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김동화가 본 한국불교의 정체성: 일심의 회통

        한자경 ( Ja Kyoung Han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한국불교사연구 Vol.3 No.-

        김동화는 현재 한국불교가 조계종 하나로 통합된 것에 대해 비판적이다. 본고는 그의 그와 같은 비판의 근거가 무엇이고 그가 그 대안으로 무엇을 제시하는지를 살펴보며, 그 기반으로서 그가 한국불교의 정체성을 어떻게 이해하는지를 밝혀보고자 한다. 김동화는 한국불교가 적어도 교종·선종·염불종의 셋으로 분화되어야 한다고 보지만, 불교 교설에 관한 한 하나의 교종으로 종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종합불교’를 주장한다. 전통적으로 중국불교가 교상판석에 입각한 종파불교인데 반해, 한국불교는 원효 이래로 불교 전체 교설을 하나의 원리로 관통하는 회통불교를 주장해왔기 때문이다. 김동화는 그러한 회통의 원리를 우주 삼라만상과 인생의 근본원리인 ‘일심’이라고 설명하며, 이 일심이 석가의 깨달음의 핵심이고 대승은 그러한 석가의 핵심사상을 전개 발전시킨 것이라고 강조한다. 본고는 김동화의 불교사상을 논자가 동의할 수 있고 공감할 수 있는 방식대로 ‘일심과 회통의 철학’으로 정리하여 그것으로써 ‘한국철학의 정체성’을 규정해본 것이다. Kim Dong Hwa is critical of the fact that Korean Buddhism is currently integrated into a single sect, the Jogye-Order. This thesis examines the grounds of his criticism, his suggestions concerning the alternative, and thus how he understands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m. Kim Dong Hwa believes that Korean Buddhism should be divided into three parts at the least: Scholastic-Buddhism, Zen-Buddhism, and Yeum-Buddhism. However, he insists on ‘comprehensive Buddhism’ which seeks integration into Scholastic-Buddhism when it comes to instruction. While Chinese Buddhism has traditionally been sectarian Buddhism which conducts systematization of Buddhist sects, Korean Buddhism has claimed harmonization Buddhism which has one penetrating principle in Buddhist instruction since Won Hyo. Kim Dong Hwa explains this principle of harmonization as One-Mind which is the basic principle of life and all the things in the universe, and emphasizes that One-Mind is the gist of Buddha`s enlightenment along with the fact that Mahayana Buddhism is what inherits and develops the core thoughts of Buddha. This thesis proposes ‘the identity of Korean Buddhist philosophy’ through sympathetically summarizing Kim Dong Hwa`s Buddhist philosophy as ‘the philosophy of One-Mind and harmonization.’

      • KCI우수등재

        미발지각(未發知覺)이란 무엇인가?

        한자경(Ja-Kyoung Han) 한국철학회 2015 철학 Vol.0 No.123

        본고는 미발지각으로 주희가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밝히고, 그 관점에서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미발지각에 관한 논의를 검토해보았다. 주희 성리학에서의 미발지각의 의미를 논하기 위해 주희의 인간 본성의 이해 및 병술지오(중화구설)와 기축지오(중화신설)의 핵심이 무엇인지를 밝힌 후 ‘희노애락지미발’, ‘사려미맹’, ‘지각불매’로 압축되는 미발지각의 의미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 관점에서 현대 한국에서 제기되는 미발에 관한 논쟁을 검토하였다. 미발의 형이상자를 마음활동 없는 성=리로만 간주하는 문석윤, 그를 비판하며 미발을 오히려 경험적 의식으로 해명하는 이승환, 다시 미발이 경험적 의식일 수 없음을 강조하며 미발=성=리를 주장하는 손영식의 입장을 살펴보았는데, 문제는 두 입장 모두 미발=성=리=보편, 이발=심=기=개별이라는 이원 구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이 양 항을 ‘본체로서의 미발’과 ‘공부로서의 미발’로 종합하려는 이상돈도 미발지각에 대한 천착이 결여됨으로써 결국 이 이원 구도를 벗어나지 못한다고 본다. 반면 본고는 주희 기축년 깨달음의 핵심을 바로 이러한 이원구도를 깨는 미발지각의 발견으로 논하였다. 미발지각은 개별인간 안에 깃든 보편적 천지지심인 심층마음의 허령불매의 활동성이라는 것, 이 미발지각의 발견이 성리학을 포함한 동양 형이상학의 핵심이라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 KCI우수등재

        도표의 정위(定位)와 인간의 시선

        한자경(Ja-Kyoung Han) 한국철학회 2006 철학 Vol.88 No.-

        도표 상 동서남북의 방위는 어떻게 배치되어야 바른 정위라고 할 수 있는가? 오늘날의 지도상으로는 북이 위에 남이 아래에, 따라서 동이 오른쪽에 서가 왼쪽에 정위되어 있지만, 중국 고대의 〈하도〉, 〈낙서〉나 송대 렴계 주돈이의 〈태극도〉에는 반대로 북이 아래에 남이 위에, 따라서 동이 좌에 서가 우에 정위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이 현대와 고중세 또는 서양과 동양의 차이는 아니다. 조선의 양촌 권근의 〈천인심성합일지도〉나 퇴계 이황의 〈천명도〉에는 반대로 북이 위에 남이 아래에 정위되고, 따라서 동이 우에 서가 좌에 정위되어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양촌과 퇴계가 각각 무슨 근거에서, 즉 어떤 철학적 이유에서 북을 위에 배치하였는가를 살펴보았다. 양촌은 두 가지 상이한 정위 방식을 도표와 도표를 보는 자 중 어느 것을 주(主)로 삼고 어느 것을 빈(賓)으로 삼는가의 차이라고 설명하지만, 퇴계는 주ㆍ빈의 대립은 북이 위에 정위된 도표에서만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왜 〈천명도〉가 북을 위로 정위하는가에 대해 퇴계는 〈천명도〉가 자연의 양기(陽氣)의 증장을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천명(天命)의 하향을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며, 그렇게 하는 것이 〈심통성정도〉에서도 보여지듯 성(性)과 정(情), 지(智)와 예(禮)의 배치와도 적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북이 위로 정위된 도표에 관한 한 그 도표를 보는 자는 북향의 시선이 된다. 도표 상의 만물 존재는 '남향의 존재'이고, 그것을 바라보는 인간의 시선은 '북향의 시선'이 되는 것이다. 본고는 이러한 '북향의 시선'이 곧 '태양의 시선'이라는 것을 논하며, 그 '태양의 시선'의 의미를 성리학의 '성기성물(成己成物)'과 '인(仁)'의 정신에 따라 해명해보았다.

      • KCI우수등재

        마음의 本性과 見性의 문제 - 불교의 空寂靈知와 見性, 독일관념론의 事行과 知的 直觀의 비교

        한자경(Han Ja Kyoung) 불교학연구회 2002 불교학연구 Vol.5 No.-

          The human mind usually acts in subject-object-division and through this act it gathers all kinds of differentiating knowledge about the world However Buddhism tries to arrive at non-differentiating knowledge and declares that the human mind essentially acts in an undivided way. This act, which is the absolute un-differentiating knowledge of self, is the nature of human mind. Buddhism refers to this as Empty Spiritual Knowledge"(空寂靈知).<BR>  German Idealism shares the same opinion as Buddhism about the essential nature of the human mind It proves that all kinds of empirical activities of the mind depend on one absolute act. It considers this absolute act as the nature of the human mind and calls this Fact-Act"(Tathandlung, 事行).<BR>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the Empty-Spiritual-Knowledge in Buddhism and the Fact-Act in German Idealism are the transcendental essence of human beings as undivided Absolute One, which comprehends both oneself and world, mind and body(matter), knowing and being, etc. Insofar they are of the same opinion. However in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nature of human mind as such and how to actualize it in reality, they don"t agree. Buddhism teaches the way of spiritual meditation, while the German Idealism chooses the path of practical or political activity.<BR>  Should be different from relativism which goes only its own way without concern others. It is as open as they can convert to other religion with volition to learn other faith and reform themselves. Therefore the opening must not be strategic but be honest one. This honest opening might be possible only in the case of tentative self-denial. Without this tentative self-denial there can"t be self-transcendency and without self-transcendency it is impossible to make true reconciliate or agreement. Then, the true multi-religious pluralism can be possible from self-denial.<BR>  Buddhism is the religion to make self-denial. The foundation of self-denial of Buddhism can obviously be found in the absence of ego theory, the Dharma of pratitya-sarnutpada, the upaya theory, the middle way theor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정도전의 불교비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우주 내에서 인간 心의 존재론적 위상에 대한 논의 : 정도전의 불교비판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자경(Han Ja-kyoung) 불교학연구회 2003 불교학연구 Vol.6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quire critically Jung Do-Jun"s critic of Buddhism and to clarify the fundamental difference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the metaphysical point of view. Through this study I arrived to this conclusion; Confucianism regards 理 or 性, which is endowed in human mind, as the mind-independent objective absolute principle of the cosmic world, while Buddhism considers 理 or 性 as the relative principle, which is proper only to the appearance-world or transmigration-world. And in Buddhism the transmigration-world is constructed and exists only upon the karma(業) of the living mind. In Buddhism the human mind is regarded as the transcendental being, 眞如, which can be delivered from the world-attachment and can be made free from the transmigration. Based on that conclusion I suggest to categorize Confucianism as objective essentialism, which assumes the existence of the objective world, objective principles of nature and absolute principles of ethics, whereas Buddhism is subjective spiritualism, which denies the mind-independent objective existence of the world and takes all kinds of principles as subjective and relative. The absolute being in Buddhism is only the self-consciousness of 空, namely the pure mind or 眞如.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