scholars that Korean subject is difficult to define directly by one criterion. This is because the subject can realize without subject case, and sometimes occur with auxiliary case markers that have independent semantic meanings. To more Korean subject can often occur with non subject case marker such as dative ``-eke``, locative ``-ese``, even sometimes honorific maker ``-kkese``. Because of these seeming confusions, scholars rather depend on several syntactic devise all in one to define subject, such as subject case ``i/ka``, agreement ending ``-si``, reflexive pronoun ``caki``, relativization, topicalization etc. Instead of those indirect and insufficient subject tests, we directly provide with a typologically prevailed subject definition, that is, a predicate-centered. This was originated from Comrie(1978), and Dixon(1979), and subject is defined by numerical valence and generalized argument roles. According to this Korean subject may be defined as {S, d-S, A1, A2} respectively, where S means a sole argument of intransitive, d-S means derived S in passive sentence, A1 and A2 means a most agent-like argument in transitive and ditransive. However, the definition like above could also have subsequent problems left out. For instance, because of we did not define Korean subject in terms of case, it is logical to answer what kind of function the subject case do, and how many types of predicate are there in Korean, and finally how we define other grammatical relations like object, complement etc. Those are the problems we hope to research on subsequently.

      • KCI등재

        한국어 격조사의 의미역과 화용적 지시

        한정한(Han Jeong Han) 한국어학회 2014 한국어학 Vol.65 No.-

        이 글의 목적은 한국어 격조사 “가”, “를”을 주격, 목적격과 같은 통사격 표지가 아니라 의미역과 화용적 지시의 표지라는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다. 그 동안 한국어의 다중 주어 구문, 다중 목적어 구문은 국내외 많은 학자들의 주목을 받아 왔지만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상호 관계에 대하여 아직도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본고는 “가”, “를”이 통사격을 부여(assign)하거나 표시(marking)하지 않는다고 보았다. 한국어에서 통사적 주격(Syntactic Sub), 통사적 목적격(Syntactic Obj)은 “가”, “를”이 없는 영형태Ø)로 실현되며, (예, “나 그 책 샀어.”) “가”, “를”은 오히려 의미역이나 화용적 지시 표지라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가”, “를”의 문법적 기능은 이원적이라는 것이다. 첫째, 의미역의 관점에서 형태 “가”는 첫 번째 최대역(Privileged Macrorole)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화용적으로는 특정성(specificity)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비슷한 방식으로 의미역의 관점에서 형태 “를”은 두 번째 최대역(Second Macrorole)을 표시하는 데 사용되며, 화용적으로는 특정성을 표시하는 데 사용된다. 결국 “가”, “를”의 일차적인 기능은 이 둘이 서로 겹치는 특정성 표시이며, 그 이외에 “가”는 첫 번째 최대역 표지로, “를”는 “두 번째 최대역” 표지로도 사용된다는 것이다. 첫 번째 최대역은 통사부에서 서술어와 서술어의 일반화된 논항(S, A, O)이 결정되면, 통사적 주어(S, A)가 되고, 두 번째 최대역은 같은 방식으로 통사적 목적어(O)가 된다. 여기서 S는 자동사의 유일논항이며, A는 타동사의 가장 행위주 같은(agent-like) 논항, O는 타동사의 가장 피해자 같은(patient-like) 논항을 말한다.

      • 마을 생태복원을 위한 도랑(Small stream)의 사전 생태환경평가

        한정호 ( Jeong-ho Han ),백운기 ( Woon Kee Paek ),안광국 ( Kwang-guk An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2

        본 연구에서는 시골마을의 생태복원을 위해 도랑(Small stream) 의 생태환경의 사전 평가를 위해 6개 지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한 어류자료의 다변수 평가 모델을 기반으로 도랑의 생태건강성 진단을 실시하였다. 물리적 서식지 평가지수(QHEI) 분석 결과 6개의 전지점에서 QHEI평균값은 158.7“ 양호-보통상태(Good-Fair)” 인 것으로 나타나 상류성 소하천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으며, 최 상류부인 제 1지점의 물리적 서식지상태가 비교적 낮은 값을 보였는데, 이는 제 1지점이 인위적인 석축과 바위로 구성되어 있는 하안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소(Pool)의 존재로 인한 침전물 증가가 하상 서식지를 교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이·화학적 수질특성에 대한 영향평가에서는 전기전도도는 인간의 인위적인 영향이 없는 대조군 하천에 비교하였을 때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주변의 존재하는 농경지와 같은 비점오염원에서 유입수로 인하여 다소 높은 전기전도도 값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S1지점 인근 농경지 및 과수원등으로부터의 유기물 유입이 일어나고 있으며, S2 지점의 경우는 도랑주변의 주택가로 부터 오염원의 유입이 예상되고 있어 영양염류의 유입으로 인한 이·화학적 수질악화가 하류부로 가면서 다소 증가하는데 이는 하류로 갈수록 수체가 좁아지는 특징과도 연계된다. 어류의 종조성 및 군집특성 분석에 따르면, 상류부 지점(S1, S2)은 여러 종과 개체수가 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갈수기에 도랑이 건조해지면서 어류 서식처가 감소하여 다수의 어류가 물이 고여 있는 둠벙(Pool)으로 이동하는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나타났다. 한편, 모든 조사 지점에서 여울성 저서어종의 부재 및 제 3지점 이후에서 민감종이 출현하지 않았다. 이런 결과에의해 어류의 내성도 및 트로픽 분석에서는 하류로 갈수록 민감종 및 충식종이 감소하고 내성종 및 잡식종이 증가하는 특성을 보였다. 다변수 어류평가 모델 (Multi-metric Fish Model)에 의한 생태건강도 평가에 따르면 생물통합지수(IBI)는“보통상태”(Fair)를 보여 하류로 갈수록 생태 건강도는 매우 급격히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결과에 따르면, 본 수체의 건강성 향상을 위해서는 상·하류 간 어류의 자유로운 이동 및 서식공간을 제한하고 흐름 유형을 단순화시키는 하는 장애물(퇴적물, 인공구조물) 제거 및 주변 농경지와 주거지에서의 오·폐수 유입의 규제 등 적절한 대안책을 마련할 경우 생태복원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