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기업과 베트남 기업의 광고에 대한 베트남 소비자 반응에 관한 비교연구: 균형이론을 중심으로

        한상필,Han, Sangpil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0

        본 논문은 우리나라 기업의 새로운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는 베트남 소비자를 대상으로 균형이론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기업과 베트남 내국 기업의 광고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베트남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두 국가의 광고에 대한 인지적, 감성적, 그리고 행위적 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베트남 소비자들은 국가 이미지가 높은 한국과 베트남의 광고에 대한 인지적 차원에서의 평가는 차이가 없었으나, 감성적 차원 그리고 행위적 차원에서는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세 가지 종속변인의 종합 차원에서도 한국 기업의 광고가 베트남 기업의 광고보다 더 긍정적이었다. 본 연구는 국제광고효과 연구에 있어 균형이론을 확장한 이론적 기여를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진국 시장에서 한국 기업의 국제광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comparing the advertising effect of Korean companies and Vietnamese domestic companies by applying the balance theory to Vietnamese consumers emerging as a new market for Korean companie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to advertisements in the two countri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gnitive dimension of Vietnamese consumers' evaluation of advertisements in Korea and Vietnam, bu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motional dimension and the behavioral dimension. This study contributed theoretically to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balance theory to the study of international advertising effects, and the implications of international advertising of Korean companies in the underdeveloped markets were discussed.

      • KCI등재

        A Comparison of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dvertising Appeals in Collectivistic and Individualistic Cultures

        한상필,Han, Sangpil Korea Convergence Society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7

        본 연구는 집단주의 문화와 개인주의 문화 정부 및 공공기관 광고 콘텐츠에서 문화적 가치가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내용분석과 실험연구를 통하여 조사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1은 집단주의 문화 표본으로 선정된 한국과 개인주의 문화 표본으로 선정된 미국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쇄 광고가 고유한 문화적 가치를 반영하는 가를 내용분석 하였다. 연구2는 두 문화의 정부 및 공공기관 인쇄 광고물의 소구에 대한 상대적 반응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 두 가지 연구의 결과는 문화적 배경이 정부 및 공공기관의 광고 메시지 소구방식과 효과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스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이 연구는 글로벌 마케터와 광고주는 글로벌 환경에서 광고를 실행할 경우, 문화적 유사성과 차이점을 고려하여 메시지 전략을 수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보여 주었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how cultural values expressed in the contents of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advertising, based on individualism-collectivis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tent to which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print advertisements in Korea and U.S. Study 1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print advertisements in Korea and U.S. use its intrinsic cultural values. Study 2 carried out experiment to study cultural differences in relative reaction of collectivistic and individualistic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print advertising appeals in two countries. Findings of this study showed that cultural background plays role in the usage of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s print advertising messages and persuasive communication processes. Global marketers and advertisers realize the significance of the cultural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at occur in diverse cultures.

      • KCI등재

        박람회의 서비스품질과 개최 효과성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19 제천 한방바이오 박람회를 중심으로

        한상필 ( Sangpil Han ),김정준 ( Jeongjoon Kim ) 관광경영학회 2021 관광경영연구 Vol.10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effectiveness and behavior intention on the fair In order to purpos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conducted the survey in the venue of korean medicine bio fair in jecheon and selected the research subjects at random sampleing. If you look a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having relatively more tourists close to women and married visitor The service quality of the fair was derived from the factors of commercial value, Contents, convenience, and information and public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fair was derived from social·cultural, tourism and economic factors. In terms of service quality of the fair, commercial value, content, convenience, information and public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and cultural and tourism effectiveness of hosting the fair. On the other hand, only convenience in the service quality of the fair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ts economic effectiveness. It was also found that the social· cultural and tourism effectiveness of the fai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visiting, which is the behavior intention and that the social cultural and tourism effectiveness of the fair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recommend which is the behavior intention.

      • KCI우수등재

        텔레비전 광고효과의 이월(carryover)과 소멸(decay)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상필(Sangpil Han),이경렬(Kyung Yul Lee),박현수(Hyun Soo Park) 한국언론학회 2009 한국언론학보 Vol.53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arryover effects of television advertising campaigns. Monthly advertising message recall data, which were gathered from 137 television advertising campaigns executed from 1997 to 2000 in three Korean terrestrial television stations, were used to examine the carryover effects of television advertising campaigns. The empirical findings showed that the average carryover effect of television advertising campaigns was 46% one month later after campaigns were over, 24% two months later after campaigns were over, 14% three months later after campaigns were over, and 9% four months later after campaigns were over. That is, the carryover effect of television advertising campaigns was the biggest one month later after campaigns were over while it decayed as time went on and almost disappeared four months later after television advertising campaigns were over. It also turned out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arryover effects of television advertising campaigns in terms of product categories, campaign time period, and advertising budget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텔레비전 가상광고의 유형과 크리에이티브에 관한 연구

        최예진(Choi, Ye Jin),한상필(Han, Sangpil)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2

        본 연구는 가상광고가 많이 등장하는 프로야구 중계 프로그램에 삽입되는 가상광고를 대상으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유목은 경기장 및 경기 요소, TV 화면을 고려한 가상광고의 등장위치, 광고의 크기, 크리에이티브에서 청각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 카피 등이었다. 연구 결과, 연도별 가상광고 등장 위치의 빈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가상광고 중‘외야 그라운드’와 ‘내야 배터리샷’의 빈도(26.6%)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V 화면에 의한 등장위치에서는 하단 오른쪽에 나타나는 광고의 비율이 전체의 47.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2013년에서는 74.7%를 기록하며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등장시점은 이닝 진행 중(65.1%)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크리에이티브 요소로서 시각적 요소 중 모델의 등장 여부는 연도별로 차이가 있었다. 또한 3D그래픽으로 제작된 가상광고(69.8%)가 2D 그래픽으로 제작된 광고(30.2%)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였고 정적 이미지(19.5%)보다 동적이미지(80.5%)의 비율이 월등히 높았다. 제시형태에 있어서는 고정형(95.6%)이 이동형(4.4%) 보다 훨씬 높은 빈도를 보였고 카피 중에서는 레이블형(23%)과 뉴스형(12.9%)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3년까지 프로야구에 실제 집행된 가상광고의 내용분석을 통해 스포츠 경기에 삽입된 가상광고의 유형과 시각적 크리에이티브와 카피의 빈도를 살펴 본 것으로 이론적 기여도는 높지 않지만 향후 가상광고의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Virtual advertising is one of the new advertising types which had got high attention because of its ability to reduce audiences’ negative reaction such as zapping. The effect of virtual advertising would be differed by when the advertisement exposes in the game situation or by how the advertisement looks like on the TV screen. Virtual advertising should show noticeable creative to viewers because it’s hard to have long mess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creative of virtual advertising affecting the effect of virtual advertising. For this purpose, the author conducted contents analysis using games of Korea Baseball league broadcasted 2010 to 2013. Analysis units are exposure location basis on game feature/TV screen, size of advertisement, auditory element, visual elements, and cop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frequency of exposure location is different by year. The most frequent exposure location is ‘outfield ground(26.6%)’and ‘right-bottom(47.6%)’on the TV screen. 65.1% of advertisements are shown ‘during the play.’ Appearance of model in advertisement as visual element of creative has difference by year, and this difference is significant(χ2(df)=124.340(3), p< .001). Advertisements made with 3D graphics(69.8%) appear more frequently than made with 2D graphics(30.2%), and moving image(80.5%) uses much more than non-moving image(19.5%). In the type of presentation, the frequencies of fixed type(95.6%) is much higher than moving type(4.4%). The frequencies of label type(23%) and news type(12.9%) are highly obser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