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병은 낫는다”: “당신은 (이 사실을) 아십니까?” -잡지 『새빛』 수록 나병 계몽운동 자료 검토(1964∼1970)

        한순미 구보학회 2019 구보학보 Vol.0 No.21

        As we know, the Korean Hansen’s disease literature requires differentiated approaches from other types of literature due to the different historical, social, and political specialities that the lepers and Hansen’s disease experienced. Especially, literary works that emerged during the period of the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should be reviewed in the flow of leprosy enlightenment policy and m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ficity of leprosy literature by reviewing the enlightenment materials in the magazine THE VISION published between 1964 and 1970, of course there needs more discussions in details. The full-scale study on the magazine THE VISION has not yet been made. it is not an easy task to examine the reality of the Enlightenment Movement, such as discussion, lecture, and advertisement. This was written in the process of thinking about how to approach the Korean Hansen's disease literature through the data of the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period. The magazine, THE VISION was published with the enlightening purpose to give a ‘new vision’ to ‘lepers’ in ‘the dark’. As the English title ‘Vision’ shows, the magazine began with the will to find hope in a desperate reality and to set a vision in the vision-less society. However, even under such a slogan of the enlightening movement, the social atmosphere did not change easily. It emphasized ‘enlightenment education’ to eliminate discriminative language and emotions, such as the term ‘Migama’[未感兒]. The social rehabilitation of lepers was still controversial. In this situation,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could go forward to the direction which was set originally? One thing to remember here is that the state of ‘ignorance’ about leprosy has become a standard for the boundary between Oriental medicine[韓醫學] and modern medicine, or traditional superstition and modern knowledge. Leprosy focused as the object of conquest and pioneering was not limited only to the problem of physical disease, and expanded to the problem of mental and cognitive dimension. Facing with the series of events caused by ignorance, the Enlightenment Movement presented medical common sense as an indispensable requirement to maintain a healthy life of daily life. The leprosy enlightenment movement has been made through mass media such as advertising, broadcasting, theater, movies, and public lectures such as medical classes and medical consultations since mid-1960s. The advertising included the ads such as “Do You Know (The Fact)?”, “Leprosy Heals”, and “Danger and Safety of Leprosy”. What we need to pay attention is that not only the leprosy but also disease were pointed as the ‘common sense of health’ that the public should learn. As the common sense of disease was regarded as the ‘knowledge’ to keep health, ignorance of disease was the object to ‘enlighten’.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Hansen's disease literature were decided according to the expert symposiums on leprosy, common sense lectures on leprosy, and ads of leprosy healing. ‘Leprosy Enlightenment Literary Works’[癩病啓蒙文藝作品], which the general readers participated in shows not only recognition change, but also the limitations of the public.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followed further detailed discussions in the future. 알다시피 한국 한센병문학은 한센인과 한센병이 겪어온 역사적, 사회적, 정치적인 특수성으로 인해 다른 유형의 문학과 차별화된 접근을 요구한다. 계몽운동 시기에 나온 한센병문학은 당시 나병 계몽정책과 운동의 흐름 속에서 살펴야 한다. 앞으로 자세한 논의가 이루어져야겠지만 이 글의 목적은 우선 1964년부터 1970년 사이에 출간된 잡지 『새빛』에 수록된 계몽운동 자료들을 검토하면서 한센병문학의 특수성을 헤아려보는 것이다. 잡지 『새빛』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다. 이런 상황에서 좌담회, 강좌, 광고 등을 통해 계몽운동의 실상을 살피는 작업은 결코 가볍지 않은 과제들을 안겨 준다. 이 글은 부족하게나마 나병 계몽운동 시기의 자료들을 통해 앞으로 ‘한국’ 한센병문학을 어떤 각도에서 다가갈 수 있을 것인가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쓴 것이다. 잡지 『새빛』은 ‘어둠’ 속에 있는 ‘문둥이’들에게 ‘새빛’을 주기 위한 계몽적 성격을 표방하면서 출간되었다. 잡지의 영문 제목인 ‘비전(Vision)’이 지시하는 것처럼 절망적 현실에서 희망을 찾고 비전 없는 사회에서 비전을 마련하겠다는 의지를 안고 출발했다. 그러나 계몽운동의 구호 아래에서도 사회의 분위기는 쉽게 달라지지 않았다. ‘미감아’를 비롯해 차별적인 언어와 감정을 없애기 위한 ‘계몽교육’을 강조했으나 나환자의 사회복귀는 여전히 논란거리였다. 나병 계몽운동은 애초에 설정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었을까. 여기에서 한 가지 기억해둘 것은 한센병에 대한 ‘무지’의 상태가 한방의학과 현대의학, 전통적 미신과 근대적 지식의 경계를 나누는 기준이 되고 있는 점이다. 한센병은 단지 신체적인 질병의 문제로만 한정되지 않고 정신적, 인식적인 차원의 문제로 확장되었다. 무지로 인해 생긴 일련의 사태들 앞에서 계몽운동은 일상의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의학적인 상식을 필수불가결한 요건으로 제시했다. 광고, 방송, 연극, 영화 등 대중매체, 그리고 의학교실, 의학상담 등 대중강좌들이 1960년대 중반 이후 나병 계몽운동의 한 축을 형성했다. 대중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중강연’과 ‘광고’가 활용되었다. 광고 「당신은 (이 사실을) 아십니까」, 「나병은 낫는다」, 「나병의 危險과 安全」 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이 광고들에서 주의 깊게 보아야 할 것은 나병만이 아니라 질병을 대중들이 습득해야 할 ‘건강 상식’으로 초점화하고 있는 점이다. 질병에 대한 상식은 건강을 지키기 위한 ‘지식’으로 부상하면서 질병에 대한 무지함은 우선 ‘계몽’해야 할 대상이 된다. 나병 계몽운동 시기 전문가들의 좌담회, ‘나병 상식 강좌’, ‘한센병 치료 광고’ 등은 당시 한센병문학의 성격과 방향을 결정했다. 일반 독자들이 참여한 ‘나병 계몽 문예작품’은 일반인들의 인식 변화와 그 한계를 보여준다. 이에 관한 자세한 논의는 다음을 기약한다.

      • KCI등재후보

        바다, 몸과 글쓰기의 친화력 ― 『키조개』를 중심으로 읽어본 한승원의 문학론

        한순미 동남어문학회 2010 동남어문논집 Vol.1 No.30

        The Ocean, Representation of the affinity between the body and the writing―on the literary principle of Seungwon Han in Kijogae. Dongnam Journal of Korean Language & Literature 30. Kijogae, written by Seungwon Han, falls into the category so-called Novels about novelists, as it pores upon the theory of world-formation, existence of novelists and novel writings,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convergence where the discourses on the writer's own body and writings meet. This guarantees the metaphor of the ocean to preoccupy the very center of literary philosophy of Han from the early works. The ocean in Kijogae closely relates to the inquiries into which pursuit the very existence of the writer (or his/her body) and the essence of the world, searching for what contributes to retrieving them. Throughout the story, 'Sora Huh' represents the writer, suggesting the emptiness of universe and herself by "Huhbang", the area she lives, and liquidity as her characteristic. This emptied body is directly related to “Tadhuh”, a Taoist concept which explains the principle of universe. Furthermore, this concept of the ocean approaches the universe to the coalition of visible world and invisible one. Han tailors the writer who effectively reveals the convergence at which the dichotomous concept converse and the writing process in which all these events take place. The vague boundaries between the ocean, the body and the writing process engender the disposition of the writer and writing process in Kijogae. Han enlarges the metaphor of the ocean, his unique concept for an extended period, into mythical imagination, Buddhist and Taoist thoughts, so that he can explore the alternative rendering as the combination of ecology and writing process essentially on the basis of eastern philosophy. Han achieves outstanding esthetic value in Kijogae by arranging of the metaphor of the ocean and characters effectively. Thorough studies on Kijogae kindle the desire to ponder other historic character fictions such as Heuksando Hanulkil, Wonhyo, Chusa and Dasan which establish extraordinary formations and this article will be the ground-breaking work for them.

      • KCI등재

        편지(들)의 지리학 —무진, 박해와 표류의 기억

        한순미 한국문학언어학회 2022 어문론총 Vol.94 No.-

        김승옥 소설에 등장하는 편지(들)이 흥미로운 것은 편지의 소통 구조와 전달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들을 사유의 대상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여러 공간을 이동하는 편지(들)은 연애, 사랑, 죽음, 글쓰기 등에 대한 문제의식과 분리되어 있지 않다. ‘편지(들)의 지리학’은 그런 과정을 읽기 위한 방법론이다. 이 글에서는 김승옥 소설이 편지(들)을 둘러싼 사태들을 통해 “1960년대라는 조명” 아래 “일상”을 어떤 시각에서 포착하고 있는지를 살피려 한다. 특히 “허구”, “대필”, “유서” 등을 서사 전략으로 활용해 대화적 소통의 불/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는 점에 주목한다. “자기 세계”의 상실과 무의미한 현실 인식, 소통의 단절, 언어와 글쓰기의 혼란 등 일련의 증상들은 편지(들)이 겪는 사건들과 함께 드러난다. 아울러 무진과 서울, 고향과 도시를 이동하는 편지의 경로를 통해 “무진”을 박해와 표류의 은폐된 기억을 보존한 텍스트로 읽었다.

      • KCI등재후보

        소설 속의 지명과 감성지도- 지명 연구와 문학 연구의 접점을 기대하며 -

        한순미 한국지명학회 2013 지명학 Vol.19 No.-

        A place name is not a fossilized substance, but transformed or generated letters by getting new historical contexts added to. A place name change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and emotion, arousing long historical memory. Place names shown in literature imply rich contexts of how a place name passed down was transformed or generated, which leads us to understanding the richer inside of local literature. Why writers read a place name differently from the original meaning and think of that in their own way of thinking? In what kind of context, they select a specific place name as a main space for their novel, and ultimately what they want to say through the space in their works? We can find the memory and traces of historical culture in the process that the writers reinterpret a place name. Writers have their own way of thinking about place names. Each writer interprets the same natural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condition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thought, and esthetic attitude. For example, we can see an interesting case; Song Ki-suk, Han Seung-won, and Lee Chung-jun were all born in the same village named Jangheung, but they thought of the place names in Honam region in different structure of emotion, which shows their different emotional mapping. A place name in literature is expected to be a medium that we can review each writer’s geographical sense, historical consciousness, emotional structure, and further changing patterns of local identity. Following-on researches on local literature through place names would be a good opportunity for the researchers to look into the inside of local literature. It is a good answer to why a study on local literature is significant today. ‘A study on literature through a place name’ would be a good starting point of the purpose. 지명은 화석화된 실체가 아니라 새로운 역사적 맥락이 추가되면서 변형 혹은 생성된다. 지명은 두꺼운 역사 기억을 환기시키면서 시대의 흐름과 감성에 따라 변화한다. 문학 속의 지명은 전래의 지명이 어떻게 변형 혹은 생성되어 왔는지에 대한 풍부한 맥락을 거느리고 있다. 이로 인해 지역문학의 내면은 더욱 풍부해진다. 작가들은 왜 지명을 본래의 뜻과 다르게 새겨 읽고 나름의 독특한 방식으로 사유하는가. 작가들은 어떤 맥락에서 특정한 지명을 소설의 주요 공간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그것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작가들이 지명을 재해석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역사문화의 기억과 흔적을 확인할 수 있다. 작가들이 지명을 사유하는 방식은 같지 않다. 작가들은 경험과 사유, 미적 태도의 차이에 따라 동일한 자연환경과 지리적 조건을 다르게 해석하기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작가 송기숙, 한승원, 이청준은 모두 장흥에서 태어났지만 남도의 지명을 제각기 다른 감성구조로 사유한다. 이에 따라 다른 감성지도가 그려진다. 문학 속의 지명은 작가의 지리감각, 역사의식, 감성구조, 나아가 지역적 정체성의 변모 양상 등을 살필 수 있는 매개점이 되리라 기대한다. 앞으로 지명을 통한 지역문학 연구가 진척된다면, 지역문학의 내면을 한층 잘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왜 지금 우리 시대에 지역문학 연구가 의미 있는 일이 될 수 있는가에 대한 하나의 응답이기도 하다. 그 시작점의 하나로 ‘지명을 통한 문학 연구’를 우선 들고 싶다.

      • KCI등재후보

        문자와 여백 — 이청준 문학(1965~2008)에서 무엇을 어떻게 읽어 왔는가

        한순미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2 南道文化硏究 Vol.0 No.23

        What and how we read in Lee Cheong-jun's literature (1965~2008)? This paper studies the tendency of literary research and dispute points on Lee Cheong-jun's literature in the following two aspects. One is to review the critical consciousness from his literature by reading the subject and method of literary research in the stream of times. The other is to expand questions and explanations of Lee Cheong-jun's literature, reviewing a few points of issue in the researches on his literature. As of 2012, the research achievement of Lee Cheong-jun's literature is quite great ranging from criticism, work explanation, academic papers, master and doctoral thesis, and book review to independent volumes. Of course, it is impossible to put or summarize all the achievement here, but this paper reviews the tendency of research on his literature from his debut work, Discharge from Hospital in 1965 to the present diachronically and arrange them by classifying into a few branches. To do so, the research direction or focus is divided into six branches for convenience; ‘Consciousness and the world’, ‘Technique and structure’, ‘The times and politics’, ‘Words and sounds’, ‘Legend and history’, and ‘Media and education’. This classification may generalize minute differences among issue points, but the division can help us understand the tendency and main flow in the research history of Lee Cheong-jun's literature. It is why this paper put the footnotes in chronologically, not alphabetically. Unfortunately, this paper set the question, ‘Why’ we read LeeCheong-jun's works aside and focused on ‘How and What we read in his works' Although this paper did not deal with the achievement of the research on his literature in detail,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to look over the development of the research and to understand what disputes have been in the research. If there follow more researches in the future and complementary definition of research history of his literature, we can deal with 'Why' we read his works and also give an answer to the question.

      • KCI등재후보

        고통, 말할 수 없는 것 : 역사적 기억에 대해 문학은 말할 수 있는가

        한순미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5

        Ever since the modern era, pain of humankind has sustained undetachable tie with totalitarian violence which is spread over the background of the history overwhelmingly. The pain itself represents the agony which is derived from the acceptance of "ourselves" destructed thoroughly. For this reason the pain of humankind requires complicated consideration including political, ethical and human aspect in itself. In this study, the question regarding whether literature holds the capacity for historical memory leads profound examination on the historical memory and pain in the novels of those who represent modernism literature of 1960s, like Kim Seung-ok, Seo Jung-in and Lee Chung-jun. Their novels deal with the memory on historical sphere of the 4․3 Resistance in Jeju-Do, Yeo-sun incident, Korean war, April 19th revolution, May 16th coup d’état and Yushin system. By describing the humankind's pain within historical memory, their works ponder the issues on the origin and prevalent tendency and the reason why it is duplicated and persistent. Clinging to one's death as a historical memory, the novels delineate the pain left behind the history, the dying and living, the half-being on the procedure of dying, or the non-being such as a dead body or one in an urn of funeral ashes. The remains rather than historic event itself is mainly the object of reinterpretation and all surroundings of human being as well. In these novels whole condition under Yushin system of 1970s, the apex of historical pain, is a mara experience which allows no distinction between reality and illusion and deprives all kind of humanness, a prison of no life time return and a camp which provides dead-alive condition and dead coming out eventually. In other words, the history we have gone through is a period that made us be ashamed of our human being by establishing totalitarian logic as a domineering notion which causes destruction of physical and mental status. Furthermore, it was like a camp that transforms human nature into useless existence in order to construct utopian society, wher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human and non-human available but shame at our being human. The pessimistic tone toward the future collapse does not necessarily incline to nihilism or defeatism though. The writers consistently meditate on history with indifferent stand point without any interest, desire and passion, as a method for an existence who is no longer useful in any aspect to survive the atmosphere where there is no human demand get accommodated. Located between the useless and the inert, these novels reveal the cruelty of history and reflect anonymous pain and death lied on the outside of historical territory. Here is the vulnerability as a literary politics. Successors of literature naturally inherit the reason of continuing to tell the historical memory as the pain get exacerbated. Though limited as the most unrealistic genre in debt of imagination, literature has kept saying about the pain and historical pain and should go on accordingly. 근대 이후 인간의 고통은 20세기 역사의 배면에 자리한 전체주의적인 폭력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그것은 역사 속에서 ‘우리’ 자체가 철저하게 파괴되었다는 사실이 주는 고통이다. 인간의 고통은 정치적, 윤리적, 인간적인 측면에서 조명되어야 할 복잡한 문제인 것이다. 이 글에서는 ‘역사적 기억에 대해 문학은 말할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던지면서 60년대 모더니즘 문학을 대표하는 김승옥, 서정인, 이청준의 소설에 들어있는 역사적 기억과 고통에 관한 단상(斷想)을 읽어 보았다. 이들의 소설은 각기 다른 빛깔과 목소리로 제주4·3항쟁, 여순사건, 한국전쟁, 4·19혁명과 5·16군사쿠데타, 유신체제 등 역사적 경험에 관한 기억을 쓰고 있다. 이들의 문학은 역사적 기억 속의 인간존재의 고통을 말함으로써 역사 속의 고통이 어떻게 만들어졌으며, 도대체 왜 우리는 거기에서 고통을 느껴야 했으며, 나아가 그것은 왜 지금까지도 반복되고 지속되는가라는 문제의식을 던지고 있다. 이들의 소설은 역사적 기억 중에서 ‘한 인간의 죽음’이라는 사건에 천착하면서, 살아 있으면서도 죽어 있는 자 혹은 죽어가는 자와 같은 반(半)인간들, 시체 혹은 유골상자와 같은 비(非)인간들을 통해 역사가 남긴 고통을 말한다. 그리고 역사적 사건 그 자체보다 역사적 경험 이후에 ‘남겨진 것’을 재해석하면서 ‘인간적인 것’을 둘러싼 모든 개념들에 대해 검토한다. 이들의 소설에서, 역사적 고통의 정점에 있는 70년대 유신체제의 상황은, 인간적인 모든 것을 빼앗긴 채 살아야 했던 사회, 현실인지 환상인지 가늠할 수 없는 ‘가위눌림’의 상태, 한 번 들어가면 결코 살아 돌아오지 못한 ‘감옥’, 오직 죽은 자로서 살다가 시체로만 회수될 수 있는 ‘수용소’로 묘사된다. 즉 우리가 살아온 역사는 전체주의의 논리를 지배이념으로 체계화함으로써 인간의 정신과 육체를 파괴시키고 인간이라는 사실 자체를 ‘부끄럽게’ 여기도록 강요해온 곳, 유토피아의 건설을 목표로 인간의 본성 자체를 바꾸어 결국 ‘쓸모없는 존재’로 만들어버리는 수용소와 같은 곳이었다. 그곳에서는 ‘인간’과 ‘인간 아닌 것’이 구별될 수 없었고, 오직 “인간이라는 사실에 대한 부끄러움”을 안겨주었다. 이들의 문학이 우울한 어조로 역사를 말하고 파국으로 치닫는 미래를 그리고 있다고 해서 결코 허무적이거나 패배적인 것은 아니다. 이들의 소설에 등장하는 무력한 주인공들은 기본적인 요구조차도 허락되지 않은 역사적 상황 속에서 쓸모없어진 존재들이다[無用]. 그러나 이 무용한 존재가 할 수 있는 선택 중의 하나는 자기 안의 열정을 제거한 채 의도적으로 아무 것도 하지 않는 태도를 취하면서[無爲] 부정적인 역사의 흐름과 거리를 두고 그 이면의 어둠을 기록하는 일이다. 그것은 숱한 생명을 죽음으로 몰고 간 역사의 어두운 손길에 대한 ‘방법으로서의 거절’이라고 불러도 좋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이들 소설가의 시선은 실증주의자의 눈이 아니라 해석학자의 눈에 가깝다. 그들의 눈은 과거의 역사적 기억과 비판적인 거리를 둔 채, 그것을 지금 여기에 놓인 세계의 현상과 끊임없이 겹쳐 읽음으로써 또 다른 가능성의 세계를 모색하고자 한다. 역사의 부정적 물결을 거슬러 나아가는 방법으로서의 무용(無用)과 무위(無爲) 사이에서, 이들의 문학은 역사적인 고통이 지금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으며 언 ...

      • KCI등재

        세계를 바라보는 다초점 렌즈로서의 재난(인)문학

        한순미 한국동서비교문학학회 2019 동서 비교문학저널 Vol.0 No.50

        How can disaster be the subject of humanities? The helpless speech lingers around this vague question. Some people ask back with gloomy faces. What can humanities do in the face of scattered debris? Can you hold on to your fingers that hold up slightly in the ground? Will it be possible to save a weak life buried in a pile of trash that has been swept away? Since the day we pass through the greylike days, we ask it again in a gloomy tone. How to live? However, this useless questions unexpectedly lead to hidden dimensions of the disaster. What can humanities do in the rest of the world? Our interest is in reaching for disaster and other ideas that are derived from disaster. Questions about nature, human beings, society, and the country, which had been submerged under the calm waves, come in through the gap. Various types of materials, including historical records, testimonies, and media, and movements to transfer and recreate the memories of disasters in artworks such as literature, film, painting, and music. After the disaster, we are still living under the trauma of the disaste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