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피노자의 ‘지속’과 공통개념 형성의 문제

        한병준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13 철학·사상·문화 Vol.0 No.15

        This paper aims to explicate Spinoza’s notion of ‘duration’ presented in chapter 8 of Alexandre Lefebvre’s The Image of Law. I use, according to Lefebvre’s way, Deleuze’s interpretation of Spinoza, and try to keep up with the process in which Spinoza explains the ‘duration’. I draw from this process the conclusion that the ‘duration’ penetrates the internal and external aspects of modes. Also by way of considering the problem of ‘time’ from that process, I assert that the ‘time’ is not a mere illusion. In that respect Spinoza’s argument on ‘duration’ and ‘time’ generates the problem of the ‘encounter of modes’. Although this ‘encounter’ is seen as a contingency, it has a series of necessity. In order to demonstrate that the encounter is necessary, however, I assert that although both the ‘duration’ and the ‘time’ are only produced from an imagination of the human idea, these products of the imagination include a kind of essential elements, and this indicates that the modes as the affections of substance finally contain a kind of essential elements. And then I argue that the positive aspects of these encounters constitute the ‘common notions’. In this way, I conclude that the ‘common notions’ in Spinoza are the only way to vindicate the positive duration of the finite modes. 이 글의 목적은 알렉산더 리페브르의 『법-이미지』 8장에서 다루는 스피노자의 지속을 다루는 부분에 대해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한 것이다. 나는 리페브르의 방법에 따라서 들뢰즈의 스피노자 해석을 도입했고, 최대한 스피노자의 ‘지속’에 대한 해석과정의 궤적을 유지하려고 했다. 그 과정에서 ‘지속’이 양태들의 내적인 측면과 외적인 측면 모두를 관통할 것이라는 결과를 도출하고, ‘시간’의 문제를 다루며, ‘시간’이 단순히 허상의 문제로 귀결되는 것이 아니라고 주장할 것이다. ‘지속’과 ‘시간’에 대한 스피노자의 논의는 ‘양태들의 마주침’이라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양태들의 마주침’의 문제는 그 마주침 자체로는 우연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일련의 필연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마주침이 필연적이기 위해서는 ‘지속’이나 ‘시간’이 단지 인간 관념에 대한 상상의 산물이 아니라, 그 상상의 산물이 일종의 본질적인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는 것, 즉 실체의 변용인 양태가 본질적인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밝혀야 한다. 그리고 이런 마주침들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공통개념’이 구성된다는 것을 설명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공통개념’이 스피노자적 의미에서 유한한 양태들의 긍정적인 ‘지속’을 보장하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주장할 것이다.

      • ‘나는 생각한다’를 중심으로 한 데카르트와 칸트의 이원론적 관점의 차이에 관한 고찰

        한병준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7 철학·사상·문화 Vol.0 No.5

        When Descartes asserted that 'I think' is a clear-distinct notion, the notion is caused by believing that it surely exists. Kant calls the notion the transcendental thought of a subject, and also believes that things-in-themselves exist even though human being does not know a things in themselves. Therefore the fundamental thought of Kant and Descartes is similar. Because this thought is grounded on Dualism. Therefore, in this treatise, I will consider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of the dualism of Kant and Descartes, and demonstrate that modern philosophy is established on cartesian system. This treatise is to be an philosophical-historical explication about the influence of the cartesian philosophy on modern philosophy. 데카르트가 ‘나는 생각한다’라는 것이 명석 판명한 개념이라고 했을 때, 이러한 명석 판명한 개념은 확실히 존재할 것이라는 믿음에 기인한다. 이러한 믿음은 칸트가 사유의 선험적 주관인 X라고 부른 바로 그것이다. 즉 칸트 스스로도 주관 그 자체나 대상 그 자체를 인식하거나 실재적인 추론을 통해 알 수는 없지만 존재한다는 것을 믿었기 때문에, 데카르트와 칸트는 결국 유사한 형식 속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유사한 형식에 있는 이유는 그 두 사람이 이원론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칸트와 데카르트의 이원론에 대한 차이점과 유사성을 고찰해보고 소위 근대철학이 거대한 데카르트적 체계 안에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단지 낡은 체계에 불과하다고 판단되었던 데카르트의 철학이 근대철학과 현대철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철학사적인 작은 해명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북스캔 만화 저작물 식별 시스템에 관한 연구

        한병준,김태현,강호갑,조성환,이근영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4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1

        만화저작물은 웹하드 서비스의 급증과 스마트기기의 보급으로 인하여 불법 복제가 만연하고 있으나 음악, 동영상과 같이 저작물을 식별할 수 있는 핑거프린팅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무차별 복제에 따른 저작권자들의 피해 규모가 크게 발생하고 있다. 한국저작권위원회의 저작권 R&D 과제로 진행되고 있는 북스캔 만화 저작물 식별 기술 연구(과제명 : 북스캔 어문/만화 저작물 식별 및 복제방지 기술 개발)는 불법으로 유통되는 북스캔 만화를 효과 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을 통하여 만화 저작권자들의 수익 기반 확대와 만화저작물의 건전한 생태계 조성 기반을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동영상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으로 기 연구된 계층적-대칭-차이-특징점 방 식의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한 북스캔 만화 저작물 식별 시스템에 대한 구현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Although illegal reproduction of cartoon books are prevalent with rapid growth of webhard services and smartphone use, fingerprinting technology for product identification, as seen in music and videos, has not been developed yet. This leads to indiscriminate illegal reproduction of cartoon books, causing great amount of copyright damages from copyright infringement of the rightful owners. The copyright R&D project granted from the Korea Copyright Permission (Project Title: Identification and Copy Protection Technology of Bookscaned Text/Comic Books) has been carried out in order to develop technology to effectively identify illegal re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scanned cartoon books. The developed technology will contribute to increase of royalty payments and robust ecosystem of cartoon book markets. The study is to propose an enhanced implementation model for identification of scanned cartoon books on the basis of hierarchical symmetric difference feature algorithms adopted from existing feature extraction algorithms for video.

      • 라이프니츠와 칸트 : 인식의 조건으로서 ‘지각’과 ‘통각’의 차이에 대한 고찰

        한병준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8 철학·사상·문화 Vol.0 No.6

        Among all sorts of courses of the cognition, the 'perception' and the 'apperception' are specially the conditions of the cognition for receiving objects of the cognition. These conditions are conceived as imperfection by the limitation of our sensibility. But the perception and the apperception, as conditions of the cognition, are nothing but important conditions, so far as we cannot cognise at least an object in transcendental perspective. In this treatise, I present Leibniz's and Kant's standpoint, which are two different standpoints on perception and apperception, and deal with the problem why the actions of perception and apperception are nothing but the necessity, and also consider that the progresses of perception and apperception are formed by centering around objects or in an ability by a cognitive subject. Through these two standpoints, I will consider the importance of progresses of perception and apperception, and will present the basic explanation for an analysis of conditions of the cognition. 인식의 여러 과정 중에 특히 ‘지각’과 ‘통각’은 인식의 대상을 수용하기 위한 인식의 조건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은 우리의 감각능력의 한계에 의해 불완전한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인식의 조건으로서 지각과 통각은 우리가 최소한 어떤 대상을 초월적인 관점에서 인식할 수 없는 한 중요한 조건일 수밖에 없다. 이 논문에서 나는 ‘지각’과 ‘통각’에 관한 상이한 두 가지 입장인 라이프니츠와 칸트의 견해를 제시하면서, ‘지각’과 ‘통각’의 작용이 왜 필연적일 수밖에 없는가를 다루고, 또한 ‘지각’과 ‘통각’의 과정이 대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지 아니면 인식하는 주관에 의한 능력 속에서 구성되는지를 살펴본다. 나는 이러한 두 가지 입장을 바탕으로 ‘지각’과 ‘통각’의 과정이 어떤 중요성을 갖는지를 살펴보고, 인식 조건에 대한 분석을 위한 기본적인 설명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음악 추천을 위한 감정 전이 모델 기반의 음악 분류 기법

        한병준,황인준,Han, Byeong-Jun,Hwang, Een-Jun 한국전기전자학회 2009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3 No.2

        최근까지 장르나 무드 등의 정적 분류 기술자를 이용한 음악 정보 검색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정적 분류 기술자는 주로 음악의 다양한 내용적 특징에 기반하기 때문에 그러한 특징에 유사한 음악을 검색하는 데 효과적이다. 하지만 음악을 들었을 때 느끼게 되는 감정 내지 기분 전이를 이용하면 정적 분류 기술자보다 더 효과적이고 정교한 검색이 가능하다. 사람이 음악을 들었을 때 발생하는 감정 전이의 효과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미비한 실정이다. 감정 전이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기존의 음악 분류에 의한 검색에 비해 음악 추천 등의 새로운 응용에서 더 효과적인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에 의한 인간 감정 전이를 표현하기 위한 감정 상태 전이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음악 분류 및 추천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모델의 개발을 위하여 다양한 내용 기반의 특징을 추출하였으며, 고차원 특징 벡터의 차원 감쇄를 위하여 NMF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를 사용하였다. 성능 분석을 위한 실험에서 SVM (Support Vector Machine)을 분류기로 사용한 실험에서 평균 67.54%, 최대 87.78%의 분류 정확도를 달성하였다. So far, many researches have been done to retrieve music information using static classification descriptors such as genre and mood. Since static classification descriptors are based on diverse content-based musical features, they are effective in retrieving similar music in terms of such features. However, human emotion or mood transition triggered by music enables more effective and sophisticated query in music retrieval. So far, few works have been done to evaluate the effect of human mood transition by music. Using formal representation of such mood transitions, we can provide personalized service more effectively in the new applications such as music recommendation. In this paper, we first propose our Emotion State Transition Model (ESTM) for describing human mood transition by music and then describe a music classification and recommendation scheme based on the ESTM. In the experiment, diverse content-based features were extracted from music clips, dimensionally reduced by NMF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and classified by SVM (Support Vector Machine). In the performance analysis, we achieved average accuracy 67.54% and maximum accuracy 87.78%.

      • 동적 확장 가능한 다중 계층 신경망에 기반한 음성 질의의 onset 검출 기법

        한병준(Byeong-jun Han),노승민(Seungmin Rho),황인준(Eenjun Hwang) 한국정보과학회 200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1C

        음성 질의에서 효율적으로 onset을 검출하기 위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져 왔다. 특히 대부분의 연구는 확률론적 모델에서 큰 성과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델들은 변화나 확장이 쉽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적 확장 가능한 다중 계층 신경망(Dynamic Expansible MLP)을 제안하여, 기존 방법론의 확장 가능성을 모색한다. 또한, 음성 질의의 onset을 검출하기 위해 MLP를 활용하기 위한 모델을 제시한다.

      • 모바일 환경을 위한 미디어 형식 변환 모델 연구

        한병준(Byeongjun Han),윤정현(Jeonghyun Yoon),이한규(Hankyu Lee),황인준(Eenjun Hwang) 한국정보과학회 2006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3 No.1

        임베디드 기기와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PDA나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 상에서도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소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모바일 기기 특성상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소비환경은 유동성이 강하다. 따라서 모바일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황에 따른 가용적인 모델이 필요하다. 미디어 형식 변환(Media Transmoding)은 네트워크, 하드웨어, 스트리밍 서버 등의 상황에 따라 능동적으로 컨텐츠의 형식을 변환하여 전송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미디어 형식 변환 모델을 제안하고, 자체 개발한 미디어 형식 변환 시나리오를 사용하여 TV-AnyTime Phase 2 Part 3와 SOAP과 결합하여 설계 및 구현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