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공위성 활용한 농업관측 시험연구

        한석호(Sukho Han),김배성(Baesung Kim),김경필(Kungpil Kim),김재환(Jaehwan Kim),김말징(Marljing Kim),허준,Lucy Randall,Sarah Bruce,Sonja Nikolova,Kenton Lawson,오병철,서진원,정병순,오세익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자료 Vol.- No.-

        본 연구는 선진국보다 위성활용이 늦은 우리나라 농업관측 분야에서 원격탐사 기술을 도입하기 위한 시범 연구로 수행되었다. 특히, 2010년 사업은 관측을 위한 작황 판독업무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되었다. 기존의 쌀 작황 관측 업무에서는 표본농가 또는 지역자문위원에 대한 설문조사 방식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해 왔다. 또한, 통계청은 표본 설계된 포전에서 직접 벼 이삭을 세는 방식을 활용하였다. 그러나 윈격탐사 기술을 이용할 경우 넓은 면적에 대해 실시간으로 작황을 판독할 수 있고, 위성영상만 확보할 수 있다면 몇 번이고 다시 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신속성과 정확성이 생명인 관측업무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 위성 기술 활용이 필수적인 것으로 부각되어 왔다. 우선 원격탐사 기술을 도입해 단수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단수를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단위의 단수모형 개발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전의 많은 연구가 행정단위 또는 전국단위로 모형을 개발했고, 동시에 유의성이 높지 않은 단수모형에 만족해야 했다. 본 연구에서는 관측업무의 정확성을 위해 최대한 유의성이 높은 단수모형을 개발해야 하며, 이를 위해 적정 규모의 단수 모형 단위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과거 위성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산출된 식생지수와 실제 통계청의 쌀 작황조사 자료를 비교하여 단순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광역시와 제주자치도 등 8개 시도를 제외한 전국을 대상으로 250m해상도의 MODIS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연평균 기온으로 분할된 몇 개의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 식생지수와 쌀 단수와의 관계를 도출하는데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영상선정에서는 8 ~ 9월 초 영상이 식생지수를 산출하는데 용이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기상조건이 좋지 않은 8월보다는 9월초 영상을 사용하는 것이 실제 업무에 더 용이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이 후 연구수행은 실제 2010년 전국 쌀 단수를 산출하기 위해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1) MODIS 위성영상 및 쌀 작황조사 자료 등의 자료수집, 2) MODIS 위성영상 기하보정, 논경지 추출 등 수집한 자료 정비, 3) 구축한 기초자료를 이용한 식생지수 산출, 4) 과거자료(2008, 2009년)를 이용한 모형개발, 5) 2010년 식생지수를 이용한 단수 추정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위성영상을 이용한 벼 작황조사의 가능성은 입증되었으나 1) 기상조건(구름)에 의한 위성영상 수급의 문제점, 2) 정확한 논경지 추출의 문제점, 3) 단수 모형의 유의성 한계 등의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해소하고 쌀 단수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2011년에도 연구를 계속할 예정이다. 2011년 연구는 짧은 시계열자료에도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 어떠한 방법을 활용할 것인지? 2010년과 같은 기상 이변에도 유의한 단수를 추정해 낼 수 있는 안정적인 모형을 구성할 것인지 등에 초점을 맞추어 갈 예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pilot study on estimating rice yield by using satellite images. Many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the European Union have been using satellite images to produce agricultural statistics and outlook analysis. In Korea, some institutions have used satellite images for their analysis. In this paper, we estimated rice yield by using satellite images. We choose rice on this study as one of target commodities. Because the yield of rice can easily be identified by using remote sensing technology. and Among the satellite images, MODIS satellite images were used, since these were free and widely used for estimating yield of major crops such as rice, wheat, soybean and or so in many countries. The method used to classified national area for estimating national rice yield was based on a simple correlation between the county rice yield statistics and the county average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extracted from Satellite images. We found that the accuracy of estimating yield depended on an average temperature for one year. So We divided a nation into 5 sectors with isotherm and tried to develop 5 yield functions with NDVI. This study showed that remote sensing technology can actually be used to estimate rice yield. However, There is also a problem to get the clear MODIS images in appropriate time because these were easily affected by cloud.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using Radar Satellite images or alternatives.

      • 주요 양념채소류의 도·소매 가격 간 비대칭적 가격전이 분석

        송성환 ( Seonghwan Song ),순병민 ( Byungmin Soon ),한석호 ( Sukho Han ) 한국식품유통학회 2023 한국식품유통학회 동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0

        연구는 오차수정항을 포함한 ARDL(Autregressive Distributed Lag Model) 모형을 이용하여 농산물의 도매와 소매단계(대형마트, 재래시장) 가격전달의 인과관계 및 장·단기적 가격 조정의 비대칭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국내 4대 양념채소(양파, 깐마늘, 대파, 생강)이며, 자료는 2012년 1월부터 2022년 12월까지 일별(주 5일) 및 주별 가격을 이용하였다. 가격전이 비대칭성 분석결과, 양념채소류의 도매가격과 전통시장 가격 사이에서의 단기에 분배시차 비대칭이 품목과 시차에 따라 양(+) 또는 음(-)으로 혼재되어 나타난 반면, 도매가격과 대형마트 가격 사이의 단기 비대칭성은 양파(일별), 생강(주별)을 제외하고 확인되지 않았다. 즉 단기에는 도매가격의 변화가 대형마트보다는 전통시장에서 비대칭적으로 전이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장기에서 누적충격 비대칭은 전통시장에서 대파의 주별 모형을 제외하고 대부분 양(+)의 비대칭적 가격전이가 확인되었다. 양(+)의 비대칭을 보인 것은 도매가격이 상승할 때는 소매가격은 빠르게 또는 더 상승하는 것으로 분석될 수 있으며, 가격 비대칭 전이가 발견된다는 것은 발생된 이윤이 균형적으로 배분되지 않고 있으며, 농산물 시장이 비효율적으로 작동된다고 볼 수 있다. 최근 국제유가 및 농축산물 가격 상승으로 소비자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소비자물가 상승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비대칭적 가격전이가 발생되는 품목의 도매가격 상승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 농업·농촌·식품산업의 미래 비전과 지역발전 전략

        이용선(Lee Yongsun),박미성(Park Mi-seong),한석호(Han Sukho),문한필(Moon Hanpil),박한울(Park Hanul),박지원(Park jiwon),박성진(Park Seongjin),정도채(Jung Dochae),정대희(Chung Daehee),강마야,김윤식,한재환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6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정책연구보고서 Vol.- No.-

        2014년 쌀 관세화 전환에 이어 2015년에는 한·중 FTA 체결로 미국, EU, 중국 등 주요국과의 자유무역협정이 대부분 이루어져 농업분야의 시장개방이 일단락된 것으로 평가된다. 이 연구는 완전개방시대에 처한 한국 농업·농촌·식품산업의 미래 비전을 정립하고 분야별 발전과제와 지역 발전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선행연구 결과와 전문가 포럼 운영 결과 등을 바탕으로 농업·농촌·식품산업의 미래 환경에 대한 SWOT 분석을 실시하고 비전과 발전과제들을 도출하였다. 농업·농촌 관련 지표의 20년간 전망치 산출을 위해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모형인 KREI-KASMO를 이용하였다. 미래 비전과 과제의 우선순위를 분석하기 위해 전문가 심층조사를 실시하고 AHP(계층의사법)를 사용하였다. 지역의 발전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3개 권역의 대학과 연구소에 연구를 위탁하였다. 농업·농촌·식품산업의 20년 후 미래 비전을 ‘지속가능한 농식품 산업과 살고 싶은 농촌’으로 설정하였다. 분야별 발전방향 중 ‘안전한 농식품의 안정적 공급’이 ‘미래성장산업화’, ‘국토환경보전과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 극대화’, ‘도농격차 해소와 살고 싶은 농촌 건설’ 등의 방향보다 우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민의식 조사 결과와도 일치하는 것으로 정부의 정책 방향도 안전한 먹거리의 안정적 공급시스템 구축을 최우선 순위로 두어야 함을 의미한다. 농업·농촌·식품산업의 미래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분야별 과제로서 농업 선도 주체 및 인력 양성, 안전한 농축산물 관리체계 구축, 농촌 일자리 창출 전략이 중요도 측면과 시급성 측면 모두에서 우선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정부도 향후 농업을 주도적으로 이끌어갈 경영체 육성을 비롯한 안전 관리 체계의 구축과 농촌지역의 일자리 창출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야 한다. 지역 발전 방향으로 충남 지역은 먹거리를 중심으로 한 지역순환 농식품 체계 구축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특히 기존 정책과 사업, 주체, 부문과 영역을 연결하기 위해 독립적인 위원회에 의한 거버넌스 기능이 강화되어야 한다. 거버넌스 기능을 수행하려면 역량 강화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 활동을 강화해야 한다. 전남지역의 농업 발전을 위해서는 친환경 농업을 내실화함으로써 경제적·환경적·안전한 농식품을 주도하는 전략이 주효하다. 친환경 농업을 내실화하기 위해서는 농가의 실천 의지와 책임 의식 고양을 위한 교육 강화와 인재 육성, 유기농 농업 기술의 개발과 현장 보급·지원체계가 강화되어야 한다. 경남지역 농가는 아열대 과일·채소 등 새로운 품목 도입에 적극적인데,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통해 발전을 도모해야 한다. 지역 농정과 전문 지식 및 인력을 갖춘 대학·연구소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연구 확산 활동이 현장과 밀착되면 지역 혁신의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With rice tariffication in 2014 and the signing of the Korea-China FTA in 2015, Korea concluded free trade agreements with most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S, the EU, and China, finishing one stage of the agricultural sector’s market opening. In an era of full market opening,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a vision of the future of Korea’s agriculture, rural communities, and food industry and present each field’s tasks for development and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is research, we conducted a SWOT analysis of the future environment of agriculture, rural areas, and the food industry based on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the expert forum, and derived the vision and tasks for development. We utilized KREI-KASMO,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s agricultural outlook model to calculate the estimates of indices for 20 years related to farming and rural regions. To analyze the order of priority of the tasks and the vision, we carried out in-depth expert research and employed AHP. To draw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we commissioned a study to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three areas. We set the following vision of the future of agriculture, rural communities, and the food industry in 20 years: “the sustainable agri-food industry and livable rural areas.” Among the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each field, “stable supply of safe agri-food” took priority over “future growth industrialization of agriculture,”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maximization of multifunctionality of farming and rural regions,” and “a reduction in the urban-rural gap and the creation of livable rural communities.” This accords with the public opinion survey results, implying that the government policy direction should put top priority on constructing a stable supply system of safe food. As tasks by field for achieving the vision of agriculture, rural areas, and the food industry, training leading agricultural players and human resources, establishing a management system of safe agricultural and livestock products, and creating rural jobs were given priority in terms of both importance and urgency. Therefore, the government should also place top priority on nurturing enterprises that will lead future agriculture, building the safety control system, and creating jobs in rural reg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Chungcheongnam-do should set up a food-centered plan to construct a regional circulation system of agri-food, and should strengthen an independent committee’s governance function to link existing policies and projects, agents, sectors and fields. For the function of governance, capacity building is important and educational activities for it need to be reinforced. For Jeollanam-do’s agricultural development, it will be effective to pursue a strategy for safe, economic, and eco-friendly agro-food by promoting environment-friendly farming. To strengthen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e,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education for enhancing farmers’ will to practice and sense of responsibility, nurture talents, and improve a system for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organic farming technologies. The farms in Gyeongsangnam-do are actively cultivating new items such as subtropical fruit and vegetables. This province needs to pursue its development by building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Regional innovation can result from research dissemination in the field through close cooperation between local agricultural policy and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with expertise and human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