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언을 근원성부(根源聲符)로 한 형성자 고(考)

        한연석 ( Youn Suk Ha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6 漢文古典硏究 Vol.32 No.1

        언(깃발 언)은 갑골문에서 ‘□’으로 썼다. 깃발이 펄럭이고 있는 모습을 그려 本義 ‘깃발’을 나타내었다. ‘언’을 根源聲符로 한 形聲字는 거의 대부분 자형 ‘언’ 대신 □(韓), 翰, 斡, 한, 한, 幹 등처럼 1차 형성자 간의 자형으로 구현되고 있다. 언은 갑골에서 해서까지 ‘□-□-□-□-□- 언’와 같이 演變 되었다. ‘(□)’의 左上 깃봉 ‘□’는 ‘□-□-□-□-□- ’로 演變 되고, 깃대 장식 ‘□’는 상부 필획은 方(언)의 일부인 ‘□’으로, 하부 필획은 언의 오른쪽 필획 ‘人’으로 연변 되었다. 언의 ‘方’으로의 연변은, 의 하부 의 竪劃 ‘□’를 왼쪽으로 彎曲되게 ‘□’으로 쓰고, 의 상부 ‘□’를 ‘□’으로 연변 시켜 ‘□’와 결합하여 ‘力’으로 쓰고, 여기에 깃봉 ‘□’를 結合 書寫한 것이 ‘方’이다. 그리고 ‘□’의 하부 ‘□’를 ‘方’의 오른쪽에 독립 서사한 것이 ‘언’이다. 간은 旦이 義符, 언이 聲符로 ‘빛나다’가 본의이다. 금문에 으로 썼는데, 자형미를 위해 의 성부 (언. 갑골문은 ‘□’)의 중앙 竪劃 ‘□’을 하부로 이동 시켜 ‘□’으로 쓰고, 벌어진 틈에 의부 ‘(旦)’을 書寫한 것이다. 의 간으로의 자형연변은 을 ‘□’과 ‘□’으로 분리 서사한 것이다. 은 현재 ‘□’로 쓴다. 에서 ()의 상부 ‘□’는 ‘□’로, 旦의 하부 ‘一’은 깃대를 나타낸 ‘□’와 결합하여 ‘□’로 서사하고, 日을 독립 서사 한 것이(十 + 日 + 十) 곧 ‘□’이다. 여기에 깃대장식 ‘人(□)’을 오른쪽에 서사한 것이 간이다. □(韓), 翰, 斡, 한, 한 등은 聲符가 간의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韓)은 金文 단계에서는 간으로 쓰다가 소전 단계에서 □(□)으로 분화되어 古隸 단계까지 □(□)의 형태를 유지하였지만 今隸 단계에서 간의 오른쪽 필획을 생략하고 韓(□)으로 썼다. 韓(□)은 간이 성부, 韋가 義符인 형성자인데 자원이 명확치 않다. 『說文』은 본의가 ‘井橋’라고 하였는데, ‘井橋’의 ‘橋’에 대해 ‘두레박,’ ‘두레박을 걸어놓은 가로막대,’ ‘우물에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댄 나무’ 등 釋讀이 분분하다. 段玉裁는 ‘井橋’는 우물에 둘러쳐진 나무(井□)에 ‘가로로 댄 횡목’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이 횡목은 양쪽 기둥에 구멍을 뚫고 거기에 끼워서 돌아가게 만든 것이라고 한다. 현재 우물은 도르래를 횡목에 달아놓고 쓰는데(횡목은 고정), 고대에는 따로 도르래를 설치한 것이 아니라 양쪽 기둥 구멍에 끼운 횡목이 돌아가게 하였다. en(언) was written ‘□’ in gabgormun(甲骨文) as it displays feature of flags flapping . From gabgormun(甲骨文) to haeseo(楷書), en(언) have been changed in the order of ‘□-□-□-□-□- 언’. gan(간) which is divided into two parts - 旦(definition) and 언(sound) means ‘shine’. For more beautiful shape of the letters, they moved ‘□’ which is middle of a down a little (□), and wrote ‘(旦)’ that represents ‘definition’ in a blank. That is (간). gan(간) of han(韓. □), han(翰), al(斡), han(한), han(한) represents sound. Of these letters, han(□. 韓) was written as gan(간) at kyummun(金文) stage. Next it was written as han(□ . ) at sojen(小篆) stage, and finally written as han(韓. ) at kyumye(今隸) stage. han(韓. □) which is consist of two parts - wuy(韋. definition) and gan(간. sound) is the chinese meaning-sound connected letters(形聲字) It means ‘bucket,’ ‘a stick that hang a bucket’ and ‘an added tree to prevent a well from collapsing.’

      • KCI등재

        투고 논문 : 예변(隸變)과 부수자(部首字)의 서사(書寫) -이형부수자(異形部首字)를 중심으로-

        한연석 ( Youn Suk Han ) 동방한문학회 2010 東方漢文學 Vol.0 No.42

        한자는 대략 670개의 基礎部件으로 數萬의 글자를 조합해내는데, 基礎部件 中 부수자가 높은 造字頻度를 나타낸다. 또, 部首字는 結構位置도 심(心)이 왼쪽과 아래에 위치하는 것처럼, 어떤 한자의 특정한 장소에 오는 경향이 있다. 今隸는 (公), (착)처럼 橫勢의 結體를 띄었는데, 이는 小篆의 縱勢를 짧게 收縮시킨 것으로 部件의 接合, 省略, 縮約 등이 수반되었다. 부수자의 높은 造字頻度, 특정한 곳에 놓이는 結構位置, 結構方式, 結體의 橫勢로의 演變, 簡帛, 먹과 붓이란 書寫資料와 書寫道具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수(手), 심(心), 도(刀), 인(人), 시(示) 등과 같은 部首字와 그의 異寫字가 생산되었다. 소전에서 隸書로의 이런 총체적인 변화를 隸變이라 하는데, 隸變은 字形뿐만이 아니라 筆順, 筆道, 筆劃數, 筆劃名도 생산해냈다. 예서의 필획은 橫, 竪, 별, 捺, 鉤, 點, 轉折 등인데, 이들은 小篆의 弧筆을 平直하고 簡易한 筆劃으로, 左에서 右로, 위에서 아래로의 筆順, 筆道를 확립하였다. Tons of Chinese characters are created by using around 670 root words. Among them core parts can be seen most frequently. Like 심(心) located in the left side or at the bottom of the words, core parts have a tendency to come at a particular position. Yehseo, which resulted from shortening the vertical forms of Sohjeon, is horizontally shaped as in (公), (착). Also, it has been accompanied by combination, ellipsis, and contraction of word parts. Such core parts and their changed ones as 수(手), 심(心), 도(刀), 인(人), and 시(示) are genera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usage frequency, the compounding position, the compounding way, the change into horizontal form, the materials to write on, and the writing tools. The overall change into Yehseo from Sohjeon are named Yehbyeon, which has produced not only the shape of words but also the stroke orders, pildoh, the number of strokes, and the names of parts. Such the composing word parts as hwaing, soo, byul, nahl, goo, jyum, and junjul are what has been given from straightening and simplifying round strokes in sohjeon. Eventually it established the stroke order and pildoh which go from left to right and from top to bottom.

      • KCI등재

        투고논문 : 중국(中國) 한자교육(漢字敎育) 연구(硏究)의 성과와 전망

        한연석 ( Youn Suk Ha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7 No.-

        중국의 識字敎學에 관한 연구는 대부분 국가 혹은 省, 市 차원의 연구과제로 수행되어 파급력과 공신력이 크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識字敎學法은 대략 ``注?提`` 識字敎學, 分散識字, 集中識字, 部件識字, 聽讀識字, 猜認識字, 字謎識字, 字理識字, 字根識字, 奇特聯想識字, 計算機輔助識字, 解形識字, 多媒體熟語識字, 字形識字敎學法(筆劃分析法, 偏旁分析法, 結構分析法, 歸類利用法, 演示識字法, 謎語法), 字義識字敎學法(造字分析法(六書)), ?幼兒科學漢字敎育法, 科學分類識字, 潛能識字, 電腦雙평識字, 雙腦識字, 電腦字根識字法, 大成序法識字, 字中字檢字法及識字敎學硏究 등이 연구되었다. 중국 학교의 語文교육은 국가에서 반포한 「語文敎學大綱」에 의해 이루어진다. 「語文敎學大綱」은 敎學目的, 敎學要求, 敎學內容, 課外活動, 敎學中의 주의 점, 학년별 교학주문이 제시되어 있다. 2001년 반포된 『語文課程標準』은 1, 2학년 1600?1800자, 3, 4학년 2500자(累積), 5, 6학년 3000자(累積) 교학을 요구하는데, 이는 전 단계 『語文敎學大綱』보다 識字量이 500자 더 증가한 것이고, 1, 2학년에서 집중식자를 요한다. 初等學校識字敎育은 어문교학대강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識字敎學重點은 識字, 寫字, 평音, 閱讀, 寫話(받아쓰기), 口語交際, 語文綜合活動 등이고, 이를 실행하기 위해 寫字, 偏旁 익히기, 査字하기, 生字에 主音하기, 자형분석하기, 자음, 字義 장악하기 등을 실시하는데, 구체적으로 圖形識字, 聽讀識字, 朗讀法, 誦讀法, 육서원리, 편방결구, 한자쓰기, 종합적인 운용을 실시하여 성취한다. 최근 초등학교 識字敎學의 큰 틀이 변화하고 있다. 능동적 식자교육과 한자의 형, 음, 의를 통한 聯想 식자교학을 위해 지금까지 실시된 先평音識字를 先漢字識字로 바꾸었다. 중국은 간화로 인해 부수이용, 구조분석 등을 통한 전통 육서 교학 실시가 우리보다 불리한 반면, 생활언어나, 문장을 활용할 수 있어 우리보다는 식자 방법이 다양하다. 중국의 識字敎學法 중 謎語法, 컴퓨터를 활용한 ``字中字法,`` 破字 식자법 등은 우리가 관심을 가질만하다. 앞으로 중국의 식자교학 연구는 획기적이고 새로운 방법보다는 과학기기를 활용한 식자교학, 창의적, 능동적 식자교학법 연구를 지향할 것으로 보인다. Most studies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in China have great ripple effects and confidences because they are carried out as research projects by country, state, or city. Deliver high-level in two large and reputable. Those researches so far can be largely catego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researches on the characteristics of shape, sound, and meaning. Secondly, researches on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Lastly, researches utilizing modern science and civilization like computer. Recent researches are focused on learner`s interest, active participation, respect for learners, creative education, and independent learning.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in Chinese school is carried out by the distributed ``the manual for teaching Language and literature``It presents the purpose of education, contents, extracurricular activities, focuses, and educational level per grade. ``The standard for Language and literature class`` published in 1993 requires to teach 1600 ~ 1800 characters in Grade 1&2, 2500 characters (cumulative) in Grade 3&4, 3,000 characters (cumulative) in Grade 5&6. 500 characters to be learned are increased more than Phase I, ``the manual for teaching Language and literature`` It requires teaching characters intensively in Grade 1&2. Memorizing characters, writing, mastering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reading, dictation, and speaking are carried out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Mastering characters by figures, dictionary, and radicals are also carried out. Recently, the framework of elementary education for Chinese character is changing. The first thing to teach for the new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was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prior to Chinese character. But, Chinese character is the first,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is the next at the moment because Chinese want to change the education from the passive way to active way.

      • KCI등재

        형성자의 성부(聲符) 난식(難識) 부건(部件) 고(考) -성부(聲符) 市(저자 시), 市(슬갑 불), 市(무성할 발), □(□. 그칠 지)를 중심으로-

        한연석 ( Youn Suk han ) 근역한문학회 2014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38 No.-

        隸變을 겪으면서 異字同形의 部件이 다량으로 생산되었다. 市(저자 시), □(슬갑 불), □(무성할 발), (그칠 지)도 그 중 하나이다. 이들은 소전단계에서는 뚜렷한 자형 차이가 있었으나 隸變을 겪으면서 同形 혹은 近形이 되었고, 일부는 자음까지 유사한데 □(불)과 □(발)이, 市(시)와 (지)가 그것이다. 자형은 市(시), □(불), □(발)이 同形 혹은 近形인데, 어떤 때는 (지)도 ``市``처럼 쓴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을 聲符로 한 형성자는 독음을 혼동하거나 두 개의 음이 있기도 하다. ``□``는 ``市``가 성부인데 ``市(시)``와 ``□(발)``이 近形이기 때문에 ``시``로도, ``폐``로도 읽는다.(□(발)이 ``폐, 패``로 轉音됨). 는 ``()(지)``가 성부인데도 ``폐``로 읽는다. 이는 □(시)와 연관이 있다. □(시)의 本字는 枾(□)인데, 枾(□)는 성부가 ()(지)이다. 가 ``市(시)``와 近音, 近形이기 때문에 □(시)를 ``폐``로 읽은 것처럼, (지)를 ``폐``로 읽은 것이다. ``송아지 패``를 ``□, , □, ``로 쓴다. 이들의 部件 ``□, (□)``은 ``무성할 발``이고 ``, ()``은 ``그칠 지``로 ``□,``만이 ``패``로 읽을 수 있다. ``□, ``를 ``패``로 읽는 것은 (폐)와 유사한 혼동이다. 市(시), □(불), □(발), □(□. 지)의 字形演變과 字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In 隸書(yesO) of Chinese character different letters transformed into the same shape. 市(si), 市(bul), 市(bat), □(ji) are some kinds of them. The meaning of 市(si) is ``market``, the meaning of S市(bul) is ``apron``, the meaning of 市(bat) is that ``trees and plants grow thick``, and the meaning of □(□.ji) is `to stop``.In 小篆(sojOn) these have definite differences in the shapes of character, but in 隸書(yesO) they became the same or similar shapes. So there would be confusions when they are read in formative letters adopted by 聲符(sOngbu)For example, ``枾``(si) can be read as ``si`` or ``pye`` because ``市`` which is sOngbu of ``枾`` has the same shapes as ``市(si)``, ``市(bal)``. (The sound of 市(bal) changed into ``pye, pyae`` in Jungko Age).It is an error that □is read as ``wood shavings (pye)`` and the error is related to 枾(si). 枾(a persimmon tree si) can be written in (si). Because their 聲符(sOngbu) ``市(si)`` and ``□(□. ji)``s 讀音(dokeum) are similar, they are perceived as the same letter. Therefore, because 枾(si)and □(si) are perceived as the same letter, ``□(□.ji)`` perceived that □which is 聲符(sOngbu) and 枾(si) are the same letter. So 讀音(dokeum) of 枾(si) is read as ``wood shavings (pye)`` which is another sound of 枾(si)

      • KCI등재

        고(古)를 근원성부(根源聲符)로 한 형성자 고(考)

        한연석 ( Youn-suk Han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4 No.-

        古는 갑골문에 보이지 않는다. 『說文』에 옛 말(口)을 여러 사람(十)이 전해준 것 즉,"옛 일"이 본의라고 하였다. 古는 ``□-□-□ -古``로 자형 演變을 하였다. 한자 演變에서 金文의 둥근 뭉치(□)는 대부분 가로획 ``□ (一)``과 세로획 ``□ (ㅣ)``으로 변했다(□). 古의 ``□(十)``은 ``□-□ -□ -□ -十``로, 하부 ``□ ``는 古隸 단계(통일 秦)에서 이미 ``□ `` 형으로 변했다. 古가 根源聲符인 형성자 중 敢(□ )은 『說文』에 본의가 ``나아가 취함``이라 하였다. □ (표)가 뜻을, 古가 소리를 나타내는 형성자이다. 본의 ``나아가 취함``에서 ``감히``라는 인신의가나왔다. 敢은 聲符 ``古``의 흔적을 거의 찾을 수 없다. 金文에서 楷書까지 자형연변은 다음과 같다.``□ - □ - □ - □ (□)- □- □ - □ -敢``敢은 小篆을 참고하면 □으로 演變 되어야 한다. 하지만 隸書 단계에서 □文 □과 소전□을 모두 계승한□ 으로 □變 되었다. 구체적인 자형연변을 살펴보면, 金文은 義符 受(표)의 두 개의 손을 ``□□□ ``로 書寫하였고, 聲符 古는 ``□□□``로 書寫하였다. □ (古)의``十``의 竪劃 ``ㅣ``은 彎曲의 ``□ (□)``로 쓰고, 橫劃 ``一``은 ``受``의 상부 ``□□□ (又)``의 竪劃과함께 結合 書寫하였다. 小篆 단계에서는 □의 두 개의 又(손)는 左右로 結構(□)하고, 聲符古는 좌하에 독립적으로 서사하였다. 하지만 隸變에 의해 受의 상부 又와 聲符 古를 결합서사 하여, 다음과 같이 訛變되었다.``□ -□ -□ -□ (□ )-□ -□ -□``古隸 ``□ ``에서 ``□ ``까지의 연변은, ``□ ``는 義符 □의 상부 又와 聲符 古의 결합체로, 상부□는 ``又``의 변형이고, 성부 古는 ``□ (口)``만 남아 있다. □ 는, 古隸 □의 상부 □(又)가 □ (又)로, 古의 訛變體 □가 ``□ (口)``로 연변된 것이다. 다시□ (又)로의 연변은, □ (□ )의 우변 竪劃 ``ㅣ``을 2획으로 분산 서사한 것이다. ``ㅣ``의 상부 일부를□ 에서는 중앙에, 나머지는□의 우측에 본래대로 서사하였다. 여기에□ 의 중앙 가로획은 길게, 하부 가로획은 ``□ ``로변형시켜, 의 중앙 가로획과 붙여 ``□``로 쓰고, 古의 생략체 ``□ ``를 ``□ (口)``로 변형시켜□의 하부에 쓴 것이 □이다. 古가 根源聲符인 형성자 ⓐ``古 故 固 錮 □ 居 据 □ 沽 辜 □ □ 胡 湖 □ □ 敢 儼 嚴巖`` 등은 독음 ``고``외에도 ``□(학), 箇(개), □(함), 巖(암), □(감)`` 등으로 분화되었다. 古는 위 ⓐ``故 ~ □``와는 雙聲 疊韻의 同音이고, ``胡 湖 □``와는 旁紐 疊韻의 近音이다. □과는 旁紐, 對轉의 근음이고, 敢과는 雙聲 通轉(魚와 談)의 근음이다. 敢과 ``嚴, 儼, 巖``은 旁紐 疊韻의 근음이며, 古와 ``嚴, 儼, 巖``도 旁紐 通轉의 근음이기 때문에 이들은 ``古``가 聲符임이 음운학적으로 증명된다. The original acceptation of go(古) is ``thing of the past``. The Shape of go(古) have been changed in the order of ``□ -□ - □-古``. In the change process of chinese character, a letter looks like wad of round was changed into cross stroke ``□ (一)`` and vertical stroke ``□ (ㅣ).``Therefore, ``□`` which is the upper part of ``□ (古)`` also have been changed in the order ``□-□-□-□-十.`` The original acceptation of gam(敢(□)) is ``get drunk`` gam(敢(□)) which is consist of two parts-pyo(□)dinition) and go(古)(sound) is Chinese Meaning-Sound Connected Letter. The change process of a shape of letter is as follows. ``□-□ -□ -□ (□)-□-□ -□-敢``In gam(敢), a prime reason of transition from□ to gam(□), is because the two bugen(部件) joined into one. In other words, In gam(敢), pyo(_) which is the part of showing definition and go(古) which shows sound joined in to one in the order ``□-□ -□ -□ (□ )-□ -□ - □.``Chinese Meaning-Sound Connected Letter having as 古 part of sound is ⓐ``古 故 固 錮 □ 居 据 □ 沽 辜 □ □ 胡 湖 □ □ 敢 儼 嚴 巖.``

      • KCI등재

        표(票)를 근원성부(根源聲符)로 한 동원자(同源字) 고석(考釋)

        한연석 ( Youn Suk Han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0 中國學論叢 Vol.27 No.-

        Originating from the same origin, the isogenous words in Chinese represent a word family holding the same or similar sounds and meanings. Since these words have the same root, they indicate some notions that are close, related to each other. And the small differences in meanings are depending on how the words are stuck around the root. The original meaning of 표(票) is `spark.` As spark is going up when on fire, the diversified meanings such as light, to float, fast, to fly, to hurry, tornado, and to hold up had been derived from it. Then, the meanings were expressed by 표, 표, 표, 표, 漂, 瓢, 표, 飄, 표, 표, 표, 표, 표, 표, and 표. Therefore, those letters are the isogenous words that have the same or similar in sound and meaning to their root 票. Their distinctive feature are that they are the letters that are comprised of two parts possessing the same sound part inside the words. The sound parts of the isogenous that possess the same one surely are the crucial clue helpful in researching the etymologies.

      • KCI등재

        교육용한자대표훈(敎育用漢字代表訓) 설정에 관한 -고(考)

        韓延錫 ( Youn Suk Han ) 한국한문고전학회(구 성신한문학회) 2012 漢文古典硏究 Vol.24 No.1

        (사) 한국어문회(韓國語文會)와 (사)전통문화연구회(傳統文化硏究會)의 대표훈(代表訓)설정은, 1자(字)1훈(訓) 제시로 학습자 혼란을 줄이고 전통적 한자(漢字) 교학(敎學) 방법을 保守하기 위함이었다. 한자학(漢字學)과 훈고학(訓高學)기반이 취약하였던 상황에서, 2000년 두 단체의 대표훈 설정은 최선으로 보여 진다. 하지만 대표훈 제정이후 대표훈의 수정, 단수훈(單數訓)과 복수훈(複數訓)의 설정, 다수훈(多數訓)허용, 서술형식 개선 등을 요구하는 논문이 발표되었는데, 이는 대표훈에 대한 정의, 설정원칙(設定原則) 제시가 한자학적(漢字學的)으로 미흡하였기 때문에 발생한 듯하다. 한자학(漢字學)에서 주장하는 자전(字典)의 의항(義項) 배열은 본의(本義), 인신의(引伸義), 가차의(假借義) 순이다. 대표훈(代表訓)은 이들 모두를 제시할 수 없어, 가장 대표성을 띤 훈(訓) 하나만을 선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본의(本義)를 대표훈으로 선정해야 한다. 본의(本義)를 찾을 수 없거나 한용(罕用), 혹은 사멸(死滅)되었으면 기본의(基本義)를, 마찬가지로 여의치 않으면 인신의(引伸義)를, 이마저 곤란하면 상용(常用)의 가차의(假借義)를 대표훈으로 선정해야 한다. 한자는 義 운동에 의해 많은 것은 40여개의 意義를 具有하기도 하지만, 본의(本義)는 어떤 상황과 조건하에서도 가장 대표성을 띄고 모든 의(義)를 개괄(槪括)할 수 있어,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한자어 혹은 문장을 해석할 때 응용(應用)할 수 있고 전이(轉移)가 용이하다. 1자(字)2, 3훈(訓)을 제시하면 대표 훈 제정(制定)의 원칙과 정신이 훼손(毁損)되고 굳이 이를 대표훈이라고 부를 필요도, 대표훈 제정의 이유도 없다. Daepyohun (representative rendering) of Chinese characters is established to decrease the confusion of learners by presenting one meaning for one character rather than multiple meanings. The purpose is to protect the traditional method to learn the Chinese characters. Under the condition where the academic background of exegetics was weak, the representative renderings that(incorporated association) Korean language literature council and(incorporated association) Institute of traditional Culture established in 2000 was the best. However, since representative rendering was established, some papers were published to demand that the representative renderings should be changed, single rendering(one meaning) and multiple rendering(two or more meaning) should be established, respectively and the narrative from should be changed. The reason is that the definition and the principle of establishment are insufficient in view of exegetics. The exegetics claimed that array of uihang(items presenting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 in Chinese dictionary should have Bonui(the first meaning that Chinese character has), Inshinui(the meaning derived from the first meaning) and Gachaui(the meaning borrowing other character which has the same pronunciation regardless of Bonui or Inshinui) in orders. Since representative renderings cannot present them all and pick the most representative one, Bonui should be selected for representative rendering. If the Bonui cannot be found, is rarely used or becomes extinct, the basic meaning should be representative rendering. Likewise, if the basic meaning is not sufficient, Inshinui would be representative rendering. If Inshinui is not sufficient, Gachaui being universally used will become the representative rendering. Due to saui movement (other meaning is derived from th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one character may have up to 40 meanings. However, since Bonui has the most representative and summarizes every meaning under any situation and condition, it can be utilized upon interpreting various Chinese characters or sentences and the transition in learning can occur. If 2-3 meanings are given to one Chinese character, it would be the same as before when the meaning was given to publication by their own ways and would destroy the principle of representative renderings, Also there is no need to call it the representative rendering and no reason to establish the representative render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경전해석(經典解釋)과 한어문자학(漢語文字學) -『현토완역(懸吐完譯) 맹자집주(孟子集註)』를 중심으로-

        한연석 ( Han Youn-suk ) 근역한문학회 2016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5 No.-

        先學들뿐만 아니라 현재의 한문학계 또한 소학(한어문자학)의 필요성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듯하다. 한어문자학 소홀은 문장해석에 여러 가지 폐단을 낳고 있다. 특정 한자에 대한 습관적인 의항 적용도 그 중 하나이다. 예컨대 豈는 ‘어찌` 然은 ‘그러나` 獨은 ‘홀로` 亦, 又, 且는 ‘또` 등이 그것이다. 成百曉 선생의 『譯註 孟子集註』 또한 然, 豈, 獨을 문맥과 상관없이 ‘그러나, 어찌, 홀로`로 적용한 곳이 있다. 『孟子』 公孫丑 下 “且比化者 無使土親膚 於人心 獨無?乎”의 獨을 선생은 ‘홀로`로 해석하였다. 하지만 이곳의 ‘獨`은 ‘豈`의 용법으로, ‘獨無?乎`는 ‘어찌 사람의 마음에 만족하지 않겠는가?` 정도이면 문의에 부합될것이다. 『懸吐完譯 孟子集註』의 해석은 단어나 어휘를 그대로 노출시킨 곳도, 설명이 미진한 곳도 보인다. 市朝, 辭命, 昌言 등은 단어를 그대로 노출시킨 경우인데, 市朝는 시장(저자), 辭命은 辭令으로 ‘응대하는 말,` 昌言은 善言으로 ‘정당한 말`이란 뜻이다. 선생은 昌言의 ‘昌`을, 善言을 염두에 두고 ‘착하게 말하다.`라 하였는데, 자전에 이런 의항은 없다. 『孟子』 公孫丑 上 “市 廛而不征”의 廛을 ‘자릿세`로 해석 하였으나, 廛은 ‘시장의 집`을 가리킨다. 같은 곳 “廛 無夫里之布”의 布도 ‘베`로 해석하였으나 布는 ‘泉(錢)`을 나타낸다. 역시 같은 곳 주석 『周禮·載師』의 ‘宅不毛者`의 ‘不毛`를 ‘집이 불모인 자`라 해석하고, ‘毛`를 ‘풀이 없을 모`라고 했는데 ‘不毛`는 ‘삼과 마를 심지 않음`이고, 毛는 苗의 가차로‘심다`란 뜻으로 쓰였다. ‘毛`에 ‘풀이 없다.`란 의항은 있지 않을뿐더러 ‘毛`를 ‘풀이 없다`로 해석하면 不毛는 ‘삼과 뽕나무를 심다.`가 되어 文意와 완전 반대가 된다. 『孟子』 公孫丑 下의 주석 “豈不快然無所恨乎”를 “어찌 쾌하여 恨되는 바가 없지 않겠는가.”로 해석하였는데, 이곳 豈는 추측을 나타내는 ‘其`의 용법으로 “‘(그 자식 된 마음이)편안하고, 후회됨은 없지 않겠느냐`라 한 것이다.”로 해석하면 文意가 순조롭다. 先學들이 한문 실력이 부족해서 위와 같은 습관적인 의항 적용과 난해한 해석을 이끌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하찮지만 매우 간단한 漢語文字學的 지식을 소홀히 여긴 결과라 생각한다. Scholars in Joseon Dynasty hardly felt the necessity of Sohak(Haneomunjahak) (小學, 漢語文字學). so the negligent of Sohak(Haneomunjahak)(小學, 漢語文字 學) cause various evils. For example, when they interpreting a sentence, they applied particular meaning for particular Chinese character unquestioningly. Applying ‘how` for Gi(豈), ‘but` for Yeon(然), and ‘alone` for Dok(獨) is that case. Sung Baekhyo(成百曉) interpreted Dok(獨) in ‘Dokmugyoho(獨無?乎)` by 『Maeng Ja(孟子)』 as ‘alone`. but he should have interpreted ‘Dok(獨)` as ‘how`. In 『Hyeontowanyeok Maengjajipju(懸吐完譯 孟子集註), Sung Baekhyo(成百曉) interpreted ‘Changeon(昌言)` as ‘Good word`, but the right meaning was ‘reasonable word`. He also interpreted Po(布) in ‘Jeon muburigipo(廛 無夫里之布)` as ‘hemp cloth`, but Po(布) represents ‘錢(money)`. He interpreted ‘Mo(毛)` in ‘Taekbulmoja(宅不毛者)` as there`s no grass as well, but as Gacja(假借) of Myo(苗), the right meaning of Mo(毛) was ‘plant`. it isn`t the case of lack of skill, but it is the case of negligence of Haneomunjahak(漢語文字學).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