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추적 상상력에 의한 동종화자 서사체의 다시 쓰기 학습법

        한귀은 배달말학회 2002 배달말 Vol.30 No.-

        동종화자 서사체는 발화 주체가 서사의 중심 인물이 되는 서사체이다. 동종 화자 서사체는 인간이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서사체라는 점에서 학교 교육이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일기, 생활문 쓰기 등의 동종화자 서사체 쓰기 교육을 소설 교육에 적극 도입하고 있다. 학습자들이 다양한 서사전략을 내면화하기 위해서는 서사전략의 체계화가 선행되어야 하는데 본고에서는 서사체의 스펙트럼을 화자의 이야기 스펙트럼으로 구분하여 16가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서사체 전략 스펙트럼을 실제 수업에 활용하는 방법으로서 유추적 상상력을 제안하였다. 유추적 상상력이란 어떤 대상이나 조건 속에 있는 것들의 관계를 문제 장면에 적용하는 것으로, 수업 자료로 제시된 소설과 학습자가 다시 쓰는 서사체 사이에서 작용한다. 즉 교사는 학생들이 일차적으로 구성한 서사체를 근거로 하여 먼저 학습자들의 개별적 특성을 파악하고 학습자가 더 학습해야 할 서사전략을 분석하여 이 서사전략이 나타난 소설을 학습자가 읽게 한다. 학습자들은 소설을 읽으면서 유추적 상상력을 발동시킴으로써 애초에 쓴 서사체를 재구성하거나 새로운 서사체를 생산한다. 이로써 읽기와 쓰기의 통합적 활동이 실현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종화자 서사체 스펙트럼이나 유추적 상상력이 실제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스펙트럼의 정교화와 더불어 학습자와 다양한 활동들의 유형화시킴으로써 보편적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KCI우수등재

        청년의 장소 찾기에 관한 알레고리 희비극 영화 <소공녀>

        한귀은 국어국문학회 2019 국어국문학 Vol.0 No.186

        <Microhabitat> is a film about a homeless youth. It does not represent itself in realistic ways, so it poses a new aesthetic and insightful perspective. <Microhabitat> is allegory. The Allegory narrative has more than one viewpoint. This movie also implies a variety of contradictions. As Walter Benjamin has said, allegory is not necessarily in harmony with reality, even including historicity. Allegory shows the unnatural and inconsistent reality as it is. Allegory does not aim at a single totality. It is also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Microhabitat> chose the parallel plot and episodic editing method rather than the well made plot. The allegory of the <Microhabitat> is further emphasized because of pictureque quality. The mise-en-scene of this movie presents an unrealistic and fantastic atmosphere through contrast of complementary colors and brightness. A wide angle lens or a fisheye lens increases the perspective and further enhances the comic. The <Microhabitat> has tragicomedy that gives comic relief to the life of a tragic young man. The characters except the main character Miso(미소) are compelled to capitalist or neoliberal life. They are a performance subject, a debt person, a state victim of patriarchal ideology, or a snob hanging on the recognition of others. They are largely alazons, and therefore criticize or pity Miso, but they are merely objects that are identifiable to capitalism and do not live their own subjective lives. In that sense, the houses they have are also 'space' that are meaningless and unstable, rather than meaningful and stable 'place'. Miso is homeless young woman, but she is the subject who is looking for a place. She wants to be the subject of hospitality no matter where she is. Miso is the subject of the disidentification of capitalism. 전고운 감독의 <소공녀>는 거주지가 없는 청년의 삶을 이야기한다. 가장 현실적으로 시급한 문제에 대해 영화는 리얼리즘이 아닌 알레고리적 작법을 취함으로써 미학적이면서도 통찰력 있는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알레고리 서사에는 한 가지 관점이 아닌 여러 관점이 내재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소공녀>의 서사는 다양하고 때로는 모순되기까지 한 의미를 내포하게 된다. 벤야민도 논의했듯이, 알레고리는 역사성을 담지하면서도 현실의 균열지점과 긴장 관계를 유지하는 작법이다. <소공녀>는 종합되지 않는 지금 여기의 문제를 균열된 상태 그대로, 부자연스럽고 불일치 되는 상태 그대로 보여줌으로써 하나의 총체적 합일의 상태로 이어지는 것을 지양한다. 이는 <소공녀>가 인과적인 플롯이 아닌 병렬적・삽화적 구조와 편집 방식을 택한 것과도 연동된다. 이 때문에 관객이 봉합작용은 방해 받게 되고 영화의 잠재적 의미는 더욱 증폭되는 것이다. <소공녀>의 알레고리성은 회화성으로 강화된다. <소공녀>의 미장센은 보색대비와 명암대비를 통해 비현실적이고 환상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카메라 또한 광각렌즈나 어안렌즈를 사용하여 원근감과 깊이감을 주면서도 희극성 또한 심화시킨다. <소공녀>는 비극적인 청년의 삶에 ‘희극적인 위안’을 부여하는 희비극성을 띠고 있는 것이다. 주인공 미소를 제외한 인물들은 자본주의 혹은 신자유주의 삶에 강박되어 있다. 그들은 성과주체이거나 부채인간이며, 가부장 이데올로기에 희생된 상태이거나 타자의 인정에 매달리는 스놉이다. 그들은 대체로 알라존적인 성향이 강하며, 그렇기 때문에 집이 없는 주인공 미소를 비판하거나 연민하지만, 그들은 자본주의에 동일화된 객체일 뿐, 스스로 주체적인 삶을 살고 있지는 못하다. 그런 점에서 그들이 소유하고 있는 ‘집’이라는 것도 의미있고 안정적인 ‘장소’라기보다는 무의미하고 안정감을 주지 못하는 ‘공간’이다. 미소는 집이 없는 청년이지만 스스로 장소를 찾아가는 주체이며, 그곳이 어떤 곳이든 환대의 주체가 되고자 한다. 미소는 자본주의에 대한 탈동일화의 주체인 것이다.

      • KCI등재

        영화 <버닝>에 나타난 주체화 -예외상태와 제도화된 우울증을 넘어-

        한귀은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2

        <Burning> is a movie that contains more questions. These questions arise from the structure of this movie. The structure is largely expressed as a mise-en-abyme and mysterious structure. The narrative becomes more hierarchical and multiple, so the audience becomes less able to understand the film. The audience is not empathic, but thinks about the story of the movie through defamiliarization. The characters are also problematic. In <Burning>, young men (Jongsoo and Haemi) are in an 'exclusion and inclusion' of 'homo-sacer'. They are in a 'state of exception'. They are not identified with others, but are thoroughly excluded from them. Nevertheless, Jongsoo(종수) and Haemi(해미) have still a dream and a desire, but, their dreams and desires are not accepted in reality, yet they cannot give up their dreams and desires. This causes an 'institutionalized depression'. However, they look for a way to become more independent beyond 'exceptional state' and 'institutionalized depression'. Jongsoo becomes subjective by 'affect' and 'hospitality', which is related to the possibility of hope that Lee Changdong showed in <Miryang(밀양)> and <Poetry(시)>. In other words, Jongsoo follows up and understands Haemi's life after she has disappeared. He receives her hospitably as she is. His novel writing can be the evidence of the hospitality and affection. He became more intense in the path of subjectification by writing novels. This subjectification can be compared to the process of subjectification of Mija(미자) by the writing of poems in the film <Poetry>. <버닝>은 의문을 내포한 영화다. 이 의문은 <버닝>의 구조로부터 비롯되기도 한다. <버닝>은 미장아빔과 미스터리 중층 구조로 되어 있다. 이 구조로 인해 서사는 더욱 중층적이고 다양한 의미를 품게 되므로 관객은 서사에 대한 이해에 더 어려움을 겪게 된다. 이 과정에서, 관객은 영화에 감정이입을 하기보다는 ‘소원화’를 통해 영화의 이야기에 관해 사유하게 된다. 영화의 인물 또한 문제적이다. <버닝>에서 청년들(종수와 해미)은 ‘호모사케르’라는, ‘포함된 배제’의 상태에 처해 있다. 그들은 ‘예외상태’에 놓여 있는 것이다. 그들은 타자들과 구분되지 않지만, 전적으로 그들로부터 배제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수와 해미는 꿈을 꾸고 욕망을 갖는다. 그러나 그들의 꿈과 욕망은 현실에서 수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그들은 그 꿈과 욕망을 포기할 수 없다. 이것이 ‘제도화된 우울증’의 원인이 된다. 그렇지만 그들은 예외상태와 제도화된 우울증을 넘어 더 독립적으로 살아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특히 종수는 ‘감응’과 ‘환대’에 의해 더욱 주체성을 획득하게 된다. 그리고 이 주체화는 이창동이 <밀양>과 <시>에서 보여주었던 그 희망의 가능성과 관련이 되어 있다. 다시 말해서, 종수는 해미가 사라지고 난 후 그녀의 삶을 추적하고 이해하게 된다. 그는 그녀를 있는 그대로 환대하고 그녀에게 감응한다. 그의 소설 쓰기는 그 환대와 감응의 증거라고 할 수 있다. 그는 소설을 씀으로써 더 강렬하게 주체화의 여정에 오르게 된다. 이 주체화는 영화 <시>에서 미자가 시를 씀으로써 주체화가 되어 간 과정에 비견될 수 있다.

      • KCI등재

        대타자의 쇠퇴와 주체화의 서사 <인트로덕션>

        한귀은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9 No.-

        In Hong Sang-soo's film <Introduction>, the parent-child relationship is the main character axis. This is a character setting that is not often seen in Hong Sang-soo's films. However, it is not a new setting in Hong Sang-soo's filmography in that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forms one aspect of the narrative in the previous short films <Lost in the Mountains(첩첩산중)> and <List>. In these three films, the parents are placed in the position of the Other, and the main character's young man desires the Other's desire and forms an ego-ideal. In particular, <Introduction> is not limited to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nd as the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nd father-son relationship become narrative, the story of the Other and the subject is expand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ther is also different from the previous short fil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Introduction>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and the subject, but to read it interactively with <Lost in the Mountains> and <List>. Even if it is not a parent-child relationship, there have been existences that play a role as a Other in Hong Sang-soo's films. In the early works, the main character, who is a snob, appeared faithful to the desire of the Other, and after <Right Now, Wrong Then>, the protagonist escapes from the snob by realizing the absence of the Other. In <On the Beach at Night Alone> and <The Woman Who Ran>, the female protagonist becomes the subject through the collapse of the Other. In these films, the Other was the Symbolic order or the Symbolic itself, and at the same time was a group of characters serving the Symbolic order. This collapse of the Other was realized as the main character realized that the Other was an fantasy, escaped from the Symbolic, and achieved subjectivation. In <Introduction>, the Symbolic oppression is embodied in the form of parents who have the status of the Other. The main characters Young-ho and Joo-won are introduced to the path of an actor and a designer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ir parents' calling and desires, but this is not their own desire, it is just a ‘subject effect’ formed by their Interpellation. The Other, who is the subject of the Interpellation, is not only a parent, but also a person who has settled in society's ideology or the Symbolic system. The subject effect by the call of the Other is also shown in <Lost in the Mountains> and <List>. <Lost in the Mountains> shows a person who fails and shows symptoms of hysteria in the process of craving the desire of the Other, and <List> shows the regression into the Imaginary of the subject who fails to achieve the ego-ideal. Here, the difference from <Introduction> occurs. This is because in <Introduction>, the Other declines and the main character gradually becomes the subject of drive. In the film, the collapse of the Other and becoming the subject of drive is also revealed through dream. In Hong Sang-soo's film, dreams appear as ‘fulfilling wishes’ or ‘traversing fantasy’, but the dream in <Introduction> has an ambivalence that includes both. Yeong-ho is in a lucid dream state as if he is controlling his dreams. In other words, a conversation related to ‘reality check’ takes place in the dream, and as Yeong-ho appears as an off-screen voiceover in the first half of the dream, the event unfolds entirely from Young-ho’s point of view. The fact that Yeong-ho enters the sea after waking up from the dream proves that he is transforming into the subject of drive. The subject of drive is the subject that senses the Real and the gaze. The film expresses this through dreamy and surreal screens following soft focus and defocusing, and matching gaze and look through panning and long-take. Young-ho and Joo-won escape from the Other and enter into subjectivation, but the film does not miss the fact that the parents who were in the status of the Other depend more on the Other and do not... 홍상수의 <인트로덕션>은 부모․자식 관계가 주요한 인물축을 이루는 중편영화이다. 이는 홍상수 영화에서 흔히 보이지 않던 인물 설정이다. 그러나 중단편에 한정시켜 보자면, 이전의 단편 영화 <첩첩산중>과 <리스트>도 모녀관계가 서사의 한 측면을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 홍상수의 필모그래피에서 전혀 새로운 설정은 아니다. 이 세 편의 중단편에서 부모는 대타자의 지위에 놓여 있고, 주인공 청년은 대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면서 자아이상을 형성하는 양상을 띠고 있다는 점에서도 공통된다. 특히 <인트로덕션>은 모녀관계에 한정되지 않고, 모자관계, 부자관계도 서사화 되면서 대타자와 주체의 이야기가 더 확대되고 있으며, 주체가 대타자와 맺는 관계도 이전의 단편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대타자와 주체의 관계를 중심으로 <인트로덕션>을 살펴보되, <첩첩산중>, <리스트>와 상호적으로 읽을 필요가 있을 것이다. 부모․자식관계가 아니더라도, 홍상수 영화에서 대타자로서의 역할을 하는 존재는 있어 왔다. 초기작에서는 스놉(snob)인 주인공이 대타자의 욕망에 충실한 모습으로 나타났고,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이후로는 주인공이 대타자의 부재를 깨달음으로써 스놉에서 벗어나는 모습을 보였다. <밤의 해변에서 혼자>와 <도망친 여자>에서는 대타자의 붕괴를 통해 여성 주인공이 주체가 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 영화들에서 대타자는 상징적 질서 혹은 상징계 그 자체였으며, 동시에 그 상징적 질서에 복무하는 인물군이기도 했다. 이러한 대타자의 붕괴는 결국 주인공이 대타자가 환상이라는 것을 깨닫고 상징계에서 벗어나 주체화를 이루는 것으로 실현되었다. <인트로덕션>은 상징계적 억압이 부모의 모습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주인공 영호와 주원은 부모의 호명과 욕망에 따라 각각 배우와 디자이너의 길에 입문하지만 그것은 자신의 욕망이 아니며 호명에 의해서 형성된 ‘주체 효과’일 뿐이다. 호명의 주체인 대타자는 부모뿐만 아니라 사회의 이데올로기나 상징계적 시스템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호명에 의한 주체 효과는 <첩첩산중>과 <리스트>에도 나타나는데, <첩첩산중>은 대타자의 욕망을 욕망하는 과정에서 실패하고 히스테리 증상을 보이는 인물을 보여주고, <리스트>는 자아이상에 도달하지 못한 주체의 상상계로의 퇴행을 보여준다. 여기서 <인트로덕션>과의 차이가 발생한다. <인트로덕션>에서는 대타자가 쇠퇴하고 주인공이 점차 충동적 주체가 되어 가는 양상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상은 영호의 꿈을 통해서도 드러난다. 홍상수 영화에서 꿈은 ‘소망성취’나 ‘환상 가로지르기’로 나타나는데, <인트로덕션>의 꿈은 이 두 가지를 모두 포함하는 양가적 성격을 지닌다. 영호는 마치 자신의 꿈을 통제하는 듯한 자각몽 상태를 보이는데, 이것은 꿈속에서 ‘현실성 체크’ 차원의 대화가 이루어지고, 꿈의 전반부에 영호가 외화면 보이스오버로 등장하면서 온전히 영호의 시점으로만 전개된다는 점 등으로 알 수 있다. 꿈 이후 영호의 입수는 그가 충동적 주체로 변모해 간다는 것을 방증한다. 충동적 주체는 실재계와 응시를 감지하는 주체이다. 영화는 이를 연초점화와 탈초점화에 따른 몽환적이고 초현실적인 화면, 패닝과 롱테이크를 통한 응시와 시선의 일치 등을 통해 표현한다. 영호와 주원은 대타자로부터 벗어나 주체화에 진입하 ...

      • KCI등재

        서사전략 내면화를 위한 집단적 소설 쓰기 수업

        한귀은 한국문학교육학회 2002 문학교육학 Vol.9 No.-

        This paper presented the methods of teaching on writing narratives. Namely, many narrative strategies that students could use in the class such as characters, chronotopes, narrators or focalizors, story or plot, the speed of narration. Students might establish affirmative and sympathetic characters or satirical characters. On chronotopes, they might choose topos or ironic space not according with events. Students could create the one narrator or many speakers including a narrator and many foclizors. And they could construct tight plot or loose plot, The story are either concluded or unfinished. The speed is fast or slow, too. The narrative strategies of a sudden fiction don't differ from those of a short fiction or a long fiction. The short fiction or the long fiction has various narrative strategies. So does the sudden fiction. Especially there is dramatic irony or surprising plot in the sudden fiction, so through using this strategy students might recognize the human being and life. In other words the surprising plot in the sudden fiction enable us introspect our duality on the life.

      • KCI등재

        문지방 사유를 통한 자전적 서사 쓰기의 효과

        한귀은 한국어문학회 2004 語文學 Vol.0 No.84

        The purpose of writing autobiographical narrative is introspection and reflection of the world. So, when we write our own life, the first person's viewpoint is not enough. The first person's viewpoint would make us think anything self- centerednessly. In this case, thinking on the threshold could be very useful. The thinking on the threshold brings multiple point of view. It is possible us to recognize and read ourself and the world. But it is needed something that support the metaphor of thinking on the threshold. The meta-thinking of thinking on the threshold is each narrative strategy such as homo-extra-diegetic narrator(an 'external' narrator who narrates his own story (corresponding to a first person retrospective narrative, where the narrator is extra diegetic and his past experiencing self is intra diegetic), homo-intra-diegetic narrator(a fictional narrator who tells his own story), self-conscious narrator, hetro-extra- diegetic(an 'external' narrator who is not a fictional character in the story. This is, of course, the third person omniscient narrator). hetro-intra-diegetic narratoda fictional narrator who narrates events in which he does not participate), stream of consciousness(interior monologue, quoted monologue), narrated monologue, psycho-narration, internal focalization (character- bound focalization), external focalization(non-character-bound focaliza- tion), zero focalization, camera-eye, second person viewpoint, and so on. Using these narrative strategies, the autobiographical narrative does not come to narrative closure but open the narrative, so it could let us introspect ourselves and our world.

      • 문학교과의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 방향

        한귀은 국어교과교육학회 2005 국어교과교육연구 Vol.10 No.-

        소위 ‘문화 시장’과 ‘교육 시장’에 ‘영상’이 높은 가치로 거래되고 있다. 개정될 국어교육과정 또한 영상매체와 관련된 내용을 많이 포함시킬 예정 이다. 영상매체 텍스트 중 접근성이 강하고 학생들의 일상 문화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텔레비전 드라마이다. 현행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및 문학교과서 등에도 이미 텔레비전 드라마가 많이 수록되어 있으나 그 내용이 상식선에 머물고 있어 ‘교육’의 의미를 무색하게 한다. 이 시점에서, 교육의 전문성을 제고하면서 텔레비전 드라마에 대한 학생들의 지평의 상승을 위한 논의가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본고에서는 텔레비전 드라마와 관련된 교육이 어떠한 학문적 접근을 토대로 재구성되어야 하는지 제시하고, 개편될 국어교과서에 실릴 예정인 KBS 역사 드라마 <불멸의 이순신>을 중심으로 그 교육 내용을 간략하게 서술하였다. 특히 이 드라마는 김훈의 《칼의 노래》와 김탁환의 《불멸》을 원작으로 하면서도 텔레비전 드라마로서의 독자성과 특수성을 가지고 있어 소설과 영상의 상호텍스트적 교육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더욱 시사적이다. 본고에서도 이 점에 착안하여 〈불멸의 이순신>이 갖는 역사 드라마로서의 특성, 원작과의 상호텍스트적 접근, 영상미학적 읽기 등을 중심으로 교육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We can discover easily TV dramas in the literature textbooks. This phenomenon is caused by interest in culture or mass-culture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the education of TV dramas have not acquired educative specificity, but stopped at common sense. To obtain educative meaning on TV drama, the educative reconstruct of studies and researches must be preceded. The study on TV drama started with cultural studies and feminism. These studies concentrated the ideology and the image of feminine. In other words, the studies reckoned without the various meaning and a diversity of TV audience. Gradually, the studies are concerned about the TV audience. That is the very audience studies. But these studies were short of close inner analysis. The narrative studies took charge of the narrative interpretation. Here, the image aesthetics of TV drama supported in TV drama studies. So, the education of TV drama must accept and reconstruct these consults. And integrated education of TV drama and literature will be available.

      • KCI등재

        박탈된 주체의 증환과 주이상스 <당신 얼굴 앞에서>

        한귀은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4 No.-

        홍상수의 <당신 얼굴 앞에서>는 <밤의 해변에서 혼자> 이후에 나타난 박탈된 주체의 서사에, <강변호텔>에서 보인 죽음충동 서사가 통합되면서 궁극적으로는 팬데믹에서의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 이 논문은 <당신 얼굴 앞에서>에 나타난 취약하고 박탈된 주체가 어떤 방식으로 타자와 관계 맺으며 증환의 주체로서 주이상스를 향유하게 되는지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주인공 상옥은 시한부 선고를 받았다. 이것은 그녀가 박탈됨의 상황에 처했음을 의미한다. 이 박탈됨은 주체의 궁핍을 불러온다. 이 때문에 더 이상 상징계적 욕망과 환상의 추구가 무의미해진다. 그녀는 치료를 포기하고 살아있을 때 할 수 있는 것, 도울 수 있는 것을 하려고 마음먹는다. 자신의 박탈됨을 수용하고 생의 시간에 타자를 지향하려는 의도를 갖는 것이다. 상옥은 자신의 ‘얼굴 앞’ 타자에게 말걸기를 시도하지만, 동생 정옥, 감독 재원뿐만 아니라 조카나 옛집에서 만난 소녀와의 관계에서도 이 말걸기에 성공하지는 못한다. 역설적으로 이 때문에 말걸기는 중단되지 않고 상옥의 주체화로 이어진다. 상옥의 주체화는 환상을 가로지르며 실재를 응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특히 소녀와의 관계에서 말걸기는 상옥의 기도를 중단시킨다. 기도는 대타자를 향한 메시지이고 상징계의 틈을 메우는 환상이다. 비록 상옥의 기도가 대타자와의 동일화나 상징계적 욕망에 강박된 것이 아니라 감사의 담론이라 할지라도 그 기도는 부재하는 대타자를 상정한 환상이었기에 실재를 지향하는 상옥과는 모순되는 것이었다. 이 모순을 극복하게 한 것이 소녀를 향한 말걸기였고 이것은 재원과의 만남에도 이어진다. 이 만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상옥의 블라우스에 묻은 ‘얼룩’이다. 이것은 실재계적인 응시로서의 ‘얼룩(stain)’의 기능을 함으로써 상옥은 응시와 시선이 일치되는, 즉 실재계적 징후를 감지하는 주체로 변모한다. 감독의 음성메시지를 듣고 난 후의 그녀의 웃음은 그녀가 박탈됨에서 나아가 자기 박탈, 혹은 박탈-되기의 주체이자 주이상스의 주체임을 나타낸다. 그녀가 동생 정옥의 손 위에 자기 손을 올리고, 더 가까이 가서 “정옥아, 무슨 꿈을 꾸니?”라고 묻는 것은 타자를 향한 아름답고 고통스러운 말걸기이자 그녀가 자신의 증환과 동일시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팬데믹은 인류를 박탈의 상태로 몰아넣고 있다. <당신 얼굴 앞에서>는 박탈된 주체가 향유할 수 있는 증환을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팬데믹 상황에서 동시대인이 지향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지 문제제기를 하고 있다. Hong Sang-soo's In Front of Your Face ultimately shows insight into the pandemic by integrating the narrative of the dispossessed subject that appeared after <On the Beach at Night Alone> and the death-drive narrative shown in <Hotel by the Riv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how the vulnerable and dispossessed subject in In Front of Your Face relates to others and ultimately has jouissance as a subject of sinthome. The main character, Sang-ok, has been sentenced to a limited time. This meant that she was in a situation to be dispossessed. And it leads to the deprivation of the subject. She decides to give up her treatment and try to do what she can and help with while she is still alive. This is interpreted as an intention to accept her own deprivation and to turn others in the time of her life. Sang-ok tries to talk to address ‘in front of her own face’. She is unsuccessful in address with her sister Jeong-ok, a film director, as well as her relationship with her nephew or the girl she met at her old house. However, because of this, her conversation is not stopped and paradoxically leads to Sang-ok's subjectivization. Sang-ok's sbjectivization appears to traverse her fantasy and gaze the Real. In particular, address with a girl stops Sang-ok's prayer. Prayer is a message to the Other and is a fantasy that fills the gap in the Symbolic. Although Sang-ok's prayer was a discourse of gratitude rather than being suppressed by identification with the Other or the Symbolic desire, his prayer was an fantasy premised on the absence of the Other, so it was contradictory to Sang-ok's pursuit of the Real. It was the address with that girl that made her overcome this contradiction, and this continues with her meeting with film director Jae-won. The ‘stain’ on Sang-ok’s blous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meeting. As this stain functions as a 'stain' as gazing of the Real, Sang-ok transforms into a subject whose eye and gaze coincide, that is, a subject that detects symptom of the Real. Her laughter after listening to her director's voice message indicates that she is the subject of becoming dispossessed and jouissance with pain. When she puts her hand on her sister Jeong-ok's and asks, “What are you dreaming of?” is her beautiful and painful address towards other, revealing that she is identifying with her own sinthome. The pandemic is driving humanity into a state of being dispossessed. In Front of Your Face raises the question of what contemporaries should value in a pandemic situation in that it shows the sinthome that a dispossessed subject should have in a relationship with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